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408B1 -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408B1
KR100479408B1 KR10-2002-0076451A KR20020076451A KR100479408B1 KR 100479408 B1 KR100479408 B1 KR 100479408B1 KR 20020076451 A KR20020076451 A KR 20020076451A KR 100479408 B1 KR100479408 B1 KR 10047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device
main body
hi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651A (ko
Inventor
다끼구찌오사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외부 저장 매체에 입력된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매체 재생 유닛과,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유닛이 내장되는 주 본체와,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하도록 주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주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FOLD-DOW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유닛을 갖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가 장착되고 이동중에 매체 정보의 재생이 가능한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참조로 합체되는 2001년 12월 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1-370474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종래에는,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드라이브 또는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only memory) 드라이브와 같은 매체 재생 유닛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CD-ROM 또는 DVD-ROM은 데이터가 입력될 때 측면에서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직립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면서 조작자가 이러한 측면에 배열된 키보드를 조작한다.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내용은 이러한 상태로 보여진다.
도11 및 도12는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립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2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첩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는 CD-ROM 재생 기구가 내장된 주 본체(31)와, CD-ROM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2)와, 디스플레이 장치(32)와 주 본체(31)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힌지부(33)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2)는 디스플레이 장치(32)가 직립할 때 내용이 디스플레이 스크린(37) 상에 표시될 수 있는 방식으로 내측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7)이 제공된다. 주 본체(31)는 주 본체(31)의 중심 위치에 배열된 (도시되지 않은) CD-ROM 재생 기구와, 주 본체(31)의 측면에 배열되어 CD-ROM 재생 유닛 내로 (도시되지 않은) CD-ROM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CD-ROM 재생 유닛 개구(36)와, CD-ROM 재생 유닛으로부터 CD-ROM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 버튼(43)과, (도시되지 않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버튼(42), 디스플레이 장치(32)를 직립시키기 위한 패널 개방 버튼(44), 입력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키보드(45) 및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경우에 주 본체(31)와 (도시되지 않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접속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 연결 구멍(38)을 구비한다. 힌지부(33)는 디스플레이 장치(32)의 양 측에 배열되고, 원통형 형상으로 제조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될 때, CD-ROM이 주 본체(31)의 측면에 배열된 CD-ROM 재생 유닛 개구(36) 내로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장치(31)가 힌지 기구의 사용에 의해 직립하고 앞쪽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7)을 보면서 이러한 측면에서 주 본체(31) 내에 배열된 키보드(45)가 조작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32)가 절첩 폐쇄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37)은 내측에 위치되어, 외측에서 보이지 않고, 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32)와 주 본체(31)를 연결하는 힌지부(33)는 정보 처리 장치의 외측에 노출된다. 또한, CD-ROM 재생 유닛에 부가하여 2차 전지 등이 주 본체(31) 내에 내장되기 때문에, 주 본체(31)는 디스플레이 장치(32)보다 두꺼워진다. 게다가, 세트 나사(46)가 상부 표면 또는 본체의 측면과 같은 외측으로부터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32)가 절첩 폐쇄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32)와 주 본체(31)의 각 부품 고정용 세트 나사(46)와 힌지부(33) 등이 노출되고, 정보 처리 장치는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는 첫 번째 문제점을 갖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2)가 절첩 폐쇄될 때, 각 부품 고정용의 세트 나사(46)가 노출되고 힌지부(33)가 노출되어, 정보 처리 장치는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고 외관이 운반하는데 좋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CD-ROM 재생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CD-ROM 재생 유닛 개구와 방출 버튼(43)을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고 (도시되지 않은) 이동형 전화기가 사용될 때 휴대용 무선 전화기 연결 구멍(38)을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즉 정보 처리 장치가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제조되는 것이 필수적기 때문에, 두 번째 문제점은 디스플레이 장치(32)를 직립하고 폐쇄하는 두 경우 모두 우측 또는 좌측에서 및 상부측 또는 바닥부측에서 불균형을 이룬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가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32)는 직립하고, (도시되지 않은) CD-ROM이 CD-ROM 재생 유닛 개구(36) 내로 삽입되고,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연결 구멍(38)에 접속되고, 외부의 소정의 위치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놓아두거나 또는 통화중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파지한 채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운 세 번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 본체(31)가 디스플레이 장치(32)보다 두껍기 때문에, 네 번째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 또는 구매자가 모든 종류의 정보 처리 장치가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37)이 내측에 배열되기 때문에, 이동 중에 화상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힌지부(33)가 디스플레이 장치(32)용 회로와 주 본체(31)용 회로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포함하고 회전 구조로 제조되기 때문에, 힌지부(33)는 충격에 약하고, 특히 힌지부(33)는 정보 처리 장치의 외측에 배열되기 때문에, 힌지부(33)는 운반 또는 낙하시에 충격받기 쉽다. 