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182B1 - 발전소의신속한출력조절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의신속한출력조절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182B1
KR100474182B1 KR10-1998-0707019A KR19980707019A KR100474182B1 KR 100474182 B1 KR100474182 B1 KR 100474182B1 KR 19980707019 A KR19980707019 A KR 19980707019A KR 100474182 B1 KR100474182 B1 KR 10047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djusting
module
stea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579A (ko
Inventor
올트리히 차비스카
라인홀트 아켄하일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9008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터빈(2, 4, 6) 및 제너레이터(8)를 갖춘 터보 유닛을 포함하는 발전소의 신속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기는 증가된 제너레이터 출력(PS)을 제어하기 위해 플랜트 프로세스 중에 활성화된다. 매우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너레이터 출력(PS, PI)에 부가해서 실제 작동 상태를 특성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로세스 변수(PWL, PFW, MPD , DFD, KL, TB, P)가 소수의 위치 기준값(Y, DFD)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제어 수단(60)를 포함하며, 제어 수단(60)의 입력(a 내지 i)은 제너레이터(8)의 출력값(PS, PI)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로세스 변수(PWL , PFW, MPD, DFD, KL, TB, P)를 포함하고, 제어 수단(60)의 출력(n 내지 u)은 증기 터빈(2, 4, 6)에 접속된 조정 부재(10, 12, 18, 22, 24, 28, 32, 34, 36, 42, 46, 48, 50)의 위치 기준값(Y, DFD)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소의 신속한 출력 조절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DEVICE FOR RAPID POWER CONTROL OF A POWER STATION}
본 발명은, 증기 터빈 및 발전기를 포함하는 터빈 발전기 세트를 구비한 발전소 설비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전소 설비 프로세스 중에 존재하는 에너지 저장기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발전기 출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편차의 보상과 더불어, 배전망(결합 회로망 또는 독립 회로망)을 구성하는 부분 회로망의 결합점에서 예정된 전달 출력이 유지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수초 내에 발전소 설비의 출력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신속한 출력 조절 및 주파수 예비 조절 방법이 간행물 "VGB Kraftwerkstechnik", 제 1권, 1980년 1월, 페이지 18 내지 23에 공지되어 있다. 수초 범위 안에서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가능한 다수의 방법이 존재하지만, 발전소 설비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변동시키기 위해서는 연료 공급의 변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화석 연료 점화 방식의 발전소에서는 지연 시간을 없애기 위해, 조절된 증기 터빈의 조정 밸브가 수초 이내에 개방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용 가능한 증기 또는 에너지 저장기가 실제로 지연 없이 활성화된다.
증기 터빈 조정 밸브의 조절을 무효화함으로써 출력을 증가함과 더불어, 예열기가 차단될 수 있는데, 상기 예열기는 증기 터빈의 물-증기 순환계에 제공되고, 증기 터빈으로부터 나온 추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다. 동시에 저압 예열기를 통해 안내되는 응축물 흐름이 중단되었다가 수초 내에 다시 증가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응축을 중단하여 예열기를 차단함으로써 화석 연료 점화 방식의 발전소 설비에서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는 방법이, 예컨대 독일 특허 공보 제 33 04 292호에도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수초 내에 신속하게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재생식 예열기 및/또는 가열 응축기로 안내되는 증기 유동, 그리고 발전소 증기 터빈의 물-증기-순환계 내에 있는 응축물 및 프로세스 증기를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조절 장치가 사용된다. 신속하게 발전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즉 수초 내에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 장치는 예열기에 공급되는 증기의 조절, 프로세스 증기의 조절 및/또는 응축물의 조절을 수행한다. 