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558B1 -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558B1
KR100473558B1 KR10-2001-0070201A KR20010070201A KR100473558B1 KR 100473558 B1 KR100473558 B1 KR 100473558B1 KR 20010070201 A KR20010070201 A KR 20010070201A KR 100473558 B1 KR100473558 B1 KR 10047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material
bonding
deformation
therma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229A (ko
Inventor
김철민
김원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5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간의 접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접합물질의 일정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접합물질에 대응접합되며, 동일온도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열변형이 큰 제 2접합물질의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접합물질의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인장응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접합물질의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압축응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인장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1접합물질에 인장변형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2접합물질에 압축응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접합물질 및 제 2접합물질을 상기 온도변화 중 존재하는 최대온도로 접합하는 단계와, 접합된 상기 제 1접합물질 및 제 2접합물질을 상기 온도변화 중 존재하는 최저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Junction Method For Minimization Of Thermal Deformation In Contact Region Between Two Materials Using Initial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은 이종물질의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물질의 접합 과정에서 각 물질의 갖는 고유한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발생하는 불균형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합 과정 이전에 미리 발생할 수 있는 변형량 을 계산하고, 계산된 변형량을 인가하여 상대적인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금속 대 비금속 또는 금속 대 금속사이의 접합과정이 필수적으로 존재하기 마련이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접합방법중 브레이징 기법을 이용하는바, 브레이징기법이란 450℃이상에서 접합하고자 하는 모제(base metal) 용융점(metling point) 이하에서 모재는 상하지 않고 용가재와 열을 가하여 두 모재를 접합하는 기술이다.참고로 용기재(filler metal)를 가지고 접합하는 방법은 크게 웰딩(welding), 브레이징(brazing), 솔더링(soldering)으로 나눌수 있다.흔히 웰딩(welding)을 용접, 브레이징(brazing)을 경납땜, 솔더링(soldering)을 연납땜으로 말하기도 한다.상기 3가지 공법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솔더링은 450℃이하의 용가재를 가지고 접합하는 방법을 칭하며, 웰딩과 브레이징은 450℃이상의 온도에서 행해지나 그 차이점은 웰딩은 접합하고자 하는 모재의 용융점(melting point) 이상에서 접합하는 방법이며, 브레이징은 용융점이하에서 모재는 상하지 않고 용가재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여 두 모재를 접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상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은 브레이징 접합방법으로서, 상기 브레이징 접합기술은 우주항공산업, 자동차 산업, 냉동 및 공조산업, 가정용품 산업, 액세서리 산업, 기타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지녔기 때문이다.브레이징 접합기술은 동종금속이든 이종금속이든 접합이 다양하게 가능함에 따라 재료 원가 절감이 가능함과 동시에 새로운 부품의 개발이 가능하며, 다른 접합보다 비교적 강한 접합강도를 가지는바, 철과 비철을 브레이징 할 경우 접합부의 인장강도(tentile strength)가 모재보다 강한 경우가 있으며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브레이징 접합부가 130,000PSI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게끔 설계가 가능하다.상기 브레이징 접합기술의 가장 큰 이점은 이종 금속 접합이 가능하다는 것인바, 크게 다른 부품이라도 접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부품의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다양한 부품 설계가 가정하며, 전도도, 저항등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값을 얻을 수 있다.이하에서 종래의 이종물질간의 접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도 1은 종래 이종물질의 접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접합물질(1)과 제 2접합물질(3)은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이종물질로서, 고온에서의 접합단계와 상온에서의 냉각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접합됨으로써, 단일의 제품(5)으로 완성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 1접합물질(1)은 제 2접합물질(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제 2접합물질(3)은 더 큰 열팽창계수를 가진다.
이 때 상기 제 1접합물질(1)과 제 2접합물질(3)의 온도변화에 따른 접합경계면에서의 열변형량은 각 접합물질(1,3)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열팽창계수와, 온도변화량 등에 의해 결정되며, 공식으로 표현하면 ΔL = L0 ×α×ΔT이다.
