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599B1 - 산지 농수 공급수로 - Google Patents

산지 농수 공급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599B1
KR100472599B1 KR10-2002-0054598A KR20020054598A KR100472599B1 KR 100472599 B1 KR100472599 B1 KR 100472599B1 KR 20020054598 A KR20020054598 A KR 20020054598A KR 100472599 B1 KR100472599 B1 KR 10047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hannel
reinforcement
longitudinal direction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988A (ko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강동열
하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열, 하정림 filed Critical 강동열
Priority to KR10-2002-005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5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05Canals entirely situated above ground level, e.g. on p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실제 용수가 필요한 지역까지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수로를 단기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반영구적이며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산악 지역의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단 부위의 외주면에 나사산(301)이 돌출 성형된 다수의 지지체(300)와, 이런 지지체(300)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될 때 소정 높이의 고소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를 포함하며, 지지체(300)의 높이에 대응한 고소에 일정 구배를 갖게 배치된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를 따라 산악 지역의 물이 저지대로 흘러 내려가도록 한다.

Description

산지 농수 공급수로{WATERWAY FOR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IN MOUNTAINOUS DISTRICT}
본 발명은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산지, 고가하천, 고지대의 저수지, 댐, 간선수로의 물을 농작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고소(高所) 내지 지상에 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 또는 수로관은 용도와 사용처에 따라, 농업용수(이하 '농수'라 함) 공급수로와, 공장, 운동장, 산마루 축구, 도로 축구 등의 공업용수 배수로와, 아파트지구 및 골프장, 테니스장 등의 레저시설의 배수로와, 농장의 배수로 등에서 사용된다.
특히, 농수 공급수로는 형상에 따라 상부가 개방된 사각, U자, C자 형상으로 구분되며, 도로, 철도, 제방 등의 밑을 통해서 용수 또는 배수를 하는 매설된 터널과 같은 구조물인 암거용으로 원형관 내지 사각관 형상을 갖는다.
또한, 농수 공급수로는 재질에 따라서 환경친화적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산악배수용 등의 배수로(규격 : KS M 3492, GR M 3002)와, 콘크리트 재질의 배수로가 있으며, 설치 양태에 따라 조립식과 거푸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산지나 고지대의 수원지에서 물을 저지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공으로 연결된 산악 지역(이하 '산지'라 함) 공급수로가 설치되며, 이들은 불규칙한 표면의 산지에서 일정 구배를 갖게 설치되는 이유로 인하여, 고소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런 종래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경우, 물과 자체 중량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철근 보강재가 들어가는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공법에 의해 제작 및 설치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원지(3)가 산악지대(1)나 고지대(2)에 위치해 있는 경우, 물이 흘러 내려올 수 있도록 불규칙한 산지의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기초(10)를 설치하고, 여기에 각각의 콘크리트 지지보(9)를 수직하게 세우며, 이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고소 작업용 조립식 작업대, 비계 내지 콘크리트 지지부(9)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이 내설된 바닥 슬래브와 외벽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정 길이의 수로본체(7)를 제작한다. 이런 공정을 계속하여 반복하는 동안 수로본체(7)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되어서, 일정 길이의 공급수로(6)가 완성되며, 이런 공급수로(6)는 수원지(3)의 물을 논, 밭(4)이나 주위 관개수로(5)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거푸집과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종래의 콘크리트 공급수로에서는 지면이 침몰되어 기초가 흔들리게 되면, 수로본체에 변형 내지 파손이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른 물의 누수로 인하여 원활한 물 공급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또한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고, 오랜 시간 사용시 수로본체에 금이 가는 등의 제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공급수로의 경우, 인력이나 장비 이동이 매우 불편한 산지나 고소에서 설치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설치 기간이 많이 걸리며 제품 가격에 비해 인력과 설치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는 비경제성이 있고 산지에서의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많은 작업상의 어려움과 수고로움을 남겨주는 시공상의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즉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 공법으로, 종래에는 대한민국 1988년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842호의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부재'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들을 