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655B1 -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655B1
KR100472655B1 KR10-2002-0034224A KR20020034224A KR100472655B1 KR 100472655 B1 KR100472655 B1 KR 100472655B1 KR 20020034224 A KR20020034224 A KR 20020034224A KR 100472655 B1 KR100472655 B1 KR 10047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ever
control lever
passenger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7071A (en
Inventor
김유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655B1/en
Publication of KR2003009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시트상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리어 시트상의 탑승객이 프론트 시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boarding device of a vehicle, wherein a passenger on the rear seat can operate the front seat only when no passenger is on the front seat,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and in particular, simplifying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o so and to facilitate the use.

본 발명은, 시트 쿠션(110)과 시트 백(120)으로 이루어지며, 시트 쿠션(110)과 시트 백(120)의 경계 부위에는 시트 백(12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레버(130)가 마련된 프론트 시트(100)와; 시트 쿠션(110)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프론트 시트(100)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조절레버(200)와;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백(120) 일측면에 마련된 보조 조절레버(300)와;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쿠션(110)상에 마련되며, 일단은 보조 조절레버(300)에, 타단은 각도 조절레버(130) 및 이동 조절레버(200)에 연결하여 탑승자의 탑승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단속수단(40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eat cushion 110 and a seat back 120, the angle adjustment lev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120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seat cushion 110 and the seat back 120 ( 130 is provided with a front seat 10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cushion 110,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for sliding the front seat 100 forward and backward; An auxiliary adjustment lever 3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back 120 of the front seat 100; It is provided on the seat cushion 110 of the front seat 1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ngle control lever 130 and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nt of the occupant It is composed of; intermittent means 400 is selectively coupled and separated.

Description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Passenger rides in cars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vehicle of an automobi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용차의 경우 2열 시트로 즉,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the seat of an automobile is generally composed of two rows of seats, namely, a front seat and a rear seat.

이와같이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상에 운전자 및 탑승자가 탑승함에 있어서는, 5도어 차량의 경우에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를 통해 행하게 되며, 3도어 차량의 경우에는 리어 도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프론트 도어를 통해 탑승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s ride on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the five-door vehicle is carried out through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and in the three-door vehicle, the rear door is not provided, so the passengers ride through the front door. Done.

한편, 3도어 차량의 경우 프론트 도어를 통해 리어 시트에 탑승하기 위한 종래 구조를 보면,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조수석 측 시트(10)의 시트 쿠션(11)과 시트 백(12) 사이에는 뒷좌석의 승객이 시트 백(12)를 젖히고 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레버(2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hree-door vehicle, the conventional structure for boarding the rear seat through the front door, first, as shown in Figure 4 between the seat cushion 11 and the seat back 12 of the passenger seat side seat 10 The operation lever 20 is provided so that the passenger can flip the seat back 12 and move it forward.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론트 시트에서 시트 백(12)을 젖히고 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가 별도로 마련된다.Although not shown, of course, there is provided a lever that can bend the seat back 12 in the front seat and move it forward.

따라서 탑승할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론트 시트(10)상에 마련된 레버를 조작하고, 하차할 경우에는 조작레버(20)를 조작하여 하차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boarding, the lever provided on the front seat 10 (not shown) is operated, and when the bus is off, the operation lever 20 is operated to get off.

한편, 유럽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운전석측 시트(10)를 통해서도 리어 시트(30)로 탑승과 하차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는 바, 이를 위해서 운전석측 프론트 시트(10)의 시트 쿠션(11)상에는 리어 시트(30)상의 탑승객이 조작 가능하도록 조작레버(40)를 마련하고 있다.Meanwhile, in Europe, as shown in FIG. 5, it is required to allow the driver to get on and off the rear seat 30 even through the driver's seat 10. For this, the seat cushion 11 of the driver's seat front seat 10 is required. ), The operation lever 40 is provided so that a passenger on the rear seat 30 can oper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탑승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측 즉, 프론트 시트(10)에 운전자나 탑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도, 조작레버(20,40)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특히 운전석측 조작레버(40)를 실수에 의해 조작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추돌 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boarding device, since the operation levers 20 and 40 can be operated even in a state where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that is, the driver or passenger on the front seat 10, the driver's seat operating lever 40 ) Is inadvertent, and the risk of a collision accident is inherent.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프론트 시트상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리어 시트상의 탑승객이 프론트 시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by allowing the passenger on the rear seat to operate the front seat only when the passenger is not on the front seat,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ssenger boarding device of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to facilitate convenience of use.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으로 이루어지며,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경계 부위에는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레버가 마련된 프론트 시트와; 상기 시트 쿠션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프론트 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조절레버와; 상기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 일측면에 마련된 보조 조절레버와; 상기 프론트 시트의 시트 쿠션상에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보조 조절레버에, 타단은 상기 각도 조절레버 및 이동 조절레버에 연결하여 탑승자의 탑승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the front seat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A movement control lever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cushion and configured to slide the front seat forward and backward; An auxiliary adjustment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back of the front seat; It is provided on the seat cushion of the front se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ngle control lever and the movement control lever to selectively engage and separate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 boarding; It is characterized by.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프론트 시트(100)와 이동 조절레버(200) 그리고 보조 조절레버(300)와 단속수단(400)으로 대별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front seat 100,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and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and the control means (400).

