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414B1 -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414B1
KR100479414B1 KR10-2001-0038336A KR20010038336A KR100479414B1 KR 100479414 B1 KR100479414 B1 KR 100479414B1 KR 20010038336 A KR20010038336 A KR 20010038336A KR 100479414 B1 KR100479414 B1 KR 10047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rent
storytelling
interne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655A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01-003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4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모의 음성으로 편집된 동화를 인터넷을 통해서 어린이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부모의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서버 측으로 전송하고, 서버 측으로부터 부모 음성으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서버 측은 부모 음성신호를 입력해서 음성 특성정보를 분석해내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서 구연동화를 재편집한 후, 인터넷을 통해 다시 소비자의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모의 목소리로 어린이에게 동화를 들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구연동화에 대한 어린이의 관심을 높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An orally narrated fairy tale devic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모의 음성으로 편집된 동화를 인터넷을 통해서 어린이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장기의 어린이에게 동화읽기는 정서발달에 크게 영향을 준다. 때문에 여러 교육시스템에서 테이프나 컴팩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동화를 녹음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구연동화는, 성우 또는 특정인으로 한정되어서 음성녹음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연동화장치는, 단순히 하나의 음성파형을 그대로 녹음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화된 매체를 통해 이미 획일화되어 가고 있는 아이들의 다양한 정서발달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과 더불어 종래의 구연동화는, 부모가 읽어주는 동화와는 다른 느낌 때문에 어린이의 관심을 끌지 못하여,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구연동화는 획일화된 음성으로 인하여 친근감과 정서적인 부분에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연동화를 어린이 개개인의 부모 음성으로 재편집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거기다가 최근 발달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구연동화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부모의 음성으로 편집된 구연동화를 어린이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는, 부모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입력수단과; 부모의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영상입력수단과;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된 부모 음성신호를 송신하거나 부모 음성으로 편집된 구연동화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서 수신된 구연동화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서 구연동화가 출력될 때, 입력된 부모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연동화출력장치와,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에서 송신된 부모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부모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음성분석수단과; 상기 음성분석수단에서 추출되어진 부모의 특징 패턴과, 구연동화의 기준 패턴을 합성하여, 부모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구연동화로 재편집하는 음성변환수단과; 인터넷 연결되어, 상기 음성변환수단에서 부모 음성으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상기 영상출력수단과 음성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통해서 부모의 영상을 출력할 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변환수단에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우선, 사용자 개개인에게 구비되고 있는 퍼스널 컴퓨터(100)를 이용한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는 인터넷을 통해서 후술되는 서버 측으로 부모의 음성, 영상을 전송하고,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되온 구연동화를 수신하여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에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음성, 영상은 부모의 음성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한번만 전송하면 되고, 필요시에 재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온 부모의 음성을 분석하여, 특징을 추출해낸 후, 다양한 구연동화를 부모의 음성으로 재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물론, 상기 서버(200)와 구연동화를 제공받는 사용자 사이에는 구연동화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계약 등이 체결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와 서버(200) 사이에는 인터넷망(300)이 구비되고 있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연동화장치에서 퍼스널 컴퓨터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입력부(103)는, 마이크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을 제어부(112)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음성입력부(103)는, 서버에서 부모의 음성 분석을 위해 사용될 소정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영상입력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입력부(106)는, 디지탈 카메라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입력부(106)는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부모의 영상을 입력해서, 구연동화 출력시에 같이 표시되도록 하여, 어린이에게 부모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상기 음성입력부(103)와 영상입력부(106)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9)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09)는 서버에서 부모 음성으로 재편집되어 전송되온 구연동화를 저장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상기 메모리(109)의 데이터 저장 및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음성입력부(103)와 영상입력부(106)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메모리(109)에 저장하거나 또는 서버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측으로부터 수신된 부모 음성의 구연동화를 상기 메모리(109)에 저장시켰다가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5)는 인터넷망(300)과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송수신부(115)에 의해 상기 인터넷망(300)을 통해서 서버(200)에 전송되어진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15)는 상기 서버(200)에서 부모음성으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수신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는, 서버에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출력부(118)는, 스피커와 같은 것을 이용한다. 