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294B1 - 폐계면활성제펩타이드의가용화방법 - Google Patents

폐계면활성제펩타이드의가용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294B1
KR100475294B1 KR10-1998-0703688A KR19980703688A KR100475294B1 KR 100475294 B1 KR100475294 B1 KR 100475294B1 KR 19980703688 A KR19980703688 A KR 19980703688A KR 100475294 B1 KR100475294 B1 KR 10047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eptide
amino acid
ethanol
fluorinated alcohol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660A (ko
Inventor
제임스 브이. 웨버
챨즈 에프. 카설라니스
케이스 삼피노
Original Assignee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5Alveolar surfactant peptides; Pulmonary surfactant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82Lung surfactant, artificial m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계면활성제 단백질을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여 에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에탄올 주입에 의해 단백질을 리포좀으로 제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계면활성제 펩타이드의 가용화 방법
본 발명은 약제학적 조성물 및 에탄올 주입에 의한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 단백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폐 계면활성제 단백질을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여 에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에탄올 주입에 의해 단백질을 리포좀으로 제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 계면활성제는 폐포성 공기-물 계면에서 단층 형성을 촉진하고, 표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숨을 내쉬는 동안 폐포의 허탈을 방지하는 지질과 단백질의 복합 혼합물이다. 조산아, 및 때때로 만삭의 신생아는 충분한 내인성 폐 계면활성제의 결핍으로 인해 종종 호흡곤란증(RDS)으로 알려진 증상으로 고통받는다. 따라서, 인공 폐 계면활성제는 이러한 증상을 치료함으로써 영아 이환 및 사망을 감소시키도록 개발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인공 폐 계면활성제는 또한 성인 호흡곤란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KL4로 공지된 이러한 폐 인공 계면활성제중의 하나가 미합중국 특허 제 5,164,369 호 및 제 5,260,273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KL4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지질과 소수성 및 양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가 교대로 배열된 폴리펩타이드를 혼합된 상태로 함유하는 합성 폐 계면활성제 조성물이다. 임상용으로 제형화된 조성물은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PPC), 팔미토일올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POPG), 팔미트산(PA), 및 완충 수성 매질중에 현탁화된 합성 펩타이드 KL4 를 함유하는 리포좀이다. 궁극적인 약제 생성물은 폐에 직접 점적 주입하도록 의도된 리포좀성 현탁제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인공 폐 계면활성제 KL4는 리포좀성 제제이다. 리포좀은 구형 이중층으로 배열된 양친매성 지질을 함유하는 작은 소포이다. 리포좀은 수성 채널로 분리된 다수의 동축성 지질 이중층을 가질 수 있거나(다층판 소포 또는 MLV), 작은 단층판 소포(SUV) 또는 큰 단층판 소포(LUV)일 수 있는 단일막 이중층(단층판 소포)을 가질 수 있다. 지질 이중층은 소수성 "꼬리"부 및 친수성 "머리"부를 갖는 두 개의 지질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막 이중층에서, 지질 단층중의 소수성 "꼬리"부는 이중층의 중심부를 향해 있고, 친수성 "머리"부는 수성상을 향해 있다.
