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690B1 -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690B1
KR100478690B1 KR10-2002-0064700A KR20020064700A KR100478690B1 KR 100478690 B1 KR100478690 B1 KR 100478690B1 KR 20020064700 A KR20020064700 A KR 20020064700A KR 100478690 B1 KR100478690 B1 KR 10047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onverter
short
inductor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526A (ko
Inventor
노의철
김인동
김흥근
전태원
Original Assignee
김흥근
노의철
김인동
전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근, 노의철, 김인동, 전태원 filed Critical 김흥근
Priority to KR10-2002-006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6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bstract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PWM 컨버터에 있어서, 다상(多相) 입력선 각각에 직렬로 설치된 전원선 스위치군, 상기 컨버터의 양(+)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한 쌍의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와 저항기, 상기 스위치와 상기 인덕터의 연결점에 한 쌍의 직렬연결된 스위치와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이와 동일한 쌍이 반복되어 컨버터의 음(-)의 출력단까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여, 부하 단락 사고 발생시 신속히 직류 출력전원을 차단하여 과다한 단락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컨버터와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이고,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었을 경우에도 신속히 직류전원을 부하에 공급하여 최단시간 내에 정상상태로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 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Load Short-circuit of a High Voltage Multi-level Converter}
본 발명은 멀티레벨 컨버터의 부하 단락 전류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원과 같이 내부에서 스파크로 인한 아크가 빈번히 발생하는 부하에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장치에 있어서 스파크다운(Spark down)에 의한 부하 단락시 단락 전류의 크기를 일반적인 전원장치에 비해 수십 내지 수백분의 일 정도로 제한하고 단락된 부하로부터 전원을 신속히 차단하여 전원장치와 부하를 단락 전류로부터 아무런 손상없이 보호할 뿐 아니라,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면 신속히 직류전원을 재인가하여 정상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원과 같은 특수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직류 전력변환기는 정밀한 출력전압 안정화 제어 성능 뿐 아니라 부하 단락 사고시의 뛰어난 보호기능이 요구된다. 이온원 내부에서의 빈번한 부하 단락 발생시 전원을 부하로부터 신속히 차단하여 단락 전류의 상승을 억제하고 소멸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원 차단 후 중요한 것은, 이온원 내부에서 단락요인이 사라지고 난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전원을 다시 인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의 전체 운전시간을 가능한 한 길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초창기에는 진공관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 GTO 사이리스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의 진공관을 GTO 사이리스터로 교체한 방식이 연구되었다. GTO 사이리스터는 고속의 온/오프 특성 뿐 아니라 진공관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낮은 손실특성 및 반영구적 수명으로 인하여 기존 방식보다 향상된 성능 확보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수십 kV 이상의 고전압에 적용을 하기 위해서는 GTO 사이리스터의 전압 정격의 한계로 인하여 여러 개의 GTO 사이리스터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GTO 사이리스터들로 구성되는 스택의 크기와 중량이 증가할 뿐 아니라 여러 개의 GTO 사이리스터를 동시에 온/오프 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인버터 방식이 연구, 개발되었다. 인버터 방식은 기본적으로 정류기, 인버터, 승압 변압기, 다이오드 전파 정류기로 구성된다. 이 방식에서의 출력 직류 전원의 차단 기능은 인버터가 담당한다. 그런데 인버터 방식의 단점으로는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승압용 변압기를 별도로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최근에 고전압 대용량 시스템에 적용할 목적으로 멀티레벨 컨버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멀티레벨 컨버터 개념을 활용하여 직류전원의 신속한 차단 및 재투입 기능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변환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 방식 중 하나는 부하 단락시 정격의 수배에 달하는 큰 교류입력 전류가 반주기동안 통전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른 하나는 부하 단락시 직류전원은 차단되어도 직류측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가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는 전류가 계속해서 부하를 통해 흐른다는 단점을 역시 갖고 있다.
