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689B1 - 원심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성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3689B1 KR100473689B1 KR1020040046229A KR20040046229A KR100473689B1 KR 100473689 B1 KR100473689 B1 KR 100473689B1 KR 1020040046229 A KR1020040046229 A KR 1020040046229A KR 20040046229 A KR20040046229 A KR 20040046229A KR 100473689 B1 KR100473689 B1 KR 100473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 manufacturing mold
- plate
- mold
- mold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centrifugal or rotational cas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승강 프레임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동시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형틀을 제 1,2회전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원심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심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도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은 종래에 단순히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밀도 및 강도가 약하여 설치 후 각종 외압, 예컨대, 동절기에 눈이 녹으며 기온이 급강하 시 동차가 발생하며, 충돌, 빗물 등의 계속적인 충격으로 노화가 점차적으로 증대되어 파손되거나 면이 거칠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재시공 시 인건비, 재료비, 환경폐기물 처리비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 교통체증을 유발하여 민원의 대상이 대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경계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원심력을 이용하여 경계석을 제조하는 원심 성형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한국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5-0005893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의하면, 사각형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채운 뒤, 사각형틀 양측 원형 로울링을 제조장치의 구동 로울러에 접촉되게 한다. 그 후, 구동 로울러를 회전시키면 마찰력에 의해 제조형틀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장치는 구동 로울러에 고정되지 않은 채 단지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초 고속회전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위해 한국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29393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눕혀진 'ㄷ'자 형상으로, 좌우측 기둥의 상측 중심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판 형상인 원형 로우링과 원형 로우링의 중심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봉으로 각각 구성되어, 각각의 원형 로우링이 몸체의 안쪽에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봉이 몸체의 좌우측 기둥의 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 2회전체와,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사각 형틀로써, 양측에는 제 1, 2회전체의 원형 로우링과 동일한 형상의 원형 로우링이 장착되어 있어서, 제 1, 2회전체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2회전체의 원형 로우링에 볼트 체결되는 경계석 제조형틀 및 제 1회전체의 봉과 체인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 1회전체를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원심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 1, 2회전체 사이에 제조형틀을 결합시킬 때, 일일이 양중 장비 등으로 이송하여, 작업자가 제 1,2회전체의 봉과 제조형틀의 원형 로우링의 홈을 맞추어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1,2회전체와 제조형틀을 결합하고 분리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 프레임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동시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형틀을 제 1,2회전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원심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진 제조형틀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경계석을 원심 성형하여 줌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경계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지며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경계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심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심 성형장치는 제 1기둥과, 상기 제 1기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기둥으로 구성된 몸체; 제 1회전판과, 상기 제 1회전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 1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제 1회전체; 제 2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 2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제 2회전체; 상기 제 1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제 1,2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 1회전판 및 제 2회전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돌기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제조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회전판이 회전될 때 상기 제 1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제조형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조형틀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이 더 구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표면이 매끄러운 경계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지며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경계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제조형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와, 상기 제 1회전판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와 측면 가압부를 꼭 맞추지 않아도 회전판이 회전되면 돌출부가 측면 가압부의 측면에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 가압부는 상기 1회전판에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조형틀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제조형틀을 제 1,2회전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은 원형이면, 제조형틀을 이동시킬 때, 직접 들지 않아도 굴려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하다.
더욱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 1,2회전체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제조형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 형상의 스토퍼가 더 형성되면, 제조형틀을 굴려 제 1,2회전체가 배치된 곳에 위치시킬 때 제조형틀의 고정판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 1,2회전체가 배치된 위치에 용이하게 제조형틀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2회전체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배치되면, 제 1회전체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회전되므로, 제 1회전체에 의해 회전된 제조형틀을 통해 생산된 경계석은 일정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성형장치의 제조형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의 a,b는 도 1의 측면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작동도이고, 도 4의 a,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형틀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조형틀의 덮개를 고정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성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b,c는 도 6의 제조형틀이 결합되어 회전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제조형틀이 회전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제조형틀이 적재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계석 제조장치는 몸체(100)와, 제 1,2회전체(200a, 200b)와, 구동수단(300)과, 제조형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베이스 판(110)과, 베이스 판(11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2기둥(130, 150)으로 구성되어, 대략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눕혀진 'ㄷ'자 형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 1기둥(130)은 베이스 판(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2기둥(150)은 제 1기둥(130)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기둥(150)은 제 2기둥 이동수단(500)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제 2기둥 이동수단(500)은 버튼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유압 발생기(510)와, 발생된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피스톤(530)으로 구성되어, 유압 피스톤 방식을 통해 제 2기둥(15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기둥(15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롤러(151)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판(110)에는 롤러(151)가 좌우로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기둥(130)에 마련되는 제 1회전체(200a)는 제 1회전판(210a)과, 제 1회전판(210a)에 결합되며 제 1기둥(130)에 설치된 브래킷(230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회전축(250a)으로 구성된다.
