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678B1 -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678B1
KR100476678B1 KR10-2003-0016063A KR20030016063A KR100476678B1 KR 100476678 B1 KR100476678 B1 KR 100476678B1 KR 20030016063 A KR20030016063 A KR 20030016063A KR 100476678 B1 KR100476678 B1 KR 10047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ream
dough
mold
confectioner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292A (ko
Inventor
송재규
Original Assignee
송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규 filed Critical 송재규
Priority to KR10-2003-001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6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4Supporting, suspending, or sett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크림을 수납하는 콘과자(cone wafer)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레일(11)과 하부레일(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하부레일(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으로 나누어진 성형홈(21)들을 구비하는 다수로 분리된 하형(20); 상기 하형(20)들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는 이송실린더(30); 상기 하형(20)들에 각각 연결되어 이격거리를 단속하는 단속부재(40); 상기 하형(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성형홈(21)으로 각각 삽입되는 성형구(51)들을 구비하는 상형(50); 상기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 상기 하형(20)과 상형(50)에 각각 내장되는 가열부재(70)(80); 상기 상부레일(1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재(90); 상기 하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조된 콘과자(W)를 인출시키는 컨베이어(C);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ice-cream cone}
본 발명은 아이스크림을 수납하는 콘과자(cone wafer)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과자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 타입의 아이스크림은 외피의 내측에 살짝 구운 얇은 콘과자가 삽입되어 이 콘과자의 내부로 아이스크림이 충전된다.
이와 같이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는 아이스크림을 담는데 쓰이는 것으로, 이러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는 원뿔모양의 속이 빈 과자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숙련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일일이 힘들게 제조하였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대량생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많은 인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숙련된 작업자가 불편하게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에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제조하기 어려워 제품의 불량이 다발하고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사람에 의한 수작업이 아니라 자동으로 편리하게 콘과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력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또한 콘과자를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그리고 콘과자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제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에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레일에 반으로 나누어진 성형홈들을 구비하여 다수로 분리된 하형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프레임에 다수로 분리된 하형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는 이송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각 하형에 이격거리를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하형의 상부에 성형홈으로 삽입되는 성형구들을 구비하는 상형을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형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하형과 상형에 가열부재를 각각 내장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레일에 성형홈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재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하형의 하부에 제조된 콘과자를 인출시키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실린더,승강부재,반죽공급주재 및 컨베이어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13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레일(11)과 하부레일(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하부레일(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으로 나누어진 성형홈(21)들을 구비하는 다수로 분리된 하형(20); 상기 하형(20)들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는 이송실린더(30); 상기 하형(20)들에 각각 연결되어 이격거리를 단속하는 단속부재(40); 상기 하형(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성형홈(21)으로 각각 삽입되는 성형구(51)들을 구비하는 상형(50); 상기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 상기 하형(20)과 상형(50)에 각각 내장되는 가열부재(70)(80); 상기 상부레일(1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재(90); 상기 하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조된 콘과자(W)를 인출시키는 컨베이어(C);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의 양측으로는 반죽공급부재(90)와 하형(20)들의 좌우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상부레일(11) 및 하부레일(12)이 구비되고, 하부레일(12)의 상부에는 하형(20)의 좌우이동시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안내봉(13)이 설치되고, 또한 프레임(10)에는 승강부재(60)를 지지하는 지지대(14)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20)은 다수로 분리되어 프레임(10)의 하부레일(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각 하형(20)에는 반으로 나누어져(2등분된) 서로 마주하는 다수의 성형홈(21)들이 각각 형성되고, 각 하형(20)에는 프레임(10)의 안내봉(13)에 끼워지는 슬라이더(22)가 일체로 구비되며, 각 하형(20)들의 내부에는 가열부재(70)를 수용하는 가열홈(2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좌측 끝부분에 배치되는 엔드 하형(20)은 좌우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부레일(12)에 고정되고, 우측 끝부분에 배치되는 엔드 하형(20)은 이송실린더(30)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실린더(30)는 프레임(10)에 고정되어 다수로 분리된 하형(20)들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실린더(30)의 피스톤(31)은 연결대(32)를 통해 우측 끝부분에 배치된 엔드 하형(20)에 연결된다. 