터빈 추출 지점에서의 조정 밸브에 대한 목표 설정값 및 응축물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에 대한 목표 설정값은 요구되는 잔여 발전기 출력이 달성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터빈 추출 지점에서의 액츄에이터 또는 위치 조정 부재와 응축물- 및 부응축물, 즉 보조 응축물 조절기의 정합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개별 측정값의 활용 우선 순위가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조절 구간이 통상적으로 선형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조절의 질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도 1은 발전소 설비의 프로세스 영역으로 설정된 터빈 발전기 세트의 블록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프로세스 영역에 대한 조절 수단의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효과적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소의 신속한 출력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수단을 통해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데 특히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작동 상태를 특성화하는 다른 프로세스 변수로서 발전기 출력과 더불어, 특히 발전소의 증기 발전기 조절기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열 출력값이 소수의 목표 설정값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발전기 출력이란 실제 또는 목표 출력, 잔여 출력의 목표값 또는 실제값, 또는 발전기의 최대 가능 출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측정값들의 조합을 결정함으로써 실제 작동 상태를 고려해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따라서 설비 프로세스에서 다수의 프로세스 값 또는 변수가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술적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잔여 출력 요구량을 평가한 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기의 배출 및 재충전을 조절하여 개별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전체 설비 또는 개별 발전소 설비의 실제적인 작동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설비의 장거리 열 출력 및 추출된 프로세스 증기 유량 및/또는 증기 터빈의 액츄에에이터의 스로틀율, 특히 유입측에서 증기 터빈에 접속된 생증기-조정 밸브의 원거리 열 출력이 부가의 다른 프로세스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설비의 부하와 관련된 에너지 저장기의 제한에 관련된 변수 또는 데이터가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개별 에너지 저장기의 기술적 준비 상태 또는 활성화 가능성을 통하여, 증기 터빈의 물-증기-순환계 내부의 생증기, 추기 증기, 배출 증기 및/또는 응축물 흐름에 따른 데이터가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 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조절 장치의 입력은 추가 프로세스 변수로서 발전기의 목표 출력(목표 잔여 출력값) 및 실제 출력(실제 잔여 출력값) 그리고 하나 이상의 열 출력값을 받아들인다. 상기 조절 장치의 출력은 개별 에너지 저장기의 활성화를 위해 증기 터빈에 접속된 액츄에이터의 목표 설정값을 특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생증기, 추기 증기 또는 배출 증기용 밸브 또는 플랩, 및 주응축물 또는 부응축물용 이송 펌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제 1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절 모듈의 입력은 발전기의 목표 출력 및 실제 출력 그리고 부가의 프로세스 변수 또는 작동 변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절 모듈의 출력은 예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측정값들을 조합한 요소값들을 특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조절 모듈은 유입면에서 증기 터빈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의 스로틀율에 대한 입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수단이 제 2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조절 모듈의 입력은 측정값들의 조합을 특정하는 제 1 조절 모듈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조절 모듈의 출력은 증기 액츄에이터의 목표 설정값을 특정한다. 출력측에서 상기 조절 모듈에 접속된, 보정-조절기로서 동작하는 제 3 조절 모듈은 입력으로서 발전기의 출력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수단은 또한 제 4 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조절 모듈의 입력은 각각 제 1 및 제 2 조절 모듈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조절 모듈의 출력은 응축물 액츄에이터의 목표 설정값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조절 모듈에 접속된 조절 수단의 제 5 조절 모듈은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의 실제 스로틀율을 보정하거나 또는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은 특히, 설비에 있어 중요한 여러 프로세스 변수를 고려하여 터빈 발전기 세트 내의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측정값들의 조합을 검출함으로써, 잔여 출력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요구 사항들의 충족이 매우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 저장기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전술을 사용하면, 최상의 결과가 보장된다. 전술을 세울 때는, 이용할 수 있는 조절기의 준비 상태뿐만 아니라, 현재의, 프로세스 증기 및/또는 가열 증기 공급에 대한 규정 및 기술적 이유로부터 주어지는 제한들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고압-부분 터빈(2), 중간압-부분 터빈(4), 저압-부분 터빈(6) 및 발전기(8)로 구성된 터빈 발전기 세트을 구비한 발전소 설비의 프로세스 영역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이다. 터빈 발전기 세트의 작동시 생증기(FD)는 생증기-조정 밸브(10)를 통해 고압-부분 터빈(2) 안으로 유입된다. 조정 밸브(12)(플랩 KL)에 의해 조절 가능한 분류(分流)(FD1)는 고압-예열 영역(14)으로 이동하도록 고압-부분 터빈(2)으로부터 추출된다. 고압-부분 터빈(2)으로부터 나온 배출 증기(FD2)는 재과열기(16)를 통해 중간압-부분 터빈(4)에 공급된다.