즉, 상기 음성출력부(118)는, 부모 음성으로 편집된 구연동화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출력부(118)에서 음성신호가 출력될 때, 입력한 부모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출력부(121)는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 외에도, 필요한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서버 측에서 전송한 음성신호가 압축이 된 경우에는 이를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서버 측에서 전송한 음성신호가 디지털신호인 경우에는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처리하는 등의 신호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며의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이와 같은 음성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신호처리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성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구성으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퍼스널 컴퓨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여, 서버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고, 또한 음성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구성이면, 상기 퍼스널 컴퓨터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음향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연동화장치에서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연동화장치에서 이용되는 서버는, 제공되고 있는 여러가지 동화를 부모의 음성으로 재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200)는, 인터넷망(300)을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210)는, 개개인의 퍼스널 컴퓨터(100)를 통해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버에서 부모 음성으로 편집된 구연동화를 개개인의 퍼스널 컴퓨터(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200)는, 개개인의 부모 음성으로 편집된 여러 종류의 구연동화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 베이스(2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버(200)는, 임의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온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추출하는 음성분석장치(2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음성분석장치(240)는 전송되온 음성신호의 소오스신호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부모의 음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음성분석장치(240)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음성분석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음성분석장치(240)는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음성입력부(240a)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240b)를 통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음성구간검출부(240c)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구간검출부(240c)에서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짧은 구간의 신호(즉, 프레임)으로 분할한 후, 각 프레임의 에너지와 영교차율(zero crossing rate) 그리고, 시간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중에서 실제 발성된 음성 구간만을 검출한 후, 특징추출부(240d)로 출력한다. 상기 특징 추출부(240d)에서는 음성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특징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특징 추출부(240d)에서 추출된 신호는 패턴 정규화되어 저장부(240e)의 할당된 번지에 저장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개개인의 부모 음성에 대한 음성의 특징이 추출되어져 저장부(240e)에 저장되어진다. 상기 음성분석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신경망을 이용한 음성분석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분석장치는,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음성분석방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버(200)는, 상기 음성분석장치(240)에서 분석되어진 음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새롭게 구연동화를 편집하는 음성변환장치(25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변환장치(250)는, 어린이 개개인의 부모 음성으로 동화를 편집한다. 상기 음성변환장치(250)의 상세 구성은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시되고 있는 음성변환장치의 구성도 일반적인 구성을 이용한 것이며, 이 장치 외에 다른 음성변환장치도 물론 이용 가능하다.
상기 음성변환장치(250)는, 상기 음성분석장치(240)에서 추출되어진 음성의 특징을 기준음성에 합성 또는 편집하여 원하는 음성을 얻어내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음성변환장치(250)는 상기 음성분석장치(240)에서 추출되어진 패턴을 음성특징제공부(250a)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동화제공부(250d)로부터는 구연동화의 각 부분에 따른 다양한 기준 패턴을 제공받는다. 이 두개의 신호는 음성변환부(250b)에 입력된다. 상기 음성변환부(250b)는 부모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패턴에 가장 가까운 기준패턴으로 동화를 합성 또는 편집하여, 부모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구연동화를 만들어낸다. 상기 음성변환부(250b)에서 만들어진 구연동화는 저장부(250c)에 일시 저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성변환부(250b)에서 새롭게 구성되어진 구연동화는, 데이타베이스(230)로 옮겨져서 할당된 번지에 저장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서버(200)는 상기 모든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서버 측으로 부모의 소오스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도이고, 도 6b는 서버 측에서 전송한 편집된 구연동화를 퍼스널 컴퓨터에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서버에서 동작하는 과정도이다.
우선, 소비자와 서버 간에 부모의 음성에 맞게 구연동화를 편집하고, 편집된 구연동화를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계약이 체결되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계약과정에서 서버는, 소비자의 고유번호를 인식해야 하고, 이후 소비자와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비용처리, 사후관리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상기 문제가 해결된 후, 퍼스널 컴퓨터(100)는 구연동화의 편집을 위해 필요한 소오스신호를 서버 측에 우선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음성입력부(103)는 엄마, 아빠의 음성을 입력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서 제어부(112)에 출력한다(제 500 단계).
