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457B1 -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457B1
KR100474457B1 KR10-2002-0019327A KR20020019327A KR100474457B1 KR 100474457 B1 KR100474457 B1 KR 100474457B1 KR 20020019327 A KR20020019327 A KR 20020019327A KR 100474457 B1 KR100474457 B1 KR 10047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cylindrical portion
loading box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610A (ko
Inventor
김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국특수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국특수포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국특수포장
Priority to KR10-2002-001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4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A)의 하부에 모터장착구(110)에 의해 설치되는 감속모터(120)와, 상기 모터축에 형성된 축연결구(131)에 의해 결합되는 축봉(130)과, 상기 축봉(130)을 지지하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의 측면에 부착되는 축 브래킷(140)과, 상기 축봉(130)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기어(151)를 구비하는 원통부(150)와, 상기 원통부(150)에 끼워져 헛돌도록 결합된 클러치부(160)와, 상기 클러치부(160)에 고정된 바(161)와, 상기 클러치부(160)가 원통부(150)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원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170)로 구성되어진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운전자의 힘으로만 여닫던 상당한 하중의 적재함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손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또 도어를 서서히 여닫게 하므로써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A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oor of freight car}
본 발명은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차적재함 도어를 구동장치에 의해 작업자가 큰 힘들이지 않고 여닫을 수 있는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양측면에는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어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도어는 힌지(hinge)에 의해 상하로 여닫힐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당한 길이와 중량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도어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여닫기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특히 대형 화물차량의 경우 상기 도어의 하중이 100kg이상을 넘어서기도 하기 때문에 화물을 싣고 내릴 때마다 상기 도어를 여닫아야 하는 운전자에겐 매우 부담스러운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화물의 운반량에 따라 수익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대형화물차량의 운전자들에게는 자주 열고닫아야 하는 상기와 같은 적재함 도어를 힘들이지 않고 여닫을 수 있는 수단이 어느때보다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도어를 큰 힘들이지 않고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터장착구에 의해 적재함의 하부에 결합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축연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지지하기 위해 적재함의 측면에 부착되는 축 브래킷와, 상기 축봉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기어를 구비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 끼워져 헛돌도록 결합된 클러치부와, 상기 클러치부에 고정된 바와, 상기 클러치부가 원통부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원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로 이루어진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A)의 하부에 모터장착구(110)에 의해 설치되는 감속모터(120)와, 상기 모터축에 형성된 축연결구(131)에 의해 결합되는 축봉(130)과, 상기 축봉(130)을 지지하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의 측면에 부착되는 축 브래킷(140)과, 상기 축봉(130)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기어(151)를 구비하는 원통부(150)와, 상기 원통부(150)에 끼워져 헛돌도록 결합된 클러치부(160)와, 상기 클러치부(160)에 고정된 바(161)와, 상기 클러치부(160)가 원통부(150)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원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 브래킷(140)은 축봉(130)이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축공(142)과 상기 축공의 상단에 형성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측면 또는 하단에 부착되는 부착판(14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축공(142)에는 축봉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부(160)는 원통체의 내부에 기어(161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원통부(150)에 위치하여 헛돌고 있다가 상기 기어(161a)가 원통부(150)에 형성된 기어(151)와 맞물리게 될 때 비로소 바(16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클러치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이동시키게 되면 클러칭되어 모터(120)의 회전력을 바(161)에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1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내려져 있는 적재함 도어(B)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모터의 구동은 정지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열릴 때는 반대의 구성에 의해 바(161)로 도어를 지지하면서 서서히 내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130)의 외주(外周) 일측에 요부(181)와 철부(182)가 반복되어 굴곡진 형상을 갖는 밴드결속구(180)가 용접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밴드결속구(180)는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결속밴드(C)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축봉(130)이 감속모터(1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축봉(130)에 장착된 밴드결속구(180)도 함께 회전되어지고 결국 상기 결속밴드 내삽공(183)에 끼워넣은 결속밴드(C) 역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밴드결속구(180)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서로 겹친상태로 말리게 되고 이로인해 결속밴드(C)끼리 엄청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어 풀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결속밴드(C)를 풀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축봉(130)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운전자의 힘으로만 여닫던 상당한 하중의 적재함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손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또 도어를 서서히 여닫게 하므로써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축봉에 밴드결속구를 형성하므로써 화물결속밴드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매우 경제적인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을 이용해 도어를 닫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결속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6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이하 도어개폐장치라 한다)
110: 모터장착구
120: 감속모터 130: 축봉
131: 연결구
140: 축 브래킷(shaft bracket) 141: 부착판
142: 축공(軸孔)
150: 원통부 151: 기어
160: 클러치부 160a: 기어
161: 바(bar)
170: 이탈방지구
180: 밴드결속구
181: 요부(凹部) 182: 철부(凸部)
183: 결속밴드 내삽공(內揷孔)
A: 화물차 적재함 B: 적재함 도어
C: 결속밴드(band)