프론트 시트(100)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시트 쿠션(110)과, 시트 백(120)으로 이루어진다.The front seat 100 refers to a driver's seat or a passenger seat and includes a seat cushion 110 and a seat back 120.

이 시트 쿠션(110)과 시트 백(120) 사이에는 시트 쿠션(110)을 중심으로 시트 백(120)의 각도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레버(130)가 마련된다.An angle adjustment lever 13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 cushion 110 and the seat back 120 to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120 around the seat cushion 110.

이동 조절레버(200)는, 시트 쿠션(11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프론트 시트(100)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프론트 시트(100)와 레일(R)간의 단속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which is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seat cushion 110, selectively releases the interruption between the front seat 100 and the rail R to move the front seat 100 forward and backward. To perform the function.

보조 조절레버(300)는, 후술하는 단속수단(400)을 경유하여 이동 조절레버(200)와 각도 조절레버(1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리어 시트(500)상의 탑승객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백(120)의 일측 외면에 마련된다.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and the angle control lever 130 via the control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assenger on the rear seat 500 can be easily adjusted. It is provid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seat back 120 of the seat 100.

단속수단(400)은,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쿠션(110)상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프론트 시트(100)의 탑승자의 탑승 유무에 따라 보조 조절레버(300)와 이동 조절레버(200) 및 각도 조절레버(130)간의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means 400 is provided on the seat cushion 110 of the front seat 100, a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ccupant of the front seat 100,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and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an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lectively coupling and separat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angle control lever 130.

이러한 단속수단(4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탄성 플레이트(410)와, 가이드 플레이트(420) 그리고 가이드 브래킷(430)과 레버(440)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detailed structure of such a control means 400, as shown in Figure 2 is largely composed of an elastic plate 410, a guide plate 420, a guide bracket 430 and a lever 440.

탄성 플레이트(410)는, 시트 쿠션(110)의 하부 내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탑승자가 탑승하는 것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탄력 이동된다.The elastic plate 410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110 and is elastically moved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a load applied by the passenger.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탄성 플레이트(4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탄성 플레이트(41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탄성 플레이트(41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함께 연동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guide plate 420 is positioned below the elastic plate 41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late 410 so that the elastic plate 41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guide plate 420 is moved downward.

이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일측면에는 소정직경의 관통구멍(421)이 형성되며, 타단은, 케이블(C1)을 통해 보조 조절레버(300)와 연결된다.One side of the guide plate 4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21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through the cable (C1).

가이드 브래킷(430)은, 전술한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특히 일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오션 스프링(431)이 마련된다.The guide bracket 430 supports the above-described guide plate 420 so as to be interlockab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particular, the guide bracket 430 elastically supports the guide plate 420 in an upward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431 is provided.

레버(440)는, 시트 쿠션(110) 내측에 중심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단에는 이동 조절레버(200)와 각도 조절레버(130)를 조작하기 위한 케이블(C2)(C3)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관통구멍(421)에 선택적으로 끼워 삽입되어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턱(441)이 일체로 마련된다.The lever 440 is hinged to the cent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110 so as to be rotatable. One end of the cable C2 (C3) for operating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and the angle control lever 130 is provided. Is connecte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locking jaw 441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21 of the guide plate 420 is inserted and locked.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100)상에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면, 시트 쿠션(110)상에 하중이 가해지고, 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시트 쿠션(110)의 하부에 위치된 탄성 플레이트(410)가 하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n occupant rides on the front seat 100,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 cushion 110, and the elastic plate positioned below the seat cushion 110 by the load applied thereto. 410 is elastically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탄성 플레이트(410)의 이동에 의해서는,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함께 이동되며, 동시에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관통구멍(421)과 레버(440)의 걸림턱(441)간의 걸림력이 해제된다.By the movement of the elastic plate 410, the guide plate 420 is move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force between the through hole 421 of the guide plate 420 and the locking jaw 441 of the lever 440 is released. .