상기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멀티레벨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원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부하 단락사고 발생시 교류입력전류의 증가가 없도록 하고, 직류 출력전원을 차단하였을 경우 동시에 부하전류가 영(Zero)으로 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직류 전원장치용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PWM (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폭변조) 컨버터에 있어서, 다상(多相) 입력선 각각에 직렬로 설치된 전원선 스위치군, 상기 컨버터의 양(+)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한 쌍의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와 저항기, 상기 스위치와 상기 인덕터의 연결점에 한 쌍의 직렬연결된 스위치와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이와 동일한 쌍이 반복되어 컨버터의 음(-)의 출력단까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여, 부하 단락 사고 발생시 신속히 직류 출력전원을 차단하여 과다한 단락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컨버터와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이고,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었을 경우에도 신속히 직류전원을 부하에 공급하여 최단시간 내에 정상상태로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를 제공한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 전류를 최소화하고 상기 부하가 단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회복시 신속히 직류전원을 재인가 하는 PWM 컨버터에 있어서, 부하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이용하여 단락 전류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상기 단락 전류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PWM 컨버터를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며,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통하여 방전시켜 상기 인덕터 에너지가 부하로 유입되는 양이 영(Zero)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의 출력 단락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벨 컨버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회로 구성은 종래의 멀티레벨 컨버터와 유사하며 단지, 몇 개의 보조 스위치가 추가되어 있는 형태이다. 스위치 Sa, Sb, Sc가 교류 입력부의 각 상에 삽입되어 있고, 스위치 Sdc가 컨버터의 양(+)의 출력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기존의 멀티레벨 컨버터의 출력단 필터 커패시터 C1-Cn에는 각각 스위치(So1-Son)가 하나씩 직렬로 삽입되어 커패시터와 스위치의 직렬 연결된 쌍으로 대체되어 있으며, 단락시 부하 단락 전류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는 인덕터(L)에는 병렬로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 D와 저항 Rdc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스위치들은 정상동작에서는 모두 온(on) 상태를 유지하며 부하 단락사고 발생시에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들 추가된 보조 스위치들의 스위칭 손실은 멀티레벨 컨버터의 주스위치(S1-S(n-1))들에 비해 극히 낮다.
보조 스위치 Sa, Sb, Sc 및 Sdc의 개수는 컨버터의 레벨수(Level Number)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보조 스위치 Sa, Sb, Sc 각각은 역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SCR 싸이리스터로 구성되며, AC 싸이리스터 제어기가 아닌 단순한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스위치 So1 - Son은 부하의 단락 구간 동안에 출력 커패시터 C1 - Cn 이 방전되는 것을 막아준다. 단락 사고가 소멸된 이후에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어 출력 커패시터의 전압을 부하에 재인가할 경우에 가능한 한 부하전압이 정격전압으로 신속히 상승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커패시터가 방전되지 않은 플로팅(Floating)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상기 설명한 회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락 전류에 따른 부하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모든 보조 스위치 Sa, Sb, Sc, Sdc 및 So1 - Son는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PWM 신호에 따라 S1-S(n-1) 주스위치가 턴-온/오프 동작을 반복하고 있는 동안에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모드에서는, 본 발명의 컨버터와 종래의 멀티레벨 컨버터의 동작 상태는 동일하다.
도 2는 멀티레벨 컨버터 출력의 단락 사고 발생시 및 정상상태 회복시 전후로 변하는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시 구간에서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 부하 전압 및 출력 직류전류의 파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1) t0 ≤ t < t1
이 모드 동안에는, 출력 캐패시터 전압 Vc는 인덕터 L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출력전류 io는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V_C : 출력필터 커패시터 C1-Cn에 걸리는 전압의 합
이 때까지는 모든 스위칭 소자는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2) t1 ≤ t < t2
시간 t1에, DC 전류 io는 기 셋업된 출력 단락 전류 검출 레벨 ios에 도달하고, 그러면 출력 단락 신호 OS는 하이(High) 상태가 된다. OS 신호가 하이 상태로 되자마자, 싸이리스터 Sa, Sb 및 Sc에 대한 게이트 신호가 턴-오프되고 멀티레벨 컨버터의 전력흐름 방향이 반전되도록 제어한다. 달리 말하면, 컨버터의 동작 모드가 회생 모드(Regeneration Mode)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교류입력 선전류를 가능한 한 빨리 영(Zero)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생 모드에서의 교류입력 선전류 ia, ib 및 ic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감소한다.
i_a{(t)} = -(i_b{(t)}+i_c{(t))}~~~~~~~~~~~~
또한 부하전류는 [수학식 5]처럼 계속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모드는 모든 교류입력전류가 영(Zero)으로 감소할 때까지 지속되며, 전류가 영(Zero)으로 감소하면 보조 스위치 Sdc, So1-Son와 주스위치 S1 -S(n-1) 은 모두 턴오프된다.