볼트와 이음쇠 등으로 연결한 기술과, 또한 1989년 동 제 13425호의 '조립식 개거수로'에서 측판과 저판을 입구자형 받침대로 조립한 기술에 개시된 바 있으나, 조립식으로 제공되는 수로부재 자체가 매우 중량감 있고 고소 작업시 다루기 힘든 재질이며, 이는 고비용을 들여서 아무리 경량의 고강도 철근과 골재를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인 콘크리트 수로본체의 중량을 감당할 수 있는 두꺼운 직경의 콘크리트 지지보를 타설하거나, 넓은 기초를 요구하기 때문에, 여전히 설치 및 유지, 보수 관리상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요즘에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배수로 등이 제품으로 시판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주)공영자원(대표자 :이동우)에서 제작된 지면 설치용 배수로의 경우, 규격번호 :KS M 3492, 부분 :플라스틱, 사진재료, 규격명 :재생 플라스틱 배수로, 최종확인일 :2001.10.18 의 한국 표준 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그 규격의 적용범위는 재생 플라스틱 소재를 주소재로 하고, 필요에 따라 보강재, 충전재 등을 가하여 성형한 재생 플라스틱 배수로에 대하여 규정한 것으로서, 제품명 :PCF 수로관, P&C 수로관, PE 토압식 수로관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물론, 이런 제품들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식에 비해 공기 단축을 통한 경제성이 있거나,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시공성이 좋을 수 있겠지만, 제품 수명이 상대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에 비해 훨씬 떨어지며,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서 제품 이동과 설치 관리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비록 이들 제품이, 기존의 거푸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용 수로관 등의 제품 단점을 완전 개선하여 대체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여전히 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반 공사가 필수적이며 산악 지역에 설치 불가능한 맹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공급수로나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수관 및 플라스틱 배수관과 같이 고소나 고공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체 중량에 관해서 거의 문제시하지 않겠지만, 산지 농수 공급수로와 같이 산악 지역의 등성과 등성을 연결시키거나 산마루에서 일정구배를 갖게 저지대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경량화와 함께 제품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하면서도, 설치 작업 시간과 비용을 최소로 실현시킬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오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재질과 공법에 의해 제작 및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량의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조립식인 수로본체와 지지보용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용수가 필요한 지역까지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수로를 단기간이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반영구적이며 유지 보수가 편리한 산지 농수 공급수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악 지역, 고가하천, 고지대의 저수지, 댐, 간선수로의 물을 농작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고소에 설치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있어서, 산악 지역의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단 부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돌출 성형된 다수의 지지체와, 이런 지지체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될 때 소정 높이의 고소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수로본체를 포함하며, 지지체의 높이에 대응한 고소에 일정 구배를 갖게 배치된 수로본체를 따라 산악 지역의 물이 저지대로 흘러 내려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는 하단에 나사산이 돌출 성형된 기저축과, 기저축에 볼트결합되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면서 축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축과, 연장축의 상부에 삽입된 중공 고정단에 형성되어 수로본체를 감싸게 지지하는 고정팔을 갖는 상부받침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1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2본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또한, 도 6은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3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체(300)와, 이런 지지체(300)들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될 때 소정 높이의 고소에 위치하며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단순형 내표면의 공간을 갖는 다수의 제 1수로본체(100, 101)와, 이런 제 1수로본체(100, 101)의 사이에 결합된 주름체(200)를 제공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고소에 배치된 제 1수로본체(100, 101)와 주름체(200)를 따라 산지의 물이 일정 구배를 가지고 저지대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1수로본체(100, 101)는 산지의 수원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며, 경량이면서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몸체 구조로서, 단순한 표면의 'U' 자 만곡부(102), 플랜지부(103),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 보강빔(105), 스티프너(106 : stiffeners)를 갖고, 소정 규격, 예를 들어 2m ∼ 3m 길이와 60㎝ ∼ 80㎝의 폭과, 40㎝ ∼ 80㎝의 깊이를 갖는다. 다만, 보강빔(105)과 스티프너(106)의 부착 개수에 따라 그 길이, 폭, 깊이의 규격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수로본체(100, 101)의 규격을 한정하지는 않겠다.