리포좀은 이중층 사이에 또는 수성 내부에 친수성 화합물을 포획하거나, 또는 이중층내에 소수성 화합물을 포획함으로써 각종 물질을 캡슐화(encapsulatio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리포좀은 그 자체로서, 불량한 수용해도를 나타내거나, 치료적 투여량에서 허용되지 않는 독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캡슐화함으로써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전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리포좀 및 관련 인지질 소포 복합체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술은 "무수" 지질을 수성상에 도입하는 것으로 시작된다(참조: D. Lasic, J. Theor. Biol. (1987) 124:35-41). 일단 지질이 수화되기만 하면, 리포좀은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리포좀중의 층판(lamellae)수를 조절하고, 규정된 입자 크기를 만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리포좀을 제조하는 한 방법이 문헌[S. Batzre et al., Biochem. Biophys Acta (1973) 298:1015-1019; J. Kremer et al., Biochemistry (1977) 16:3932-3935)에 에탄올 주입 방법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본출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이 방법에서는, 지질 및 활성성분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이를 완충용액을 임의로 함유하는 수성상에 주입시킨다. 이 방법에 따라 규정된 크기의 단일판층 소포가 형성되며, 이는 KL4 폐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이 리포좀성 KL4 조성물은 현재 상기 언급된 에탄올 주입 방법에 의해 제형화된다. 이 제형 방법은 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95%의 에탄올중에 용해되는 KL4 펩타이드 성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고체상 합성에 의해 제조된 KL4 펩타이드는 95% 에탄올중에 ㎖ 당 약 1 ㎎의 극히 저조한 에탄올 용해성을 나타낸다. 펩타이드의 용해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규모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 하나는 혼합 수성/유기 용매 시스템에서 펩타이드를 저농도로 동결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용 및 물질의 생산량을 고려할 때 특히 대규모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KL4 펩타이드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리포좀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것으로 TFE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동안의 폴리펩타이드 KL4-아세테이트의 FR-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것으로 TFE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동안의 폴리펩타이드 KL4-아세테이트의 C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고체 폴리펩타이드 KL4-아세테이트의 FR-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고체 폴리펩타이드 KL4-아세테이트의 FT-RAMAN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전 및 후의 고체 KL4-아세테이트의 폴리펩타이드 이차 구조를 FT-IR 분석한 것이다. 아미드 I, II, III 영역의 이차 유도화된 스펙트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전 및 후의 고체 KL4-아세테이트의 폴리펩타이드 이차 구조를 FT Raman 분석한 것이다. 아미드 I, II, III 영역의 이차 유도화된 스펙트럼.
도 7은 95%의 EtOH에 용해된 TFE(5 ㎎/㎖, 45 ℃)로 처리한 후의 고체 폴리펩타이드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은 95%의 EtOH에 용해된 TFE(5 ㎎/㎖, 45 ℃)로 처리한 후의 고체 폴리펩타이드의 원평광 이색성(C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후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가용성 KL 4 폐 계면활성제 폴리펩타이드의 제조
교반자, 항온조, 온도 열전쌍 및 고체 부가 깔때기가 장치된 5.0 ℓ의 반응 플라스크에 트리플루오로에탄올 1.95 ℓ를 첨가한다. 27 ℃의 온도에서 온화하게 교반하면서 고체 KL4-아세테이트(80.0 g)를 조금씩 첨가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깔때기 및 플라스크 벽을 트리플루오로에탄올 0.05 ℓ로 헹군다. 그후, 플라스크를 공기와 차단하고, 생성된 우유빛 용액을 27 ℃에서 약 24 시간동안 교반한다. 우유빛 용액의 대표적인 샘플을 약 t=0, t=5h, t=7h 및 t=24.5h 시간 간격을 두고 취한다. 이 샘플에 대해 정보 목적으로 OD 450 ㎛ UV, FTIR, CD, 투명도(네슬러(Nessler)관) 및 점도(침구(falling ball) 타입)를 측정한다.
FT-IR 스펙트럼 분석(도 1)결과는 TFE 에서의 이차 구조가 β-시트에서 α-나선으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낸다. 1655 및 1548 ㎝-1에서의 강한 흡수 밴드는 분자내 수소결합(α-나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큐베이션 기간동안 FT-IR 스펙트럼에서 아미드 I 및 II 영역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전환은 TFE에 펩타이드가 용해될 때 완료(KL4 첨가후 t=10 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표 2 에 나타난 OD450 분석결과는 0.08 미만의 비교적 낮은 OD450 값을 갖는 to포인트(KL4 첨가후 10 분)에서 응집이 거의 없음을 나타낸다. 인큐베이션 전 과정을 통해 OD450 값은 to후 0.01 내지 0.03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변한다. 이것은 시스템의 평형화 및 상이한 응집 상태간의 진동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
[표 2]
OD450 및 최소 평균 엘리피서티(ellipicity) 값
CD 스펙트럼(도 2)은 -25000 내지 -33000[θ](deg·㎝2/dmole)사이에서 최소 엘리피서티를 갖고, 200 nm에서 이소베스틱 포인트(isobestic point)를 가지면서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는데, 이는 이차 구조가 인큐베이션 과정동안에 거의 차이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소 평균 몰 엘리피서티가 차이나는 것은 펩타이드의 상이한 응집 상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IR 데이터는 펩타이드의 이차 구조에 변화가 없고 거의 예외없이 나선형임을 시사한다. CD 및 OD450 데이터는 펩타이드가 다이머, 트리머 등의 나선 "번들(bundle)"을 형성하고, TFE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동안에 일정하게 어느정도 변함을 시사한다.