따라서, 힌지부(33)가 노출될 때, 충격받을 시에 힌지부(33)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다섯번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측과 바닥부측이 대칭이고 외측에서 세트 나사와 힌지부가 안보이는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또는 낙하시에 외력에 저항할 수 있고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주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수도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되면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덮여짐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부를 거의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라서,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주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되면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덮여짐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부를 거의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 중에서, 바람직한 제1 모드는 사용자가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배열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2 모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에 배열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3 모드는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설정 나사가 정보 처리 장치의 내측에서부터 고정되어 정보 처리 장치의 외측으로부터 설정 나사를 숨기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4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본체는 유사한 두께를 갖고 상하 대칭인 구조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5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에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6 모드는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가 통신 장치인 것이다.
바람직한 제7 모드는 통신 장치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인 것이다.
바람직한 제8 모드는 본체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이 제공되고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9 모드는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이 본체의 주연부에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0 모드는 보유 유닛이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연결 코드를 보유하기 위한 홈 및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를 보유하기 위한 홈을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1 모드는 보호 시트가 매체 재생 유닛을 보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매체 재생 유닛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2 모드는 보호 시트가 매체 재생 유닛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품 또는 장치와 매체 재생 유닛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3 모드는 보호 시트가 힌지부 주위에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4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체에 대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위 여백에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5 모드는 주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향하여 본체의 주위 여백에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6 모드는 상기 힌지부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편평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편평 케이블을 삽입하고 보유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춘 배럴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7 모드는 힌지부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배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배선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원통형 힌지를 연결하기 위한 C형 링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8 모드는 C형 링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19 모드는 C형 링이 상기 본체용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힌지를 견고하게 속박하고 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힌지의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20 모드는 매체 재생 유닛이 메모리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 또는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21 모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터치 패널형인 것이다.
바람직한 제22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작동 버튼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제23 모드는 작동 버튼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패널 개방 버튼 또는 전원을 위한 전원 버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제24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확성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본체가 힌지부에 의해 내측에서 연결되고,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첩되어 폐쇄된 때 외측에 제공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부분이 주연부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통신 장치가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통신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휴대될 수 있다.