'U' 자 만곡부(102)는 반영구적 사용과 내구성 및 조립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두께 1.5t ∼ 2.0t 의 스테인레스 판재를 반원 튜브 형상으로 절곡성형한 것으로서, 실제 물이 지나가는 통로이며, 물의 정적 및 동적 하중을 견디며, 겨울철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었을 때나, 나뭇잎, 잡목 등의 이물질의 하중을 견디게 된다.
플랜지부(103)는 'U' 자 만곡부(102)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을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절곡한 것으로서, 볼트조립을 위한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플랜지부(103)의 테두리는 용접선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며, 볼트조립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해서도 제 1수로본체(100, 101)가 연장될 수 있다.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는 판금작업시 플랜지부(103)와 겹치는 부위를 절단하여 폭방향의 양 끝단을 'ㄷ'자 내지 'ㅁ'자에 가깝게 일체형으로 절곡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빔(105)은 상기 'U' 자 만곡부(102)의 하면에 다수로 용접되는 다수의 'I'자, 'L'자, 'ㄷ'자 형상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철강 재질의 지지 부재로서,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U' 자 만곡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표피를 보강시켜 주고 응력으로부터 버클링(buckling:찌그러지는 현상)이나 벌징(bulging: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해주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킨다.
스티프너(106 : stiffeners)는 'U' 자 만곡부(102)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되,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의 각각의 하면과 그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보강빔(105)들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강빔(105)의 취약점인 폭방향의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제 1수로본체(1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제 1수로본체(100)는 양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03)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다른 수로본체(101)와 조립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플랜지부(103)들간의 접촉면 사이에는 일반적인 밀봉 재질로서 플랜지부(103)의 형상과 유사 내지 동일한 형상의 개스킷(gasket)이 개재될 수 있어서, 더욱 기밀한 조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런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은 플랜지부(103)의 테두리 부위를 용접시공하여 거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은 대부분 조립과 용접에 의해서 직접 플랜지부(103)들이 면접촉식으로 직접 결합되어 있으나, 스테인레스의 재질의 특성상 열을 받게 되면 길이방향 내지 폭방향으로 신축하게 되며, 특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량이 크기 때문에 전체 구조가 뒤틀리거나 조립 부위에 응력이 가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주름체(200)가 플랜지부(103)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조립 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300)는 소정 직경의 강철, 아연도금 강, 재생 플라스틱, FRP 재질의 지주로서, 원형, 육각, 사각의 실축 또는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갖고, 하단 외주면에 나사산(301)이 돌출 성형되고 상단에 연결구가 형성된 기저축(302)과, 이런 기저축(302)의 연결구를 통해 나사결합되는 다른 연결구를 하단에 형성하여서 볼트 및 너트로 분해/조립될 수 있고 상단이 몸체의 원주면과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연장축(303)을 포함한다.
특히 연장축(303)은 다양한 길이를 갖게 미리 제작될 수 있거나, 일률적인 길이를 갖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수로본체(100)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여 산악 지역에서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체(300)들은 일정 거리 간격으로 산악 지역의 지면에 세워지며, 이때, 지면의 해수면 높이와 지면의 굴곡 상태에 따라 그들의 높이를 미리 계획한 경사 구배에 대응하게 지지체(3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로본체(100, 101)와 주름체(200)의 경사 구배를 조절하게 된다. 이런 지지체(300)의 높이 조절방법은 기저축(302)에 결합되는 연장축(303)의 개수에 따라 전체 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연장축(303)의 상단부위를 톱과 같은 절단수단으로 필요에 맞게 절단하여 전체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0)는 통상적인 삼각대 형상의 하부받침대(도시 안됨)와 철제 밴드와 같은 고정구를 더 구비하여 지면으로부터 더욱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0)는 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저부(도시 안됨)에 세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기저부에는 다수의 스터드 볼트들이 고착되어 있으며, 지지체(300)의 하단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도시 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저부의 스터드 볼트들 지지체(300)의 플랜지를 볼트결합시킴으로써, 지지체(300)가 지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0)의 상부에 상기 제 1수로본체(10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받침대(305)를 더 포함한다.
