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207B1 -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07B1
KR100477207B1 KR10-2001-7015370A KR20017015370A KR100477207B1 KR 100477207 B1 KR100477207 B1 KR 100477207B1 KR 20017015370 A KR20017015370 A KR 20017015370A KR 100477207 B1 KR100477207 B1 KR 10047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information
fuel
construction machine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626A (ko
Inventor
아다치히로유키
히라타도이치
스기야마겐로쿠
와타나베히로시
시바타고이치
고마츠히데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은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기지국에 설치된 수신장치에서 수신하는 시스템으로, 건설기계는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잔량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 그 내용을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송신을 행하는 송신장치를 가진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SYSTEM FOR SUPPLYING FUEL TO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연료를 보급하는 시스템 및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에의 연료보급은 현재 상태에서는 급유차가 2일에 1회 정도 각 작업현장을 순회함으로써 조달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반드시 보급해야 할 타이밍에 급유차가 현장에 있다고는 한하지 않고, 더욱 효율이 좋은 연료보급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 덤프차 등의 차량의 운행상황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4-174387호 공보, 특개평4-17438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으나, 이들 시스템에서는 연료보급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료보급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휴국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제휴국의 처리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유압셔블에 있어서의 다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다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료보급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솔린스탠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솔린스탠드의 다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기계의 연료부족을 기지국에 통지하여 신속한 보급을 가능하게 한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은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잔량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 그것을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송신을 행하는 송신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고, 잔량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 그것을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송신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연료의 감소를 기지국측에서 파악하여 연료보급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기계의 운전자는 특히 연료잔량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연료떨어짐에 의한 작업의 중단이라는 단점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연료잔량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 그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면 기지국 또는 제휴국측에서 연료보급의 순서 등의 조정이 행하여진다.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검지하고, 그 위치정보도 송신하도록 하면 연료보급해야 할 건설기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연료보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기지국이 연료의 보급을 제휴국에 요청하는 기능을 설치하면 연료보급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연료보급시스템은, 건설기계에 설치되어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건설기계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어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연료보급소로부터 가장 적합한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선정장치와, 선정장치가 선정한 연료보급소에 건설기계에의 연료보급을 요청하도록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연료보급소로부터 가장 적합한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신속한 연료보급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보급에 드는 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
가장 적합한 연료보급소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연료잔량이나, 복수의 연료보급소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선정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료보급소의 소재지 정보나 연료단가정보 등에 의거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 1 실시형태 -
도 1 내지 도 4에 의하여 본 발명을 유압셔블의 연료보급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각각의 유압셔블(10)에 탑재된 GPS 제어유닛(11)은 복수의 GPS 위성(21)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각 유압셔블(10)(자기차량)의 위치정보를 연산한다. 이 위치정보는 메인제어유닛(12)에 입력된다. 여기서의 위치정보는 예를 들면 경위도정보이다. 메인제어유닛(12)에는 연료잔량을 검출하는 연료센서(13)의 검출결과가 입력된다. 연료센서(13)는 유압셔블(10)에 종래부터 설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메인제어유닛(12)은 입력된 연료잔량이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12A)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12B)를 가진다. 송신부(12A)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통신위성(22)을 거쳐 소정의 관리서버에 보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서버로서 메일서버(30)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송신정보는 상기한 위치정보나 연료정보 외에 유압셔블(10)의 가동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나 고장정보 등, 각종 정보가 있다.
한편, 유압셔블(10)에 대하여 원격지에 있는 기지국(예를 들면 건설기계회사의 본사 또는 지사)(40)에는 센터서버(41)가 설치된다. 센터서버(41)는 상기 메일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도입하거나, 필요에 따라 제휴국(예를 들면 가솔린스탠드나 서비스공장)(50) 및 사용자(60)의 각 단말기(51, 61)에 메일 등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유압셔블(10)의 메인제어유닛(12)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의 시동에 따라 이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연료센서(13)로부터 연료잔량(V)이 판독되어(단계 S1) 연료잔량(V)이 소정치(V0)와 비교된다(단계 S2). V < V0 이면 연료가 얼마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보급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GPS 제어유닛(11)으로부터 유압셔블(10)의 위치정보가 판독되어(단계 S3), 연료잔량(V)과 위치정보가 송신부(12A)로부터 송신된다(단계 S4). 한편 V ≥V0의 경우에는 연료잔량이 충분하여 보급의 필요는 없다고 판단되어 송신은 행하지 않고 단계(S1)로 되돌아간다.