또한, LCD용으로 사용된 가요성 편평 케이블이 이동될 때 힌지부가 가요성 편평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통과 구멍 및 배럴을 포함하는 힌지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내측에 배열될 수 있다. LCD를 제외한 부분을 위해 사용된 배선이 이동될 때 힌지 기구는 C형 링으로 만들어지고 배선이 C형 링 내부로 안내됨으로써 힌지부는 내측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힌지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조 중에 먼저 외부 몸체가 놓여지고, 회로 및 장치가 배열된 후 내부 몸체가 위치되어 나사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방된 동안 나사가 상부측으로부터 설치된다. 따라서 폐쇄된 때 나사가 보이지 않고, 외관 설계의 융통성이 개선되고 사용자에게 좋은 디자인과 효과적인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가 개방된 동안 제조되어 조립되고, 나사가 일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나사를 제조자를 향해 설정하기 위해 표면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이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가 혼란 없이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함께 휴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중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등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디자인 뿐만 아니라 효용성, 내구성 및 생산성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 장점 및 특징이 첨부된 도면과 연결하여 행해진 후속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고의 모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는 정보 처리 장치(1)의 주요부가 되는 주 본체(11)와, 매체 정보가 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와, 힌지 기구를 사용하여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연결시키는 힌지부(13)를 구비한다. 주 본체(11)는 매체 재생 유닛으로써 기능을 하는 내장식 CD-ROM 재생 유닛(16)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스크린 상에서 CD-ROM 재생 유닛(16)에 의해 재생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과,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두 개의 코너에서 정렬된 두 개의 확성기(12a, 12b)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다른 두 개의 코너에서 배치된 전원 버튼(12c) 및 패널 개방 버튼(12d)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7)는 상기 내용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접촉식 패널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두 개의 확성기(12a, 12b)는 각각 고음 확성기 및 저음 확성기이다. 전원 버튼(12c)은 전원(도시 생략)을 온(ON)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패널 개방 버튼(12d)은 주 본체(11)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직립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우선 전원은 전원 버튼(12c)에 의해 온으로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2)는 패널 개방 버튼(12d)에 의해 직립되어 개방되고, CD-ROM(도시 생략)은 CD-ROM 재생 유닛(16) 상에 놓이고, 내용은 이러한 상태 또는 주 본체(11) 및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서로 절첩되어 폐쇄되는 상태에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힌지부(13)는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주 본체(11)에서 각각의 부분을 세팅하기 위한 세트 나사(15)와, 디스플레이 장치(12)에서 각각의 부분을 세팅하는 세트 나사(14)는 힌지부(13)와 유사하게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에 나사결합된다.
이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각각의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2는 정보 처리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주 본체(11)에서, CD-ROM 재생 유닛(16)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하여 개방될 때, 좌우대칭이 유지되도록 중심부에 위치되고, 전원(도시 생략) 및 메모리 장치(도시 생략)는 내장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것처럼, 주요부(11)의 각각의 부분을 고정시키는 세트 나사(15)가 내부로부터 고정되기 때문에, 세트 나사(15)의 헤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할 때 보인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2)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외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내부로부터 보여질 수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고정부용 세트 나사(14)가 주 본체(11)와 유사하게 내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세트 나사(14)의 헤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하여 개방될 때 노출된다. 그러나, 고무 등으로 제조된 가요성 캡은 상기 헤드를 가리기 위해 헤드 및 세트 나사(14)의 구멍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는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부(13)는 양호한 외관을 갖도록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들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부(13)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FFC; 31)(도3)이 통과하는 편평한 홈 형태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가요성 편평 케이블(13)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개폐될 때 힌지부(13)에서 절곡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2)를 개폐하는 경우에 방해되지 않는다.
이후,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가요성 편평 케이블을 사용할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13)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정보 처리 장치(1)에서, 가요성 편평 케이블(FFC; 31)이 사용되고, 힌지부(13)의 힌지 기구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13)을 리드(lead)하기 위해 배럴(13b)에 형성된 관통 구멍(13a)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배럴(13b)을 구비한다. 배럴(13b)은 원통형이고, 배럴(13b)의 중심부에서 관통 구멍(13a)을 갖는다. 관통 구멍(13a)은 관통 구멍의 편평한 홈형태가 원통형상에서 배럴(13b)의 측면으로부터 그 대향측을 통과하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31)보다 약간 넓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 구멍(13a)은 원통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원통형상의 일측면에 달성되고 바닥부에서 개방된다.
도4a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의 도3의 측단면도이고, 도4b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하여 개방될 때의 도3의 측단면도이다.