제 1회전축(250a)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브래킷(230a)으로 제 1기둥(130)의 상단에 고정되며, 브래킷(230a)에는 제 1회전축(250a)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다.
제 1회전판(210a)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260a)는 원뿔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회전축(25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체(200a)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0)은 제 1회전축의 타단에 장착된 풀리(350)와, 풀리(350)에 감긴 벨트(330)와, 벨트(330)를 구동시키는 모터(31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2기둥(150)에 마련되는 제 2회전체(200b)는 제 2회전판(210b)과, 제 2회전판(210b)에 결합되며 제 2기둥(150)에 브래킷(230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2회전축(250b)으로 구성된다.
제 2회전축(250b)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브래킷(230b)으로 제 2기둥(150)에 고정되며, 브래킷(230b)에는 제 2회전축(250b)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다.
제 2회전판(210b)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260b)는 원뿔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회전축(250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2회전체(200a, 200b)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돌기(260a, 260b)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제조형틀(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지며 상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형틀부(410)와, 형틀부(410)의 개방된 양측면을 개폐시키는 측면판(430)과, 형틀부(4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덮개(490)와, 측면판(43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정판(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형틀부(410)의 내부에는 경계석(900)의 재료인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이 채워지며, 원하는 색상으로 성형코자 할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의 도료와 혼합할 수 있다.
형틀부(410)는 경계석(900)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면과 양측면에 개방되어 있는, 즉,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눕혀진 'ㄷ'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형틀부(410)는 완성된 경계석(900)을 탈형하기 쉽도록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틀부(410)는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병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눕혀진 'ㄷ'형 형틀부(410) 두 개를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틀부(410)는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병렬로 결합됨으로써, 형틀부(410) 두 개의 사이즈가 같으므로, 같은 크기와 모양의 경계석(90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형틀부(41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리브(411)가 형성되어 있어, 형틀부(410)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형틀부(410)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된 덮개 장착부(413a, 413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 장착부(413a, 413b)에는 고정홈(414)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판(43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제조형틀(400)의 양측면을 측면판(43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경계석(900)을 탈형시킬 때 용이하게 탈형시킬 수 있다.
형틀부(410)의 개방된 양측면에 제조형틀(400)의 폭방향으로 회전하여 측면판(4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50a)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수단(450a)은 측면판(430)과 고정판(470) 사이의 공간에 제조형틀(400)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제조형틀(400)의 상하방향이란 제조형틀(400)의 덮개(490)가 개폐되는 방향을 말하며, 제조형틀(400)의 길이방향이란 제조형틀(400)이 회전되는 방향을 말하며, 제조형틀(400)의 폭방향이란 상하방향 및 길이방향을 이루는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말함을 유의하기 바란다.
이렇게, 제조형틀(400)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측면판(430)을 고정시킴으로써, 제조형틀(400)의 양측에 고정판(470)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고정수단(450a)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430)과 고정판 (470)사이에 제조형틀(400)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되는 회전부(451a)와, 회전부(451a)를 회전시키면 측면판(430)을 가압하는 가압부(453a)로 이루어진다.