이때, 이송실린더(30)의 작동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실린더(30)의 피스톤(31)을 우측으로 당기면 분리된 각 하형(20)들은 하부레일(12)과 안내봉(13)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3,5에서와 같이 각각 순차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서로 벌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각 하형(20)들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벌어지게 되면 반으로 분리된 하형(20)의 각 성형홈(21)들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실린더(30)의 피스톤(31)을 좌측으로 밀면 분리된 각 하형(20)들은 하부레일(12)과 안내봉(13)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와 같이 각 하형(20)들이 긴밀하게 서로 밀착되면 반으로 분리된 하형(20)의 각 성형홈(21)들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단속부재(40)는 다수로 분리되어 서로 마주하는 하형(20)에 각각 연결되어 하형(20)들의 이격거리(한계거리)를 단속함과 동시에 각 하형(20)들이 서로 벌어지도록 당겨주는 것으로, 이러한 단속부재(40)는 도 3,4에서와 같이 하형(20)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에 끼워지는 장공(42a)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하는 하형(20)들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다수의 링크(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실린더(30)의 피스톤(31)을 우측으로 당기면 분리된 각 하형(20)들은 도 4,5에서와 같이 링크(4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서로 링크(42)를 당기면서 순차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각 하형(20)에 고정된 고정핀(41)이 장공(42a)의 끝단에 걸리면 각 하형(20)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므로 하형(20)의 이격거리가 단속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속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부재(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형(20)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핀(43)과, 상기 고정핀(43)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서로 마주하는 하형(20)들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다수의 체인(4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속부재(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하형(20)에 고정된 고정핀(43)이 이동하여 체인(44)이 최대한 펴지면 하형(20)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므로 하형(20)의 이격거리가 단속된다.
상기 상형(50)은 하형(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형(50)에는 하형(20)들의 각 성형홈(21)내로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성형구(51)들을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60)는 상형(5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부재(60)는 도 7,8a,8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지지대(14)에 그 중앙부가 축(61a)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형(50)을 지지하는 상형고정틀(61)과, 상기 상형고정틀(61)의 후방과 지지대(14)의 하부에 대각선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경사지게 연결되는 2절레버(62)(63)와, 상기 2절레버(62)(63)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밀고 당기면서 상형고정틀(61)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실린더(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2절레버(62)(63)는 서로 축(S1)으로 연결되고, 2절레버(62)의 상부는 상형고정틀(61)의 후방부에 축(S2)으로 연결되며, 2절레버(63)의 하부는 지지대(14)의 하부에 축(S3)으로 연결되고, 실린더(64)의 피스톤(64a)은 2절레버(63)의 상부에 축(S4)으로 연결되며, 실린더(64)는 프레임(10)의 하부에 축(S5)으로 고정되며, 실린더(64)의 작동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64)의 피스톤(64a)을 당기면 도 8a에서와 같이 2절레버(62)(63)가 굴절되므로 상형고정틀(61)은 축(41a)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면서 상형(50)을 상승시키고, 한편 실린더(64)의 피스톤(64a)을 밀면 2절레버(62)(63)가 도 8b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펴지므로 상형고정틀(61)은 축(41a)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면서 상형(50)을 하강시킨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60)의 승강작동시 상형고정틀(61)의 전방에는 중량을 가지는 상형(50)이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순히 이 상태에서 상형고정틀(61)을 승강시킬 경우 실린더(64)에는 큰 부하가 걸리고 또한 소음 및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60)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형고정틀(61)의 후방에는 균형추(65)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재(70)는 각 하형(20)에 형성된 가열홈(23)에 각각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부재(70)는 콘과자(W) 성형시 반죽을 익힐 수 있도록 하형(20)을 적정온도로 각각 가열시킨다. 이때, 상기 각 하형(20)에 내장되는 가열부재(70)는 가스버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가열부재(80)는 상형(50)에 내장되어 것으로, 이러한 가열부재(80)는 콘과자(W) 성형시 반죽을 한층 더 용이하게 익힐 수 있도록 상형(50)을 적정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때, 상기 상형(50)에 내장되는 가열부재(70)는 히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가스버너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반죽공급부재(90)는 프레임(10)의 상부레일(1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형(20)의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죽공급부재(90)는 도 9,10a,10b에서와 같이 상부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바퀴(91)를 구비하는 반죽통(92)과, 상기 일측 바퀴(91)에 구동체인(C1)과 구동스프로킷(A1)으로 연결되어 반죽통(9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모터(M)와, 상기 반죽통(92)의 좌우 이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L1)(L2)와, 상기 반죽통(92)에 배열되어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공급하는 분사기(93)와, 상기 분사기(93)를 레버(94),링크(95),승강판(96)을 통해 작동시키는 실린더(97)로 구성된다.