24.5 시간의 인큐베이션 기간후, 생성된 용액을 와트만 #1 여과지를 통해 진공여과한다. 그후, CD 및 OD450 측정을 위해 여액 샘플을 꺼낸다. 여액을 고진공(24 내지 28 인치 Hg)하에 37 내지 38 ℃에서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켜 고체 잔류물을 수득한다.
그후 형성된 고체를 60 메쉬 스크린에 통과시키고, 상기와 동일한 온도 및 압력 조건하에 회전 증발기상에서 TFE의 함량이 10% 미만으로 될 때까지 더 건조시킨다.
적당한 환기 및 먼지 보호하에서 생성물을 폴리프로필렌 용기로 옮겨 -20 ℃에서 보관한다. 최종 매스(mass)를 82.64 g 수율로 수득한다. 분석 조정된 수율이 68.4 g(91.7%)인 TFE 처리된 KL-4를 백색 내지 회백색 분말로 수득한다([α]D 20(c=0.1, 10% Hac), -40.79; MW=2470.2).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고체 펩타이드의 FT-IR 스펙트럼(도 3A 및 3B) 분석결과는 상당부분이 1656 내지 1657 ㎝-1(아미드 I) 및 1537 내지 1548 ㎝-1(아미드 II)의 영역에서 강한 흡수 밴드를 갖는 분자내 수소결합(α-나선)에 의함을 나타낸다. 고체 상태의 샘플을 FT-Raman 분석(도 4A 및 4B)한 결과 펩타이드는 1656 ㎝-1에서 강한 아미드 I 밴드 및 1313 ㎝-1에서 아미드 III 밴드를 갖는 주로 나선형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5는 TFE 처리전 및 후의 폴리펩타이드 KL4의 FT-IR 스펙트럼(아미드 I, II, II 영역은 이차 구조를 나타낸다)이다. 처리전 폴리펩타이드의 스펙트럼은 IR 스펙트럼의 경우에 분자간 수소결합(β-시트)을 나타내는 1694 및 1628 ㎝-1에서 강한 시그널을 갖는다. 1658 및 1546 ㎝-1에서의 약한 흡수 밴드는 이들 샘플내에 약간의 분자내 수소결합(α-나선형)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TFE로 처리한 후의 고체 폴리펩타이드의 스펙트럼은 1656 내지 1657 ㎝-1(아미드 I) 영역 및 1537 내지 1548 ㎝-1(아미드 II)영역에서 강한 흡수 밴드를 가지며, 이는 β-시트구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주로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Raman 스펙트럼의 아미드 I(1640 내지 1680 ㎝-1) 및 아미드 III(1220 내지 1300 ㎝-1) 영역을 분석한 결과이다. TFE로 처리하기 전의 폴리펩타이드의 스펙트럼은 분자간 수소결합(β-시트)을 나타내는 1671 ㎝-1에서 강한 시그널을 가지며, 이는 IR 데이터와 일치한다. 1239 및 1213 ㎝-1(아미드 III)에서의 시그널은 또한 분자간 수소결합(β-시트)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TFE로 처리한 후의 고체 폴리펩타이드의 스펙트럼은 폴리펩타이드가 1656 ㎝-1에서 강한 아미드 I 밴드 및 1313 ㎝-1에서 아미드 III 밴드를 갖는 주로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샘플을 95% EtOH(5 ㎎/㎖)에 용해시켜 등명한 비점성 용액을 수득한다. 이 용액을 IR 및 CD 분광계로 분석한다. FT-IR 스펙트럼(도 7) 분석결과 펩타이드는 1656 내지 1657 ㎝-1(아미드 I) 및 1537 내지 1548 ㎝-1(아미드 II) 영역에서 강한 흡수 밴드를 가지며, 이는 (β-시트) 구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주로 나선형 구조에 의한 것으로, 펩타이드는 95% EtOH에서 주로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용액으로부터 얻은 CD 커브(도 8)는 IR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 용액을 45 ℃에서 40 분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시간에 대한 OD450 값을 조사한다.(표 3). 0 시간에서, 낮은 OD450 값(<0.05)은 초기에 응집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OD450 값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이는 펩타이드가 용액에서 응집(용액은 여전히 등명하며 비점성이다)함을 의미한다.