상부받침대(305)는 연장축(303)의 상단에 삽입가능한 내경을 갖고 파이프 형상의 중공 고정단(304)과, 이런 중공 고정단(304)의 상면에서 두 팔 벌리는 아치 형상으로 연장된 두 개의 고정팔(306)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팔(306)은 상부 끝단(309)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고, 이때 양쪽 상부 끝단(309)이 서로 마주보게 안쪽으로 꺾여있기 때문에 제 1수로본체(100)를 감싸게 체결시킬 수 있다.
상부받침대(305)는 주철 재질로서 일체형으로 다이캐스팅 되어 제작 가능하며, 단조 가공된 고정팔(306)과 주조된 중공 고정단(304)을 용접시공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받침대(305)는 스터드 볼트(307)를 중공 고정단(304)의 가로방향으로 체결시켜서, 연장축(303)에 고정되며, 볼트 고정 전에는 자유롭게 연장축(303)의 상단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제 1수로본체(100)의 연장방향에 대응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체(200)는 상기 수로본체의 두께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예컨대 0.5t에서 1t 사이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주름모양으로 절곡하고, 양 끝단에 각각 플랜지부(201)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주름체(200)는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탄성력 있는 재질의 플라스틱을 주름형 반원 튜브 형상에 플랜지부를 갖는 형상으로 몰딩된 제품이 사용가능하다.
이런 주름체(200)의 플랜지부(201)는 상기 수로본체의 플랜지부와 동일형상을 갖고, 수로본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볼트구멍(202)들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주름체(200)의 폭의 크기는 상기 수로본체의 폭과 동일하다. 다만, 주름체(200)의 길이는 수로본체의 신장량을 감쇄시킬 정도의 길이와 주름 개수가 정해지므로 본 명세서의 내용에서 그 수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형성된 주름체(200)는 수로본체와 다른 수로본체의 사이사이에 설치되지 않고, 수로본체의 소정 연장 길이, 예컨대 수로본체들이 5개 내지 10개 간격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수로본체들의 신장 및 축소에 대응하게 수축 및 신장함으로써, 수로본체들의 길이방향의 신장량에 대응한 댐퍼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수로본체의 판금 제작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는 소정의 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소정 일정 크기의 스테인레스 스트립(strip) 판재(100')를 원하는 크기에 맞게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제 1수로본체의 설계 치수에 맞게 네 개의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으로 잘라낸 후, 미리 정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한다.
이때, 모따기된 판재(100')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수로본체에서 'U' 자 만곡부가 될 중앙 부위(102')와, 플랜지부가 될 상/하변 부위(103')와, 보강용 양측 상단부가 될 좌/우변 부위(104')로 구분된다.
도 5b의 (a)로 표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이런 모따기된 판재(100')는 인력 또는 기중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절곡장치와 이송장치 및 벤딩장치가 있는 곳으로 옮겨진다. 여기에서, 절곡장치와 이송장치 및 벤딩장치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원통유니트 제조장치(2001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7648호)를 변형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할 일련의 절곡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판금장치(도시 안됨)이다.