Claims (3)

  1. 화물차 적재함(A)의 하부에 모터장착구(110)에 의해 설치되는 감속모터(120)와, 상기 모터축에 형성된 축연결구(131)에 의해 결합되는 축봉(130)과, 상기 축봉(130)을 지지하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의 측면에 부착되는 축 브래킷(140)과, 상기 축봉(130)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기어(151)를 구비하는 원통부(150)와, 상기 원통부(150)에 끼워져 헛돌도록 결합된 클러치부(160)와, 상기 클러치부(160)에 고정된 바(161)와, 상기 클러치부(160)가 원통부(150)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원통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17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160)는 원통체의 내부에 기어(161a)가 형성되고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130)의 외주 일측에 요부(181)와 철부(182)가 반복되어 굴곡진 형상을 갖는 밴드결속구(180)가 용접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10-2002-0019327A 2002-04-09 2002-04-09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10047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27A KR100474457B1 (ko) 2002-04-09 2002-04-09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27A KR100474457B1 (ko) 2002-04-09 2002-04-09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701U Division KR200282308Y1 (ko) 2002-04-10 2002-04-10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10A KR20030080610A (ko) 2003-10-17
KR100474457B1 true KR100474457B1 (ko) 2005-03-08

Family

ID=3237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327A KR100474457B1 (ko) 2002-04-09 2002-04-09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83U (ko) * 1979-06-26 1981-01-17
KR19990046487A (ko) * 1999-03-19 1999-07-05 고해선 화물차량적재함자동개폐장치
KR100295021B1 (ko) * 1998-05-11 2001-07-12 이규동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83U (ko) * 1979-06-26 1981-01-17
KR100295021B1 (ko) * 1998-05-11 2001-07-12 이규동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KR19990046487A (ko) * 1999-03-19 1999-07-05 고해선 화물차량적재함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10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876B2 (en) Tailgate lift-assist assembly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US6202350B1 (en) Power liftgate device
US7086689B2 (en) Combination step and storage assembly
US20180195332A1 (en) System with pulleys and steel cable for pick up truck end gate position adjustment
US20160194911A1 (en) Driving module of power trunk
US20160053518A1 (en) Vocational hood latch assembly
US10081292B2 (en) Vehicle tailgate tie-down
US6378392B1 (en) Non binding power actuator drive assembly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20190025479A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100474457B1 (ko)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200282308Y1 (ko)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JP5106027B2 (ja) ヒンジ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71127B1 (ko)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JP7000758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ヒンジ構造
KR200309732Y1 (ko)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20080047750A (ko) 자동차용 데크 게이트 힌지 구조
KR100360168B1 (ko) 미드 게이트의 트렁크 플로어 사이의 공간 커버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US6196608B1 (en) Center mounted tailgate
KR20050028769A (ko) 화물차용 프론트 판넬 장착 구조
KR10036426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캐치 어셈블리
JP6263289B2 (ja) 荷台付き車輌
KR200353563Y1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