[표 3]
95% EtOH에 용해된 펩타이드(5 ㎎/㎖)에 대한 OD 450 값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용성 KL4 폐 계면활성제 폴리펩타이드는 상기 및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리포좀성 약제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탄올 주입에 의해 폴리펩타이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지질을 함유하는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포함한다. 이 개선 방법은
a) 약 5 내지 40 ㎎/㎖의 농도로 불소화 알콜중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 용액을 제조하고;
b) 450 nm 에서 0.06 미만의 광밀도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c) 여과하고;
d) 불소화 알콜을 제거하여 가용성 고체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에탄올에서 향상된 용해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 형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펩타이드는 미합중국 특허 제 5,164,369 호 및 5,260,273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소수성 및 친수성 아미노산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하기 화학식의 서열을 포함하고, 적어도 10 개 내지 60 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는 선형 폴리펩타이드이다:
(ZaUb)cZd
상기식에서,
Z 는 R 및 K 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친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U 는 V, I, L, C 및 F 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며;
a 는 약 1 내지 약 5의 평균값을 갖고;
b 는 약 3 내지 약 20의 평균값을 가지며;
c 는 1 내지 10이고;
d 는 1 내지 3이다.
KLLLLKLLLLKLLLLKLLLLK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KL4 가 특히 바람직하다.
KL4 를 포함한 상기 합성 폴리펩타이드는 α-나선형, β-주름형, β-시트형 또는 불규칙한 코일형 이차 구조를 포함한 각종 이차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α-나선 형태가 에탄올에 대한 용해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펩타이드에 α-나선형 이차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폴리펩타이드의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라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여 제조한 폴리펩타이드는 95% 에탄올에서 향상된 용해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에탄올 주입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 폴리펩타이드를 불소화 알콜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에탄올 용매와 혼합하여 에탄올 주입 방법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그후, 리포좀 제조 과정중에 불소화 알콜을 투석 또는 증발에 의해 에탄올 용매와 함께 제거할 수 있다. 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이 바람직한 불소화 알콜이다.
본 원에 언급된 모든 아미노산은 자연 L-배열로 존재한다.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약어를 문헌[J. Biol. Chem. 243:3557-59 (1969)]에 기재된 표준 폴리펩타이드 명명법에 따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본 원에 언급된 아미노산 잔기는 왼쪽(아미노-말단)에서 오른쪽(카복실-말단) 방향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기재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공 폐 계면활성제 폴리펩타이드는 당 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의해, 예를 들어 고체상 합성, 재조합 DNA 기술 또는 고전적인 용액 합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5,164,369 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이와 같은 여러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특히 고체상 합성을 이용하여 폴리펩타이드를 제조하는 경우, 생성된 폴리펩타이드는 가변(variable) 이차 구조를 나타낼 수 있고, 에탄올중의 용해도가 일정치 않을 수 있다. 고체상 합성이 이용되는 경우, 주요 이차 구조는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은 반평행 β-시트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폴리펩타이드를 본 발명에 따라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게 되면, 폴리펩타이드에 의해 나타나는 주요 이차 구조는 α-나선형을 이루고, 에탄올에 대한 폴리펩타이드의 용해도가 향상된다. 또한, 폴리펩타이드를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면 용액에서 폴리펩타이드의 응집이 최소화되어 공정이 개선된다.
본 방법은 불소화 알콜 용액에 폐 계면활성제 폴리펩타이드를 5 내지 40 ㎎/㎖ 농도로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그후, 생성된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폴리펩타이드를 용해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인큐베이션시킨다. 인큐베이션 시간은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가 탈응집되어 등명한 비점성 용액으로 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인큐베이션시켜야 한다. 충분한 탈응집 시점은 용액이 450 nm에서의 광 산란을 측정하여 얻은 것으로 0.06 미만,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의 광밀도를 나타낼 때이다.
응집은 450 nm(OD450)에서 샘플내 응집물의 광 산란에 의한 겉보기 흡광치(apparent absorbance)를 측정함으로써 검사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파장이 450 nm로 고정된 UV/Vis 분광광도계가 사용된다. 장치의 샘플 격벽 구조는 광 산란을 정확히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며 테스트되어온 장치는 퍼킨 엘머(Perkin Elmer) LAMDA 14 UV/Vis 분광계 및 Shimadzu DU 260 UV/Vis 분광계이다.
