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021B1 -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021B1
KR100295021B1 KR1019980016766A KR19980016766A KR100295021B1 KR 100295021 B1 KR100295021 B1 KR 100295021B1 KR 1019980016766 A KR1019980016766 A KR 1019980016766A KR 19980016766 A KR19980016766 A KR 19980016766A KR 100295021 B1 KR100295021 B1 KR 10029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ver
links
truck
op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773A (ko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동 filed Critical 이규동
Priority to KR101998001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0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load areas, e.g. rigid panels for pick-up truck beds
    • B60J7/162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load areas, e.g. rigid panels for pick-up truck beds hinged on on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양 측부에 장착된 회전축이 덮힘위치를 유지하여 커버가 덮혀진 상태에서 회전축의 전후방에 고정된 전방링크와 후방링크의 각도차이를 주어, 즉 높이차이를 줌에 따라, 일반적인 적재물의 전방 및 중간 편중에 대하여 충분이 이를 커버할 수 있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럭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 및 이 모터와 연결되고 측판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가 장착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전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과 연동되는 제 1링크, 이 제 1링크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제 2링크, 및 이 제 2링크의 끝단과 차체가 서로 연결되는 제 2링크 당김수단으로 이루어진 전,후방링크 커버수단과; 그리고, 상기 전,후방링크 커버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 시트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Twofold-covering apparatus for loading box of truck)
본 발명은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트럭 적재함의 양 측부에 장착된 회전축이 덮힘위치를 유지하여 커버가 덮혀진 상태에서 회전축의 전후방에 고정된 전방링크와 후방링크의 각도차이를 주어, 즉 높이차이를 줌에 따라, 일반적인 적재물의 전방 및 중간 편중에 대하여 충분이 이를 커버할 수 있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적재함 커버는, 모레 또는 자갈 등의 적재물이 차량의 주행중 도로 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무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자동 커버장치가 유통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허공개 제 97-37238호(트럭적재함용 덮개의 자동 개폐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기 출원된 특허(이하 종래 발명이라 칭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종래의 트럭적재함용 덮개의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에 상판(511)이 형성된 전면판(51)과, 양측에 측판(52)과, 후방에 테일 게이트(53)가 각각 설치된 트럭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1)의 상판(511)에는 안내가이드(6)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판(51)의 전방 양측에는 구동수단(7)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7)의 후방인 양 측판(52)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수단(7)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71)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71)에는 커버가 씌워진 제 1덮개부(81), 이 제 1덮개부(81)의 일단에 설치되어 커버가 씌워진 제 2덮개부(82), 및 제 2덮개부(82)의 전방에 상기 안내가이드(6)를 타고 이동되는 제 1,2링크(88)로 이루어진 덮개수단(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덮개의 자동개폐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전면판(51)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수단(7)를 동작시키게 되면, 회전축(71)이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축(71)과 연결된 제 1,2덮개부(81,82)가 전방에 연결된 제 1,2링크(83)의 내측 이동에 따라서, 적재함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상기 덮개수단(8)을 개방할 경우에는 적재함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동수단(7)을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상기 덮개의 커버과정과 반대 순서로 덮개를 개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덮개의 자동 개폐장치는 덮게를 커버함에 있어서, 전방 또는 중간부분에 적재물이 상방향으로 올라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철 구조물로된 프레임이 제일 상부로 돌출된 적재물에 걸리게 되어 후방쪽은 적재물과 많이 뜨게되고, 아울러 적재함의 후방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덮개수단(8)을 이루는 제 1,2 덮개(81,82)에는 다수의 프레임이 장착됨 따라서 커버시 적재물과 프레임의 충돌로 인해 덮개수단(8)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부피가 큰 중량체(바위)가 적재함의 중앙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덮개의 자동 개폐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최전방과 최후방의 두곳에 커버를 고정하는 링크만이 설치되고, 트럭의 적재함에 2단접힘 커버장치가 작동된 상태(커버된 상태)에서 전방과 후방에 높이차이가 나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적재물의 전방 편중에 대하여 완전한 커빙이 가능한 트럭적재함 2단접힘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2단접힘 커버장치의 후방링크 작동수단을 테일게이트의 후방에 설치하여 테일케이트의 상단을 막아줌에 따라 적재물이 주행중 적재물이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방링크와 후방링크 사이에 프레임이 없고 신축성을 갖는 커버시트를 설치함에 따라, 적재물의 과적으로 인한 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전방 링크와 후방링크 사이에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이 신축 가능한 커버시트를 장착 시켜, 적재물에 대하여 표면을 눌러줌과 동시에 감싸도록 함에 따라 적재물이 적재함에서 