즉, (b)로 표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모따기된 판재(100')의 상/하변 부위(103')를 수직하게 절곡시킨다. 이후, 절곡된 판재(100')를 이송장치의 이송롤을 이용하여 이송장치의 장착대에 장착시킨다. 이때, 이송 장착대 근처에 있는 벤딩장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롤과 압착롤 및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직하게 절곡된 상/하변 부위(103')를 가이드롤의 홈에 끼운 상태로 압착 롤링을 수행함으로써, 판재(100')의 중앙 부위(102')와 상/하변 부위(103')에 만곡된 휨 변형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송장치의 장착대에 장착된 판재(100')를 연속적으로 벤딩장치의 압착롤과 가이드롤쪽으로 이송시킬 경우, 압착롤과 가이드롤의 회전 비율의 차이에 따른 압착 롤링에 의해서 (c)로 표시한 그림과 같이 된다. 즉, 롤의 압착면에서 중앙 부위(102')가 소정 반경으로 반원 튜브형상을 갖게 휘어져서 'U' 자 만곡부(102)로 완성되고, 가이드롤의 홈에서 상/하변 부위(103')가 휘어져서 만곡된 플랜지부(103)가 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작업한 판재(100')를 판금작업대에 놓고 소정의 판금용 공구 내지 자동 절곡설비(도시 안됨)를 사용하여 좌/우변 부위(104')를 점선에 맞게 각각 꺾음으로써, (d)로 표시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수로본체(100")의 틀을 갖추게 되며, 이후, 플랜지부(103)가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의 길이방향의 측면을 덮는 부위를 용접시공하여,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와 플랜지부(103)가 서로 고착되도록 하여, 기본적인 수로본체(100")가 외력에 의해서 쉽게 뒤틀리거나 틀이 변형되지 않게 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완성된 수로본체(100")에서 'U' 자 만곡부(102)의 하면에는 세 개의 보강빔(105)이 부채꼴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게 각각 용접되며, 이후 스티프너(106 : stiffeners)가 각각의 보강빔(105)들을 감싸도록 배치된 후,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의 각각의 하면과 그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보강빔(105)들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스티프너(106)의 직하에는 지지체의 상부받침대와의 면접촉을 통해서 수로본체(100")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과, 수로본체(100")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도 2 참조). 또한, 필요에 따라 스티프너(106)는 수로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로 고정되어서 수로본체(10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제작한 일자형 수로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운데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경사형 수로본체(110)가 제공된다.
경사형 수로본체(110)는 앞서 설명한 제 1수로본체의 제작방식과 유사한 판금제작방식에 의해서 제작된다. 경사형 수로본체(110)의 전방부(111)와 후방부(112)는 축심선들의 사이 각도를 소정 각도(), 예컨대 45°유지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스테인레스 판재를 사용하여 판금작업을 함으로써, 방향이 꺾인 기본적인 수로본체를 제작할 때, 일 끝단에만 플랜지부(113, 114)들을 형성하고, 플랜지부(113, 114)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끝단을 소정 각도()에 대응하는 경사진 각도로 절단하고, 이후 절단된 끝단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용접한다. 물론, 'U' 자 만곡부(102)의 하면에 부착될 세 개의 보강빔들도 45°꺾어서 용접으로 접합시킨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지지체와 수로본체를 이용하여 산지 농수 공급수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300)들은 현장에서 포크레인과 같은 토목장비에 의해 지중으로 나사회전하면서 고정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는 고정위치에 소정 크기의 블록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기저부를 타설하고, 이때, 나사부가 상향으로 향하게 스터드 볼트들을 기저부에 고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지지체(300)를 스터드 볼트에 체결하여 수직하게 세우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토목공사용 작업대 내지 기타 고소작업용 기구를 사용하여 지지체(300)의 상단에 상부받침대(305)를 결착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상부받침대(305)가 결착된 다수의 지지체(300)들이 수로의 방향을 따라 설치가 된 후, 각각의 상부받침대(305)의 고정팔(306)에는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이 안착된다. 또한, 작업자는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의 사이에 경사형 수로본체(110)를 배치시킨 후, 볼트시공으로 경사형 수로본체(110)의 플랜지부와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의 플랜지부를 접합시킨다. 이런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공급수로가 완성된다.