상기 공식은 일반적인 열변형량 계산식으로, 여기서 ΔL 은 열변형에 따른 길이변화량을 나타내고, 상기 L0는 초기상태의 길이를 나타내며, 상기 α는 물질 고유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내고, ΔT는 접합단계에서의 온도와 냉각단계에서의 온도변화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접합물질(1) 및 제 2접합물질(3)의 접합과정에서 각 접합물질(1,3)은 서로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열변화에 따라 변형하는 정도가 상이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상기 접합경계면에서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작은 제 1접합물질 (1)은 인장응력을 받게 되고,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큰 제 2접합물질(3)은 압축 응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상온에서의 냉각 후에는 반드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변형에 따른 상기 길이변화량(이하 열변형량)은 각 접합물질(1,3)의 접합 후 접합면의 분리 또는 잔류응력으로 인한 수명의 감소 등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온에서의 접합 이후에 상온에서 냉각할 때 그 냉각과정을 최적화하는 기술과, 접합 및 냉각 후 추가적인 열처리를 통해 열변형을 최소화하려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막대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이종물질의 접합시 접합경계면에서의 열변형에 따른 변화량을 최소화하여 이종물질을 접합할 수 있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접합 과정 이전에 미리 발생할 수 있는 변형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변형량을 인가하여 이종물질간의 상대적인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제 1접합물질(10)의 일정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S100);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대응접합되며, 동일온도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열변형이 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제 1접합물질(10)이 갖는 탄성영역 내로 한정되는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인장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300);
상기 제 2접합물질(20)이 갖는 탄성영역 내로 한정되는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압축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400);
상기 인장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1접합물질(10)을 인장변형시키는 단계 (S500);
상기 압축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압축변형시키는 단계 (S600);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을 상기 온도변화중 존재하는 최대온도로 접합하는 단계(S700); 및
접합된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을 상기 온도변화 중 존재하는 최저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단계(S80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은 ΔL1 = L1 ×α1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1 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L1는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
상기 α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팽창계수;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은 ΔL2 = L2 ×α2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2 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 길이;
상기 α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팽창계수;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인가할 인장응력은 σ1 = (ΔL1 - ΔL 2)/L1 ×E1 로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σ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인가할 인장응력;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ΔL2는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
상기 E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탄성계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인가할 인장응력은 σ2 = (ΔL1 - ΔL2 )/L2 ×E2 로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σ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인가할 압축응력;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Δ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 길이;
상기 E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탄성계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방법의 접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방법은 이종물질간의 접합과정에서 온도변화를 겪는 이종물질간의 상대적인 열변형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합과정에서 겪게 될 온도변화에 따라 각 물질의 열변형량 및 응력을 계산하여 접합 이전에 상대적으로 열변형이 적은 물질에는 인장변형을 가하고, 열변형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에는 압축변형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때 가하게 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의 크기는 공히 각 이종물질이 갖는 탄성영역(항복응력)내로 한정한다.
이러한 상기 열변형최소화방법은 제 1접합물질(10) 및 상기 제 1접합물질 (10)에 대응접합하는 제 2접합물질(20)을 단일의 제품(100)으로 접합하는 일련의 과정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제 1접합물질(10)이 일정온도변화에 따라 겪게 되는 열변형량을 계산한다.
이 때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은 ΔL1 = L1 ×α1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1 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이고, 상기 L1는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이며, 상기 α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팽창계수이며,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이다.
상기 열팽창계수는 단위온도당 변화하는 변형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지니게 됨으로 상기 각 접합물질(10,20)간의 상대적인 열변형정도를 알 수 있다. (S100)
다음으로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을 계산하는데, 상기 제 2접합물질(20)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열변형정도를 갖는 것으로, 즉 상대적으로 더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은 ΔL2 = L2 ×α2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2 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이고,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길이이며 ,상기 α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팽창계수이고,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이다.(S200)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의 각 열변형량은 접합 이전에 미리 인가할 인장변형 또는 압축변형을 위해 계산되는 것으로, 인장 또는 압축변형정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각 열변형량은 인장응력 또는 압축응력 계산의 기초가 된다.
