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665B1 - 수직핸들러 - Google Patents

수직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665B1
KR100476665B1 KR1019970057384A KR19970057384A KR100476665B1 KR 100476665 B1 KR100476665 B1 KR 100476665B1 KR 1019970057384 A KR1019970057384 A KR 1019970057384A KR 19970057384 A KR19970057384 A KR 19970057384A KR 100476665 B1 KR100476665 B1 KR 100476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gazine
vertical handler
drop guid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562A (ko
Inventor
이상준
심창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6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품의 패키지가 적정 개수 투입 완료된 튜브의 수량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함과 동시에 튜브의 수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수직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 상부면에 일측이 개구된 튜브를 삽입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요철부를 갖는 한 쌍의 매거진이 설치되고, 별도로 구비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기 매거진의 요부에 수직으로 적층 삽입하여 상기 튜브에 소정의 제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직 핸들러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1낙하 유도부와; 상기 튜브의 개구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된 튜브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2낙하 유도부와; 상기 매거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제 2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튜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박스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핸들러
본 발명은 수직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품의 패키지가 적정 개수 투입 완료된 튜브의 수량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함과 동시에 튜브의 수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수직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패키지 조립 공정인 최종 공정에서 조립 완료된 패키지에 대해 전기적인 안정성을 테스트하여 양품의 패키지와 불량품의 패키지를 별도의 포장용기인 튜브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있는 데, 이것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수직 핸들러라는 장치이다.
종래의 수직 핸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1)와, 이 베이스(1) 상부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베이스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일측이 개방된 튜브(미도시)를 수직 삽입할 수 있는 요,철부(2),(3)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매거진(6)과, 이 매거진(6) 사이에 위치되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튜브를 이동시켜 상기 매거진(6)의 요부(2)에 삽입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거진(6)은 양품 패키지와 불량품 패키지들을 각각 분리하여 양품 패키지용 튜브(미도시)와 불량품 패키지용 튜브(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이들을 보관 적재하여 공급하는 튜브 공급용 매거진(4)과, 미도시된 패키지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 공급된 패키지들을 불량 상태로 튜브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튜브가 여러 개소로 분류되는 튜브 분류용 매거진(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미도시된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베이스(1) 상부면에 형성된 이동레일(7)에서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한쌍의 튜브 캐리어 암(8)과, 이 튜브 캐리어 암(8)에 설치되어 튜브 캐리어 암(8)의 이동시 튜브 공급용 매거진(4)에 보관된 튜브를 그립함과 아울러 이 튜브를 튜브 분류용 매거진(5)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요부(2)에 삽입하는 튜브 그립부(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 그립부(9)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수직 핸들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브 캐리어 암(8)이 이동레일(7)을 따라 이동되어 튜브 공급용 매거진(4)으로 이동되면, 튜브 그립부(9)에 의해 양품 패키지용 튜브와 불량품 패키지용 튜브가 그립된다.
이후, 튜브 캐리어 암(8)은 이동레일(7)을 따라 튜브 분류용 매거진(5)으로 이동되고, 튜브 그립부(9)의 작용에 의해 적정 위치에 해당되는 요부(2)에 상기 튜브가 삽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패키지의 성능 테스트장치에 의해 양품 및 불량품의 패키지로 선별된 패키지가 자동 공급되어 상기 튜브에 삽입된다.
