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216B1 -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216B1
KR100474216B1 KR10-2001-0059424A KR20010059424A KR100474216B1 KR 100474216 B1 KR100474216 B1 KR 100474216B1 KR 20010059424 A KR20010059424 A KR 20010059424A KR 100474216 B1 KR100474216 B1 KR 10047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electric
high frequency
hour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159A (ko
Inventor
이희영
이건우
권형고
권오진
김태중
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에어링크테크놀로지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링크테크놀로지, 이희영 filed Critical (주)에어링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1-005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2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9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vanadium, niobium, tantalum, molybdenum or tungsten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vanadates, niobates, tantalates, molybdates or tungs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04B35/6262Milling of calcined, sintered clinker or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84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electron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90Electr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15Bar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Abstract

화학식 Ba1-xSrx(Mg(1-y)/3Niy/3Ta2(1-z)/3Nb2z/3 )O3 (단, 0.01 ≤x ≤0.1, 0.000 ≤y ≤0.1, 0.000 ≤z ≤0.1이며, 0.01 ≤y+z ≤0.2) 으로 나타내어지는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a) 고순도의 BaCO3, SrCO3, MgO, NiO, Ta2O5, Nb2O5를 채택된 조성으로 칭량하고, 습식볼밀링하여 건조한 후 하소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하소된 분말을 다시 습식볼밀링하여 미소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미소하게 분쇄된 분말을 건조한 후 과립화시켜 일축가압으로 성형하고 1500℃∼1650℃에서 2∼10시간 동안 소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따라서, 유전상수는 24∼26이고, Qu×f 값이 130,000∼150,000, τf 또한 -10∼+10ppm/℃의 값을 갖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 고주파 유전체 조성물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MICROWAVE DIELECT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저손실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높은 유전상수(εr) 및 품질계수(Qu×f)를 가지며 온도변화에 대한 공진 주파수의 변화(τf)가 낮은 특징을 가지는 BMT조성물 및 그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통신 및 이동통신 등 고주파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이 일반화됨에 따라 고주파용 부품의 산업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고주파 부품으로 능동소자에는 저 잡음 증폭기, 출력 증폭기, 믹서 등이 있으며, 수동소자에는 여러 가지의 필터가 해당된다. 그중 수동소자인 고주파대역에서 필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커패시터나 인덕터 외에도 전송선, 유전체 공진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는 부품은 안테나 공용기, 대역통과 필터, 발진기 등이 있는 바, 이것은 다른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공진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 저 손실, 고 신뢰성 등의 특징이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휴대통신단말기의 핵심 부품으로 이용되고 있고, 중계기 필터용으로 실용화가 되어 있다.
현재 고주파 통신부품의 개발 방향은 소형화, 박형화, 표면 실장화, 고성능 고주파화, 저전압 저 전력화 등과, 최근 들어 다층 박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유전체 재료의 특성은 유전율이 커야하며 손실이 적어야 한다. 또한 상업적으로는 소형화가 가능하며, 값이 싸고, 견고하며, 튜닝이 가능하고, 광대역 발진, 낮은 전원, 높은 온도안정성, 낮은 위상 잡음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또한 근래 통신주파수의 고주파 화에 따라 더욱 높은 품질계수의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그 예로 고주파 유전체 재료를 X-밴드 대역에서 공진기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유전율이 30이상, 품질계수(Qu×f)값이 40,000GHz 이상이고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가 ±10ppm/℃이어야한다. 지금까지 개발되어 X-밴드 영역에서 상용화된 재료는 BaTi4O9, (Zr,Sn)TiO3등이 있으나, 최근 더 높은 품질계수 값을 갖는 재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요구에 대한 물질로 BMT(BaMg1/3Ta2/3O3)를 들 수 있는데 순수한 BMT는 이론밀도에 가까운 소결밀도를 얻기 위해서 1650∼1700℃정도의 높은 온도로 소결해야 하고, 또한 높은 Qu값을 얻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소결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BMT에 WO3, BaWO4, MnO, BaSnO3, NiO 등의 2차상을 합성하여 첨가하거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Ba7Ta6O22, Ba5Ta4O15, BaTaO3.5 등의 물질을 합성하여 첨가한 경우가 있다.