상기 제어부(112)는 입력한 음성신호를 메모리(109)에 일시 저장한 후, 압축과 같은 소정의 신호 처리 후, 송수신부(115)에 출력한다. 상기 송수신부(115)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송이 가능한 신호로 변조시킨다(제 510 단계). 그리고 인터넷(300)을 통해서 서버(200)에 전송한다(제 520 단계).
서버(300)는 인터넷(300)을 통해서 전송된 음성신호를 송수신부(210)를 통해서 수신한다(제 700 단계). 상기 송수신부(210)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가 가능한 상태로 복조시킨다.
제어부(220)는 상기 복조된 음성신호를 음성분석장치(240)에 전송하여, 음성신호의 분석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제 710 단계).
상기 음성분석장치(240)는, 음성입력부(240a)를 통해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40b)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만일, 입력된 음성신호가 이미 디지털신호처리 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신호 변환과정은 생략된다.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음성구간검출부(240c)에서 실제 음성구간이 검출되어진다. 그리고 특징추출부(240d)에서 상기 검출된 음성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의 패턴 및 정규화된 값이 저장부(240c)에 저장되어진다(제 720 단계).
제어부(220)는 상기 제 720 단계에서 부모의 음성 특징패턴이 추출되어지면, 음성변환장치(250)를 이용하여 음성의 재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20)는 상기 음성분석장치(240) 내의 저장부(240e)에 저장된 부모의 음성 특징 패턴을 음성변환장치(250)의 음성특징패턴제공부(250a)에 인가한다.
한편, 음성변환장치(250) 내의 동화 기준패턴 제공부(250d)는 동화의 각 부분에 따른 기준패턴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동화 기준패턴 제공부(250d)는 다양한 동화 각각에 대한 기준패턴을 구비해야만 한다.
상기 음성변화장치(250) 내의 음성변환부(250b)는 상기 음성특징패턴제공부(250a)로부터 부모의 특징적인 음성패턴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동화 기준패턴 제공부(250d)로부터 특정 동화의 각 부분에 대한 기준 패턴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음성변환부(250b)는 두 신호를 합성, 또는 편집해서 새로운 음성(즉, 부모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구연동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제 730 단계). 이렇게 만들어진 구연동화는 저장부(250c)에 일시 저장되어진다.
제어부(220)는 상기 음성변환장치(250)에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데이타베이스(230)의 할당번지에 저장한다(제 740 단계). 상기 제 740 단계에서 할당된 번지는, 소비자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설정되어진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의 요구를 감시하고, 소비자의 요구가 있을 때, 해당하는 퍼스널 컴퓨터로 데이타베이스(230)에 저장되고 있는 구연동화를 제공하게 된다(제 750 단계).
상기 제 750 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 구연동화는, 해당되는 퍼스널 컴퓨터(100)의 송수신부(115)를 통해서 수신되어진다(제 600 단계). 물론, 상기 제 600 단계의 과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서버(200) 측에 편집된 구연동화의 전송요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100)의 제어부(112)는 송수신부(115)를 통해서 수신된 구연동화를 복조하고(제 610 단계), 메모리(109)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필요한 때에 음성출력부(118)를 통해서 출력한다(제 620 단계).
