KR100479594B1 -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94B1
KR100479594B1 KR10-2002-0007516A KR20020007516A KR100479594B1 KR 100479594 B1 KR100479594 B1 KR 100479594B1 KR 20020007516 A KR20020007516 A KR 20020007516A KR 100479594 B1 KR100479594 B1 KR 10047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wrap film
layer
radi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371A (ko
Inventor
이병식
Original Assignee
이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식 filed Critical 이병식
Priority to KR10-2002-000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포장용이나 다이어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랩 필름의 표면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량의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기존 랩 필름의 고유 물성인 신축성 및 접착성을 유지시키면서 항균 및 소취 효과 또한 얻을 수 있어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용으로 피부에 감아둘러 이용할 시에는 인체의 가장 기본 조직인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의 자기 방어 능력을 강화시켜 체중 감량 및 체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랩 필름(1)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2)을 점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점착제를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층(2)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10)와: 상기 점착층(2)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하여,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점착층(2)에 점착되어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점착층(2) 및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된 랩 필름(1)을 가압하여 랩 필름(1)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a wrapping film with the emission of far infrared ray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포장용이나 다이어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랩 필름의 표면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식품포장용으로 사용시에는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해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식품 보존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용으로 피부에 감아둘러 이용할 시에는 인체의 가장 기본 조직인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의 자기 방어 능력을 강화시켜 체중 감량 및 체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랩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무늬층으로 인하여 미관상 우수한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랩 필름이 식품포장용이나 다이어트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식품포장용 랩 필름은 채소나 과일 등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존하기 위하여 외부공기나 외부로부터의 광선 등을 채소나 과일 등의 식품으로 부터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나,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거나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어려웠으며, 피포제의 운송 및 보관시 흔들림 또는 외부 응력에 의한 파손이 있을 수 있었고, 또한 여성들이 다이어트(diet)를 목적으로 일반 식품포장용 랩 필름을 인체에 감아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랩 필름을 감은 부분의 피부가 공기 및 광선으로부터 차단되어 세포 조직의 활동을 방해하는 부작용이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의 랩 필름은 모두 투명으로 제조됨으로써 피복물이 보임으로 인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물건을 포장할 경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좋지 않은 기분을 느끼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선출원 된 특허출원 제 97-51911호는 '맥반석을 함유한 합성수지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맥반석, 각섬석, 견운모, 흑운모, 녹옥, 백옥, 청옥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광물을 플라스틱 제품에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일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하여 다소 향상된 식품 보존 능력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그 효능이 미비하여 실용화 하기 곤란하였고 제조공정 중 설비의 마모가 심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다른 선출원된 특허공보 제 2000-20927호는 '식품 보존 능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제품'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인 수지조성물에 청옥, 맥반석, 무기 항균제 등을 혼합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식품신선도를 유지하려고 하였으나, 제조공정 중 기타 물질을 혼합하여 플라스틱제품을 제조함으로써 그 효과가 반감되어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다른 선출원인 특허공보 제 2000-32538호는 '항균성 바이오세라믹 포장 필름'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에 산화철, 산화망간, 제올라이트, 세라믹재 분말, 파라핀, 테레핀 수지, 실리콘오일 등을 혼합하여 바이오세라믹 포장 필름을 제조하였으나, 이 역시 제조공정 중 기타 물질을 혼합하여 플라스틱제품을 제조함으로써 그 효과가 반감되어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단순히 용기나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투명 랩 필름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랩 필름의 표면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식품포장용으로 사용시에는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해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보존기간을 연장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용으로 인체에 감아둘러 이용할 시에는 인체의 가장 기본 조직인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의 자기 방어 능력을 강화시켜 체중 감량 및 체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랩 필름의 표면에 무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관상 우수한 효과를 갖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A)의 제조방법은, 랩 필름(1)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2)을 점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점착제를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층(2)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10)와: 상기 점착층(2)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하여,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점착층(2)에 점착되어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점착층(2) 및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된 랩 필름(1)을 가압하여 랩 필름(1)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 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부분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랩 필름(1)의 표면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랩 필름(1)의 표면에, 점착제를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층(2)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S10)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이용하여 랩 필름(1)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2)을 점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점착층(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점착제 도포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점착제는 접착제의 일종으로 반창고, 밴드, 셀로판테이프, 플라스틱테이프(비닐테이프), 크라프트테이프 등에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로서, 고무계, 아크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한다.