유동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후방링크 작동수단을 이루는 제 1,2링크 중 제 2링크의 끝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터언버클이 구비된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커버의 덮힘시 2단으로 접혀진 제 2링크가 일정각도로 펼쳐지는 작동을 하도록 하고, 제 1,2링크의 결합부분에 코일스프링을 끼워 제 1,2링크가 2단으로 접힐 경우 스프린의 장력을 통해 접히게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전,후방링크 작동수단을 이루는 제 2링크의 중간부분과 적재함 상부를 연결하는 제 2링크 상부당김장치를 장착하여, 제 1,2링크 사이의 스프링의 장력저하 또는 돌풍 등의 예상치 못한 상황의 발생시 제 2링크가 2단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덤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 및 이 모터와 연결되고 측판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가 장착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전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과 연동되는 제 1링크, 이 제 1링크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제 2링크, 및 이 제 2링크의 끝단과 차체가 서로 연결되는 제 2링크 당김수단으로 이루어진 전,후방링크 커버수단과; 그리고, 상기 전,후방링크 커버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 시트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가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골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가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의 클러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링크 작동수단을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시트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접힘 커버장치의 작동전 상태(커버가 개방된 상 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전방링크 작동수단을,
도 7b는 후방링크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접힘 커버장치의 초기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서,
도 8a는 전방링크 작동수단을,
도 8b는 후방링크의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접힘 커버장치의 중간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서,
도 9a는 전방링크의 작동수단을,
도 9b는 후방링크의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접힘 커버장치의 작동완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전방링크의 작동수단을,
도 10b는 후방링크의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접힘 커버장치의 작동완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로서,
도 11a는 평상시 적재물이 전방으로 편중될 경우의 커버상태를,
도 11b는 적재물이 중앙으로 편중될 경우의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다.
도 12은 종래의 트럭적재함용 커버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수단
11 : 감속모터
12 : 회전축
13 : 클러치
131 : 클러치 하우징, 131a : 제 2돌기, 131b : 코일 스프링
2 : 전방링크 작동수단
21 : 제 1링크
211 : 연결구, 211a : 제 1돌기, 212 : 연결브라켓,
213 : 비틀림 스프링
22 : 제 2링크
221 : 연결브라켓, 222 : 돌출링크
23 :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
231 : 터언버클, 232 : 체인
24 : 제 2링크 상부당김장치
241 : 터언버클, 242 : 체인
3 : 후방링크 작동수단
31 : 제 1링크
311 : 연결구, 311a : 제 1돌기, 312 : 연결브라켓,
313 : 비틀림 스프링
32 : 제 2링크
321 : 연결브라켓, 322 : 돌출링크
33 :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
331 : 터언버클, 332 : 체인
34 : 제 2링크 상부당김장치
341 : 터언버클, 342 : 체인
35 : 후방보호판
4 : 커버시트부
41 : 제 1시트, 411 : 고무와이어, 412 : 와이어
42 : 제 2시트
43 : 개방부
5 : 적재함
51 : 전면판
52 : 측판
53 : 테일게이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가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골조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판(51), 양측의 측판(52), 후방에 테일 게이트(53)가 각각 설치된 트럭의 적재함(5)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1)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11), 및 이 모터(11)와 연결되고 측판(52)의 옆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13)가 장착된 회전축(12)으로 이루어진 회전수단(1)과;
상기 회전축(12)의 전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12)과 연동되는 제 1링크(21,31), 이 제 1링크(21,31)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제 2링크(22,32), 및 이 제 2링크(22,32)의 끝단과 차체가 서로 연결되는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23,33)로 이루어진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가 적재함에 장착되고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의 사이에는 와이어로 고정된 커버 시트부(4)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수단(1)을 이루는 클러치(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전방링크 커버수단(2)이 장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링크 커버수단(2)을 이루는 제 1링크(21)의 연결구(211)는 회전축(12)에서 공회전 되도록 조립하며, 이 연결구(211)의 전후방 단부에는 제 1돌기(211a)를 설치하고, 연결구(211)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 1돌기(211a)와 엇갈리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 단부에 제 2돌기(131a)가 구비된 클러치 하우징(131)이 설치되는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돌기(121a)와 제 2돌기(131a)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1,2돌기(121a,131a)의 일단들의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S)가 이루는 각도는 0도 내지 60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클러치 하우징(131)과 상기 연결구(211)의 사이에는 공회전 각도와 적재물의 높이차에 의한 최종 덮힘시의 덮여진 각도의 차이가 생길 경우에 커버시트(4)가 적재물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131b)이 고정된다.