회전부(451a)는 제조형틀(400)의 측면에 형성된 브래킷(4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회전부(451a)와 브래킷(415a)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부(451a)의 양끝단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구 등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가압부(453a)는 후크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451a)를 공구 등으로 회전시키면 후크형상의 가압부(453a)도 같이 회전되어 측면판(430)을 가압함으로써, 측면판(4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부(451a)와 브래킷(415a)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쉽게 풀리지 않으며 측면판(430)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양측 측면판(43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50a)이구성됨으로써, 일일이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지 않고 고정수단(450a)을 회전하여 원터치 형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조립 및 탈형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수단(450a)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450b)은 측면판(430)과 고정판(470) 사이에 제조형틀(400)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을 이루는 평면에 배치되는 회전부(451b)와, 회전부(451b)를 회전시키면 측면판(430)을 가압하는 가압부(453b)와, 가압부(453b)의 일단에 연장하여 형성된 파지부(455b)와, 제조평틀에 형성되어 파지부(455b)를 고정시키는 걸쇠(417)로 구성된다.
회전부(451b)는 측면판(430) 측으로 배치되며, 리브(411)가 제조형틀(40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에 스토퍼(415b)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다.
파지부(455b)는 제조형틀(400)의 리브(411)가 형성된 측으로 배치된다.
걸쇠(417)는 리브(411)가 형성된 측에 파지부(455b)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수단(450b)은 강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구성되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455b)를 걸쇠(417)에 고정시키게 되면, 회전부(451b)가 회전되면서 가압부(453b)가 측면판(430)을 가압하여 측면판(43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에서는 형틀부(410)가 하나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틀부(410) 두 개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측면판(430)에는 측면판(430)을 끼우고 빼기 쉽도록 외측으로 손잡이(4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측면판(430)의 중앙 부분에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홀(4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측면판(430)에 수분 배출홀(433)이 형성되면, 경계석(900) 제조 시 제조형틀(400)을 회전시킬 때 수분 배출홀(433)을 통해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수분이 빠져나가 경계석(900)의 중앙에 원심력에 의해 생기는 중공의 가장자리가 매끄럽게 되므로, 중공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측면판(43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정판(470)은 덮개 장착부(413a, 413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413-1)과, 리브(4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411-1)과,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 장착부(415)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판 장착부(415)는 측면판(43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판(470)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으로 구성되면 제조형틀(400)을 이동시킬 때, 직접 들지 않아도 굴려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고정판(470)에는 중앙에 회전축 관통홀(471)이 천공 설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돌출부(71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형틀부(4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덮개(49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고정수단(600)에 의해 덮개 장착부(413a, 413b)에 장착된다.
덮개 고정수단(600)은 덮개(49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홀(491a, 491b)과, 홀(491a, 491b)을 관통하며 제조형틀(400)에 형성된 고정부재(610a, 610b)와, 고정부재(610a, 610b)와 인접하게 형성된 걸림부재(630a, 630b)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650)로 이루어진다.
홀(491a, 491b)은 덮개(49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으로 형성되되, 일측의 홀(491a, 491b)은 다른 일측의 홀(491a, 491b)과 대칭되게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610a, 610b)는 제조형틀(400)의 덮개 장착부(413a, 413b)에 형성되며, 덮개(490)에 형성된 홀(491a, 491b)과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고정부재(610a, 610b)는 원통형상이되, 중간부분에 직경이 줄어들며 형성된 장착부(611a, 611b)가 마련된다.
걸림부재(630a, 630b)는 고정부재(610a, 610b)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걸림부재(630a)와 타측 걸림부재(630b)의 모양이 서로 반대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50)는 강한 탄성재질이며,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에는 후크형상의 끼움부(651)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651)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어, 덮개(490)의 홀(491a, 491b)을 고정부재(610a, 610b)에 끼운 다음, 탄성부재(650)의 끼움부(651)를 일측 고정부재(610b)의 장착부(611b)에 끼운 상태에서 타단을 타측 걸림부재(630a)에 고정시키면, 덮개(490)가 고정된다.