중간압-부분 터빈(4)으로부터 부가의 증기가 추출된다. 이를 위해, 조정 밸브(18)(플랩 KL)에 의해 조절 가능한 제 1 분류(MD1)가 급수 탱크(20)로 추출된다. 프로세스 증기는 제 2 분류(MD2)로부터 추출되며, 이는 조정 밸브(22)(프로세스 증기 플랩 PDKL)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또한, 증기는 제 3 분류(MD3)를 통해 저압-예열 영역(26)으로 추출되고, 이는 조정 밸브(24)(플랩 KL)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조정 밸브(28)(가열 응축물 플랩 HKKL)에 의해 조절 가능한, 중간압-부분 터빈(4)의 배출 증기의 제 1 부분량(MD4)이 가열 응축기(3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조절 가능한, 중간압-부분 터빈(4)의 배출 증기의 제 2 부분량(MD5)가 과류 플랩(overflow flap)(32(UKL)을 통해 저압-부분 터빈(6)에 공급된다.
또한 저압-부분 터빈(6)으로부터 저압-예열 영역(26) 및 가열 응축기(30)로 증기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 1 분류(ND1)는 직접 그리고 제 2 분류(ND2)는 조정 밸브(34)(플랩 KL)를 통해 저압-예열 영역(26)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 3 분류(ND3)는 직접 그리고 제 4 분류(ND4)는 조정 밸브(36)(가열 응축물 플랩 HKKL)를 통해 가열 응축기(30)에 공급된다. 저압-부분 터빈(6)으로부터 나온 배출 증기(ND5)는 응축기(38)에서 응축된다.
주응축물(K)은 응축기(38)의 온수조(40)로부터 응축물 펌프(42)에 의해 저압-예열 영역(26)을 통해 급수 탱크(20)로 이송된다. 급수 펌프(44)에 의해 급수 탱크(20)로부터 급수(S)가 고압-예열 영역(14)을 통해 이송된다. 부응축물(NK1)은 고압-예열 영역(14)으로부터 부응축물 펌프(46)를 통해 급수 탱크(20)내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부응축물(NK2)은 저압-예열 영역(26)으로부터 부응축물 펌프(48)를 통해 응축기(38), 즉 응축기(38)의 온수조(40)로 이송된다. 또한, 부응축물(NK3)은 가열 응축기(30)로부터 부응축물 펌프(50)에 의해 응축기(38)의 온수조(40)에 공급된다.
주응축물(K) 및 급수(S)는 레벨 조절기(LK/LSWB)를 통해 이송되는 한편, 부응축물(NK1,2,3)은 별도의 레벨 조절기(NKR1, NKR2 또는 NKR3)를 통해 각각 조절된다. 하나의 공통 위치-기준값(YNKR)이 상기 레벨 조절기에 제공된다.
신속한 출력 조절를 위한 장치가 도 2에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5개의 조절 모듈(62, 64, 66, 68 및 70)을 구비한 조절 수단(60)을 포함한다. 조절 수단(60)은 입력(a 및 b)으로서 출력 기준값(Ps) 및 출력- 또는 출력 증가-실제값(PI)을 받아들인다. 증가된 출력 실제값(PI)은 발전기(8)의 측정 장치(72)(도 1)에 의해 측정된다. 조절 장치(60)에서는 부가 입력 변수(c)로서 열 출력 목표값(PWL)을 받아들이고, 상기 열 출력 목표값(PWL)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발전소 설비의 증기 발전기 조절기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조절 수단(60)은 입력 변수(d 내지 h)로서 발전소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인다. 상기 정보란, 입력 변수(d)로서의 장거리 열 출력(PFW), 입력 변수(e)로서의 프로세스 증기 인출량 또는 프로세스 증기 유동량(MPD), 입력 변수(f)로서의 생증기 조정 밸브(10)의 스로틀률(DFD), 입력 변수(g)로서의 발전소 설비의 부하(KL) 및 입력 변수(h)로서의 가용 에너지 저장기의 기술적 준비상태(TB)를 말한다. 부가의 작동 변수(P)는 입력(i)을 통해 조절장치(60)에 제공될 수 있다.
입력(a 내지 i)은 조절 수단(60)의 제 1 조절 모듈(62)에 속한다. 상기 입력은 조절될 프로세스 섹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변수들(Ps, PI, PWL, P FW, MPD, DFD, KL, TB 및 P)을 참작한다. 개별 측정값들의 예비 출력 포텐셜에 대한 공정 기술상 지식에 기초한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제 1 조절 모듈(62)에서 측정값들의 조합에 대한 결정 기준이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발전기 출력(Ps) 및 장거리 열 출력(PFW)에 의해 그리고 프로세스 증기 유량(MPD) 및 스로틀률(DFD)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작동상태가 검출된다. 각각의 실제 작동상태에 대해 순시적으로 요구되는 예비 출력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값(L1...n)들의 최상의 조합이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개별 측정값(Ln)의 기술적 준비 상태(TB) 및 부하 용량(KL)에 기인한 제한도 또한 고려된다. 그 다음에, 결정된 측정값(Ln)에 대해 출력 분할량(PSRM(1...n))이 계산되고 관련 측정값(Ln)에 대한 해제 신호는 출력 변수(l)로서 형성된다. 또한, 부가의 출력 변수(k)로서 (도시되지 않은) 증기 발전기 조절기용 부가 열 출력(??PWL)이 결정된다.