도4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1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 홈 관통 구멍(13a)은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의 표면들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고, 가요성 편평 케이블(31)은 주 본체(11)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프레임의 각각의 표면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할 때, 홈 관통 구멍(13a)은 배럴(13b)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홈관통 구멍(13a)은 경사진다. 따라서, 가요성 편평 케이블(31)은 주 본체(11)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2)까지 부드럽게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굽힘 강도가 약하지만 비용이 저렴한 가요성 편평 케이블(31)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요성 편평 케이블(31)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배선 케이블이 편평하게 배치된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를 사용할 수 있다.
도5는 (배선 케이블이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13)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전단면도이고, 도6은 도5의 측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부(13)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31)을 사용하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배선용 일반적인 배선 케이블(32)을 사용하여, 힌지부(13)는 금속 C형 링(13c)을 구비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부(13)는 배선 케이블(32)을 리딩하기 위한 한 쌍의 원통형 힌지를 연결시키고 이러한 한 쌍의 원통형 힌지용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C형 링(13c)을 가압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힌지 기구처럼 작동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2)용 힌지 및 주 본체(11)용 힌지는 C형 링(13c)에 의해 클림핑(climp)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2)용 힌지와 주 본체(11)용 힌지는 메쉬의 이중 스테이지식의 구조를 갖고, C형 링(13c)은 디스플레이 장치(12)용 힌지와 주 본체(11)용 힌지들 중 어느 하나에 메쉬의 이중 스테이지식으로 고정된다. 플라스틱은 너무 약하고 작은 직경을 충분하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C형 링(13c)의 재료는 금속이다. 제1 실시예에서, 두께가 0.5 ㎜인 SUS(특정 용도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용 힌지와 주 본체(11)용 힌지는 단순히 적층되거나 조글(joggle)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들 사이의 갭에는 아무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좌우 대칭이고 상하 대칭이고 매우 간단하며 양호한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세트 나사(14, 15)가 내부로부터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 세트 나사(14, 15)는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고, 힌지부(13)는 내부로부터 고정되기 때문에, 힌지부(13)는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양호한 외관을 갖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는 힌지부(13)에 의해 내부에 연결되고,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 외측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내부는 주연부보다 하강되어 오목해진다. 따라서,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필요한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a)가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a)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a)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2)가 부착가능한 점에서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부착하고 저장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두께가 대략 주 본체(11a)의 두께와 유사하므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또한, 주 본체(11a)의 측면에는 주 본체(11a)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2)용 연결 코드(23)를 안내하기 위한 연결 구멍(18)이 제공된다. 다른 구조물들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정보 처리 장치(1a)에는 주 부품인 주 본체(11a), 내용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힌지 기구를 이용하여 주 본체(11a)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연결하는 힌지부(13)가 제공된다. 주 본체(11a)에는 내장된 매체 재생 유닛인 CD-ROM 재생 유닛(16)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스크린 상에 CD-ROM 재생 유닛(16)에 의해 재생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두 코너에 배열된 두 개의 확성기(12a,12b)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다른 두 코너에 배열된 전원 버튼(12c) 및 패널 개방 버튼(12d)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으며 입력 장치의 터치 패널 형태로 제공되는 형태로 외부에 배열된다. 두 개의 확성기(12a,12b)는 각각 고음 확성기 및 저음 확성기이다. 전원 버튼(12c)은 전원(도시되지 않음)을 ON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패널 개방 버튼(12d)은 주 본체(11a)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직립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러한 구조물로, 먼저, 전원은 전원 버튼(12c)에 의해 ON으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2)는 패널 개방 버튼(12d)에 의해 직립되며 CD-ROM(도시않음)은 CD-ROM 재생 유닛(16) 상에 놓이며, 내용은 이 상태 도는 주 본체(11a) 및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덮혀있는 상태로 보여진다. 또한, 힌지부(13)는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로 고정된다. 더욱이, 주 본체(11) 내에 각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5) 및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에 각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4)는 힌지부(13)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로 나사고정된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에 의해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액세스함으로써, 인터넷(도시않음)의 이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매우 유용성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a)의 각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8은 정보 처리 장치(1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본체(21), 안테나(22) 및 연결 코드(23)를 갖는다. 