이렇게, 덮개(490)를 덮개 고정수단(600)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일일이 볼트 등 체결수단을 체결하지 않고도 원터치 형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조립 및 탈형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490)의 상면에는 걸고리(49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걸고리(493)가 형성되면 양중장비 등으로 손쉽게 제조형틀(400)을 양중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회전체(200a)의 제 1회전판(210a)과 제조형틀(400)의 고정판(47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회전축(250a)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돌기(260a)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력 전달수단(70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력 전달수단(700)은 고정판(470) 측에 형성되는 다수 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돌출부(710)와, 제 1회전판(210a)에 돌출 형성되어 돌출부(710)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부(7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가압부(73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470)이 배치된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이프(731)와, 파이프(731)의 내부에 수용되며 돌출부(710) 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 가압부(730)와, 파이프(731)와 측면 가압부(730)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733)으로 구성된다.
파이프(731)는 일단의 원주를 따라 파이프(731) 중심 측으로 스토퍼(731-1)가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731)의 내부에 수용된 측면 가압부(730)의 일단은 스토퍼(73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는 빠지지 않도록 캡(730-3)이 형성된다.
한편, 측면 가압부(730)에는 직경이 줄어들며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730-1)가 형성되어 있어, 이 스프링 안착부(730-1)에 스프링(733)이 장착된다.
또한, 측면 가압부(730)의 타단은 고정판(470)이 배치된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제 1회전판(210a)이 회전되면 고정판(470)의 돌출부(710)가 돌출 형성된 측면 가압부(730)의 측면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이 때,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710)가 측면 가압부(730)와 맞닿는 경우, 돌출부(710)가 측면 가압부(730)를 파이프(731) 내부로 밀게되어 측면 가압부의 돌출된 부분이 파이프(731)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회전판(210a, 210b)이 회전하여 돌출부(710)가 측면 가압부(730)의 위치를 이탈하게 되면 측면 가압부는(730) 스프링(733)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돌출부(710)는 인접한 다른 측면 가압부(73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돌출부(710)와 홀 등에 의해 고정될 경우에는 돌출부(710)와 홀을 꼭 맞추어야 하므로 결합과정이 까다롭고, 홀의 공차가 생길 경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고정판(470)과 회전판(210a)이 돌출부(710)와 측면 가압부(730)에 의해 지지되면, 돌출부(710)와 측면 가압부(730)를 꼭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회전판(210a)에만 측면 가압부(730)가 돌출 형성되고, 제조형틀(400)의 일측에만 돌출부(71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2회전판(210b)에 측면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조형틀(400)의 타측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조형틀(400)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1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프레임(170)은 제 1,2기둥(130, 150) 사이에 배치되며, 제조형틀(400)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71)과, 상부 프레임(17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프레임(173)과, 하부 프레임(173)으로부터 상부 프레임(17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175)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프레임(173)은 대략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눕혀진 'ㄷ'형상이며, 개구면에 상부 프레임(171)이 배치되어, 상하 이동수단(175)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하 이동수단(175)은 버튼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유압 발생기(510)와, 발생된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피스톤(175)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유압 피스톤 방식을 통해 상부 프레임(171)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나아가, 승강 프레임(170)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프레임(170)은 좌우 이동수단(177)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하부 프레임(173)에 설치된다.