상기 바퀴(91)는 프레임(10)의 상부레일(1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반죽통(9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바퀴(91)는 반죽통(92)의 전후방 양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이때, 바퀴(91)를 한층 더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레일(11)에는 가이드체인(C2)이 설치되고, 상기 바퀴(91)에는 가이드체인(C2)과 맞물리는 가이드스프로킷(A2)이 장착된다.
상기 반죽통(92)은 콘과자(W)를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죽통(92)에는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공급펌프가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반죽공급펌프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반죽공급통이 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모터(M)는 바퀴(9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반죽통(9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M)는 구동체인(C1) 및 구동스프로킷(A1)을 통해 일측 바퀴(91)와 연결되고, 모터(M)의 구동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상기 리밋스위치(L1)(L2)는 도 2a,2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레일(11)에 적정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어 컨트롤박스(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리밋스위치(L1)(L2)는 반죽통(92)의 좌우 이동한계를 단속하게 된다.
즉, 도 2b에서와 같이 성형홈(21)으로 반죽을 공급하기 위해 정방향으로 모터(M)를 구동시켜 반죽통(92)을 하형(20)측으로 이동시킬 때, 각 하형(20)의 성형홈(21)들과 후술하는 각 분사기(93)의 노즐(93c)들이 동일수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면 바퀴(91)에 의해 리밋스위치(L2)가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한편 반죽공급이 완료된 후 모터(M)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반죽통(92)을 도 2a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이동시킬 때, 반죽통(92)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바퀴(91)에 의해 리밋스위치(L1)가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분사기(93)는 반죽통(92)에 다수로 배열되어 각 하형(20)의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분사기(93)는 도 11,12a,12b에서와 같이 분사통(93a)과 압축봉(93b) 및 노즐(93c)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봉(93b)의 하부에는 피스톤링(93d)과 피스톤패킹(93e)이 장착되고, 압축봉(93b)의 상부는 승강판(96)에 고정되며, 상기 노즐(93c)에는 스프링(93f)의 탄력을 받는 첵밸브(93g)가 내장된다. 이때, 분사통(93a)의 상부는 반죽통(92)의 하부에 내부를 관통하도록 나사조립되고, 압축봉(93b)의 상부는 승강판(96)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체결로 고정되며, 노즐(93c)의 상부는 분사통(93a)의 하부에 나사조립된다.
따라서, 도 12b에서와 같이 압축봉(93b)을 상부로 상승시키면 흡입행정이 이루어져 반죽통(92)에 수용된 반죽은 피스톤패킹(93e) 사이로 유입되면서 분사통(93a)내로 흡입되고, 또한 스프링(93f)의 탄력을 받는 첵밸브(93g)는 흡입된 반죽이 배출되지 않도록 분사통(93a)의 하부를 기밀하게 밀폐시킨다.