순수 BMT의 경우 1600℃이하의 온도에서는 이론밀도의 95% 이상은 얻을 수 없을 정도로 소결이 어렵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이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2차상이나 액상소결조제의 첨가를 시도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Qu값이 원래의 순수한 BMT에 비해 감소가 일어나고 τf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가제를 첨가하더라도 극 미량을 첨가해야 하므로 대량생산을 위한 제조공정의 적용에 있어서 재현성이 나쁘다거나 많은 관리비용을 들여야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실제로도 생산공정에 적용되어 제조된 예는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결온도를 낮추거나 유전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의 물질을 따로 합성해서 첨가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의 특이한 사항은 BaO, MgO, Ta2O5와 동일한 전자가를 가지는 SrO, NiO, Nb2O5을 고용범위 안에서 각각 적당히 첨가하여 하소를 실시하고, 화학정량비를 3:1:1을 유지시키면서 격자간 자리에 치환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종 첨가제의 첨가로 인한 문제인 Qu×f값의 감소와 제2차상의 생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공진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유전율이 24∼26이고, Qu×f ≥120,000 인 유전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첨가제의 첨가량이 넓은 범위에서 양호한 특성을 보이므로 재현성이 뛰어나고, 양산 공정 적용에도 적합한 조성물과 제조공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나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Ba1-xSrx(Mg(1-y)/3Niy/3Ta2(1-z)/3Nb2z/3 )O3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0.01 ∼ 0.1의 값을 가지며, y는 0.000 ∼ 0.1, z는 0.000 ∼ 0.1의 값을 가짐과 동시에 y+z는 0.01 ∼ 0.2의 범위에서 택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 첨가되는 량은 화학양론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고순도의 BaCO3, SrCO3, MgO, NiO, Ta2O 5, Nb2O5를 채택된 조성으로 칭량하고, 습식볼밀링하여 건조한 후 하소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하소된 분말을 다시 습식볼밀링하여 미소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미소하게 분쇄된 분말을 건조한 후 과립화시켜 일축가압으로 성형하고 1500℃∼1650℃에서 2∼10시간 동안 소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의 하소는 1100℃∼1200℃에서 5∼10시간 동안 행하며, 상기 습식볼밀링 공정은 지르코니아 볼로 알코올에서 20∼24시간 동안 행하며, 상기 유전체 조성물이 1500℃ ∼ 1650℃의 소성온도에서 이론밀도의 95%이상의 소결밀도를 가지며, 품질계수 ( Qu×f )가 100,000 ∼ 150,000 가 되도록 제조한다.
상기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고순도의 BaCO3, SrCO3, MgO, NiO, Ta2O5, Nb2O5를 채택된 조성으로 칭량하고, 습식볼밀링하여 건조한 후 1100℃∼1200℃에서 5∼10시간동안 하소한다. 하소된 분말을 다시 습식볼밀링하여 미소한 분말로 제조한다. 이때 습식볼밀링공정은 지르코니아 볼로 알코올에서 20∼24시간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하게 분쇄된 분말을 건조한 후 과립화시켜 일축가압으로 성형하고 1500℃∼1650℃에서 2∼10시간 동안 소결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소결 시편의 유전율과 무부하 품질계수 값(Qu)은 후공진법(Post resonant method)에 의하여 고진공 주파수와 시편의 직경으로부터 측정한다. 각 시료를 항온 오븐에 넣고 20℃∼80℃의 온도 범위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공진주파수의 온도 안정도(τf)를 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의 XRD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의 미세구조를 보이는 사진이다.
초기 원료인 BaCO3, SrCO3, MgO, NiO, Ta2O5, Nb2O 5를 화학정량비를 맞추어 조성에 맞게 총량이 30g이 되게 평량한 후 에탄올 50ml를 첨가하여 지르코니아 볼밀을 사용하여 24시간동안 습식혼합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분말을 1250℃에서 반응시켜 상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물질 (Ba0.98Sr0.02(Mg0.98/3Ni0.02/3 Ta2/3)O3) 의 대표적인 XRD-패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합성된 상을 보면 완전 고용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보이고있다.
이렇게 하소된 분말을 미분쇄를 위하여 에탄올에서 지르코니아볼로 습식볼밀을 24시간 동안 행하였다.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키고 과립화하여 일축가압하여 직경9.5mm, 두께 4.5mm가 되게 성형하고 이것들을 백금 속에 넣고 1500℃∼1650℃로 2∼10시간 동안 소결하였다. 소결 시편의 유전율과 무부하 품질계수 값은 후공진법에 의하여 공진주파수와 시편의 직경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온도조절 Chamber에 넣고 20℃ ∼ 80℃의 온도 범위에서 동진 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공진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즉, 표 1은, x, y, z변화에 따른 조성물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 측정 결과 예를 나타내고 있다.