좌우 이동수단(177)은 상하 이동수단(175)과 마찬가지로 유압 피스톤 방식을 적용하며, 유압 피스톤(177)은 하부 프레임(173)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압 발생기(510)는 제 2기둥(1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기둥 이동수단(500)의 유압 발생기(510)와 같은 것이며, 유압 발생기(510)에서 발생되는 유압은 호스를 통해 각 유압 피스톤(175, 177, 53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프레임(171)에는 제 1,2회전체(200a, 200b)가 배치되는 위치에 제조형틀(4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 형상의 스토퍼(171a)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홈 형상의 스토퍼(171a)가 형성되면, 제조형틀(400)을 굴려 제 1,2회전체(200a, 200b)가 배치된 곳에 위치시킬 때 제조형틀(400)의 고정판(470)이 스토퍼(171a)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 1,2회전체(200a, 200b)가 배치된 위치에 용이하게 제조형틀(4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2회전체(200a, 200b)가 회전할 때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800)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800)는 바람직하게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판(110)에 장착되어, 제 1,2회전체(200a, 200b)가 회전할 때 제 1,2회전체(200a, 200b)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제조형틀(400)이 회전할 때 내부의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다져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 1,2회전체(200a, 200b)가 한 개이고, 이에 따라 제 1,2회전체(200a, 200b)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제조형틀(400)도 한 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2 회전체가 다수 개로 구성되어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고, 제조형틀(400)도 다수 개로 구성되어 제 1,2 회전체(200a, 200b)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 1회전체(200a)의 일단에 장착되는 풀리(350)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벨트(330)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310)를 구동시키면, 다수개의 풀리(350)가 동시에 회전되며, 다수 개의 제조형틀(40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 1,2회전체(200a, 200b)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배치되면, 제 1회전체(200a)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회전되므로, 제 1회전체(200a)에 의해 회전된 제조형틀을 통해 생산된 경계석은 일정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조형틀(400)의 양측에 측면판(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도 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450a)을 회전시켜 측면판(430)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후, 제조형틀(400)의 형틀부(41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투입한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90)를 덮개 장착부(413a, 413b)에 덮고, 탄성부재(650)의 끼움부(651)를 일측 고정부재(610b)의 장착부(611b)에 끼운 상태에서 타단을 타측 걸림부재(630a)에 고정시켜 덮개(490)를 장착한다.
이렇게,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진 제조형틀(400) 여러 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71)으로 이송시킨다.
상부 프레임(171)으로 이송된 다수 개의 제조형틀(400)을 굴려 각각 제1,2회전체가 배치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판(470)이 원형이므로 제조형틀(400)을 굴려서 용이하게 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71)에는 홈 형상의 스토퍼(171a)가 형성되어 있어, 굴러온 제조형틀(400)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제조형틀(400)은 각각 제 위치에 배치한 다음, 버튼을 조작하여,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73)을 제 1회전체 측(도 7a에서는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부 프레임(173)을 이동시키면, 제조형틀(400) 고정판(470)의 회전축 관통홀(471)이 제 1회전축(250a)에 끼어지고, 고정판(470)의 두 개의 돌출부(710)는 각각 측면 가압부(730)의 측면 가압부(730) 측면에 지지된다.
그런 다음, 버튼을 조작하여,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기둥(150)을 제조형틀(400)이 배치된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 2기둥(150)을 이동시키면, 제조형틀(400)의 반대측 고정판(470)의 회전축 관통홀(471)에 제 2회전축(250b)이 끼워지고, 고정판(470)의 두 개의 돌출부(710)는 제 2회전판(210b)의 측면 가압부(730)의 각 측면 가압부(730) 측면에 지지된다.
그런 후, 버튼을 조작하여,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수단(175)의 상부 프레임(171)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부 프레임(171)을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모터(310)를 구동시키면, 벨트(330)에 의해 병렬로 배치된 다수 개의 풀리(350)가 동시에 회전되며 다수개의 제 1회전체(200a)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로써, 제조형틀(400)은 회전되며, 제조형틀(400) 타단의 제 2회전체(200b)도 같이 회전된다.
일정시간이 경과 후 모터(310)를 정지시키면, 제조형틀(400)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기와 반대로 버튼을 조작하여, 상부 프레임(171)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2기둥(150)을 제조형틀(400)의 고정판(470)과 제 2회전판이 분리되는 방향(도 7b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판(470)과 제 2회전판(210b)을 분리시킨 다음, 하부 프레임(173)을 제 2회전체(200b) 측(도 7a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판(470)과 제 1회전판(210a)이 서로 분리된다.
그런 후, 제조형틀(4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과 같은 이송장치(10)를 통해 승강 장치(20)로 이송할 수 있다.
승강 장치(20)는 전술한 승강 프레임(170)과 마찬가지로 유압 피스톤(21) 방식을 적용하여 제조형틀(4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장치(20)에 의해 제조형틀(400)은 다수개의 칸이 구비된 적재대(30)로 이송될 수 있고, 그 후, 양생 작업을 하기 위해 양생실로 이송시킬 수 있다.
양생 작업이 끝난 후, 작업자는 제조형틀(400)의 덮개(490)를 열고, 양측 측면판(430)을 분리시킨 다음, 경계석(900)을 탈형한다.
