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140B1 -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140B1
KR100477140B1 KR1019970048783A KR19970048783A KR100477140B1 KR 100477140 B1 KR100477140 B1 KR 100477140B1 KR 1019970048783 A KR1019970048783 A KR 1019970048783A KR 19970048783 A KR19970048783 A KR 19970048783A KR 100477140 B1 KR100477140 B1 KR 10047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signal
liquid crystal
common voltag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584A (ko
Inventor
김정환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4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1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화면의 대조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크로스톡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에 인가되는 최초의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패널로부터 피드백된 공통 전압의 왜곡된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수단과, 제1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적절하게 조절된 이득 조절 신호에 따라 적분하기 위한 제2 수단과, 제2 수단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3 수단과, 제3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1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1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 저항열과, 제2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2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2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2 저항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
이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톡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박막 트랜지스터-액정 표시 장치(TFT-LCD)는 상판의 공통 전극에 인가된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액정이 반응할 수 있는 일정 범위의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액정이라는 물질은 직류 전압을 계속 인가받는 경우에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 주기로 반전시켜 구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이러한 반전 구동 방식으로 저전압(low voltage) 구동 방식과 고전압(high voltage) 구동 방식이 사용된다.
저전압 구동 방식은 계조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기준으로 공통 전압을 반전시키면서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고, 고전압 구동 방식은 고정된 직류값의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에서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 중 한가지로 크로스톡의 정도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톡이란 액정 표시 장치에서 특정 패턴의 표시에 의해 화면의 다른 부분이 영향을 받는 현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에 비해 배경과 밝기가 현저히 다른 윈도우 블럭(1)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크로스톡으로 인해 그 윈도우 블럭(1)의 좌우측 화면(2)의 밝기는 다른 부분과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크로스톡은 공통 전압이 반전되는 저전압 구동 방식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데, 크로스톡이 발생하는 원인은 화면에 블랙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 즉 노멀 화이트 모드(normal white mode)에서 액정에 인가되는 계조 전압과 공통 전압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 데이터선과 공통 전극간의 결합 용량과 공통 전극 저항에 의한 RC 지연으로 인해 공통 전압이 왜곡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통 전압의 왜곡을 고려하지 않고 계조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계조 전압의 차가 감소하여 화면이 더 밝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전체를 거쳐 왜곡된 형태의 공통 전압(Vcomf)을 피드백하여 이를 기준 전압으로 해서 계조 전압을 만들어주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피드백된 공통 전압(Vcomf)이 왜곡된만큼 생성되는 계조 전압도 왜곡되도록 하여 공통 전압의 왜곡이 없을 때와 같은 전압차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도 2에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다이오드(D)는 고정된 전압 강하를 유지하여 양끝단의 전압 파형을 손실없이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피드백된 공통 전압(Vcomf)의 파형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적으로 이용하기만 하기 때문에, 공통 전압이 왜곡되지 않을 때와 왜곡될 때에 공통 전압과 계조 전압의 차가 언제나 동일하지는 않다. 그러므로 이 전압차를 동일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공통 전극 외부에서 저항을 부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통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켜 공통 전압을 더욱 왜곡시켜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공통 전압의 왜곡이 커지면 전체적으로 공통 전압과 계조 전압의 차가 감소하므로 블랙의 화상이 더 밝아지고, 결국 화면의 대조비(contrast ratio)가 감소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대조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크로스톡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패널에 인가되는 최초의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패널로부터 피드백된 공통 전압의 왜곡된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수단,
상기 제1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적절하게 조절된 이득 조절 신호에 따라 적분하기 위한 제2 수단,
상기 제2 수단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3 수단,
상기 제3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1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1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 저항열, 그리고
상기 제2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2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2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2 저항열을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에서,
반전 스위치(10)는 패널에 인가되는 최초의 공통 전압(Vcom)과 패널로부터 피드백된 공통 전압(Vcomf), 즉 왜곡된 형태의 공통 전압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로 번갈아가며 내보내는데, 이는 공통 전압이 홀수번째 프레임(odd_frame))과 짝수번쩨 프레임(even_frame)에서 각각 반전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비교기(20)는 반전 스위치(1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 신호를 각각 비반전(+) 단자와 반전(-) 단자로 입력받으므로, 비교기(20)의 비반전(+) 단자에는 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레벨보다 일정 구간 동안 큰 레벨의 공통 전압이 항상 인가된다. 비교기(20)는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므로, 결국 비교기(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펄스폭은 패널에 인가되는 최초의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패널로부터 피드백된 공통 전압(Vcomf)의 왜곡된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적분기(30)는 비교기(20)의 출력 신호를 적절하게 조절된 이득 조절 신호(gain_con)에 따라 적분하여 새로운 공통 전압(Vcom_n)을 생성하며, 반전기(40)는 이 새로운 공통 전압(Vcom_n)의 반전된 전압(Vcom_nb)을 생성한다. 이 이득 조절 신호(gain_con)는 공통 전압의 왜곡이 없는 경우와 동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 전압을 만들기 위해 적분기(30)의 증폭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또, 리세트 신호(reset)는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프레임이 시작될 때마다 적분기(30)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짝수번째 프레임 동안에는 공통 전압의 레벨을 낮추어야 하므로, 짝수번째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 저항열(50)에는 반전기(40)의 출력 전압(Vcom_nb), 즉 음(-)의 값을 갖는 공통 전압을 제1 전원 전압(V1)과 함께 기준 전압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공통 전압의 왜곡이 심할수록 적분기(30)의 출력 전압은 상승하는 반면 제1 저항열(50)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의 레벨은 낮아지므로 공통 전압의 왜곡이 없는 경우와 동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홀수번째 프레임 동안에는 공통 전압의 레벨을 높여야 하므로, 홀수번째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2 저항열(60)에는 적분기(30)의 출력 전압(Vcom_n), 즉 양(+)의 값을 갖는 공통 전압을 제2 전원 전압(V2)과 함께 기준 전압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공통 전압의 왜곡이 심할수록 적분기(30)의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제2 저항열(60)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의 레벨이 높아지므로 역시 일정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효과는, 왜곡된 공통 전압의 파형과 원래의 공통 전압 파형과의 차이를 검출하여 이를 계조 전압의 생성에 반영함으로써 크로스톡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의 레벨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면의 대조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1은 크로스톡(crosstalk)의 영향을 받은 화면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도,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도이다.