출력 변수(j 및 l) 그리고 장거리 열 출력(PFW)은 조절 모듈(64)의 입력 변수를 형성한다. 조절 모듈(64)에서는 출력 변수(m 내지 r)로서 각각 생증기 조정 밸브(10), 과류 플랩(32), 조정 밸브(28 및 36), 조정 밸브(22) 및 조정 밸브(12, 18, 24 및 34)에 대한 위치 설정값(YFD, YUKL, YHKKL, YPDKL 및 YKL)을 형성한다. 계산된 위치-목표값(Y)은 조절 모듈(64)에 접속된 조절 모듈(66)에 의해 보정되고, 목표 설정값(Ps) 및 잔여 출력의 실제값(PI)은 입력으로서 상기 조절 모듈(66)에 제공된다.
조절 모듈(68)에서는 측정값(Ln), 플랩 또는 조정 밸브(10, 12, 18, 22, 24, 28, 30, 32, 34 및/또는 36)의 위치 및 그것의 위치 변동 속도에 따라, 출력값(s 및 t)으로서 응축물 또는 부응축물 조절기(NKR1,2,3)의 목표 설정값(YKP, YNKP )에 대한 보정값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조절 모듈(62 또는 64)의 출력(j 및 r), 즉 목표 설정값(YKL) 및 측정값(L1...n)들의 조합이 입력 변수으로서 조절 모듈(63)에 제공된다.
조절 모듈(70)은 생증기 조정 밸브(10)에 필요한 스로틀율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이것을 위해, 출력(j), 및 발전소 설비의 실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출력(v)이 조절 모듈(62)로부터 조절 모듈(70)에 입력 변수으로서 제공된다. 생증기 조정 밸브(10)의 계산된 스로틀율은 미리 선택된 스로틀율과 비교되고, 자동적으로 조절된 스로틀율(DFD)이 출력(u)으로서 출력된다.
고압-부분 터빈(2)에 공급되는 생증기 유동량을 조절하는, 생증기 조정 밸브(10)의 조절은 조절되어 작동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기를 형성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기는 검출된 목표 설정값(YFD) 및 스로틀율(DFD)을 통해 조절되어 채워지거나 또는 예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되어 비워질 수 있다. 부가의 에너지 저장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추기 증기 및 배출 증기의 분류(FD1,2, MD1...5, ND1...5) 및 응축물(K) 및 부응축물(NK)의 이송이 개별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응하는 조정 부재(조정 밸브, 펌프)(12, 18, 22, 24, 28, 32, 34, 36, 42, 46, 48, 50)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예열 영역(14, 26)에 대한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되거나 멈춘다. 조절는 마찬가지로 적합한 목표 설정값(Y)을 기초로 조절 수단(6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프로세스 증기 및 가열 증기 공급시 측정값(Ln)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 수단(60)에 기초가 되는 공정 기술상의 지식 및 적절한 규정들을 모음으로써, 기존 에너지 저장기가 경제적으로 최상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소의 운전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소수의 목표 설정값(Y, DFD)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프로세스 변수(PS, PI, PWL, PFW, MPD, DFD, KL, TB, P) 중 발전기 출력(PS, PI)이 실제 작동 상태를 특성화함과 더불어 잔여 발전기 출력을 설정하기 위해 설비 프로세스 중 존재하는 에너지 저장기가 활성화되는, 증기 터빈 및 발전기를 갖춘 터빈 발전기 세트을 구비한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표 설정값(Y, DFD)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설비 프로세스로부터 분리된 열 출력(PFW)이 제 1 추가 프로세스 변수(PS, PI, PWL, P FW, MPD, DFD, KL, TB, P)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
  2.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터빈(2, 4, 6)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조정 부재(10)의 스로틀율(DFD)이 부가의 추가 프로세스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프로세스로부터 추기된 증기 유량(MPD)이 부가의 추가 프로세스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프로세스의 열 출력 실제값(PWL)이 부가의 다른 프로세스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설정값(Y)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기의 활성화 가능성(TB)에 대한 정보가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법.