일반적으로, KL4 펩타이드를 TFE중에서 2 내지 24 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여과하여 최종 응집물 및 미립자 물질을 제거한다.
분무 건조, 회전 증발 또는 침전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에 의해 회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기술은 모두 불소화 알콜을 제거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여과용액을 고진공하에 37 내지 40 ℃에서 회전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킨다. 회전증발이 바람직하다. 수득한 고체를 진공하에 37 내지 40 ℃에서 건조시켜 잔류 용매를 제거한다. 그후, 회수한 폴리펩타이드를 당 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에탄올 주입에 의한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불소화 알콜은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및 그밖의 다른 불소화 알콜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불소화 알콜은 "나선 안정화" 매질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선형 폴리펩타이드는 다른 이차 구조의 폴리펩타이드보다 응집이 덜 일어난다. 이러한 효과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고유성질이라기 보다는 불소화 알콜의 성질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리포좀성 KL4 폐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의한 불소화 알콜의 처리없이 제형화된 생성물에 비해 감소된 점도를 나타냄이 밝혀졌다. 리포좀성 KL4 약제 생성물의 제형화 및 작용에 있어서 마주치게 되는 문제점중의 하나는 약제 생성물의 점성이 폐에서의 효과적인 분포를 제한하여 생체내 활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종 약제 생성물의 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KL4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에서, 폐 계면활성제 폴리펩타이드를 상술한 방법에 의해 불소화 알콜로 처리하고, 수득한 용액을 에탄올 용매와 혼합하여 에탄올 주입에 의한 리포좀 제조공정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그후, 리포좀 제조 과정중에 불소화 알콜을 당 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투석 또는 증발에 의해 에탄올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Claims (8)

  1. a) 5 내지 40 ㎎/㎖의 농도로 불소화 알콜중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 용액을 제조하고;
    b) 450 nm 에서 0 내지 0.06 미만의 광밀도를 나타내도록 인큐베이션한 후;
    c) 여과하고;
    d) 불소화 알콜을 제거하여 가용성 고체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에탄올 용해성이 증가된 폴리펩타이드,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 형태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에탄올 주입에 의해 폴리펩타이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지질을 함유하는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펩타이드가 소수성 및 친수성 아미노산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하기 화학식의 서열을 포함하여, 10 개 내지 60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는 선형 폴리펩타이드인 방법:
    (ZaUb)cZd
    상기식에서,
    Z 는 R 및 K 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친수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U 는 V, I, L, C 및 F 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이며;
    a 는 1 내지 5의 평균값을 갖고;
    b 는 3 내지 20의 평균값을 가지며;
    c 는 1 내지 10이고;
    d 는 1 내지 3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펩타이드가 KLLLLKLLLLKLLLLKLLLLK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불소화 알콜이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인 방법.
  5. 폴리펩타이드를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5 내지 40 ㎎/㎖의 농도로 불소화 알콜에 용해시켜 예비-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인지질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수성상에 도입시켜 리포좀을 제조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지질을 함유하는 리포좀성 폐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펩타이드가 KLLLLKLLLLKLLLLKLLLLK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불소화 알콜이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수성상이 완충 용액을 함유하는 방법.
