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635B1 -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635B1
KR100476635B1 KR10-2001-0063881A KR20010063881A KR100476635B1 KR 100476635 B1 KR100476635 B1 KR 100476635B1 KR 20010063881 A KR20010063881 A KR 20010063881A KR 100476635 B1 KR100476635 B1 KR 10047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ement
weight
aqueous solution
rea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130A (ko
Inventor
김도수
길배수
조인성
노재성
이병기
남재현
Original Assignee
동남기업 주식회사
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기업 주식회사, 노재성 filed Critical 동남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6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04B22/126Fluorine compounds, e.g. silico-flu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가 되도록 시멘트에 첨가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강도가 높으면서도 우수한 방수성을 지닌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METHOD FOR INCREASING WATER-PROOF PROPERTY OF CONCRETE OR READY-MIXED CONCRETE USING AN AQUEOUS ZINC SILICON FLUORIDE SOLUTION}
본 발명은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용액 상태의 규불화아연을 적정량 시멘트에 첨가함으로써 강도의 증진과 함께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규불화염은 물과 접촉시 규불화 이온(SiF6 2-)을 배출하는 성질에 기인하여 토양 및 시멘트를 비롯한 다양한 재료의 응결속도를 조절하거나 강도를 증진시키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출원 제1984-6714호[토양응결 경화제 조성물] 및 제1997-18924호[토양 응결용 경화제]에는 규불화마그네슘을 토양의 응결 및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 제1986-5586호[시멘트 온돌 상면용 내알칼리성 장판지의 제조방법]에는 시멘트 모르타르(mortar)에서 생성되는 알칼리를 중화 혹은 약화시키거나 시멘트 표면의 증강작용을 위해 규불화아연 및 규불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 특허출원 제1997-20500호[차음단열 조성물]는 차음단열재의 경화성능 향상을 위해 규불화아연 및 규불화마그네슘을; 국내 특허출원 제1997-556호[다기능성 고성능몰탈의 조성물] 및 리(Lee) 등(문헌[규불화마그네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지연 효과, 한국세라믹학회지, Vol. 34, No. 2])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응결지연을 목적으로 규불화마그네슘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 제233778호에서는 규불화염을 고강도 파일(PHC), 흄관, 벽돌 등 증기양생을 통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2차 제품의 고강도화를 위한 분말혼화재의 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규불화마그네슘과 함께 과망간산칼륨(KMnO4)을 병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용 구체방수제로 시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시멘트에 적용된 규불화염, 특히 규불화마그네슘은 자체의 높은 물에 대한 용해도(상온에서 약 54.8%)에 기인하여 미세한 금속불화물을 시멘트 입자 표면상에 형성시킴으로써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억제하여 과도한 응결지연을 가져와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규불화염들 중 규불화아연이 시멘트의 강도의 증진과 함께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킴을 새로이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투수를 억제하면서도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규불화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가 되도록 시멘트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시멘트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하는 수용액 상태의 규불화아연은 공업용 산화아연(알칼리 상태)과, 불산(HF) 또는 인산(H3PO4)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생가스인 사불화규소(SiF4)를 물에 흡수시켜 생성되는 산업부산물인 규불화수소산(H2SiF6 ) (산성 상태)과의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불화수소산은 고형분 함량이 25 내지 40 중량%인 수용액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규불화아연은 액상이며,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균일한 재료혼합이 가능하고 시공상 편리하도록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의 농도의 수용액으로 조절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방수제로 사용한다. 규불화아연 수용액의 농도가 10 중량%보다 낮으면, 필요한 규불화아연의 양을 가져오는 수용액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지고, 30 중량%보다 높으면 수용액의 산도(acidity)가 너무 강하게 되어 시멘트 수화반응의 저해 및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 내지 30 중량% 농도의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 함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4 중량부가 되도록 시멘트에 첨가한다.
규불화아연을 시멘트에 첨가하면, pH 12 이상의 높은 알칼리 상태인 시멘트-물계에서 규불화아연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아연 이온(Zn2+)과 규불화 이온(SiF6 -)으로 각각 해리된다.
ZnSiF6(aq.) → Zn2+(aq.) + SiF6 -(aq.)
해리된 규불화 이온(SiF6 -)은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시멘트 중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비정질 실리카(SiO2)와 불소 이온을 시멘트-물계에 공급하게 된다.
SiF6 -(aq.) + 2H2O → SiO2(s) + 4H+(aq.) + 6F-(aq.)