이렇게 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제조형틀(400) 당 두 개의 경계석(900)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경계석(900)에는 원심력에 의해 내부에 중공(910)이 형성되는데, 형틀부(410)의 중앙에 중공(910)이 생기므로 두 개의 경계석(900) 가장자리에 각각 반원모양으로 생기게 되며, 이렇게, 경계석(900)의 가장자리에 반원모양으로 중공(910)이 생길 경우, 중공(910)으로부터 가장자리에 이르는 두께가 더 두꺼워지므로 변형과 마모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진 제조형틀(400)이 구동수단(300)에 의해 회전하여 경계석(900)을 원심 성형하여 줌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경계석(900)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지며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경계석(900)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 1,2회전체(200a, 200b)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2회전체(200a, 200b)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 1,2회전체(200a, 200b)에 의해 회전된 제조형틀을 통해 생산된 경계석은 일정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승강 프레임(170)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동시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형틀(400)을 제 1,2회전체(200a, 200b)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심 성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진 제조형틀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경계석을 원심 성형하여 줌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경계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지며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경계석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회전판의 회전력을 제조형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이 제조형틀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와, 제 1,2회전판에 구성되어 돌출부를 지지하는 측면 가압부로 구성됨으로써, 돌출부와 측면 가압부를 꼭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다.
나아가, 승강 프레임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동시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형틀을 제 1,2회전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판은 원형으로 됨으로써, 제조형틀을 이동시킬 때, 직접 들지 않아도 굴려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에 제 1,2회전체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제조형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더 형성됨으로써, 제조형틀을 굴려 제 1,2회전체가 배치된 곳에 위치시킬 때 제조형틀의 고정판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 1,2회전체가 배치된 위치에 용이하게 제조형틀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2회전체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제 1회전체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회전되므로, 제 1회전체에 의해 회전된 제조형틀을 통해 생산된 경계석은 일정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성형장치의 제조형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의 a,b는 도 1의 측면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작동도.
도 4의 a,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형틀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도 1의 제조형틀의 덮개를 고정시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성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a,b,c는 도 6의 제조형틀이 결합되어 회전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도 6의 제조형틀이 회전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제조형틀이 적재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도 6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장치 20 : 승강장치
21 : 유압 피스톤 30 : 적대대
100 : 원심 성형장치 몸체 110 : 베이스 판
111 : 레일 130 : 제 1기둥
150 : 제 2기둥 151 : 롤러
170 : 승강 프레임 171 : 상부 프레임
171a: 스토퍼 173 : 하부 프레임
175 : 상하 이동수단 177 : 좌우 이동수단
200a, 200b : 제 1,2회전체 210a, 210b : 제 1,2회전판
230a, 230b : 브래킷 250a, 250b : 제 1,2회전축
260a, 260b : 지지돌기 300 : 구동수단
310 : 모터 330 : 벨트
350 : 풀리 400 : 제조형틀
410 : 형틀부 411 : 리브
413a, 413b : 덮개 장착부 414 : 고정홈
415 : 고정판 장착부 415a : 브래킷
415b : 스토퍼 417 : 걸쇠
430 : 측면판 431 : 손잡이
433 : 수분 배출홀 450a, 450b : 고정수단
451a, 451b : 회전부 453a, 453b : 가압부
455b : 파지부 470 : 고정판
471 : 회전축 관통홀 490 : 덮개
491a, 491b : 홀 493 : 걸고리
500 : 제 2기둥 이동수단 510 : 유압 발생기
530 : 유압 피스톤 600 : 덮개 고정수단
610a, 610b : 고정부재 611a, 611b : 장착부
630a, 630b : 걸림부재 650 : 탄성부재
651 : 끼움부 700 : 회전력 전달수단
710 : 돌출부 730 : 측면 가압부
730-1 : 스프링 안착부 730-3 : 캡
731 : 파이프 731-1 : 스토퍼
733 : 스프링 800 : 바이브레이터
900 : 경계석 910 : 중공
Claims (8)
- 삭제