따라서 리어 시트(500)상의 탑승자가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백(120)상에 마련된 보조 조절레버(300)를 조작하여도 프론트 시트(10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된다.Therefore, even if the passenger on the rear seat 500 operates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provided on the seat back 120 of the front seat 100, the operation of the front seat 100 is not made.

이러한 상태에서 리어 시트(500)의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서 프론트 시트(100)상의 탑승자가 하차하게 되면,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쿠션(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고, 동시에 탄성 플레이트(410)의 자체 탄성력과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 브래킷(430)상의 토오션 스프링(431)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이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관통구멍(421)으로 레버(440)의 걸림턱(441)이 끼워 삽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ccupant on the front seat 100 gets off in order to get off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500,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cushion 110 of the front seat 100 is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plate 410 The guide plate 420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31 on the guide bracket 430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guide plate 420 in the upward direction. The engaging jaw 441 of the lever 4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 of the 420.

따라서 보조 조절레버(300)를 조작하게 되면, 케이블(C1)의 힘이 가이드 플레이트(420) 및 레버(440)에 전달되고, 케이블(C2)(C3)을 경유하여 각도 조절레버(130)와 이동 조절레버(200)로 전달됨으로써 프론트 시트(100)의 시트 백(120)을 젖히고, 전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되어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게된다.Therefore, when operating the auxiliary control lever 300, the force of the cable (C1) is transmitted to the guide plate 420 and the lever 440, and via the cable (C2) (C3) and the angle control lever (130) By being transferred to the movement control lever 200, the seat back 120 of the front seat 100 can be flipped and the whole can be moved for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disembarked.

도 3에는 단속수단(4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는 바, 이는 탄성 플레이트(410)를 통한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레버(440)로 전달하여 이 레버(440)를 상,하로 연동시키고, 가이드 플레이트(420)는 전,후로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그 작동 상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ans 400, which transmits the force appli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elastic plate 410 to the lever 440 to interlock the lever 440 up and down. The guide plate 420 is installed to be slidable only before and after, and its operating stat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적용한 프론트 시트(100)의 조수석측이나 운전석측에 모두 적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국의 실정에 따라 조수석에만 채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apply to both the passenger seat side and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front seat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ut not limited to this, may be employed only in the passenger sea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3도어 차량에 있어서, 리어 시트상의 탑승자가 하차할 때 보조 조절레버를 통해 손쉽게 프론트 시트를 조작할 수 있게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ree-door vehicle, the front seat can be easily operated through the auxiliary control lever when the occupant on the rear seat gets off,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convenience in use.

또한 프론트 시트상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리어 시트상의 탑승자가 보조 조절레버를 조작하여도 프론트 시트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ccupant is on the front seat, the front seat cannot be operated even when the occupant on the rear seat operates the auxiliary control lever,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탑승장치의 적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passeng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탑승장치의 세부 구조를 보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passenger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종래 승객 탑승장치를 보인 측면도.4 and 5 are sid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passenger vehic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프론트 시트 110 : 시트 쿠션 120 : 시트 백100: front seat 110: seat cushion 120: seat back

130 : 각도 조절레버 200 : 이동 조절레버 300 : 보조 조절레버130: angle control lever 200: movement control lever 300: auxiliary control lever

400 : 단속수단 410 : 탄성 플레이트 420 : 가이드 플레이트400: control means 410: elastic plate 420: guide plate

421 : 관통구멍 430 : 가이드 브래킷 431 : 토오션 스프링421: through hole 430: guide bracket 431: torsion spring

440 : 레버 441 : 걸림턱 C : 케이블440: lever 441: locking jaw C: cable

Claims (4)