만일, 지지체(300)들을 설계서 상에 나온 위치에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세운 후, 제 1수로본체(100, 101)들을 차례로 연결하면, 일자형으로 연장된 공급수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수로본체(100, 101)의 사이에 경사형 수로본체(110) 한 개를 개재하여 볼트시공을 할 경우, 연장 방향이 45°꺾인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런 경사형 수로본체(110)는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경사진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또한, 경사형 수로본체(110)를 제 1수로본체(100, 101)의 사이에 개재시킬 때, 플랜지부의 접촉 부위를 서로 바꿀 경우, 경사 방향이 좌측 내지 우측으로 변화되어서,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좌 경사 내지 우 경사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형 수로본체(110, 115) 두 개를 연속하여 볼트시공하여 연결시킨 다음, 제 1수로본체(100, 101)의 사이에 개재시키면, 연장 방향이 전체적으로 90°꺾인 형태를 갖게 되어서, 물이 흘러가는 직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수로본체(100, 101)와 경사형 수로본체(110, 115)의 사이에 주름체가 더 개재되는 경우, 열에 의한 길이방향의 신장량을 감쇄시킬 수 있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가 된다.
이렇게, 경사형 수로본체(110, 115)의 결합 방향의 변화에 따라 공급수로의 형상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서, 수로의 진행 방향에 산악지대의 나무, 잡풀, 돌 등과 같은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급수로의 설치 위치와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길이방향의 보강부위를 일체로 갖는 'U' 자 만곡부에 말굽형 플랜지부가 용접된 수로본체와 수로본체들간의 어댑터판이 제공되며, 지지체의 상부받침대 형상이 달라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제 2수로본체(120)와 지지체(300)와 어댑터판(400)을 포함하고,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주름체와 경사형 수로본체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켜서, 산지의 물이 저지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제 2수로본체(120)는 소정 넓이의 스테인레스 판재의 판금작업시에, 길이방향으로 표면에 골형상이 형성되도록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빔에 대응한 깊이와 두 배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위(125)가 'U' 자 만곡부(1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런 제 2수로본체(120)는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강빔을 용접으로 접합시키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수로본체의 제작시 용접작업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판금작업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수로본체(120)의 보강부위(125)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다수의 볼트구멍(12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볼트구멍(126)은 하기에 설명할 어댑터판(400)의 볼트구멍(402)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관통 위치도 각각 일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상부가 개방되게 제작한 말굽형 플랜지부(123)가 제공된다. 말굽형 플랜지부(123)는 제 2수로본체(12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용 양측 상단부(124)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부위(125)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언급한 어댑터판(400)은 소정 면적과 두께 2t의 철판 또는 아연도금판에서 서로 반대쪽 양측 변 중앙을 사각형 홈(401)과 같이 따낸 후, 'U' 자 단면을 갖게 접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 다수의 볼트구멍(402)을 갖는다. 이런 어댑터판(400)은 제 2수로본체(120)들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사각형 홈(401)은 플랜지부(123) 두께의 두 배 정도 되어 제 2수로본체(120)들이 서로 연결된 후, 어댑터판(400)이 결합될 때, 두 겹의 플랜지부(123)가 안착된다.
또한, 지지체(300)의 경우, 상부받침대(305)의 꺾인 상부 끝단(309)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제 2수로본체(120)의 보강용 양측 상단부(124)에 더욱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 2수로본체(120)들은 앞서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지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체(300)의 상부받침대(305)에 안착되어서 지면으로부터 지지체(300)의 높이 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 2수로본체(120)들간의 플랜지부(123)들을 볼트로 체결하여 서로 연결되게 하고, 이후, 어댑터판(400)의 홈(401)을 두 겹의 플랜지부(123)에 끼워맞춤과 동시에, 어댑터판(400)의 볼트구멍(402)들과 보강부위(125)의 볼트구멍(126)들에 각각 스터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착되도록 한다. 이런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제 2수로본체(120)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가 완성된다.