상기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축(12)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단에는 회전축(12)에 장착되는 연결구(211)를, 타단에는 제 2링크(22)가 조립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212)을 각각 구비한 제 1링크(21)와; 제 1링크(21)의 연결브라켓(21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간에 연결브라켓(221)을,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돌출링크(222)을 각각 형성한 제 2링크(22)와; 그리고, 상기 돌출링크(222)의 끝단에는 차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장착된 터언버클(231)과 체인(232)으로 이루어진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23)로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2링크(21,22)의 연결브라켓(212,221) 사이에는 제 1,2링크(21,22)가 작동중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213)이 고정된다.
상기 커버시트부(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도1참조)의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 1,2시트(41.42)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제 1,2시트(41,42)에는 수평방향의 다수의 고무와이어(411)가 장착되고, 시트의 전,후방의 끝단 및 측면의 끝단은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도1참조) 및 회전축(12;도1참조)과 와이어(412)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2시트(41,42)의 연결부위에는 2단접힘 커버장치의 비작동시(접혀진 상태)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등이 고이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개방부(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의 전후방 사이의 길이(L2)는 회전축(12)에 장착된 전,후방 링크 작동수단(2,3;도1참조)의 사이 길이(L1;도1참조)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로 장착된 수평방향의 고무와이어(411)의 장력에 의해 커버장치의 개방시 적재함의 측면에 시트커버(4)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2단접힘 커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링크 작동수단(2)을 이루는 제 2링크(22)의 중간과 전면판(51)의 양측에는 체인(242)과 터언버클(241)로 이루어진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24)를 설치하고, 후방링크 작동수단(3)을 이루는 제 2링크의 중간과 후방보호판(35)에는 체인(342)과 터언버클(341)로 이루어진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3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24,34)는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이 접힌상태 또는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 2링크(22,32)가 외부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 하는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35는 후방링크 작동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후방보호판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링크 작동수단의 작동전 상태(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전방링크 작동수단(2)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전방에 장착된 제 1링크(21)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 2링크(22)가 제 1링크(21)에 포게진 상태(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링크 작동수단(3)의 제 1,2링크(31,32)가 상기 전방링크 작동수단(2)과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 도 8은 초기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전방링크 작동수단(2)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을 이루는 모터(11)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축(12)에 고정된 클러치(13)와 제 1링크(21)의 연결구(211)사이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213)으로 인해 제 1링크(21)가 각 회전되고, 제 2링크(22)는 중간의 연결브라켓(212)을 중심으로 각 회전됨과 동시에 서서히 펼쳐지게 되는 한편, 이때 제 1,2링크(22,22) 사이의 코일 스프링(131b) 및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24)에 의해 제 2링크(22)의 상단이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후방링크 작동수단(3)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을 이루는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12)에 고정된 제 1링크(31)가 각회전되고, 제 2링크(32)와 장력 조절부(33)는 상술한 전방링크 작동수단(2)과 동일 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다음 도 9는 중간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전방링크 작동수단(2)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의 계속적인 작동에 따라, 제 1링크(21)가 각 회전되고, 제 2링크(22)는 중간의 연결브라켓(212)을 중심으로 제 2링크 하부 당김수단(23)의 당김 작용에 의해 제 1링크(21)와 제 2링크(22)가 서서히 펼쳐지게 되며, 90도 까지 회전할 경우 제 2링크(22)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제 1,2 링크 사이의 비틀림 스프링(313) 및 보조작용을 하는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34)를 통해 방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후방링크 