시트 쿠션과 시트 백으로 이루어지며,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경계 부위에는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레버가 마련된 프론트 시트와;A front seat formed of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the front seat having an angle adjusting lever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at a boundary between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상기 시트 쿠션의 전방측에 위치되며, 프론트 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조절레버와;A movement control lever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cushion and configured to slide the front seat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 일측면에 마련된 보조 조절레버와;An auxiliary adjustment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back of the front seat; 상기 프론트 시트의 시트 쿠션상에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보조 조절레버에, 타단은 상기 각도 조절레버 및 이동 조절레버에 연결하여 탑승자의 탑승유무에 따라 결합 및 분리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It is provided on the seat cushion of the front se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ngle control lever and the movement control lever is coupled and separ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 boarding; Passenger ride of the c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시트 쿠션의 하부 내면에 마련되며, 탑승자의 탑승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탄력 이동되는 탄성 플레이트와;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the elastic plate which is elastically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nt of the occupant;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와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케이블을 통해 보조 조절레버와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와;A guide plat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late, the guide plat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through a cable;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하 및 전,후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오션 스프링이 마련된 가이드 브래킷과;A guide bracket supporting the guide plate so as to be interlocked up, down, before and after, and having a torsion spring on one side thereof to elastically support the guide plate upwardly; 상기 시트 쿠션 내측에 중심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에는 이동 조절레버와 각도 조절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 삽입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The seat cushion is hinged to the center surface so as to be rotatable, one end of the cable for operating the movement control lever and the angle control lever is connecte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guide plate Lever; Passenger rid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시트 쿠션의 하부 내면에 마련되며, 탑승자의 탑승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탄력 이동되는 탄성 플레이트와;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the elastic plate which is elastically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nt of the occupant;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하부에 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일단에는 이동 조절레버와 각도 조절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봉이 돌출 형성된 레버와;A lever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lat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one end thereof, at one end of which a cable for manipulating a moving control lever and an angle adjusting lever is connected, and at the other end thereof, a lever having a locking bar protruding therefrom; 상기 레버를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면에는 레버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오션 스프링이 마련된 가이드 브래킷과;A guide bracket which supports the lever so as to be interlocked up and down, and has a torsion spring provided on one sid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ver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레버의 걸림봉과 인접된 부위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는 걸림봉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보조 조절레버에 케이블로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It is installed so as to slide back and forth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ngaging rod of the lever, the through-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ngaging rod is selectively caught, the other end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rol lever by a cable; Passenger rides in cars.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운전석 및 조수석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4. The passenger board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in both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KR10-2002-0034224A 2002-06-19 2002-06-19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KR100472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24A KR100472655B1 (en) 2002-06-19 2002-06-19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24A KR100472655B1 (en) 2002-06-19 2002-06-19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71A KR20030097071A (en) 2003-12-31
KR100472655B1 true KR100472655B1 (en) 2005-03-08

Family

ID=3238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24A KR100472655B1 (en) 2002-06-19 2002-06-19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6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9468A1 (en) * 1987-04-28 1988-11-02 SICAM S.p.A. Front seat for two door motor-cars
JPS6483425A (en) * 1987-08-06 1989-03-29 Cousin Cie Ets A & M Freres Storage mechanism consisting of mechanical type jack for controlling tilt of car front seat
US6152533A (en) * 1997-05-27 2000-11-2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Slide/fold/EZ entry seat mechanism
US6336679B1 (en) * 1998-01-28 2002-01-0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Rotary recliner control mechanism for multifunction vehicle sea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9468A1 (en) * 1987-04-28 1988-11-02 SICAM S.p.A. Front seat for two door motor-cars
JPS6483425A (en) * 1987-08-06 1989-03-29 Cousin Cie Ets A & M Freres Storage mechanism consisting of mechanical type jack for controlling tilt of car front seat
US6152533A (en) * 1997-05-27 2000-11-2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Slide/fold/EZ entry seat mechanism
US6336679B1 (en) * 1998-01-28 2002-01-0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Rotary recliner control mechanism for multifunction vehicle seat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71A (en)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70B2 (en) Motor vehicle seat with an underframe, a seat carrier and a seat back
US7419218B2 (en) Rising pivot seat
WO2017110438A1 (en) Automobile seat
US7156463B2 (en) Motor vehicle seat
US20160257224A1 (en) Easy-entry system and vehicle seat with an integrated easy-entry system
JP2008506569A (en) Car seat
KR100472655B1 (en) Apparatus for riding a passenger of an automobile
JP3634628B2 (en) Car seat walk-in device
KR102185136B1 (en) Device for preventing cable breakaway in the walk-in seat of vehicle
KR20180055424A (en) Seat rail device for vehicle
US3840248A (en) Self-tensioning knee belt safety device
RU2290331C2 (en) Vehicle seat fore-and-aft adjuster
JP2020124965A (en) Vehicular seat
KR100503448B1 (en) locking device of seat-track for vehicles
US6805394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seat frame
KR200302783Y1 (en) locking device of seat-track for vehicles
JP5347364B2 (en) Car seat equipment
KR100410722B1 (en) Seat slide track for automobile
KR100442748B1 (en) Memory device of seat lock for vehicle
KR200201337Y1 (en) Folding seat structure for car
KR200324044Y1 (en) Locking device of seat-track for vehicles
JP2004189097A (en) Car seat structure
JP2008149756A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H10287157A (en) Vehicular seat
JP3122810B2 (en) Seat slid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