상기 점착층(2)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하여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S20)는 점착층(2)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점착층(2)에 점착되어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분사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 물질의 입도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은 일정 문양을 갖는 것이 아닌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점착제의 스크린 인쇄시 그 문양을 달리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을 구성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는 옥 분말, 맥반석 분말, 숯 분말, 황토 분말 및 모란목 분말 중 어느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옥, 맥반석, 숯, 황토, 세라믹 등의 원적외선 방사 물질은 장판이나 식품용기에 적용되고 있으나 랩 필름에 적용된 예는 없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전자파 중 그 파장이 5.6∼100㎛ 사이의 전자파를 말하는 것으로, 원적외선은 피부의 심층(4∼5㎝ 깊이)까지 침달하여 인체에 온열작용, 숙성작용, 자정작용, 건습작용, 중화작용 및 공명작용을 함으로써, 체내의 지방질을 분해하여 땀을 배출시키므로 부작용 없이 체중을 감량시키고, 생체 조직 활성화로 인해 피부노화를 지연시켜 건강한 피부로 가꿔 주는 등 인체에 많은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식물에 작용하였을 시에도 식물 세포를 자극하여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점착층(2) 및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된 랩 필름(1)을 가압하여 랩 필름(1)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밀착되게 하는 단계(S30)에서, 그 밀착 방법으로는 압연기나 가압기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A)은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을 형성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적외선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피포물의 종류나 다이어트를 원하는 신체 부분에 따라 원적외선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원적외선 방사 물질에 대해 알아보면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옥은 각섬석의 일종으로 담흑색이나 담회색을 띠며 고운 빛과 아름다운 광택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보석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기능성 음료, 장판 등에 적용되고 있다.
맥반석은 석영반전암에 속하는 암석으로서, 900년 전에 중국의 송나라에서 출판된 본초도경에는 주로 피부병이나 물을 순환하는 약석으로 기재되어 있고, 또한 다공성에 의한 강한 흡착력과 원적외선의 방사 효율이 높아 우수한 탈취 능력과 자정력 등을 갖는다.
숯은 70~90%가 탄소의 결정체로서 단순히 탄소로만 이루어 진 것이 아니고 미세한 미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숯의 구성 성분인 탄소의 자유전자로 인하여 물질의 부패(산화)를 억제하며, 또한 많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 방지 작용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황토는 지구표면에 있는 60여종의 흙 가운데 가장 우수한 광물질로 평가받고 있으며, 입자가 곱고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정화, 탈취 및 탈지 기능이 뛰어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생명력, 해독력, 흡수력, 자정력 등이 뛰어나다.
모란목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관목으로 목단이라고도 하며, 그 종자는 소염, 두통, 요통, 건위, 지혈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 효율이 높아 흡수력, 자정력 등이 우수하다.