유압셔블(10)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위성(22)을 거쳐 메일서버(30)에 보내지고, 메일서버(30)로부터 기지국(40)에 정보가 전송되어 온다.
도 3은 기지국(40)의 센터서버(41)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1)에서 정보착신의 유무가 판정되어, 착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12). 그리고 판독된 연료잔량(V) 및 위치정보가 제휴국(50)에 전자메일 등으로 송신됨으로써 유압셔블(10)에 대한 연료보급이 요청된다(단계 S13).
도 4는 제휴국(50)의 단말기(51)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S21)에서 연료보급의 요청이 있는 경우[기지국(40)으로부터의 전자메일이 착신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판독되고(단계 S22), 얻어진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연료보급해야 할 유압셔블(10)의 위치가 확인된다. 다음에 자사의 관리데이터 등으로부터 그 유압셔블(10)의 부근에 있는 탱크로리가 산출됨과 동시에 운전자가 선택되어 (단계 S24), 그 운전자에게 탱크로리를 현지로 돌리도록 지시가 나간다(단계 S 25).
또 연료보급해야 할 유압셔블(10)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로리의 순회순서가 설정되고(단계 S31), 그 순서에 의해 각 현장을 돌도록 지시가 나간다(단계 S32). 순회순서는 예를 들면 어느 경로로 돌면 가장 효율좋게 각 셔블에 연료보급을 행할 수 있을지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좋다. 또는 연료잔량(V)이 적은 순으로 돌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각의 유압셔블(10)의 연료잔량(V)이 소정량(V0)을 밑돌면 자동적으로 그와 같은 취지의 정보가 송신되고, 이것을 수신한 기지국 (40)으로부터 제휴국(50)에 연료보급의 요청이 나가서 제휴국(50)에 의해 실제로 연료보급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유압셔블(10)의 운전자는 연료잔량에 특히 신경쓰는 일 없이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연료떨어짐에 의해 작업이 중단된다는 불편도 없다.
이상에서는 유압셔블(10)측에서 연료잔량이 소정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였으나, 이 판정을 기지국(40)측에서 행하도록 한 예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도 2, 도 3과 동일한 단계에는 동일한 단계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유압셔블(10)의 메인제어유닛(12)은 연료잔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연료잔량(V) 및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도 7에 있어서 기지국(40)의 센터서버(41)는 상기한 단계(S12)의 처리 다음에 연료잔량(V)을 소정치(V0)와 비교하고 (단계 S12-1), V < V0 이면 연료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보급의 필요가 있다라고 판단하여 연료보급을 요청한다(단계 S13). 한편 V ≥V0의 경우에는 연료잔량이 충분하여 보급의 필요는 없다고 판단되어 연료보급의 요청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셔블(10)로부터 연료잔량을 송신하도록 하였으나, 연료잔량이 적다는 취지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또한 위치정보의 송신은 필수는 아니다. 즉 정보송신 시에 그 유압셔블(10)을 특정하기 위한 ID번호도 송신되도록 하여 두면 그 ID 번호에 의거하여 기지국측에서 유압셔블(10)의 대략 그 위치를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제휴국측에 알리는 것으로도 대처할 수 있다.
- 제 2 실시형태 -
도 8 내지 도 12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유압셔블(10)에 연료보급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 복수의 가솔린스탠드로부터 가장 적합한 것을 추출하고, 그 추출한 가솔린스탠드에 연료보급을 요청하 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기지국의 센터서버(41)는 복수의 가솔린스탠드(GS1, GS2, GS3 …이고, 이하 총칭하여 부호 GS로 나타낸다)의 단말기(71)에 메일 등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지국(40)에는 유압셔블(10)의 기종별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42)와, 복수의 가솔린스탠드(GS)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3)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서버(41)는 필요에 따라 이들 데이터베이스(42, 43)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정보를 추가하기도 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어내용을 설명한다.