도8에서, 안테나(22) 및 연결 코드(23)는 정보 처리 장치(1a)의 외부에 놓여져 있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의 이용 개시시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손으로 작동된다. 도8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서버와 연결된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될 때, 안테나는 연장되며 연결 코드(23)는 연결 구멍(18)내에 고정되는 동시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2)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밀폐될 때,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동일한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이용한 이후에, 안테나(22)는 CD-ROM 재생 유닛(16) 상에 놓여지며, 디스플레이 장치(2)는 접혀져 밀폐되고 정보 처리 장치(1a)는 이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주 본체(11a)에서, CD-ROM 재생 유닛(16)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될 때 좌측 및 우측을 대칭으로 유지하기 위해 중심부 내에 위치되며, 전원(도시않음) 및 메모리(도시않음)는 내장형이다. 또한, 주 본체(11A)의 각부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5)가 내부에 고정됨으로, 세트 나사(15)의 헤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될 때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외부에 배열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내부로부터 보여질 수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4)가 주 본체(11a)에 유사하게 고정됨으로, 세트 나사(14)의 헤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직립될 때 노출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a)는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8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힌지부(13)는 주 본체(11a)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배열되며, 양호한 외관을 갖도록 내부에 배열된다. 또한, 힌지부(13)는 홈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요성을 갖는 편평한 케이블(FFC,도시 않음)이 통과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개폐될 때 가요성을 갖는 편평한 케이블이 힌지부(13)에서 굽어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개폐가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a)는 좌우 대칭이며 상하 대칭이며, 매우 간단하며, 우수한 설계를 갖는다. 또한 세트 나사(14) 및 세트 나사(15)가 내부로부터 나사고정됨으로, 세트 나사(14) 및 세트 나사(15)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닫힐 때 외부에 나타나지 않으며, 힌지부(13)가 내부로부터 고정됨으로, 힌지부(13)는 외부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a)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밀폐될 때 외부로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내부는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의 이동식 셀방식의 전화(2)를 놓아 두기 위해 오목한 외주보다 낮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닫힐 때 이동하는 중에 매체 정보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b)는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b)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b)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2)가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두께는 주 본체(11a)의 두께와 대략 유사하며,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서, 주 본체(11b)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단단하게 밀폐되는 중에 이용될 수 있도록 주변부(주위 가장자리) 내에 프레임(19)이 제공된다. 더욱이, 프레임(19)의 상부면 내의 소정의 위치에, 안테나(22)용 안테나 홈(19b)과 연결 코드(23)용 코드 홈(19a)이 배열되어, 그로 인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단단하게 저장시킨다. 또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주 본체(11b)의 측면에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2)용 연결 코드(23)를 주 본체(11b)로 안내하기 위해 연결 구멍(18)이 제공된다. 다른 구조물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정보 처리 장치(1b)에는 주 부품인 주 본체(11b), 내용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힌지 기구를 이용하여 주 본체(11b)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연결하는 힌지부(13)가 제공된다. 주 본체(11a)에는 내장된 매체 재생 유닛인 CD-ROM 재생 유닛(16)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스크린 상에 CD-ROM 재생 유닛(16)에 의해 재생된 내용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두 코너에 배열된 두 개의 확성기(12a,12b)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다른 두 코너에 배열된 전원 버튼(12c) 및 패널 개방 버튼(12d)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내용물이 외부로부터 보여질 수 있으며 터치 패널 입력 인터페이스인 방식으로 외부에 배열된다. 두 개의 확성기(12a,12b)는 각각 고음 확성기 및 저음 확성기이다. 전원 버튼(12c)은 전원(도시되지 않음)을 ON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패널 개방 버튼(12d)은 주 본체(11a)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직립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러한 구조물로, 먼저, 전원은 전원 버튼(12c)에 의해 ON으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2)는 패널 개방 버튼(12d)에 의해 직립되며 CD-ROM(도시않음)은 CD-ROM 재생 유닛(16) 상에 놓이며, 내용물은 주 본체(11a) 및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접혀져 덮혀있는 상태로 보여진다. 또한, 힌지부(13)는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로 고정된다. 더욱이, 주 본체(11) 내에 각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5) 및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에 각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4)는 힌지부(13)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내부로 나사고정된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에 의해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액세스함으로써, 인터넷(도시않음)의 이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매우 유용성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b)의 각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10은 정보 처리 장치(1b)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본체(21), 안테나(22) 및 연결 코드(23)를 가진다. 도10에서, 안테나(22) 및 연결 코드(23)는 정보 처리 장치(1b)의 외부에 있다. 