- 제 1기둥과, 상기 제 1기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기둥으로 구성된 몸체;제 1회전판과, 상기 제 1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 1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제 1회전체;제 2회전판과, 상기 제 2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 2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 2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제 2회전체;상기 제 1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상기 제 1,2회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제 1회전판 및 제 2회전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돌기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제조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제 1회전판이 회전될 때 상기 제 1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제조형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이 구비되고,상기 제조형틀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상기 제조형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부와,상기 제 1회전판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측면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측면 가압부는 상기 제 1회전판에 탄성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승강 프레임은,상기 제조형틀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상기 상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 프레임과,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승강 프레임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고정판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프레임에는,상기 제 1,2회전체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제조형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 형상의 스토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2회전체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성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6229A KR100473689B1 (ko) | 2004-06-21 | 2004-06-21 | 원심 성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6229A KR100473689B1 (ko) | 2004-06-21 | 2004-06-21 | 원심 성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73689B1 true KR100473689B1 (ko) | 2005-03-14 |
Family
ID=3722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6229A KR100473689B1 (ko) | 2004-06-21 | 2004-06-21 | 원심 성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368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654B1 (ko) | 2006-04-19 | 2007-06-27 | 김만수 | 대형 벨로우즈 성형장치 |
KR100733912B1 (ko) | 2005-10-05 | 2007-07-02 | 윤원병 | 경계석 원심성형장치 |
WO2012134014A1 (ko) * | 2011-03-29 | 2012-10-04 | 송진수 | 폴리머관 원심 진동형 복합성형기 |
KR101350765B1 (ko) | 2012-03-05 | 2014-01-14 | 김대자 | 원심력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타설기 |
-
2004
- 2004-06-21 KR KR1020040046229A patent/KR1004736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3912B1 (ko) | 2005-10-05 | 2007-07-02 | 윤원병 | 경계석 원심성형장치 |
KR100731654B1 (ko) | 2006-04-19 | 2007-06-27 | 김만수 | 대형 벨로우즈 성형장치 |
WO2012134014A1 (ko) * | 2011-03-29 | 2012-10-04 | 송진수 | 폴리머관 원심 진동형 복합성형기 |
KR101350765B1 (ko) | 2012-03-05 | 2014-01-14 | 김대자 | 원심력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타설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614714A (zh) | 一种装配式建筑预制模块的混凝土振动浇筑装置 | |
CN112109181B (zh) | 一种加气混凝土砌块制备成型方法 | |
WO2009031983A1 (en) | Tilting equipment for production of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 |
KR100473689B1 (ko) | 원심 성형장치 | |
CN113323398A (zh) | 一种钢筋混凝土梁柱浇筑施工方法 | |
KR101135458B1 (ko) | 콘크리트 도로 포장장치 | |
KR100473690B1 (ko) | 경계석 제조형틀 | |
CN112518952A (zh) | 一种钢筋混凝土pc构件制作方法 | |
EP3020526B1 (en) | Concrete roller head | |
CN115229962B (zh) | 一种混凝土预制构件脱模成型方法 | |
KR101111267B1 (ko) | 블록의 표면 처리장치 | |
KR100419823B1 (ko) | 경계석의 제조형틀 | |
KR200329393Y1 (ko) | 경계석 제조 장치 | |
KR100733912B1 (ko) | 경계석 원심성형장치 | |
CN214644657U (zh) | 一种脱模装置 | |
KR100419824B1 (ko) | 경계석의 제조형틀 | |
CN115110381B (zh) | 一种公路基层稳定土的铺设装置 | |
JP3647918B2 (ja) | 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CN2130667Y (zh) | 一种道路路沿石制造装置 | |
JPS629053Y2 (ko) | ||
JPS6017685B2 (ja) | コンクリ−ト管成型時に材料等に移動が生じて起る内部歪みを除去する方法 | |
JPS5933606Y2 (ja) | ベルト式遠心成形における起振用型枠 | |
CN116572384A (zh) | 预制混凝土空心柱的成型装置及预制混凝土空心柱生产线 | |
JP2849628B2 (ja) | コンクリート管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 |
JPS6374604A (ja) | コンクリ−トの遠心力成形用型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