그리고 도 12a에서와 같이 압축봉(93b)을 하부로 하강시키면 압축행정이 이루어져 피스톤패킹(93e)의 압축력에 의해 첵밸브(93e)는 스프링(93f)을 압축시키면서 분사통(93a)의 하부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하강하는 피스톤패킹(93)은 분사통(93a)내로 흡입된 반죽을 노즐(93)을 통해 하부로 배출시키고, 이와 같이 반죽의 배출이 완료된 후 상기와 같이 압축봉(93b)을 다시 상승시키면 흡입행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이 상태에서 다시 압축봉(93b)을 하강시키면 압축행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97)는 레버(94),링크(95),승강판(96)을 통해 각 분사기(93)의 압축봉(93b)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97)의 작동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때, 레버(94)는 실린더(97)의 피스톤(97a)과 반죽통(92)에 각각 축(S6)(S7)으로 연결되고, 링크(95)는 승강판(96)의 상부와 레버(94)의 중앙부에 축(S8)(S9)으로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97)의 피스톤(97a)을 당기면 레버(94)와 링크(95)가 도 10b에서와 같이 작동되므로 승강판(96)이 하강하면서 각 분사기(93)의 압축봉(93b)들을 동시에 하강시키고, 한편 실린더(97)의 피스톤(97a)을 밀면 레버(94)와 링크(95)가 도 10a에서와 같이 작동되므로 승강판(96)이 상승하면서 각 분사기(93)의 압축봉(93b)들을 동시에 상승시킨다.
상기 컨베이어(C)는 하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조된 콘과자(W)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컨베이어(C)의 작동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때, 컨베이어(C)의 우측 하부에 별도로 수납통을 설치하면 컨베이어(C)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콘과자(W)를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B)는 이송실린더(30)와 실린더(64)(97) 및 모터(M)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박스(B)는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0은 가스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 200은 유압공급용 유압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박스(B)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면 먼저 이송실린더(30)가 작동하여 피스톤(31)을 좌측으로 밀고, 이와 연동하여 서로 벌어진 상태로 이격된 각 하형(20)들은 하부레일(12)과 안내봉(13)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각 하형(20)에 형성된 다수의 성형홈(21)들은 도 1,13b에서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3b에서와 같이 이송실린더(30)에 의해 하형(20)들의 성형홈(21)들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반죽공급부재(90)의 모터(M)가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구동체인(C1)과 구동스프로킷(A1)을 통해 바퀴(91)가 동시에 구동하면서 상부레일(11)과 가이드체인(C2)을 따라 하형(20)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반죽공급부재(90)는 하형(20)측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하형(20)측으로 이동하는 반죽공급부재(90)의 분사기(93)들이 도 2b,13c에서와 같이 각 성형홈(21)들의 상부 정확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서로 동일수직선상으로 일치하게 되면, 리밋스위치(L2)가 접속되어 모터(M)를 정지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반죽공급부재(90)의 각 분사기(93)들은 하형(20)의 상부로 이동되어 각 성형홈(21)내로 반죽을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죽공급부재(90)가 하형(20)의 상부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도 10b,12a,13c에서와 같이 실린더(97)가 작동하여 레버(94),링크(95),승강판(96)을 통해 분사기(30)의 압축봉(93b)을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피스톤패킹(93e)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분사통(93)내로 흡입된 반죽을 노즐(93c)을 통해 하형(20)들의 각 성형홈(21)내로 각각 배출시키게 된다.
도 13c에서와 같이 하형(20)의 각 성형홈(21)내로 반죽공급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모터(M)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반죽공급부재(9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반죽공급부재(90)가 도 2a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면 리밋스위치(L1)가 자동적으로 접속되어 모터(M)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연동하여 실린더(97)가 상기의 반대로 작동하여 분사기(30)의 압축봉(93b)을 상승시키고, 이러한 압축봉(93b)의 상승에 따라 분사통(93)의 내부로는 도 12b와 같이 반죽통(92)에 저장된 반죽이 다시 흡입됨과 동시에 원상태로 이송된 반죽공급부재(90)는 다음의 반죽공급공정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홈(21)내로 반죽공급이 완료되면 승강부재(60)의 실린더(64)가 작동하여 피스톤(64a)을 밀고, 이와 연동하여 2절레버(62)(63)가 도 8b에서와 같이 작동하면서 상형고정틀(61)을 하부로 회동시키므로, 상형고정틀(61)에 고정된 상형(50)이 동시에 하강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형(50)에 설치된 각 성형구(51)들이 도 13d에서와 같이 하형(20)의 각 성형홈(21)내로 압입되면서 공급된 반죽을 콘과자(W)의 형상으로 압착하게 된다.