이 튜브에 일정량의 패키지들이 삽입되면, 튜브 캐리어 암(8)이 이동되어 튜브 공급용 매거진(4)으로부터 양/불량품 패키지용 튜브를 다시 그립하여 튜브 분류용 매거진(5)의 요부(2)에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튜브 분류용 매거진(5)의 요부(2)에는 튜브가 수직으로 적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 핸들러는, 튜브에 패키지를 삽입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 튜브 분류용 매거진의 요부에는 패키지들이 수납된 튜브들이 수직으로 적층되고, 튜브들이 적층 한계에 도달하면, 수직 핸들러의 가동이 정지되는 데, 이때, 작업자가 적층된 튜브들을 수거하지 않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직 핸들러 설비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키지들의 전기적인 성능 테스트가 완료되어 수직 핸들러에 의해 포장된 튜브에 대한 수량을 작업자가 파악하는 데,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 및 컨디션에 따라 수량 파악의 오차가 유발하는 등 패키지에 대한 수량 파악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품의 패키지가 적정 개수 투입 완료된 튜브의 수량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함과 동시에 튜브의 수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수직 핸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는,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 상부면에 일측이 개구된 튜브를 삽입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요철부를 갖는 한 쌍의 매거진이 설치되고, 별도로 구비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기 매거진의 요부에 수직으로 적층 삽입하여 상기 튜브에 소정의 제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직 핸들러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1낙하 유도부와; 상기 튜브의 개구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된 튜브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2낙하 유도부와; 상기 매거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제 2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튜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박스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10) 상부면에 일측이 개구된 튜브(15)를 삽입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요,철부(11),(12)를 갖는 한 쌍의 매거진(13)이 설치되고, 별도로 구비된 이동수단에 의해 튜브를 매거진(13)의 요부(11)에 수직으로 적층 삽입하여 튜브에 소정의 제품의 하나인 패키지(미도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직 핸들러에 있어서, 튜브(15)의 폐쇄부(15a)가 위치되는 매거진(13)의 요부(11) 상단에 형성되어 튜브(15)의 폐쇄부(15b)가 매거진(13)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1낙하 유도부(17)와, 튜브(15)의 개구부(15a)가 위치되는 매거진(13)의 요부(11) 상단에 형성되어 제 1낙하 유도부(17)를 통해 낙하된 튜브(15)가 상기 개구부(15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매거진(13)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2낙하 유도부(16)와, 매거진(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제 2낙하 유도부(17),(16)를 통해 낙하되는 튜브(15)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박스(18)와, 이동수단에 의해 매거진(13)의 요부(11)에 삽입되는 튜브(15)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미도시된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베이스(10) 상부에 형성된 이동레일(21)과, 이 이동레일(21)에서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한쌍의 튜브 캐리어 암(22)과, 이 튜브 캐리어 암(22)에 설치되어 튜브 캐리어 암(22)의 이동시 튜브(15)를 그립함과 아울러 이 튜브를 매거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요부(11)에 삽입하기 위한 튜브 그립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매거진(13)은 양품 패키지와 불량품 패키지들을 각각 분리하여 양품 패키지용 튜브와 불량품 패키지용 튜브에 삽입되도록 이들을 보관 적재하여 공급하는 튜브 공급용 매거진(13a)과, 미도시된 패키지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 공급된 패키지들을 각각 튜브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튜브가 여러 개소로 분류되는 튜브 분류용 매거진(13b)으로 구성되는 것도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제 1낙하 유도부(17)는, 매거진(13)의 철부(12)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매거진(13)의 요부(1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요부(11)에 수직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튜브(15)들중에서 맨 위의 튜브의 폐쇄부(15b)가 쉽게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15)의 폐쇄부(15b)가 제 1낙하 유도부(17)를 통해 낙하하는 이유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매거진(13)의 요부(11)내에 튜브(15)들이 모두 적층되어 있을 때, 요부(11)의 하단부에서 밀려 올라오는 튜브의 상승력을 전달받아 매거진(13)의 요부(11)로부터 튜브(15)가 넘치기 때문이다.
상기 제 1낙하 유도부(17)를 구성하기 위해 일부분이 절단된 철부(12)의 단부는 라운딩처리가 되는데, 그 이유는 튜브(15)의 폐쇄부(15b)가 이 라운딩 곡면을 따라 쉽게 이동되도록 함이다.
상기 제 2낙하 유도부(16)는, 매거진(13)의 철부(12)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매거진(11)의 요부(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 1낙하 유도부(17)를 통해 튜브(15)가 폐쇄부(15b)가 먼저 낙하할 때, 튜브(15)의 개구부(15a)가 낙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매거진(13)의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낙하 유도부(16)를 구성하기 위해 일부분이 절단된 철부(12)의 단부는 라운딩처리가 되는데, 그 이유는 튜브(15)의 개구부(15a)가 이 라운딩 곡면을 따라 쉽게 이동되도록 함이다.