안테나(22)는 프레임(19) 내의 안테나 홈(19b) 내에 저장되고 연결 코드(23)는 코드 홈(19a) 내에 저장된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사용하는 시작 시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손으로써 작동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와 연결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세워져 있을 때,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안테나(22)가 연장되고 연결 코드(23)가 연결 구멍(18) 내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되어 있을 때,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사용한 후에, 안테나(22)가 CD 롬 재생 유닛(16) 상에 놓여지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는 절첩되어 폐쇄되고 정보 처리 장치(1b)는 상기 조건 하에 있게 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본체(11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세워져 있을 때 좌우 대칭을 유지하도록 CD 롬 재생 유닛(16)은 중앙부에 위치되고, 전원(도시 안됨) 및 메모리(도시 안됨)는 내장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주 본체(11a)의 각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5)가 내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세트 나사(15)의 헤드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세워져 있을 때 볼 수 있다. 또한, 주 본체(11b)의 주연부 내에 프레임(19)이 제공되고 프레임(19)의 소정 위치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2)의 안테나를 유도하기 위한 안테나 홈(19b)과 연결 코드(23)를 유도하기 위한 연결 구멍(18)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외측에 배열되고,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세워져 있을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내측으로부터는 보일 수가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나사(14)가 유사하게 내측에서 주 본체(11a)로 고정되기 때문에, 세트 나사(14)의 헤드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세워져 있을 때 노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b)는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는 주 본체(11b)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배열되고, 좋은 외관을 가지도록 내측에 배열된다. 또한, 힌지부(13)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FFC)(도시 안됨)이 통과해 지나가는 홈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 가요성 편평 케이블이 힌지부(13) 내로 절곡되거나 이동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2)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것이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이며, 매우 단순하고 좋은 의장을 가진다. 또한, 세트 나사(14) 및 세트 나사(15)가 내측으로부터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 세트 나사(14) 및 세트 나사(15)는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고, 힌지부(13)가 내측으로부터 고정되기 때문에, 힌지부(13)는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좋은 외관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1b)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주 본체(11b)는 힌지부(13)에 의해 내측에서 연결되고,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7)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절첩되어 폐쇄될 때, 외측으로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내부 부분은 주연부보다 낮다. 그러므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주 본체(11b)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놓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19)이 주 본체(11b)의 주연부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안테나(22)를 위한 홈과 휴대용 무선 전화기(2)의 연결 코드(23)가 배열될 수 있으며, 휴대용 무선 전화기(2)를 기밀하게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신뢰성을 가지며 이동 중에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1b)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예컨대, 전술된 실시예에서, 주 본체(11) 및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장방형상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상의 4 개의 모퉁이부가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주 본체(11)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전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 개의 힌지부(13)가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사이에 배열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만약 각 힌지부(13)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조를 가진다면, 1 개의 힌지부 또는 3 개 이상의 힌지부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CD 롬 재생 유닛(16)은 주 본체(11) 내에 내장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CD 롬 기록 유닛 및 CD 롬 재생/기록 유닛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CD 롬 재생 유닛(16)이 내장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CD 롬 드라이브, CD-R 드라이브, CD-RW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및 MO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또는 자기 판독/기록 드라이브와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스틱, SD 카드와 같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전기 판독/ 기록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에는 확성기(12a 및 12b), 전원 버튼(12c) 및 패널 개방 버튼(12d)이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면 다른 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주 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놓여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제품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영어 회화 내용의 매체가 사용될 때, 교재, 공책 및 문구류가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휴대용 무선 전화기(2)가 주 본체(11b)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사이에 놓여질 때, 휴대용 무선 전화기(2)는 프레임을 주 본체(11b)의 주연부(주변 여백) 내에 배열함으로써 저장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CD 롬 재생 유닛(16)을 보호하기 위해 시트가 휴대용 무선 전화기(2)와 CD 롬 재생 유닛(16)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주 본체 대신,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 본체에 대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여백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부측과 바닥부측이 대칭이고 외측에서 세트 나사와 힌지부가 안보이는 우수한 외관을 가지며, 또한 운반 또는 낙하시에 외력에 저항할 수 있고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가요성 편평 케이블이 사용)의 구조를 도시하는 전방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첩되어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3의 측단면도이고, 도4b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3의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배선 케이블 사용)의 구조를 도시하는 전방 단면도.