도 9는 유압셔블(10)의 메인제어유닛(12)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의 시동에 따라 이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연료센서(13)로부터 연료잔량(V)이 판독됨(단계 S101)과 동시에, GPS제어유닛(11)으로부터 유압셔블 (10)의 위치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102). 그리고 이들 연료잔량(V), 위치정보에 더하여 그 유압셔블 고유의 ID번호, 연비정보 및 실제 가동시간이 송신부(12A)로부터 송신된다(단계 S103).
여기서 연비정보는 메인제어유닛(12)에 의해 연산된 과거의 실적치이다. 또 실제 가동시간은 유압셔블(10)에 설치된 타이머의 계측시간이다.
도 10은 기지국(40)의 센터서버(41)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유압셔블(10)로부터의 정보착신의 유무가 판정되고(단계 S111), 착신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판독된다(단계 S112). 판독된 정보 중 ID 번호가 체크되고 (단계 S113), 그 ID에 의거하여 연료보급서비스의 계약이 있는 경우에는 유압셔블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14). 계약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잔량에 의거하여 연료보급의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 115). 연료보급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연료보급량이 산출된다(단계 S116). 연료보급량은 유압셔블(10)로부터 보내진 연료잔량과, 기종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2)로부터 인출한 연료탱크용량정보 등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이어서 복수의 가솔린스탠드(GS)로부터 연료보급을 요청하는데에 가장 적합한 가솔린스탠드(GS)가 선정된다(단계 S117).
이 최적 가솔린스탠드의 선정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솔린스탠드(GS)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3)로부터 각 가솔린스탠드(GS)의 소재지나 연료단가, 연료보급에 요하는 수송비 등의 데이터가 인출되고, 이들 데이터가 참작된다. 기본적으로는 연료단가나 수송비가 저렴하고, 작업현장[유압셔블(10)의 위치]에 가까운 가솔린스탠드(GS)가 선정된다. 예를 들면 연료잔량이 적은 경우에는 「작업현장으로부터의 가까움」을 우선하고, 또 연료잔량에 비교적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단가나 수송비의 저렴함」을 우선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보급로의 교통사정(정체정보나 공사 등의 유무)을 참작하여 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가솔린스탠드선정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효율화가 도모되나, 운전자가 각종 조건을 기초로 판단하여 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최적 가솔린스탠드가 결정되면, 그 가솔린스탠드(GS)에 예를 들면 전자메일로 연료보급의 요청이 이루어진다(단계 S118). 그 때 연료보급해야 할 유압셔블(10)의 위치[유압셔블(10)로부터의 송신정보에 의거함] 및 연료보급량(단계 S116에서의 연산치)이 알려진다.
도 11은 가솔린스탠드(GS)의 단말기(71)에 의한 처리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40)으로부터의 연료보급요청의 유무가 판정되고(단계 S121), 보급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탱크로리에 지시를 내어 연료보급으로 향하게 한다(단계 S122).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료보급해야 할 유압셔블(10)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탱크로리의 순회순서가 설정되고, 그 순서로 각 현장을 돌도록 지시가 나간다.
연료보급이 완료하면 연료보급량이나 연료보급일시 등의 정보(연료보급정보)가 가솔린스탠드(CS)에 보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연료보급이 이루어진 유압셔블 (10)로부터 기지국 경유로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고, 연료보급에 관계된 탱크로리로부터 연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는 가솔린스탠드(GS)의 단말기(71)에 의한 급유 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료보급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단계 S131), 수신하면 연료보급량이나 연료보급일시 등의 데이터가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단계 S 132). 또 연료보급정보에 의거하여 청구서가 작성되고(단계 S133), 그 청구서가 전자메일 등으로 고객에게 송부된다(단계 S134).