상기 제 1낙하 유도부(17)는 제 2낙하 유도부(16)보다 소정 높이 낮게 형성되어 튜브(15)의 폐쇄부(15b)가 개구부(15a)보다 먼저 낙하되는 데, 이는 튜부(15)의 개구부(15a)가 먼저 낙함으로 인해 튜브(15) 내부에 일정량 수용된 패키지(미도시)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관박스(18)는 매거진(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제 2낙하 유도부(17),(16)를 통해 낙하되는 튜브를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내부에는 튜브(15)가 안정하게 낙하되도록 낙하 유도판(19)이 설치되고, 이 낙하 유도판(19) 상부면에 낙하로 인해 튜브(15)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폰등의 소재로 된 충격완화재(22)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낙하 유도판(19)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져 있는데, 이는 낙하되는 튜브(15)가 미끄러지면서 보관박스(18) 내부에 안정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카운팅 수단은 매거진(13)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 튜브(15)가 매거진(13)의 요부(11)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와, 이 감지센서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튜브의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부(2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튜브(15)가 매거진(13)의 요부(11)에 삽입될 때, 이 튜브에 접촉되는 방식을 이용한 리미트 스위치가 이용되나, 이외에도 튜브가 요부(11)에 삽입된 것을 광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광센서도 이용될 수도 있다.
표시부(20)는 작업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보관박스(18) 일측에 설치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며, 이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튜브(15)의 수량은 보관박스(18)에 보관된 튜브(15)의 수량과 요부(11)에 적층되어 있는 튜브의 수량을 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수단의 구성 하나인 튜브 캐리어 암(22)이 이동레일(21)을 따라 이동되어 튜브 공급용 매거진(13a)으로 이동되면, 튜브 그립부(23)에 의해 양품 패키지용 튜브와 불량품 패키지용 튜브가 그립된다.
이후, 튜브 캐리어 암(22)은 이동레일(21)을 따라 튜브 분류용 매거진(13a)으로 이동되고, 튜브 그립부(23)의 작용에 의해 적정 위치에 해당되는 요부(11)에 상기 튜브(15)가 삽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패키지의 성능 테스트장치에 의해 양품 및 불량품의 패키지로 선별된 패키지가 자동 공급되어 상기 튜브(15)에 삽입된다.
이때, 카운팅 수단을 구성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매거진(13)의 요부(11)에 튜브(15)가 삽입된 것을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요부(11)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튜브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를 표시부(20)로 출력한다.
표시부(20)에서는 감지센서로부터 요부(11)에 몇 개의 튜브들이 적층되어 있는 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튜브 수량이 표시된다.
이 튜브(15)에 일정량의 패키지들이 삽입되면, 튜브 캐리어 암(22)이 이동되어 튜브 공급용 매거진(13a)으로부터 또 다른 양/불량품 패키지용 튜브를 다시 그립하여 튜브 분류용 매거진(13b)의 요부(11)에 삽입시킨다.
이때도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튜브(15)가 매거진(13)의 요부(11)에 삽입된 것을 감지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튜브 분류용 매거진(13)의 요부(11)에는 튜브(15)가 수직으로 적층되면, 적층된 튜브(15)들 중에서 맨 위에 위치한 튜브는 매거진(13)의 요부(11)에서 밀려 올라오는 튜브의 상승력을 전달받아 상기 요부(11)로부터 벗어나게 보관박스(18) 내부로 낙하된다.
여기서, 적층된 튜브(15)들 중에서 맨 위에 위치한 튜브가 보관박스(18) 내부로 낙하되는 과정은 튜브(15)의 폐쇄부(15b)가 제 1낙하 유도부(17)를 통해 먼저 낙하되면, 튜브(15)의 개구부(15a)는 제 1낙하 유도부(17)에서 낙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최종적으로 매거진(13)의 요부(11)로부터 낙하되어 보관박스(18) 내부로 튜브(15) 자체가 낙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관박스(18) 내부로 낙하되는 튜브(15)는 보관박스(18) 내부에 설치된 낙하 유도판(19)에 미끄러지면서 안정하게 보관박스(18)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후, 작업자는 일정 시간마다 보관박스(18) 내부에 보관된 튜브들을 수거하는 데, 표시부(20)에 표시된 튜브의 수량을 확인하기 때문에 종래에서처럼, 튜브의 수량을 일일이 파악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에 의하면, 양품의 패키지가 적정 개수 투입 완료된 튜브의 수량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되는 튜브의 수량 파악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품의 패키지가 투입 완료된 튜브의 수거를 용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튜브들을 수거하지 않는 동안에도 설비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되는 등의 설비 사용에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시선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지시선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핸들러의 보관박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12 : 요,철부
13 : 매거진 13a: 튜브 공급용 매거진
13b: 튜브 분류용 매거진 14: 충격완화재
15 : 튜브 15a : 개구부
15b : 폐쇄부 16 : 제 2낙하 유도부
17 : 제 1낙하 유도부 18 : 보관박스
19 : 낙하 유도판 20 : 표시부
21: 이동레일 22 : 튜브 캐리어 암
23: 튜브 그립부

Claims (11)

  1.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 상부면에 일측이 개구된 튜브를 삽입하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요철부를 갖는 한 쌍의 매거진이 설치되고, 별도로 구비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기 매거진의 요부에 수직으로 적층 삽입하여 상기 튜브에 소정의 제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직 핸들러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1낙하 유도부와;