KR10-1998-0703688A 1995-11-20 1996-10-22 폐계면활성제펩타이드의가용화방법 KR100475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4795P 1995-11-20 1995-11-20
US60/007347 1995-11-20
PCT/US1996/016804 WO1997019108A1 (en) 1995-11-20 1996-10-22 Pulmonary surfactant peptide solubilization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660A KR19990067660A (ko) 1999-08-25
KR100475294B1 true KR100475294B1 (ko) 2005-07-28

Family

ID=2172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688A KR100475294B1 (ko) 1995-11-20 1996-10-22 폐계면활성제펩타이드의가용화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741891A (ko)
EP (1) EP0886652B1 (ko)
JP (1) JP3856343B2 (ko)
KR (1) KR100475294B1 (ko)
AT (1) ATE216403T1 (ko)
AU (1) AU721289B2 (ko)
CA (1) CA2236164C (ko)
DE (1) DE69620801T2 (ko)
DK (1) DK0886652T3 (ko)
ES (1) ES2176503T3 (ko)
HK (1) HK1015381A1 (ko)
MX (1) MX9803978A (ko)
NO (1) NO320442B1 (ko)
PT (1) PT886652E (ko)
TW (1) TW553748B (ko)
WO (1) WO1997019108A1 (ko)
ZA (1) ZA9696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66897A (en) * 1996-03-27 1997-10-17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Manufacture of liposomes and lipid-protein complexes by ethanolic injection and thin film evaporation
EP1192184B1 (en) * 1999-06-17 2007-01-03 ALTANA Pharma AG Surfactant protein c esters
US7390788B2 (en) * 2005-06-23 2008-06-24 Pert Candace B 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140141066A1 (en) * 2012-11-20 2014-05-22 Lipo Naturals Llc Encapsulated Ascorbic Acid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369A (en) * 1988-01-06 1992-11-17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ulmonary surfactant protein and related polypeptide
US5260273A (en) * 1988-01-06 1993-11-09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ulmonary surfactant protein and related polypeptide
US4861756A (en) * 1988-03-08 1989-08-29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Synthetic pulmonary surfactant
US5272252A (en) * 1991-11-04 1993-12-21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Synthetic lung surfactant having antioxidant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69692B (en) 1998-05-19
JP3856343B2 (ja) 2006-12-13
KR19990067660A (ko) 1999-08-25
US5741891A (en) 1998-04-21
HK1015381A1 (en) 1999-10-15
AU721289B2 (en) 2000-06-29
WO1997019108A1 (en) 1997-05-29
NO982279D0 (no) 1998-05-19
EP0886652B1 (en) 2002-04-17
JP2001527511A (ja) 2001-12-25
NO320442B1 (no) 2005-12-05
ES2176503T3 (es) 2002-12-01
PT886652E (pt) 2002-09-30
NO982279L (no) 1998-05-19
TW553748B (en) 2003-09-21
DE69620801D1 (de) 2002-05-23
DE69620801T2 (de) 2002-10-10
CA2236164A1 (en) 1997-05-29
MX9803978A (es) 1998-09-30
CA2236164C (en) 2005-08-16
ATE216403T1 (de) 2002-05-15
EP0886652A1 (en) 1998-12-30
DK0886652T3 (da) 2002-08-12
AU7459596A (en)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443B1 (ko) 개선된 특성을 가지는 재구성된 계면활성제
CA2022443A1 (en) Pulmonary surfactant protein fragments
HUE034053T2 (en) Reconstituted Surfactant Composition Containing Enhanced B Surfactant Protein (SP-B) and C Surfactant Protein (SP-C) Analogs
EP0458167B1 (en) Fatty acid-pulmonary surfactant conjugates
KR100475294B1 (ko) 폐계면활성제펩타이드의가용화방법
PL180020B1 (en) Novel synthetic peptide, lubgs surfactant containing such peptide and agent for treating respiratory insufficiency syndrome
JP5441904B2 (ja) 合成肺サーファクタントペプチド
Laczkó et al. Liposome-induced conformational changes of an epitopic peptide and its palmitoylated derivative of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JPH06502427A (ja) 合成肺表面活性剤
Laczkó et al. Ca2+-and Al3+-induced conformational transitions of amyloid fragment H-Ile-Ile-Gly-Leu-Met-NH2
JP2597927B2 (ja) リン脂質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ポソーム
RU2144925C1 (ru) Новые синтетические пептиды, легочная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респираторного дистресс-синдрома
CN106083637B (zh) 味精类脂、味精脂质体的合成方法及其应用
JP4762466B2 (ja) サーファクタントタンパク質cエステル
KR20180100967A (ko) 다중성분 기반의 다중 베시클, 이의 용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U2001291904B2 (en) Liposomes encapsulating anticancer drugs and the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Da Costa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in the fusion of small unilamellar phosphatidylcholine vesicles induced by a model peptide
Quarzago et al. Conformational analysis of bioactive peptides in reverse micelles as mimics of cell membrane environments
WO2007001094A1 (ja) 人工肺サーファクタント組成物
Krill et al. Effect of a bovine lung surfactant protein isolate (SP‐B/C) on Egg phosphatidylglycerol acyl chain order in a lipid mixture with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and palmitic acid
Meijneke et al. Dimeric assemblies of transmembrane model peptides; Design, synthesi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