생성된 불소 이온은 시멘트 중 Ca2+ , Na+ 및 K+ 등의 알칼리 이온과 반응하여 하기 반응식 3에 의해 1㎛ 이하의 금속불화물인 미립자를 생성하게 된다. 이 중 시멘트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Ca2+에 의한 금속불화물 생성반응이 가장 우세하게 진행된다.
2F-(aq.) + Ca2+(aq.)(2Na+, 2K+) → CaF2 (s)(2NaF, 2KF)
이와 같은 반응에 의해 생성된 금속불화물 미립자는 시멘트 콘크리트 중에 존재하는 수∼수십㎛의 공극 및 수화물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치밀하게 충전시켜, 약 5kgf/cm2의 투수압력에서도 콘크리트의 투수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콘크리트 조직의 치밀화에 의해 균열 및 공극이 감소됨으로써 조직의 결함이 제거(defect free)되는 현상을 가져와 콘크리트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규불화아연은 다른 규불화염과는 달리 물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약 40% 정도로 적당히 높아 콘크리트의 치밀한 조직 형성에 기여하는 미세한 금속불화물을 시멘트-물 중에 다량 생성시킨다.
따라서, 시멘트 및 통상적인 부재료(예: 모래 및 석쇄와 같은 골재, 물) 이외에도,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4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시멘트 조성물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우수한 방수성을 지닌 콘크리트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5 중량%의 규불화수소산(H2SiF6) 수용액과 산화아연(ZnO)으로부터 제조된, 15 중량%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시멘트 중량 대비 1.5 중량부(규불화아연 5.490 kg/m3)로 시멘트 366 kg/m3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모래(잔골재) 및 쇄석(굵은 골재)을 각각 835 및 970 kg/m3으로 첨가하고, 혼합수는 183 kg/m3으로 첨가하여 배합하였다. 이때,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모래는 5mm 이하의 것을, 쇄석은 25mm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재료 배합 후 콘크리트의 비빔은 강제식 팬형(pan-type) 믹서를 사용하여, 먼저 시멘트와 모래를 30초 동안 건비빔한 후 물을 넣고 60초 동안 다시 비빈 다음 여기에 쇄석을 넣고 60초 동안 비빔하였다. 이어, 통상적인 고성능 감수제와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첨가하고 60초 동안 비빔하여 총 3분 30초 동안 실시하였다. 재령별 콘크리트의 양생은 모두 실온에서 기건 양생시켜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2 내지 4 각각에 있어서,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시멘트 중량 대비 각각 1.8 중량부(규불화아연 6.588 kg/m3), 2.1 중량부(규불화아연 7.686 kg/m3) 및 2.4 중량부(규불화아연 8.784 kg/m3)로 시멘트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비교예
규불화아연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시험예 1: 압축강도의 측정
배합한 후 재령 3, 7, 28 및 56일 경과한 각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강도(kgf/cm2)를 KS F 2405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규불화아연 수용액 첨가량(중량부) 재령별 압축강도
3일 7일 28일 56일
비교예 0 145 170 235 261
실시예 1 1.5 156 227 268 278
실시예 2 1.8 160 232 271 291
실시예 3 2.1 144 222 267 278
실시예 4 2.4 151 220 259 273
상기 표 1로부터, 비교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규불화아연의 첨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재령 28일의 경우, 적게는 10.2%에서 많게는 15.3%까지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응결시간의 측정
종래에 사용되던 규불화염이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과도하게 지연시켜 강도를 저하시킨다는 사실과 관련지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 시료를 대상으로 KS F 2436(관입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 시험방법)에 따라 초결과 종결로 나누어 응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응결시간 (시간:분) 비교예 대비 지연시간 (시간:분)
초결 종결 초결 종결
비교예 2:40 7:00 - -
실시예 1 3:25 8:40 0:45 1:40
실시예 2 3:20 9:00 0:40 2:00
실시예 3 3:25 8:50 0:45 1:50
실시예 4 3:22 9:07 0:42 1:07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규불화아연의 첨가는 초결에서는 약 40∼45분, 종결에서는 약 2시간 이하의 완만한 응결시간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응결지연은 ASTM C 494에서 제시하고 있는 응결지연 규격시간 무첨가에 대해 초결 60분∼210분, 종결 210분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오히려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간의 응결지연은 레미콘 공장에서 타설시까지 수시간 이내의 이동시간이 필요한 레미콘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적합한 물성이다.