Claims (1)

  1. 패널에 인가되는 최초의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패널로부터 피드백된 공통 전압의 왜곡된 정도를 검줄하기 위하여 반전스위치와 비교기를 포함하여 형성한 제1 수단,
    상기 제1 수단의 출력 신호를 이득 조절 신호에 따라 적분하기 위한 제2 수단,
    상기 제2 수단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3 수단,
    상기 제3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1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1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 저항열, 그리고
    상기 제2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2 전원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공급받아 제2 프레임의 계조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2 저항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 전압 발생 회로.
KR1019970048783A 1997-09-25 1997-09-25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KR10047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783A KR100477140B1 (ko) 1997-09-25 1997-09-25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783A KR100477140B1 (ko) 1997-09-25 1997-09-25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584A KR19990026584A (ko) 1999-04-15
KR100477140B1 true KR100477140B1 (ko) 2005-07-04

Family

ID=3730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783A KR100477140B1 (ko) 1997-09-25 1997-09-25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457A (ja) * 1999-12-08 2001-08-2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951356B1 (ko) * 2003-08-07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8497A (en) * 1987-09-29 1989-04-03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3203778A (ja) * 1989-12-29 1991-09-05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3203777A (ja) * 1989-12-29 1991-09-05 Hitachi Ltd 液晶駆動方式とその駆動電圧発生回路
JPH0519725A (ja) * 1991-07-15 1993-01-29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5249433A (ja) * 1992-03-03 1993-09-28 Nippondenso Co Ltd 液晶表示素子
JPH0792937A (ja) * 1993-07-29 1995-04-07 Hitachi Ltd 液晶駆動方法と液晶表示装置
KR960035401A (ko) * 1995-03-10 1996-10-24 구자홍 액정의 그레이 전압 생성장치
KR0142778B1 (ko) * 1994-12-28 1998-07-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 보상 구동장치 및 방법과 크로스토크 보상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8497A (en) * 1987-09-29 1989-04-03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3203778A (ja) * 1989-12-29 1991-09-05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3203777A (ja) * 1989-12-29 1991-09-05 Hitachi Ltd 液晶駆動方式とその駆動電圧発生回路
JPH0519725A (ja) * 1991-07-15 1993-01-29 Hitachi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5249433A (ja) * 1992-03-03 1993-09-28 Nippondenso Co Ltd 液晶表示素子
JPH0792937A (ja) * 1993-07-29 1995-04-07 Hitachi Ltd 液晶駆動方法と液晶表示装置
KR0142778B1 (ko) * 1994-12-28 1998-07-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 보상 구동장치 및 방법과 크로스토크 보상 구동장치
KR960035401A (ko) * 1995-03-10 1996-10-24 구자홍 액정의 그레이 전압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584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0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3199978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261053B1 (ko) 액정 패널 구동 방법 및 회로
US6342881B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driving method
JPH0553534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2006012845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495934B1 (ko) 표시구동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US5745087A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ray scale display
US581841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8286644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US68011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version flicker compensation
KR100477140B1 (ko) 액정표시장치의계조전압발생회로
KR100777347B1 (ko) 액정 표시장치를 위한 자동 휘도 조절 장치 및 방법
JPH11184435A (ja) 出力回路
CN114822435B (zh) 显示面板的驱动电路、显示器和公共电压调节方法
CN109994081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JP200810759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8250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483529B1 (ko) 액정표시장치의공통전압발생회로
KR100233147B1 (ko) 액정 표시 장치
US5440399A (en) Method for optical exposure in a color video printed utilizing LCD
KR10036247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JPS5834492A (ja) 液晶表示素子の駆動回路
KR100213909B1 (ko) Lcd 패널의 중심전압 발생회로
JP3394489B2 (ja) 液晶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