도6은 도5의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처리 장치
2 : 휴대용 무선 전화기
11 : 주 본체
12 : 디스플레이 장치
13 : 힌지부
16 : CD-ROM 재생 유닛
17 : 디스플레이 스크린
19 : 프레임
22 : 안테나
32 : 배선 케이블

Claims (52)

  1.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주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되면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덮여짐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부를 거의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한 세트의 나사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상기 나사 세트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는 유사한 두께를 갖고 상부 및 바닥부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사이에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는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주 본체에는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이 제공되고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이 상기 주 본체의 주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유닛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연결 코드를 보유하기 위한 홈 및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를 보유하기 위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주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위 여백에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주 본체의 주위 여백에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편평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평 케이블을 삽입하고 보유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춘 배럴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배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배선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원통형 힌지를 연결하기 위한 C형 링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링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링은 상기 주 본체용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힌지를 긴밀하게 속박하고 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힌지의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재생 유닛은 메모리를 전기적으로 사용하는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 또는 광학 또는 자기적인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패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작동 버튼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패널 개방 버튼 또는 전원을 위한 전원 버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확성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4.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주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접혀져 폐쇄되면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덮여짐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부를 거의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한 세트의 나사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상기 나사 세트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는 유사한 두께를 갖고 상부 및 바닥부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사이에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는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주 본체에는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이 제공되고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이 주 본체의 주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유닛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연결 코드를 보유하기 위한 홈 및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를 보유하기 위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주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위 여백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향하여 상기 주 본체의 주위 여백 내에 프레임형 측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편평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평 케이블을 삽입하고 보유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춘 배럴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배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배선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원통형 힌지를 연결하기 위한 C형 링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링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C형 링은 상기 주 본체용 힌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힌지를 긴밀하게 속박하고 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힌지의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재생 유닛은 메모리를 전기적으로 사용하는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 또는 광학 또는 자기적인 구동 판독 및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패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작동 버튼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패널 개방 버튼 또는 전원을 위한 전원 버튼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연부에 확성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7.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매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내장 매체 재생 유닛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정보 처리 유닛을 갖춘 주 본체와,