3) t2 ≤ t < t3
이 모드에서는, 3상 ac 라인 전류인 ia, ib, ic는 모두 영(Zero)이며 부하전류 io도 영(Zero)이다. 그런데 인덕터 전류는 [수학식 6]처럼 저항 Rdc를 통하여 방전한다.
여기서, τ1=L/Rdc이고 Rdc와 직렬접속된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는 무시한다. 인덕터의 방전이 종료되면 회로상에는 더 이상 전류의 흐름이 없고 모든 출력단 커패시터 전압은 방전되지 않은 채 정격전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4) t3 ≤ t < t4
단락상태는 시간 t4 이전에서 소멸되고, 부하는 정상 상태가 된다. 그러면 멀티레벨 컨버터의 출력직류 전원을 부하에 다시 인가해야 한다.
5) t4 ≤ t < t5
시각 t4에서 모든 보조 스위치 Sa, Sb, Sc, Sdc, So1-Son는 턴온되고 주스위치 S1-S(n-1)는 정상적인 PWM 동작을 개시한다. So1-Son이 턴온되면 커패시터의 직류전압은 다시 부하에 인가되며 인가 후의 출력 직류전류는 다음과 같이 증가한다.
여기서, τ2=L/RL이고 RL은 부하 저항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멀티레벨 컨버터를 테스트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교류입력 선간 전압은 220 V, Ls는 1.6 mH, Rdc는 100 Ω, C는 2200 μF, L은 2 mH, Vo 는 400 V이고 부하 저항은 40Ω이다.
도 3은 부하 단락이 빈번히 발생하도록 세팅하여 두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위칭이 발생하도록 하였을 경우 교류 입력측 각 상전류 ia, ib, ic와 출력 직류전류 io의 파형을 나타낸다. 부하 단락이 매 30 msec마다 발생하도록 하였으며 부하 단락 지속시간은 10 msec로 하였다. 부하 단락시 교류 입력전류의 크기는 증가되는 일이 없이 바로 영(Zero)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부하 단락 부분을 시간축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출력전류 io는 교류측 입력전류 ia, ib, ic가 영(Zero)으로 감소하자마자 바로 영(Zero)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부하에 전원을 재인가하는 부분을 시간축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 So - Son을 턴 온함으로써 출력 커패시터가 부하에 연결되게 되면 부하 전류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증가 시간 간격은 200 ㎲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류 전원장치에 있어서 부하 단락시 단락 전류를 최소화하면서 단락된 부하로부터 전원을 차단하고, 또한 부하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면 신속히 정격전압을 부하에 바로 인가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성과 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는 종래의 진공관 방식에 비해 효율이 매우 높고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고, 종래의 GTO 방식이나 인버터방식의 전원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2) 직류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을 단락된 부하로부터 차단하는 속도는 컨버터와 부하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빠르다.
3) 또한 기존의 멀티레벨 컨버터와는 달리 부하가 단락되어도 컨버터 출력커패시터는 전혀 방전하지 않고 정격 출력전압을 유지할 수 있어서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면 정격전압을 신속히 부하에 재인가할 수 있다.
4) 기존의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방식에 비해 부하 단락시 교류입력전류의 크기가 증가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단락된 부하로부터 전원을 차단시 부하측에 직렬연결된 인덕터의 저장 에너지가 부하로 유입되는 일이 없어서 차단특성이 개선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벨 컨버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부하단락 사고 발생 및 정상 부하로의 회복 전후의 각 스위치 동작상태와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부하단락 사고가 여러 번 발생했을 경우의 교류 입력전류 ia ib, ic와 직류출력전류 io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부하단락 전후를 시간축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된 후 출력전원을 재인가하는 시점을 전후하여 시간축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Claims (7)

  1.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PWM (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폭변조) 컨버터에 있어서, 다상(多相) 입력선 각각에 직렬로 설치된 전원선 스위치군, 상기 컨버터의 양(+)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한 쌍의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와 저항기, 상기 스위치와 상기 인덕터의 연결점에 한 쌍의 직렬연결된 스위치와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이와 동일한 쌍이 반복되어 컨버터의 음(-)의 출력단까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단락 사고가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단락 전류가 일정량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전원선 스위치군을 턴-오프시키고 상기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회생 모드(Regeneration Mode)로 함으로써 AC 라인 전류를 신속히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단락되고, 상기 다상 입력선 선전류가 제로(Zero)가 된 이후에도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은 플로팅(Floating)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정상으로 회복되면,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이 상기 부하에 재인가됨으로써 부하전압이 신속히 정격전압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입력선의 상기 스위치군의 스위치 각각은 2개의 싸이리스터(Thyristor)가 역병렬로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모든 스위치는 IGBT 또는 하나의 온오프제어 가능 소자와 하나의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
  7.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 전류를 최소화하고 상기 부하가 단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회복시 신속히 직류전원을 재인가 하는 PWM 컨버터에 있어서,
    부하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이용하여 단락 전류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상기 단락 전류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PWM 컨버터를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며,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통하여 방전시켜 상기 인덕터 에너지가 부하로 유입되는 양이 영(Zero)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단락 보호 기능을 가진 컨버터의 출력 단락 보호 방법.