상형(50)은 하강된 상태를 대략 1분20초 ~ 2분 정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가열부재(70)(80)에 의해 하형(20)과 상형(50)은 적정온도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성형구(51)에 의해 압착된 반죽이 서서히 구워지면서 콘과자(W)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적정시간이 경과하여 콘과자(W)의 성형이 완료되면 승강부재(60)의 실린더(64)는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상형고정틀(61)이 상부로 회동하면서 도 8a에서와 같이 상형(50)을 원상태로 상승시키므로 상형(50)의 각 성형구(51)들은 하형(20)의 각 성형홈(2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형(50)의 상승동작이 완료되면 이송실린더(30)가 작동하여 도 3,13e에서와 같이 피스톤(31)을 우측으로 당기고, 이와 연동하여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각 하형(20)들은 하부레일(12)과 안내봉(13)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순차적으로 벌어지면서 이격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하형(20)의 성형홈(21)들이 도 13e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되면서 반으로 분리되어 열리기 때문에 성형홈(21)에서 제조된 콘과자(W)는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하부로 낙하된 콘과자(W)는 구동하는 컨베이어(C)에 의해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컨베이어(C)에 의해 콘과자(W)가 외부로 배출되면 1차공정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컨트롤박스(B)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콘과자(W)를 자동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컨트롤박스(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이송실린더(30)를 통해 다수로 분리된 하형(20)들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고, 가열부재(70)(80)를 통해 하형(20)과 상형(50)을 각각 가열시키고, 반죽공급부재(90)로 하형(20)의 성형홈(21)내로 반죽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승강부재(60)로 상형(50)을 승강시키면서 하형(20)의 성형홈(21)내로 성형구(51)를 삽입시켜 콘과자(W)를 자동으로 성형하고, 또한 제조된 콘과자(W)를 하부로 낙하시켜 컨베이어(C)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자동으로 편리하게 콘과자(W)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아이스크림용 콘과자(W)를 숙련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일일이 힘들게 제조하지 않고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대량생산에 적합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W)를 제조함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크림용 콘과자(W)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작업시간과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W)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는 사람에 의한 수작업이 아니라 자동으로 편리하게 콘과자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인력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콘과자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하형과 이송실린더 및 단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하형과 단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하형과 단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단속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상형과 승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a,8b는 승강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반죽공급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a,10b는 반죽공급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분사기의 분해사시도.
도 12a,12b는 분사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a 내지 13e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11 : 상부레일
12 : 하부레일 13 : 안내봉
14 : 지지대 20 : 하형
21 : 성형홈 22 : 슬라이더
30 : 이송실린더 40 : 단속부재
41,43 : 고정핀 42 : 링크
42a : 장공 44 : 체인
50 : 상형 51 : 성형구
60 : 승강부재 61 : 상형고정틀
61a : 축 62,63 : 2절레버
64 : 실린더 65 : 균형추
70,80 : 가열부재 90 : 반죽공급부재
91 : 바퀴 92 : 반죽통
93 : 분사기 93a : 분사통
93b : 압축봉 93c : 노즐
93d : 피스톤링 93e : 피스톤패킹
93f : 스프링 93g : 첵밸브
94 : 레버 95 : 링크
96 :승강판 97 : 실린더
W : 콘과자 C : 컨베이어
B : 컨트롤박스 C1 : 구동체인
A1 : 구동스프로킷 M : 모터
L1,L2 : 리밋스위치 C2 : 가이드체인
A2 : 가이드스프로킷

Claims (11)