시험예 3: 투수성의 측정
실시예 2, 4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콘크리트 시료에 대하여 배합 후 600시간까지 100시간별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투수압력인 5kgf/cm2에서의 투수량(g)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배합 후 경과시간별 투수량 600시간 경과시 비교예 대비 투수율(%)
0 100 200 300 400 500 600
비교예 0.00 0.92 4.25 9.36 13.80 15.10 15.60 100
실시예 2 0.00 1.36 1.54 1.60 1.60 1.60 1.60 10.3
실시예 4 0.00 1.28 1.43 1.56 1.56 1.56 1.56 10.0
상기 표 3으로부터, 배합 후 600시간 경과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콘크리트는 비교예의 10%의 투수율을 나타냄으로써 투수성이 현저히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규불화아연 수용액의 첨가로 콘크리트의 투수성을 크게 낮추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부터 콘크리트에 대한 규불화아연의 방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고강도 및 높은 방수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산업부산물인 규불화수소산으로부터 얻어진 규불화아연을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1.5 내지 2.4 중량부가 되도록 시멘트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규불화아연 수용액이 산화아연과 규불화수소산(H2SiF6)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2 항에 있어서,
규불화수소산이 25 내지 40 중량% 농도의 수용액 상태의 산업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시멘트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10 내지 30%(w/w) 규불화아연(ZnSiF6) 수용액을 규불화아연 고형분의 함량이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1.5 내지 2.4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용 시멘트 조성물.
제 4 항에 있어서,
규불화아연 수용액이 산화아연과 규불화수소산(H2SiF6)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5 항에 있어서,
규불화수소산이 25 내지 40 중량% 농도의 수용액 상태의 산업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1-0063881A 2001-10-17 2001-10-17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047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881A KR100476635B1 (ko) 2001-10-17 2001-10-17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881A KR100476635B1 (ko) 2001-10-17 2001-10-17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130A KR20030033130A (ko) 2003-05-01
KR100476635B1 true KR100476635B1 (ko) 2005-03-17

Family

ID=2956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881A KR100476635B1 (ko) 2001-10-17 2001-10-17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6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441A (en) * 1978-05-18 1979-11-26 Kubota Ltd Coating compound for cement product
US4258090A (en) * 1979-01-19 1981-03-24 Institutul De Cergetari In Constructii Si Economia Constructilor Incerc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concrete in sea water
JPH02184584A (ja) * 1989-01-11 1990-07-19 Ooka Masami コンクリート表面硬化剤
KR20020035713A (ko) * 2000-11-08 2002-05-15 김영구 대리석 표면을 관리하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441A (en) * 1978-05-18 1979-11-26 Kubota Ltd Coating compound for cement product
US4258090A (en) * 1979-01-19 1981-03-24 Institutul De Cergetari In Constructii Si Economia Constructilor Incerc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concrete in sea water
JPH02184584A (ja) * 1989-01-11 1990-07-19 Ooka Masami コンクリート表面硬化剤
KR20020035713A (ko) * 2000-11-08 2002-05-15 김영구 대리석 표면을 관리하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130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104B2 (ja) 耐久性オキシ塩化マグネシウムセメント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KR101940645B1 (ko) 균열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 공법
JP4911580B2 (ja) 低比重軽量発泡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7226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KR100609723B1 (ko) 콘크리트(자기발열형 수경성 무기화합물)의 수밀성 개선및 균열 억제를 위한 규불화염계 수화열 저감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476635B1 (ko) 규불화아연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의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US7824322B2 (en) Titanium production waste byproduct as partial cement replacement
KR100417528B1 (ko) 콘크리트의 방수 및 강도증진을 위한 2성분 규불화염계액상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61233B1 (ko) 수밀성 무기질 균열저감제가 함유된 레미콘 조성물
Edwards et al. Pozzolanic properties of glass fines in lime mortars
KR100447615B1 (ko) 레미콘 조성 콘크리트용 규불화염계 첨가제 조성물
CN108569914B (zh) 一种室内水泥地面专用固化剂及其使用方法
JP2021165220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US2195586A (en) Acid and water proof cement
KR20050103010A (ko) 고 유동도 건조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JP3118415B2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その製法
KR100622062B1 (ko) 액체방수재
KR102335743B1 (ko) 방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449813B1 (ko) 균열보수 성능을 갖는 표면강화제 조성물
JP2000327397A (ja) 廃ガラスを用いた水熱固化体
RU2074144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химически стойкого кремнебетона автоклавного твердения
KR102100959B1 (ko) 이온 공급 혼화제와 개질 라텍스를 활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0086312A (ja) 水和硬化体
JP2001019571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00515118B1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고강도 자동 수평 모르타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