  6. 증기 터빈(2, 4, 6) 및 발전기를 갖춘 터빈 발전기 세트, 및 잔여 발전기 출력을 설정하기 위해서 설비 프로세스 중 존재하는 에너지 저장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단은 조절 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60)의 입력들(a 내지 i)은 발전기(8)의 출력값(PS, PI) 및 하나 이상의 추가 프로세스 변수(PS, PI , PWL, PFW, MPD, KL, TB, P)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60)의 출력들(n 내지 u)은 증기 터빈(2, 4, 6)에 접속된 소수의 조정 부재(10, 12, 18, 22, 24, 28, 32, 34, 36, 42, 46, 48, 50)를 위한 목표 설정값(Y)을 특정하도록 구성된,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들(a 내지 i) 중 하나는 상기 설비 프로세스로부터 분리된 열 출력(PFW)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제 1 조절 모듈(6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절 모듈(62)의 입력들(a 내지 i)은 프로세스 변수들(PS, PI, PWL, PFW, MPD, DFD, KL, TB, P)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절 모듈(62)의 출력(j)은 예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측정값들(Ln)을 조합한 요소값들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60)은 제 2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절 모듈의 입력은 상기 제 1 조절 모듈(62)의 출력(j)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조절 모듈의 출력들(n 내지 r)은 증기 조정 부재(10, 12, 18, 24, 28, 32, 34, 36)를 위한 목표 설정값(Y)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60)은 제 3 조절 모듈(66)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조절 모듈(66)의 입력들(a, b)은 상기 발전기(8)의 출력값들(PS, PI)을 포함하고, 출력측에서 제 2 조절 모듈(64)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60)은 제 4 조절 모듈(68)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조절 모듈(68)의 입력은 제 2 조절 모듈(64)의 하나 이상의 출력(r) 및 상기 제 1 조절 모듈(62)의 출력(j)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조절 모듈(68)의 출력(s, t)은 응축물-조정 부재(42, 46, 48, 50)를 위한 목표 설정값(YKP, YNKR)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11. 제 6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6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부재(10)의 실제 스로틀율(DFD)을 보정하기 위한 제 5 조절 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10-1998-0707019A 1996-03-07 1997-02-24 발전소의신속한출력조절방법및장치 KR100474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8873 1996-03-07
DE19608873.9 199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579A KR19990087579A (ko) 1999-12-27
KR100474182B1 true KR100474182B1 (ko) 2005-03-16

Family

ID=778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019A KR100474182B1 (ko) 1996-03-07 1997-02-24 발전소의신속한출력조절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34891A (ko)
EP (1) EP0885348B1 (ko)
JP (1) JP3963479B2 (ko)
KR (1) KR100474182B1 (ko)
CN (1) CN1239812C (ko)
DE (1) DE59710692D1 (ko)
ES (1) ES2206697T3 (ko)
IN (1) IN192326B (ko)
RU (1) RU2169272C2 (ko)
UA (1) UA47459C2 (ko)
WO (1) WO1997033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0125A1 (de) * 1997-11-13 1999-03-1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imärregelung eines Dampfkraftwerkblocks
US6705086B1 (en) * 2002-12-06 2004-03-16 General Electric Company Active thrust control system for combined cycle steam turbines with large steam extraction
DE10260409B3 (de) * 2002-12-18 2004-06-24 Vattenfall Europe Generation Ag & Co. Kg Verfahren zur Primärregelung für ein Netz
DE10321651B4 (de) * 2003-05-13 2005-08-04 Klaus Rasche Anlage zur Erzeugung von Regelenergie
EP1764486A1 (de) * 2005-09-16 2007-03-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mitteln der aktuellen Maximalleistung einer Kraftwerksanlage und Regelvorrichtung
EP2136037A3 (de) * 2008-06-20 2011-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Dampfkraftwerksanlage mit Dampfturbine und Prozessdampfverbraucher
EP2204553A1 (de) * 2008-06-23 2010-07-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kraftanlage
CH699228A1 (de) * 2008-07-21 2010-01-29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Primärregelung einer kombinierten Gas- und Dampfturbinenanlage.