아울러, 상기 각 응력이 계산되기 위해서는 상기 열변형과 탄성변형과의 관계를 규명해야 하는데, 이는 공식 ε= 1/E ×σ을 통해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ε은 탄성변형율 즉, 원래길이당 변형된 길이의 정도를 나타내고, E는 각 물질마다 고유한 탄성계수이며, σ는 응력을 나타낸다.
상기 탄성변형율은 앞에서 계산된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의 변형량의 차이를 각 접합물질(10,20)의 원래길이로 나누어 각각 계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접합물질(10)과 제 2접합물질(20)의 변형량 차이는 (ΔL1 - ΔL2 )= (L1 ×α1 - L2 ×α2) ×ΔT 에 의해 계산되어진다.
아울러, 접합 이전에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가할 변형정도 즉, 단위면적당 가할 힘은 상기 탄성변형율에 제 1접합물질(10)의 탄성계수를 곱한 값 즉, 열변형량의 차이를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길이로 나누고 여기에 탄성계수를 곱하는 것으로 공식으로 표현하자면 σ1 = (ΔL1 - ΔL2)/L1 ×E1 이며, 이 때 가하는 인장응력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이 갖는 고유의 탄성영역(항복응력) 내로 한정하여 과다한 인장응력의 가함으로 인해 제 1접합물질(10)이 소성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σ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인가할 인장응력이고,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이며, 상기 ΔL2는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이고, 상기 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이며, 상기 E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탄성계수이다.
상기 제 1접합물질(10)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열팽창계수(열변형정도)를 가지기 때문에, 접합 이전에 미리 인장변형을 가함으로써, 접합과정에서 제 2접합물질(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게 변형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S300)
한편,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서 접합 이전에 가하게 되는 변형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과는 반대로 압축변형으로 이는 접합시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변형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는데, 이 때에도 압축변형을 일으키는 압축응력은 상기 제 2접합물질이 갖는 고유의 탄성영역(항복응력)내로 한정하여 소성변형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 때의 압축응력은 σ2 = (ΔL1 - ΔL2)/L2 ×E 2 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상기 σ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인가할 압축응력이고,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이며, 상기 Δ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 (20)의 열변형량이고,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 길이이며, 상기 E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탄성계수이다.(S400)
이 후 상기에서 계산되어진 인장응력을 토대로 단위면적당 가할 인장력을 제 1접합물질(10)에 가함으로써, 인장변형시킨다.(S500)
그리고, 상기 압축응력을 토대로 단위면적당 가할 압축력을 제 2접합물질 (20)에 가함으로써, 압축변형시킨다.(S600)
이 후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의 접합경계면에 상기 ΔT 의 온도변화 중 최고치의 온도하에서 접합한다.(S700)
그리고, 접합된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을 상기 온도변화중 존재하는 최저치의 온도하에서 강제 냉각하여 접합과정을 마무리한다.(S800)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한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의 최소화 방법에서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은 금속 대 비금속 또는 금속 대 금속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접합 이전에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하는 초기변형은 접합과정 중에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에 따르면, 접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 물질 경계면에서의 잔류 응력 발생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경계면에서의 박리 또는 크랙 발생이 감소되며, 전체적으로 제품의 열변형에 따른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열변형방지를 위해 시행되었던 복잡한 냉각과정 즉 풀림처리를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종래 이종물질의 접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방법의 접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제 1접합물질 3: 제 2접합물질
5: 제품 10: 제 1접합물질
20: 제 2접합물질 100: 제품

Claims (5)

  1. 제 1접합물질(10)의 일정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S100);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대응접합되며, 동일온도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열변형이 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을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제 1접합물질(10)이 갖는 탄성영역 내로 한정되는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인장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300);
    상기 제 2접합물질(20)이 갖는 탄성영역 내로 한정되는 열변형량을 기초로 인가할 압축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400);
    상기 인장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1접합물질(10)을 인장변형시키는 단계 (S500);
    상기 압축응력을 기초로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압축변형시키는 단계 (S600);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을 상기 온도변화 중 존재하는 최대온도로 접합하는 단계(S700); 및