KR10-2002-0064700A 2002-10-22 2002-10-22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KR10047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700A KR100478690B1 (ko) 2002-10-22 2002-10-22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700A KR100478690B1 (ko) 2002-10-22 2002-10-22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26A KR20040035526A (ko) 2004-04-29
KR100478690B1 true KR100478690B1 (ko) 2005-03-23

Family

ID=3733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700A KR100478690B1 (ko) 2002-10-22 2002-10-22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416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칭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705B1 (ko) * 2009-10-30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외장필름 부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068A (en) * 1987-04-22 1989-03-20 Hitachi Ltd Current type inverter
KR970024485A (ko) * 1995-10-04 1997-05-30 현동석 멀티레벨(Multi-Level) 전력변환 시스템용 스너버회로
KR970031208A (ko) * 1995-11-23 1997-06-26 바이벨 배아트 컨버터 회로장치(convertor circuit arrangement)
JPH10290572A (ja) * 1997-04-14 1998-10-27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KR20030015589A (ko) * 2001-08-16 2003-02-25 노의철 고전압 직류전원의 출력 단락 보호를 위한 고속 출력스위칭 기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068A (en) * 1987-04-22 1989-03-20 Hitachi Ltd Current type inverter
KR970024485A (ko) * 1995-10-04 1997-05-30 현동석 멀티레벨(Multi-Level) 전력변환 시스템용 스너버회로
KR970031208A (ko) * 1995-11-23 1997-06-26 바이벨 배아트 컨버터 회로장치(convertor circuit arrangement)
JPH10290572A (ja) * 1997-04-14 1998-10-27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KR20030015589A (ko) * 2001-08-16 2003-02-25 노의철 고전압 직류전원의 출력 단락 보호를 위한 고속 출력스위칭 기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416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칭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26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513A (en) DC/AC Bridge inverter including a switching aid and inductive energy recovery circuit
US20110222192A1 (en) Magnetic energy regeneration switch provided with protection circuit
EP3285380B1 (en) Voltage balancing of voltage source converters
CN109861528B (zh) 一种dc-dc变换器
CN1106063C (zh) 补偿装置和使用一个补偿装置的输电系统
JPH04359679A (ja) 3レベルインバータ装置
JPH09275674A (ja) 電力変換装置
US5550730A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for system interconnection
CN1056482C (zh) 一种晶闸管变流器的集中关断回路
KR100478690B1 (ko) 멀티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직류 전원장치의 부하단락 보호 기법 및 장치
KR100437505B1 (ko) 고전압 직류전원의 출력 단락 보호를 위한 고속 출력스위칭 기법 및 장치
CN101567553B (zh) 用于保护直流电网不致过电压的电路
US4636932A (en) dv/dt Protection circuit device for an AC-DC converter apparatus
WO1994014230A1 (en) Series resonant converter having a three part resonant inductor
CN111245212A (zh) 一种抑制lcc-hvdc换相失败的晶闸管全桥耗能模块
Nho et al. A new boost type rectifier for a DC power supply with frequent output short circuit
JPS62193595A (ja) 交流電動機の駆動のための同時回生換流型電流源インバ−タ−
EP3893374A1 (en) Power converter systems with integrated energy storage
JPH08154374A (ja) 電力変換装置の保護装置
Nho High-speed output short-circuit protection method for multilevel PWM AC/DC converter
JPH06261402A (ja) 車両用補助電源装置
SU1089736A1 (ru) Трехфаз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еременное (его варианты)
KR820000338B1 (ko) 전류원형 인버터의 일괄 환류회로
Motto et al. Characterization of IGCT under zero-current-transition condition
JP2528811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