이 정보수신, 청구서작성 및 청구서송신이라는 일련의 처리는 전용 청구서작성소프트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가솔린스탠드(GS)로부터 최적 가솔린스탠드가 선정되고, 그 최적 가솔린스탠드에 연료보급의 요청이 이루어지므로 필요시에 신속한 연료보급이 지체없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연료보급에 요하는 비용저감이 도모된다. 또 송신된 연료보급정보를 수신하여 청구서가 작성되어 고객에게 송신되므로 각 가솔린스탠드에 있어서의 업무의 효율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기지국(40)이 각각의 유압셔블(10)의 장래의 연료보급시기를 예측하고, 그 예측에 의거하여 연료보급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셔블(10)로부터는 연비정보 및 실제 가동시간 등의 정보가 송신된다. 기지국(40)의 센터서버(41)에서는 이 가동시간과 연비로부터 연료의 감소비율을 산출하고, 그 유압셔블(10)에 대한 장래의 연료보급시기를 추정한다. 이 연료보급시기는 각각의 유압셔블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연료보급시기가 되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최적의 가솔린스탠드를 선정하여 연료보급의 요청을 행한다.
또 도 2, 도 3의 예와 마찬가지로, 연료보급의 필요성의 유무를 유압셔블측에서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기지국측에서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GPS 위성을 사용하여 유압셔블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PHS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기지국은 건설기계 제조회사에 한정되지 않고 건설기계의 렌탈회사이어도 좋다.
이상에서는 유압셔블의 연료보급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압셔블 이외의 건설기계(예를 들면 크레인 등)의 연료보급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건설기계에 설치되고,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송신장치와 소정의 통신수단을 거쳐 접속되고,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원격지에 설치되고, 건설기계의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상기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연료보급소로부터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선정장치와;
    상기 선정장치가 선정한 연료보급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연료보급소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선정된 연료보급소에 상기 건설기계에의 연료보급을 요청하도록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선정장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료보급소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적어도 각 연료보급소의 소재지정보의 데이터 및 각 연료보급소에 있어서의 연료단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료보급 시스템.
  9. 원격지에 있는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상기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연료보급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연료보급소로부터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선정장치와,
    상기 선정장치가 선정한 연료보급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연료보급소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선정된 연료보급소에 상기 건설기계에의 연료보급을 요청하도록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선정장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료보급소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적어도 각 연료보급소의 소재지정보의 데이터 및 각 연료보급소에 있어서의 연료단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료보급 시스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장치는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연료잔량에 의거하여 상기 연료보급소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건설기계에의 연료보급량을 포함하는 연료보급정보를 수신하는 연료보급정보 수신장치와,
    상기 연료보급정보 수신장치가 수신한 상기 연료보급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연료보급정보에 의거하여 청구서를 작성하는 청구서작성장치와,
    상기 청구서작성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청구서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청구서를 고객이 가지는 고객측 장치에 송신하는 청구서 송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보급정보 수신장치는, 건설기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연료보급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KR10-2001-7015370A 2000-03-31 2001-03-30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 KR10047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99087 2000-03-31
JP2000099087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626A KR20020009626A (ko) 2002-02-01
KR100477207B1 true KR100477207B1 (ko) 2005-03-21

Family

ID=1861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70A KR100477207B1 (ko) 2000-03-31 2001-03-30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49491A1 (ko)
EP (1) EP1191156B1 (ko)
JP (1) JP3637020B2 (ko)
KR (1) KR100477207B1 (ko)
CN (1) CN1154773C (ko)
WO (1) WO2001073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1638B2 (ja) * 2001-10-02 2007-1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機械の燃料配送システム、その燃料配送方法、およびその燃料配送プログラム
JP2003309661A (ja) * 2002-04-18 2003-10-31 Fuji Controls Co Ltd 液体タンクの残量自動通報システム
US20100241484A1 (en) * 2009-03-20 2010-09-23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nsumables
WO2012092017A1 (en) 2010-12-30 2012-07-05 Qt Technologies Enterprise fuel management system
US9041548B2 (en) 2010-12-30 2015-05-26 Qt Technologies Battery-powered fuel data collection unit
WO2012115705A1 (en) 2011-02-25 2012-08-30 Qt Technologies Fuel data collection unit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over-fill prevention