EP2450535A1 (de) * 2008-06-27 2012-05-09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Primärregelung einer kombinierten Gas- und Dampfturbinenanlage
EP2208867A1 (de) 2008-08-25 2010-07-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ln eines Dampfkraftwerks
TW201134386A (en) * 2010-04-09 2011-10-16 Tung-Teh Lee Automatic water-supply control device
DE102010019718A1 (de) * 2010-05-07 2011-11-10 Orcan Energy Gmbh Regelung eines thermischen Kreisprozesses
GB201010760D0 (en) * 2010-06-28 2010-08-11 Doosan Power Systems Ltd Operation of steam turbine and steam generator apparatus with post-combustion carbon capture
DE102011078205A1 (de) * 2011-06-28 2013-0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Hilfsdampferzeuger als zusätzliche Frequenz- bzw. Primär- und/oder Sekundärregelmaßnahme bei einem Dampfkraftwerk
FR2977916B1 (fr) 2011-07-12 2019-12-27 Electricite De France Procede de commande d'une centrale electrique
DE102014202846A1 (de) 2014-02-17 2015-08-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laden eines thermischen Schichtspeichers
WO2019166839A1 (en) 2018-02-28 2019-09-06 ENEXIO, Hungary Zrt. Power plant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CN109854313B (zh) * 2019-03-11 2020-03-24 西安交通大学 一种灵活燃煤发电系统及运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714A (en) * 1974-06-06 1976-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emergency trip system and method for a turbine power plate
US4015430A (en) * 1975-09-30 1977-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power plant and turbine acceleration control system for use therein
US4372125A (en) * 1980-12-22 1983-02-08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bypass desuperheater control system
DE3304292A1 (de) * 1982-10-11 1984-04-12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regeln von netzfrequenzeinbruechen bei einem gleitdruckbetriebenen dampfkraftwerkblock
US5751604A (en) * 1992-02-03 1998-05-12 Terasaki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Cogeneration system
US5181381A (en) * 1992-07-08 1993-01-26 Ahlstrom Pyropower Corporation Power plant with dual pressure reheat system for process steam supply flexibility
DE4344118C2 (de) * 1993-12-23 1997-04-30 Abb Patent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euerung und Regelung der Dampfkraftwerksleistung unter Einsatz von Kondensatstop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9812C (zh) 2006-02-01
KR19990087579A (ko) 1999-12-27
EP0885348A1 (de) 1998-12-23
JP3963479B2 (ja) 2007-08-22
UA47459C2 (uk) 2002-07-15
CN1212039A (zh) 1999-03-24
US6134891A (en) 2000-10-24
DE59710692D1 (de) 2003-10-09
IN192326B (ko) 2004-04-10
WO1997033074A1 (de) 1997-09-12
JP2000506241A (ja) 2000-05-23
EP0885348B1 (de) 2003-09-03
ES2206697T3 (es) 2004-05-16
RU2169272C2 (ru)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182B1 (ko) 발전소의신속한출력조절방법및장치
US4887431A (en) Superheater outlet steam temperature control
EP0093118B1 (en) Hrsg damper control
US4207842A (en) Mixed-flow feedwater heater having a regulating device
CN102374518B (zh) 使用动态矩阵控制的蒸汽温度控制
CN102374519B (zh) 蒸汽温度的动态矩阵控制的动态整定
KR100563518B1 (ko) 증기 발전소 및 상기 증기 발전소의 전력 조정을 위한 방법
US100602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ctor power control of steam turbine power generation system
CN111749740A (zh) 发电设备以及发电设备的输出增加控制方法
CN102374520B (zh) 带有防止饱和蒸汽进入过热器的蒸汽温度的动态矩阵控制
SE426756B (sv) Syrsystem for matarvattnet vid ett kernkraftverk
GB2131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system frequency dips of a variable-pressure-operated steam generator unit
US77889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s moisturization control
US4745757A (en) Combined heat recovery and make-up water heating system
JP5723220B2 (ja) 発電プラント
US4336105A (en) Nuclear power plant steam system
US10196939B2 (en) Method for low load operation of a power plant with a once-through boiler
KR100437924B1 (ko) 발전소의신속한출력제어방법및장치
CN110296387B (zh) 一种加热器液位自动寻优控制方法
US316413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 forced flow steam generator
JPS59138705A (ja) 給水温度の制御装置
JPH0230401B2 (ko)
KR101638296B1 (ko) 증기터빈 발전설비의 출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10299424A (ja) ごみ焼却発電プラント蒸気温度制御方法
JPH0454204A (ja) 抽気復水タービ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