작동수단(3)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방링크 작동수단(2)과 동일 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다음 도 10은 작동완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전방링크 작동수단(2)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 1링크(21)가 각 회전된후 제 1링크(21)가 적재함(5)의 적재물과 충돌될 경우에는 회전축(12)은 계속 회전되고 제 1링크(21)는 클러치(13)와 비틀림 스프링(213)에 의해 각 회전되지 않고 연결구(211)의 공회전을 통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 2링크(22)는 하단에 설치된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23)로 인해 하부가 당겨져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클러치(13)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링크(21)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구(211)의 제 1돌기(211a)가 클러치(13)에 형성된 제 2돌기(131a) 간의 공간부(S)의 각도 만큼 헛돌게 되며,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에는 비틀림 스프링(131b)의 탄발력으로 인해 다시 제 1돌기(211a)의 일단과 제 2돌기(131a)의 일단이 마주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방링크 작동수단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링크(21)는 회전축(12)의 270도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됨에 따라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 2링크(22)도 수평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후방을 커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동작을 통해 적재함이 커버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는 평상시 적재물이 전방으로 편중될 경우의 2단접힘 커버장치가 작동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이 상승되고 후방이 하강됨에 따라 적재물의 전방 편중에 대하여 충분히 커버가 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커버 시트부(4)의 길이(L2)가 전,후방 링크 커버수단(2,3)의 사이 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장착됨에 따라 적재함의 상측을 충분하게 덮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1b는 적재물이 중앙으로 편중될 경우의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버시트부(4)에 장착된 고무 와이어(411)로 인해 적재물을 감싸면서 커버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커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전방과 후방에 높이차이를 줌에 따라, 일반적인 적재물의 전방 편중 및 중앙편중에 대하여 충분이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함 후방에 장착된 테일케이트의 상단을 완전히 막아줌에 따라 적재물이 주행중 적재물이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방링크와 후방링크 사이에 프레임이 없고 신축성을 갖는 커버시트를 설치함에 따라, 적재물의 과적으로 인한 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전방 링크와 후방링크 사이에는 별도의 프레임이 없이 신축 가능한 커버시트를 장착 시켜, 적재물에 대하여 표면을 눌러줌과 동시에 감싸도록 함에 따라 적재물이 적재함에서 유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후방링크 작동수단을 이루는 제 1,2링크 중 제 2링크의 끝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터언버클이 구비된 제 2링크 하부 당김장치를 설치 하므로서, 커버를 덮을 경우 제 2링크를 원할하게 펼쳐지게 함은 물론, 제 1,2링크의 결합부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인해 오동작을 방지 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면판(51), 양측의 측판(52), 후방에 테일 게이트(53)가 각각 설치된 트럭의 적재함(5)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51)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11), 및 이 모터(11)와 연결되고 측판(52)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13)가 장착된 회전축(12)으로 이루어진 회전수단(1)과;
    상기 회전축(12)의 전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12)과 연동되는 제 1링크(21,31), 이 제 1링크(21,31)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제 2링크(22,32), 및 이 제 2링크(22,32)의 끝단과 차체가 서로 연결되는 제 2링크 당김수단(23,33)으로 이루어진 전,후방링크 커버수단(2,3)과;
    그리고, 상기 전,후방링크 커버수단(2,3)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 시트부(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 작동수단(2)을 이루는 제 2링크(22)의 중간과 전면판(51)의 양측에는 체인(242)과 터언버클(241)로 이루어진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24)를 설치하고, 후방링크 작동수단(3)을 이루는 제 2링크의 중간과 후방보호판(35)에는 체인(342)과 터언버클(341)로 이루어진 제 2링크 상부 당김장치(3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을 이루는 클러치(13)는, 회전축(12)의 전방링크 커버수단(2)이 장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방링크 커버수단(2)을 이루는 제 1링크(21)의 연결구(211)는 회전축(12)에서 공회전 되도록 조립되고, 이 연결구(211)의 전후방 단부에는 제 1돌기(211a)가 설치되며, 연결구(211)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 1돌기(211a)와 엇갈리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 단부에 제 