상기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이용한 랩 필름(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점착제를 도포하고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와는 다른 예로서 랩 필름의 표면에, 점착용 잉크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혼합하여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함으로써 랩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 형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예에서는 랩 필름(1)의 일측 표면에만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게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랩 필름(1)의 양측 표면 모두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게 하여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랩 필름의 표면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량의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기존 랩 필름의 고유 물성인 신축성 및 접착성을 유지시키면서 항균 및 소취 효과 또한 얻을 수 있어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식품 보존기간을 연장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용으로 피부에 감아둘러 이용할 시에는 인체의 가장 기본 조직인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의 자기 방어 능력을 강화시켜 체중 감량 및 체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랩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무늬층으로 인하여 미관상 우수한 효과를 갖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랩 필름 2: 점착층
3: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

Claims (3)

  1.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랩 필름(1)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2)을 점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점착제를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층(2)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10)와: 상기 점착층(2)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분사하여,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점착층(2)에 점착되어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점착층(2) 및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형성된 랩 필름(1)을 가압하여 랩 필름(1)에 점착층(2)과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3)이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물질은 옥 분말, 맥반석 분말, 숯 분말, 황토 분말 및 모란목 분말 중 어느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2-0007516A 2002-02-08 2002-02-08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KR10047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16A KR100479594B1 (ko) 2002-02-08 2002-02-08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516A KR100479594B1 (ko) 2002-02-08 2002-02-08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371A KR20030067371A (ko) 2003-08-14
KR100479594B1 true KR100479594B1 (ko) 2005-04-06

Family

ID=3222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516A KR100479594B1 (ko) 2002-02-08 2002-02-08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948B1 (ko) 2018-07-12 2019-01-30 서윤호 점착제층의 형성에 의한 연신 필름 및 상기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27B1 (ko) * 2004-12-30 2008-03-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원적외선 방사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1523243B1 (ko) * 2013-11-20 2015-05-28 서승완 원적외선 방사체 제조방법
CN109641476B (zh) * 2016-10-12 2020-12-29 吴世铉 混合远红外线放射物质的混合油墨及其制造方法、该混合油墨印刷的印刷品
WO2018070805A1 (ko) * 2016-10-12 2018-04-19 오세현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혼합된 혼합잉크 및 그 제조방법과, 그 혼합잉크가 인쇄된 인쇄물
KR102300000B1 (ko) * 2020-05-06 2021-09-10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포장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밀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153U (ko) * 1989-08-28 1991-03-18 최철현 원적외선 방사무늬 장판지
KR19990025091A (ko) * 1997-09-10 1999-04-06 최상열 원적외선세라믹 원단
JPH11178899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Mizushori Giken:Kk 抗菌性包装材及び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153U (ko) * 1989-08-28 1991-03-18 최철현 원적외선 방사무늬 장판지
KR19990025091A (ko) * 1997-09-10 1999-04-06 최상열 원적외선세라믹 원단
JPH11178899A (ja) * 1997-12-22 1999-07-06 Nippon Mizushori Giken:Kk 抗菌性包装材及び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948B1 (ko) 2018-07-12 2019-01-30 서윤호 점착제층의 형성에 의한 연신 필름 및 상기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371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71193A8 (en) Seedbed for growing vegetation
KR100479594B1 (ko) 원적외선 방사 무늬층이 형성된 랩 필름의 제조방법
KR102109692B1 (ko) 다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0400424Y1 (ko)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100605660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합지제조용 천연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1035B1 (ko) 나노 무기재를 활용한 과수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IN2012DN02781A (ko)
KR100864640B1 (ko) 음식물 구이용 맥반석 패드
KR20080000744A (ko)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매트리스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KR100586633B1 (ko)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53714Y1 (ko) 기능성 한지 미용 팩
KR20060121398A (ko) 참 옻 진액이 혼합된 세라믹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및 그 제조방법
KR100729406B1 (ko) 지장수를 이용한 황토 홍삼의 제조 방법
JPWO2002101146A1 (ja) 蓄光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方法
JP2001191318A (ja) マイナスイオン生成製品
JPH01137959A (ja) シート状包装材料
KR200368700Y1 (ko) 건축용 마루재
KR100390335B1 (ko) 곡물의 발아방법
KR200289837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217950Y1 (ko) 광물혼합체로된 조리용기
KR200287214Y1 (ko) 입욕제팩
KR200236195Y1 (ko) 황토를 이용한 마사지용 팩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2311632B1 (ko) 위생소금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