  1. 상부레일(11)과 하부레일(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하부레일(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으로 나누어진 성형홈(21)들을 구비하는 다수로 분리된 하형(20); 상기 하형(20)들을 서로 밀착 및 이격시키는 이송실린더(30); 상기 하형(20)들에 각각 연결되어 이격거리를 단속하는 단속부재(40); 상기 하형(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성형홈(21)으로 각각 삽입되는 성형구(51)들을 구비하는 상형(50); 상기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0); 상기 하형(20)과 상형(50)에 각각 내장되는 가열부재(70)(80); 상기 상부레일(1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각각 공급하는 반죽공급부재(90); 상기 하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조된 콘과자(W)를 인출시키는 컨베이어(C);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B)를 포함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12)의 상부에는 안내봉(13)이 설치되고, 상기 각 하형(20)에는 안내봉(13)으로 끼워지는 슬라이더(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40)는 하형(20)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에 끼워지는 장공(42a)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하는 하형(20)들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다수의 링크(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40)는 하형(20)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핀(43)과, 상기 고정핀(43)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서로 마주하는 하형(20)들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다수의 체인(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60)는 프레임(10)의 지지대(14)에 그 중앙부가 축(61a)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형(50)을 지지하는 상형고정틀(61)과, 상기 상형고정틀(61)의 후방과 지지대(14)의 하부에 대각선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경사지게 연결되는 2절레버(62)(63)와, 상기 2절레버(62)(63)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밀고 당기면서 상형고정틀(61)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실린더(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고정틀(61)의 후방에는 균형추(6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20)에 내장되는 가열부재(70)는 가스버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콘과자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50)에 내장되는 가열부재(80)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공급부재(90)는 상부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바퀴(91)를 구비하는 반죽통(92)과, 상기 일측 바퀴(91)에 구동체인(C1)과 구동스프로킷(A1)으로 연결되어 반죽통(9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모터(M)와, 상기 반죽통(92)의 좌우 이동한계를 단속하는 리밋스위치(L1)(L2)와, 상기 반죽통(92)에 배열되어 성형홈(21)내로 반죽을 공급하는 분사기(93)와, 상기 분사기(93)를 레버(94),링크(95),승강판(96)을 통해 작동시키는 실린더(9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1)에는 가이드체인(C2)이 설치되고, 상기 바퀴(91)에는 가이드체인(C2)과 맞물리는 가이드스프로킷(A2)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93)는 분사통(93a)과 압축봉(93b) 및 노즐(93c)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봉(93b)의 하부에는 피스톤링(93d)과 피스톤패킹(93e)이 장착되고, 압축봉(93b)의 상부는 승강판(96)에 고정되며, 상기 노즐(93c)에는 스프링(93f)의 탄력을 받는 첵밸브(93g)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KR10-2003-0016063A 2003-03-14 2003-03-14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KR10047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063A KR100476678B1 (ko) 2003-03-14 2003-03-14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063A KR100476678B1 (ko) 2003-03-14 2003-03-14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292A KR20040081292A (ko) 2004-09-21
KR100476678B1 true KR100476678B1 (ko) 2005-03-17

Family

ID=3736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063A KR100476678B1 (ko) 2003-03-14 2003-03-14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6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292A (ko)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67B1 (ko)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731472A (zh) 一种全自动蛋制品生产设备
KR100889281B1 (ko) 빵 제조 장치
KR101151838B1 (ko) 제빵기
KR100476678B1 (ko)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CN116274627B (zh) 一种蛋挞皮模具
JP4654054B2 (ja) タルト生地の成型体の成型機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771940B1 (ko) 생분해성 용기 성형장치
KR20160122366A (ko) 텔레스코픽 식품 성형 장치
CN212352366U (zh) 一种清洁型自动上料压砖装置
KR100811858B1 (ko) 튜브 헤드의 성형방법 및 장치
CA2324207C (en) Dough ball loader
KR101677687B1 (ko) 다중 토출 구조를 갖는 도넛 성형장치
CN220211648U (zh) 一种糕点加工成型设备
CN115669693B (zh) 一种糕点加工压合成型装置
CN212445683U (zh) 坐便器生产线
KR100695955B1 (ko) 도넛 성형기
KR200288195Y1 (ko) 전병 자동 제조장치
RU2796826C1 (ru) Агрегат формирования осетинских пирогов
CN213719881U (zh) 一种荞面灌肠生产设备
CN214239200U (zh) 双色橡塑注射成型机
CN218245592U (zh) 一种用于渔亭糕的挤压成型生产设备
CN219323121U (zh) 一种挞皮生产线
CN220308241U (zh) 一种动物形包子自动成型机
CN217474852U (zh) 一种改进型粉末冶金干压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