    상기 튜브의 개구부가 위치되는 상기 매거진의 요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된 튜브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매거진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제 2낙하 유도부와;
    상기 매거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제 2낙하 유도부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튜브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박스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수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낙하 유도부는 상기 제 2낙하 유도부보다 소정 높이 낮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폐쇄부가 개구부보다 먼저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낙하 유도부는 상기 철부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요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의 절단된 단부는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낙하 유도부는 상기 철부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요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의 절단된 단부는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박스 내부에는 상기 튜브가 안정하게 낙하되도록 낙하 유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유도판은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유도판 상부면에는 낙하로 인해 상기 튜브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충격완화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수단은 상기 매거진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튜브가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을 입력받아 상기 튜브의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튜브의 수량은 상기 보관박스에 보관된 튜브와 상기 요부에 적층되어 있는 튜브의 수량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핸들러.
KR1019970057384A 1997-10-31 1997-10-31 수직핸들러 KR100476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384A KR100476665B1 (ko) 1997-10-31 1997-10-31 수직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384A KR100476665B1 (ko) 1997-10-31 1997-10-31 수직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62A KR19990035562A (ko) 1999-05-15
KR100476665B1 true KR100476665B1 (ko) 2005-07-07

Family

ID=3730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384A KR100476665B1 (ko) 1997-10-31 1997-10-31 수직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6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261A (ko) * 1992-10-21 1994-05-24 김주용 다중튜브 직접회로 이송장치
KR970064200U (ko) * 1996-05-03 1997-12-11 튜브 적치 장치
KR100223094B1 (ko) * 1996-12-28 1999-10-15 정문술 수직식핸들러의 튜브 로딩 및 언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261A (ko) * 1992-10-21 1994-05-24 김주용 다중튜브 직접회로 이송장치
KR970064200U (ko) * 1996-05-03 1997-12-11 튜브 적치 장치
KR100223094B1 (ko) * 1996-12-28 1999-10-15 정문술 수직식핸들러의 튜브 로딩 및 언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62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7500B (zh) 用于对配量的药品进行包装的设备以及用于运行该设备的方法
CN201235348Y (zh) 电子元件检测包装机
EP0999129B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US7018286B2 (en) Coin holding device for filling coin cassettes
US5380666A (en) Method for scanning and centering containers filled with a liquid
US5010929A (en) Fast acting double loading system for automatic packaging machine
US20030103838A1 (en) Apparatus for loading packing carriers into a packaging machine
TW201543190A (zh) 儲存及分送複數眼用鏡片包裝的自動化方法
KR20110111791A (ko) 용기의 다품종 장류 포장장치
CN109520882A (zh) 煤炭水分分析系统
CA3075617A1 (en) Device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medicines
CN106104642B (zh) 纸张类处理装置
CN109396866A (zh) 一种安规电容的集成多工序处理一体机
KR100476665B1 (ko) 수직핸들러
US4856566A (en) Fast acting loading system for automatic packaging machine
US20070010802A1 (en) Surgical instrument
US6755731B2 (en) Coin assortment box structure of coin sorting machine
US5310055A (en) Magazine and shipping tray for lead frames
KR100515738B1 (ko) 정제충전장치
US5755434A (en) Dispensing hopper construction for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CN210503489U (zh) 一种瓶盖正反检测装置
CN207288113U (zh) 异形护盒成品磁芯测试系统
CN109307780A (zh) 测试片收纳容器连续处理装置和方法以及测定系统和方法
CN218538076U (zh) 一种紧凑型烟叶备料自动检测系统
JP3986599B2 (ja) Ic収納容器供給方法及びic収納容器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