그리고 상기 제 620 단계에 의한 구연동화의 음성 출력이 이루어질 때, 미리 입력된 부모의 영상을 영상출력부(121)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보다 실감있게 부모의 구연동화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연동화를 부모의 목소리로 재편집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는, 부모의 목소리로 어린이에게 동화를 들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구연동화에 대한 어린이의 관심을 높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서 효율적인 구연동화 학습이 진행 가능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 어디에서든지 어린이에게 구연동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의 퍼스널 컴퓨터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의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성분석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성변환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퍼스널 컴퓨터의 동작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버의 동작 과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퍼스널 컴퓨터 103 : 음성입력부
106 : 영상입력부 109 : 메모리
112 : 제어부 115 : 송수신부
118 : 음성출력부 121 : 영상출력부
200 : 서버 210 : 송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데이타베이스
240 : 음성분석장치 250 : 음성변환장치

Claims (6)

  1. 부모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입력수단과;
    부모의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영상입력수단과;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된 부모 음성신호를 송신하거나 부모 음성으로 편집된 구연동화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서 수신된 구연동화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서 구연동화가 출력될 때, 입력된 부모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연동화출력장치와;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에서 송신된 부모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부모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음성분석수단과;
    상기 음성분석수단에서 추출되어진 부모의 특징 패턴과, 구연동화의 기준 패턴을 합성하여, 부모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구연동화로 재편집하는 음성변환수단과;
    인터넷 연결되어, 상기 음성변환수단에서 부모 음성으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상기 영상출력수단과 음성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영상출력수단을 통해서 부모의 영상을 출력할 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동화출력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변환수단에서 재편집된 구연동화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6. 삭제
KR10-2001-0038336A 2001-06-29 2001-06-29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KR10047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336A KR100479414B1 (ko) 2001-06-29 2001-06-29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336A KR100479414B1 (ko) 2001-06-29 2001-06-29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655A KR20030002655A (ko) 2003-01-09
KR100479414B1 true KR100479414B1 (ko) 2005-03-30

Family

ID=2771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336A KR100479414B1 (ko) 2001-06-29 2001-06-29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906A (ko) * 2005-10-13 2007-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연 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8687B1 (ko) 2018-12-21 2020-10-21 최광복 독자 중심 도서 콘텐츠 제작 및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독자 중심 도서 콘텐츠 제작 및 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756A (ko) * 2000-03-28 2000-07-05 백종관 유명인사의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포털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10025770A (ko) * 1999-09-01 2001-04-06 배명진 부모의 음색을 고려한 실시간 동화구연시스템
KR20010074279A (ko) * 2001-05-04 2001-08-04 김종원 멀티미디어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KR20010108923A (ko) * 2000-06-01 2001-12-08 신태용 인터넷을 통한 동화 제공방법
KR20020036895A (ko) * 2000-11-11 2002-05-17 전영권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KR20020082328A (ko) * 2001-04-20 2002-10-31 김장휘 네트워크상에서 나만의 동화를 구현시키는 기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70A (ko) * 1999-09-01 2001-04-06 배명진 부모의 음색을 고려한 실시간 동화구연시스템
KR20000036756A (ko) * 2000-03-28 2000-07-05 백종관 유명인사의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포털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10108923A (ko) * 2000-06-01 2001-12-08 신태용 인터넷을 통한 동화 제공방법
KR20020036895A (ko) * 2000-11-11 2002-05-17 전영권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KR20020082328A (ko) * 2001-04-20 2002-10-31 김장휘 네트워크상에서 나만의 동화를 구현시키는 기술
KR20010074279A (ko) * 2001-05-04 2001-08-04 김종원 멀티미디어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655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1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captioning for AV signals
CN101534407B (zh) 信息记录装置
JP2002202941A (ja) マルチメディア電子学習システムおよび学習方法
JP2003345379A6 (ja) 音声映像変換装置及び方法、音声映像変換プログラム
JP2006301223A (ja) 音声認識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2003307997A (ja) 語学教育システム、音声データ処理装置、音声データ処理方法、音声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4794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구연동화장치
KR20020018907A (ko) 실시간 강의 기록 장치 및 그에 따른 파일 기록방법
JPH1141538A (ja) 音声認識文字表示装置
JP2000206987A (ja) 音声認識装置
KR20010000337A (ko) 방송문안 자동편집 송출방법 및 장치
CN111445742B (zh) 一种基于远程教育系统的声乐教学系统
JP2013097240A (ja) 聴覚障がい者支援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0212570B1 (ko) 디브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JP2006163269A (ja) 語学学習装置
KR102525104B1 (ko) 학습 영상을 이용한 유아용 영어 학습 방법
KR102463283B1 (ko) 청각 장애인 및 비장애인 겸용 영상 콘텐츠 자동 번역 시스템
JP7051987B2 (ja) 出力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3148516B2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及びその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を備えてなる映像信号再生装置
KR20180077668A (ko) 목소리가 변경되는 이야기 들려주기 시스템 및 방법
JP2006074514A (ja) 映像編集装置、映像再生装置、ファイルデータベース、ファイル配信サーバ、映像編集方法、映像編集プログラム、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16509A (ko) 멀티미디어 전자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H0388592A (ja) テレビ電話装置
JPH04261234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に識別信号を挿入する方法及び装置
JPH02242325A (ja) 計算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