JP5882610B2 (ja) 2011-06-21 2016-03-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燃料の給油システムおよび土木機械
KR101928576B1 (ko) * 2012-01-30 2018-1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연비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50112505A1 (en) * 2013-10-18 2015-04-23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ueling in a worksite
JP6292957B2 (ja) * 2014-04-16 2018-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監視システム
CN106088207B (zh) * 2016-08-23 2018-12-11 潍坊市鹏大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装载机仪表控制系统
JP6561261B1 (ja) * 2018-09-21 2019-08-21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遠隔燃料監視システム、車載器、車両ないし機械、サーバ、遠隔燃料監視方法、遠隔燃料監視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1501891B (zh) * 2020-05-12 2023-02-28 三一重机有限公司 基于自动挖掘机的燃油加注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005A (ja) * 1993-09-10 1995-03-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0066725A (ja) * 1998-08-18 2000-03-0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異常検出・対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6564A (en) * 1994-02-01 1996-04-09 Hargest; Thomas S. Marine craft fuel alert system
US5659470A (en) * 1994-05-10 1997-08-19 Atlas Copco Wagner, Inc. Computeriz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load carrying vehicle
US5835376A (en) * 1995-10-27 1998-11-10 Total Technology, Inc. Fully automated vehicle dispatching, monitoring and billing
US6240365B1 (en) * 1997-01-21 2001-05-29 Frank E. Bunn Automated vehicle tracking and service provision system
JP3485444B2 (ja) * 1997-07-09 2004-01-1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移動式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並びに同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移動式作業機械,ユーザ装置及び親装置
US6078850A (en) * 1998-03-03 2000-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management and for preventing fuel spillage
EP0989525A3 (en) * 1998-08-31 2001-09-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US6292724B1 (en) * 1999-10-12 2001-09-18 Micrologic, Inc. 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the location, status, utilization and condition of widely geographically dispresed fleets of vehicular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like and providing and displaying such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005A (ja) * 1993-09-10 1995-03-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0066725A (ja) * 1998-08-18 2000-03-0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異常検出・対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1156B1 (en) 2014-05-07
WO2001073221A1 (fr) 2001-10-04
CN1154773C (zh) 2004-06-23
US20030149491A1 (en) 2003-08-07
KR20020009626A (ko) 2002-02-01
CN1366568A (zh) 2002-08-28
EP1191156A4 (en) 2008-04-02
JP3637020B2 (ja) 2005-04-06
EP1191156A1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207B1 (ko) 건설기계의 연료보급시스템 및 건설기계
JP3836725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JP3788910B2 (ja) 移動体の通信装置
US69526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status of vehicle travel
US74009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proximity of a vehicle
JP3839669B2 (ja) 移動体の情報提示装置
KR101752818B1 (ko) 자동차용 전기 배터리
US7110728B2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device
JP2002334166A (ja) 修理・保守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対応した車輌
JP2003102110A (ja) 電気走行車の走行用バッテリー交換システム
JP200252572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イベント自動検知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GB2536360A (en) Telematics control system tracking and monitoring
WO2000019170A1 (en) Activation system for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vehicle travel
US8996229B2 (en)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ommunications
CN111038335B (zh) 电池的充电管理方法、充电管理装置及计算机设备
CN102316414A (zh) 车辆远程监控方法及系统
JP2002088821A (ja) 建設機械の稼働状態表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4006814A (zh) 一种车辆导航系统及方法
JP3675318B2 (ja) 建設機械の燃料補給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176762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KR20060094154A (ko) 모바일가상망을 이용한 물류 및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540265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建設機械の管理装置
EP1447481B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body communication device
CN101281247A (zh) 车载gps控制系统
MX2007004792A (es) Dispositivo para la obtencion automatica de datos de viaje y codigos de falla, de bajo impacto en la red de comunicacion vehic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