    접합된 상기 제 1접합물질(10) 및 제 2접합물질(20)을 상기 온도변화 중 존재하는 최저온도로 강제 냉각하는 단계(S80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은 ΔL1 = L1 ×α1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1 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L1는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
    상기 α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팽창계수;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은 ΔL2 = L2 ×α2 ×ΔT에 의하여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ΔL2 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 길이;
    상기 α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팽창계수;
    상기 ΔT는 접합온도와 강제냉각온도 사이의 온도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인가할 인장응력은 σ1 = (ΔL1 - ΔL2)/L 1 ×E1 로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σ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에 인가할 인장응력;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ΔL2는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원래 길이;
    상기 E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탄성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인가할 인장응력은 σ2 = (ΔL1 - ΔL2)/L 2 ×E2 로 계산되며,
    여기서 상기 σ2은 상기 제 2접합물질(20)에 인가할 압축응력;
    상기 ΔL1은 상기 제 1접합물질(10)의 열변형량;
    상기 Δ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열변형량;
    상기 L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원래 길이;
    상기 E2는 상기 제 2접합물질(20)의 탄성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KR10-2001-0070201A 2001-11-12 2001-11-12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KR10047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01A KR100473558B1 (ko) 2001-11-12 2001-11-12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01A KR100473558B1 (ko) 2001-11-12 2001-11-12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29A KR20030039229A (ko) 2003-05-17
KR100473558B1 true KR100473558B1 (ko) 2005-03-08

Family

ID=2956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01A KR100473558B1 (ko) 2001-11-12 2001-11-12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5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953A (en) * 1977-10-14 1979-05-08 Hitachi Ltd Process for strengthening welded zone
KR880005985A (ko) * 1986-11-12 1988-07-21 나까하라 쯔네오 공구용 경질합금
JPH02165892A (ja) * 1988-12-16 1990-06-26 Mitsubishi Metal Corp 異種金属材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953A (en) * 1977-10-14 1979-05-08 Hitachi Ltd Process for strengthening welded zone
KR880005985A (ko) * 1986-11-12 1988-07-21 나까하라 쯔네오 공구용 경질합금
JPH02165892A (ja) * 1988-12-16 1990-06-26 Mitsubishi Metal Corp 異種金属材の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29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0931B1 (en) Heater uni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US4699310A (en) Method of bonding alumina to metal
US5964120A (en) Hot extrusion forging die for use in titanium alloy
KR20060051143A (ko) 금속 와이어 그물망 기반 마이크로구조체를 구비하는구부릴 수 있는 열분산기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65394A1 (en) Warm hydro-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luminum alloys
US4689465A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herent bond between thin metal surfaces
KR100473558B1 (ko) 초기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 접촉면에서의열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합방법
JPH05277029A (ja) 調理器具の製造方法
JPS61238423A (ja) 超塑性金属板の成形方法
KR20160102127A (ko) 부품 및 상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225481B2 (en) Diffusion bond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therefor
US420021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having a press-worked member inwardly of a cylindrical member
CN112719667B (zh) 一种柱塞泵马达转子双金属结构工艺方法
US4930676A (en) Joint between articles of materials of different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JPH05131279A (ja) アモルフアス金属を用いた金属の接合法
EP1610924A1 (en) A method of swaging a spherical bearing
JPH11151581A (ja) 鉄鋼材料の接合方法及び金型の製造方法
JPH02299769A (ja) 四方切換弁のバルブ本体の製造方法
CN101439451A (zh) 焊接设备以及焊接方法
CN112091400A (zh) 一种靶材和背板的接合方法
JP2737988B2 (ja) 弗素樹脂ダイヤフラムを備えたダイヤフラムポンプの製造方法
KR19980014928A (ko)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JP3517559B2 (ja) コイニングによる抵抗溶接用リング溝の成形方法
JPS58167087A (ja) 導電棒の製造法
JP3338432B2 (ja) コーティング材の強度向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