x y z 소성온도(℃)4시간 유전율(εr) Qu×f0(GHz) τf(ppm/℃) 밀도
0.02 0 0.02 1600 24.7 148,000 +1 7.48
0.02 0.02 0.02 1600 24.9 144,800 +0.9 7.51
0.02 0.02 0.04 1600 25.1 133,800 +0.5 7.49
0.02 0.02 0 1600 24.7 145,000 +0.8 7.49
0.02 0.04 0.02 1600 24.9 133,000 +0.9 7.41
0.02 0.04 0.04 1600 24.9 132,000 +0.8 7.41
0.04 0 0.02 1600 24.6 146,000 +0.2 7.46
0.04 0.02 0.02 1600 24.8 146,800 +0.1 7.45
0.04 0.02 0.04 1600 25.0 131,800 -0.3 7.44
0.04 0.02 0 1600 24.6 147,000 +0.0 7.44
0.04 0.04 0.02 1600 24.8 131,000 +0.1 7.46
0.04 0.04 0.04 1600 24.8 134,000 +0.0 7.46
또한 4시간 동안 소결하였을 때 특성이 가장 우수한 x = 0.02, y = 0, z = 0.02 조성에 있어서 소결 시간에 따른 유전특성 변화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소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계수 값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나 2∼10시간 소결하였을 때 Qu×f값은 120,000이상을 유지하였다. 즉, 표 2는 x = 0.02, y = 0, z = 0.02 조성에 있어서 소결 시간에 따른 유전특성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x y z 소성시간(1600℃) 유전율(εr) Qu×f0(GHz) τf(ppm/℃) 밀도
0.02 0 0.02 4시간 24.7 148,000 +1 7.48
0.02 0 0.02 6시간 24.9 128,700 +1.1 7.47
0.02 0 0.02 10시간 25.2 120,200 +2.3 7.51
0.02 0 0.02 16시간 25.1 116,200 +6.0 7.51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고주파 영역에서 최대 148,000의 무부하 Q값을 가지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 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넓은 조성범위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실용화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을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일한 미세구조를 보였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은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용 중계기 필터용 및 공진기 등으로 사용되며, 상기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에 의하면, 고주파용 유전체 공진기의 경우, 유전상수는 24∼26이고, Q ×f 값이 130,000∼150,000, τf 또한 -10∼+10ppm/℃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고주파 유전특성은 기존에 보고된 특성들과 비교하여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 특성 값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한 특징은 넓은 조성 범위에서 얻고자 하는 특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의 XRD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의 미세구조를 보이는 사진.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화학식 1
    Ba1-xSrx(Mg(1-y)/3Niy/3Ta2(1-z)/3Nb2z/3)O3
    단, 0.01 ≤x ≤0.1, 0.000 ≤y ≤0.1, 0.000 ≤z ≤0.1이며, 0.01 ≤y+z ≤0.2
  2. 제 1 항의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고순도의 BaCO3, SrCO3, MgO, NiO, Ta2O5, Nb2O 5를 채택된 조성으로 칭량하고, 습식볼밀링하여 건조한 후 하소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하소된 분말을 다시 습식볼밀링하여 미소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미소하게 분쇄된 분말을 건조한 후 과립화시켜 일축가압으로 성형하고 1500℃∼1650℃에서 2∼10시간 동안 소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하소는 1100℃∼1200℃에서 5∼10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볼밀링 공정은 지르코니아 볼로 알코올에서 20∼24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이 1500℃ ∼ 1650℃의 소성온도에서 이론밀도의 95%이상의 소결밀도를 가지며, 품질계수 ( Qu×f )가 100,000 ∼ 150,000 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59424A 2001-09-25 2001-09-25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24A KR100474216B1 (ko) 2001-09-25 2001-09-25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24A KR100474216B1 (ko) 2001-09-25 2001-09-25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59A KR20030026159A (ko) 2003-03-31
KR100474216B1 true KR100474216B1 (ko) 2005-03-08

Family

ID=2772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24A KR100474216B1 (ko) 2001-09-25 2001-09-25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846B1 (ko) * 2005-03-29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용 세라믹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세라믹분말을이용하여 제조된 적층세라믹커패시터
CN110668816B (zh) * 2019-10-16 2021-11-02 电子科技大学 一种钨青铜结构的无铅储能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403A (ja) * 1990-08-23 1992-04-06 Tdk Corp 高周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
JPH06349333A (ja) * 1993-06-04 1994-12-22 Ube Ind Ltd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6349331A (ja) * 1993-06-04 1994-12-22 Ube Ind Ltd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8143360A (ja) * 1994-11-21 1996-06-04 Maruwa Ceramic:Kk 高周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
KR19980076285A (ko) * 1997-04-09 1998-11-16 이효종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403A (ja) * 1990-08-23 1992-04-06 Tdk Corp 高周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
JPH06349333A (ja) * 1993-06-04 1994-12-22 Ube Ind Ltd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6349331A (ja) * 1993-06-04 1994-12-22 Ube Ind Ltd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8143360A (ja) * 1994-11-21 1996-06-04 Maruwa Ceramic:Kk 高周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
KR19980076285A (ko) * 1997-04-09 1998-11-16 이효종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59A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7300A (ko) 저온소결 저손실 고주파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20097240A (ko) CaCu3Ti4O12를 혼입한 동조식 소자
CN1181010C (zh) 微波调谐钛酸锶钡复合陶瓷
KR100474216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235829C (zh) 近零频率温度系数的类钙钛矿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KR017318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415981B1 (ko) 저온 소결용 고주파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5605120B2 (ja) チューナブルデバイス用誘電体セラミックス
KR100523164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CN110218089A (zh) 一种谐振频率温度系数近零的8层六方钙钛矿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KR100234017B1 (ko) (1-x){(1-y)catio₃+ycazro₃}+x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34018B1 (ko) Catio₃+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573393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용 유전체 부품
KR100487204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983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0146001B1 (ko) 유전체 세라믹스
KR100234019B1 (ko) Catio₃+ca(zn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609383B1 (ko) 저온 소결용 고유전율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61550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재료
KR100607900B1 (ko) 저온 소결용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234020B1 (ko)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20000002599A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346029B1 (ko) 저손실 고주파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3743B1 (ko) 저온소결용 고주파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0146003B1 (ko) 유전체 세라믹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