2돌기(131a)가 구비된 클러치 하우징(13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돌기(121a)와 제 2돌기(131a)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1,2돌기(121a,131a)의 일단들의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클러치 하우징(131)과 상기 연결구(211)의 사이에는 회전축의 초기 회전시 전방링크 작동수단(2)이 회전축과 연동되어 일정한 회전 각도로 작동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131b)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13)에 형성된 공간부(S)가 이루는 각도는 0도 내지 60도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은, 일단에 회전축(12)에 장착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제 2링크(22)가 조립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212)이 구비된 제 1링크(21)와; 제 1링크(21)의 연결브라켓(21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간에 연결브라켓(221)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돌출링크(222)가 형성된 제 2링크(22)와; 상기 제 1,2링크(21,22)의 연결브라켓(212,221) 사이에 장착되는 비틀림 스프링(213)과; 그리고 상기 돌출링크(222)의 끝단에는 차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장착된 터언버클(231)과 체인(232)으로 이루어진 장력 조절부(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부(4)는,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의 사이 공간에 장착되며, 제 1,2시트(41.42)로 나누어 지고, 이 제 1,2시트(41,42)에는 전,후방링크사이를 팽팽하게 유지시켜 덮힘 열림시 펄럭임을 방지하는 수평방향의 다수의 고무와이어(411)가 장착되며, 시트의 전,후방의 끝단 및 측면의 끝단은 전,후방링크 작동수단(2,3) 및 회전축(12)과 와이어(412)를 통해 고정되고상기 제 1,2시트(41,42)의 연결부위에는 일정간격으로 개방부(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적재함용 2단접힘 커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전후방 사이의 길이(L2)는 회전축(12)에 장착된 전,후방 링크 작동수단(2,3)의 사이 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KR1019980016766A 1998-05-11 1998-05-11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KR10029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66A KR100295021B1 (ko) 1998-05-11 1998-05-11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66A KR100295021B1 (ko) 1998-05-11 1998-05-11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73A KR19990084773A (ko) 1999-12-06
KR100295021B1 true KR100295021B1 (ko) 2001-07-12

Family

ID=3752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766A KR100295021B1 (ko) 1998-05-11 1998-05-11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57B1 (ko) * 2002-04-09 2005-03-08 주식회사 동국특수포장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20210074094A (ko) 2019-12-11 2021-06-21 김선진 전자석을 이용한 트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99B1 (ko) * 2023-01-02 2023-03-24 장재관 화물차 적재함용 2단형 덮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57B1 (ko) * 2002-04-09 2005-03-08 주식회사 동국특수포장 화물차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20210074094A (ko) 2019-12-11 2021-06-21 김선진 전자석을 이용한 트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73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5080B1 (en) Pick up truck
KR101357495B1 (ko)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및 그러한 윈드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
US6527331B2 (en) Bow system for a truck cover
JP4113925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2001521460A (ja) 自動車用ドアとシャシの一体化
US7429070B2 (en) Tonneau cover for a vehicle with a cargo area
KR100295021B1 (ko) 트럭적재함용2단접힘커버장치
CA2438489C (en) Retractable vehicle step
JPH1120740A (ja) 自動車フードの取付構造
JP3591215B2 (ja) 車体側面構造
GB2377915A (en) Vehicle container cover
JP2000108842A (ja) 車両用前部構造
CN107206872A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保护装置
EP1294998B1 (en) Car tent
JP3312352B2 (ja) 可動ルーフ装置
KR200264863Y1 (ko) 화물차 적재함용 2단 접이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100370834B1 (ko)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힌지 보호용 커버
GB2394922A (en) Motor vehicle with deployable hood
KR200322048Y1 (ko) 덤프트럭적재함덮개장치
JP3781267B2 (ja) 車両の後部構造
KR100209824B1 (ko) 화물차 적재함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20030043887A (ko) 덤프트럭적재함덮개장치
EP0972664A1 (en) Sun visor for vehicles
JP4311835B2 (ja) 跳ね上げ式扉の上部隅部の構造
JP2003026048A (ja) 車両のフード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