    상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재생 유닛에 의해 재생된 상기 매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및 상기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져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 본체 사이에 소정의 제품 또는 장치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한 세트의 나사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상기 나사 세트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49. 삭제
  50. 삭제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편평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평 케이블을 삽입하고 보유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춘 배럴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배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배선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원통형 힌지를 연결하기 위한 C형 링을 사용하는, 힌지 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KR10-2002-0076451A 2001-12-04 2002-12-04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KR10047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0474A JP2003167645A (ja) 2001-12-04 2001-12-04 情報処理装置
JPJP-P-2001-00370474 2001-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51A KR20030045651A (ko) 2003-06-11
KR100479408B1 true KR100479408B1 (ko) 2005-03-31

Family

ID=1917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451A KR100479408B1 (ko) 2001-12-04 2002-12-04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167645A (ko)
KR (1) KR100479408B1 (ko)
CN (2) CN1252566C (ko)
TW (1) TW580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8628B2 (ja) 2005-01-06 2010-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JP4651699B2 (ja) * 2008-07-14 2011-03-1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5955489B1 (ja) * 2015-11-26 2016-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090A (en) * 1989-11-13 1991-05-28 Intelligence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movably connecting a cellular portable telephone to a computer
KR950029997U (ko) * 1994-04-12 1995-11-20 최용진 자동차 견인용 보조휘일
JPH10288952A (ja) * 1997-11-10 1998-10-27 Kujirada Masanobu 表示装置
KR19980076275A (ko) * 1997-04-09 1998-11-16 방재경 접철식 컴퓨터
KR19990032536A (ko) * 1997-10-18 1999-05-15 정몽규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구조
US5966285A (en) * 1997-06-06 1999-10-1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bile portable computer docking/office station
KR20000037753A (ko) * 1998-12-02 2000-07-05 구자홍 휴대용 정보기기의 힌지장치
KR20000015300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미니 컴퓨터
KR20030044702A (ko) * 2001-11-30 2003-06-09 (주)케이디피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090A (en) * 1989-11-13 1991-05-28 Intelligence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movably connecting a cellular portable telephone to a computer
KR950029997U (ko) * 1994-04-12 1995-11-20 최용진 자동차 견인용 보조휘일
KR19980076275A (ko) * 1997-04-09 1998-11-16 방재경 접철식 컴퓨터
US5966285A (en) * 1997-06-06 1999-10-1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bile portable computer docking/office station
KR19990032536A (ko) * 1997-10-18 1999-05-15 정몽규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구조
JPH10288952A (ja) * 1997-11-10 1998-10-27 Kujirada Masanobu 表示装置
KR20000037753A (ko) * 1998-12-02 2000-07-05 구자홍 휴대용 정보기기의 힌지장치
KR20000015300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미니 컴퓨터
KR20030044702A (ko) * 2001-11-30 2003-06-09 (주)케이디피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51A (ko) 2003-06-11
CN1424640A (zh) 2003-06-18
TW580635B (en) 2004-03-21
JP2003167645A (ja) 2003-06-13
CN1252566C (zh) 2006-04-19
TW200300897A (en) 2003-06-16
CN1746811A (zh)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050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플렉셔 조립체
US20070004475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274561B2 (en) Electronic device
US7453689B2 (en) Portable computer
US20140125553A1 (en) Multi display device with panel housings
WO2018055679A1 (ja)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1011556A (es) Dispositivo combinado de asistente digital personal/telefono.
KR19990030870A (ko) 책형태의 정보단말기
KR1004564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79408B1 (ko)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JP3519988B2 (ja) 電池絶縁・表示面保護用シートおよび電池絶縁・表示面保護用シート付き携帯情報端末
US9191488B2 (en) Interactive electronic device packaging assemblies, methods, and systems
US7643288B2 (en) Foldable computer with partially visible display when closed
US6347232B1 (en) Message storage system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JP2006338459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8182417A (ja) 電子機器
JP2005275964A (ja) 電子機器
JP507343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338638B1 (ko)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
JP3788838B2 (ja)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2010258818A (ja) 携帯電子機器
KR100492001B1 (ko) 회전식 보조액정표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230378Y1 (ko) 이동통신기기의 이중덮개
JP200211123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220001572A (ko) 휴대용 화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