<제 3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길이방향의 사각 만곡부와, 이에 대응한 개별적인 사각 말굽형 플랜지부와,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으로 일정 폭을 갖는 지지체의 상부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제 3수로본체(130)는 상부가 개구된 정사각 내지 직사각 단면으로서 보강용 양측 상단부(134)를 갖는 만곡부(132)와,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다수의 볼트구멍들을 갖는 직각 말굽형 플랜지부(133)와, 만곡부(132)의 양측면과 바닥의 바깥쪽 표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접된 보강빔(135)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직각 말굽형 플랜지부(133)는 제 3수로본체(13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용 양측 상단부(134)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빔(135)들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빔(135)들은 'I'자 또는 'ㄷ'자 단면을 갖되, 부가적으로 만곡부(132)의 양측면과 바닥의 바깥쪽 표면에 한 개 내지 두 개가 더 용접으로 부착되어서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수로본체(130)를 지지하는 지지체(300)의 경우, 앞서의 실시예들에서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특히, 받침대(308)의 두 팔 벌리는 두 개의 고정팔(306)들이 연장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제 3수로본체(130)의 만곡부(132)에 대응하게 직각으로 꺾여 있으며, 상부 끝단(309)이 다시 안쪽으로 꺾여 있어서, 제 3수로본체(13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3수로본체(130)의 경우 체적 효율이 원이나 반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고, 앞서 'U'자 만곡부에서 사용했던 이송장치 및 벤딩장치를 이용한 롤 압착 작업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4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사각 중공관 형상의 제 4수로본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의 실시예들과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를 통해 물이 지나가는 사각 중공관의 형태로서,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상부 개방형 구조와 달리, 상부가 밀폐된 구조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제 4수로본체(140)가 제공된다.
제 4수로본체(140)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보강용 양측 상단부(134)가 형성된 두 개의 'ㄷ'자 단면 만곡파트(142a, 142b)로 제작된다. 이때, 개방된 부위가 상부로 향하게 제 1만곡파트(142a)를 작업대에 놓고, 개방된 부위가 하부로 향하게 제 2만곡파트(142b)를 상기 제 1만곡파트(142a) 상부에 배치시킨 후, 각각의 플랜지 절곡부(144, 148)들을 용접하여 결과적으로 사각 중공관 형상을 갖게 한다.
이후, 제 1만곡부(142a)의 양측면과 바닥면의 표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보강빔(145)들을 용접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이런 다음, 사각링 형상의 플랜지부(143)는 제 4수로본체(14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플랜지 절곡부(144, 148)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빔(145)들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제작된 제 4수로본체(140)는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설치시 지지체(300)의 받침대(308)에 안착된다. 이때, 받침대(308)의 꺾쇠 형상의 상부 끝단(309)이 상기 플랜지 절곡부(144, 148)의 상면에 기밀하게 접촉하고 있어서, 제 4수로본체(140)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 4수로본체(140)를 비롯하여 다른 모든 실시예의 수로본체들은 지지체(300)의 고정링(501)에 연결된 안전 와이어(500)를 장착하여, 만일에 있을 추락사고를 대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로 제작 가능한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경량으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있고, 지지체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고소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지면이 거칠고 토목공사를 하기 어려운 산악 지역에 위치한 수원지로부터 저지대까지 연장 설치되어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콘크리트 타설 공법에 비해 획기적인 공기단축을 통하여 30% ∼ 60%의 비용 절감과가 기대되며, 조립식 스테인레스 재질경량화 구조의 수로본체와 조립식 지지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운반이 용이하고, 특히 지지체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고 고공에서 수로본체의 조립 설치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수로본체를 연장하여 조립 설치하므로, 지면 굴곡 상태와 관계없이 시공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다수 형상의 만곡부에 플랜지부나 보강부위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적 강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날 뿐 아니라, 보강빔들이 가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찌그러짐이나 주름지는 현상에도 강한 내구성을 갖고, 주름체가 길이방향의 신장량을 감쇄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변형에 강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조밀하며 녹이 거의 발생되는 않는 스테인레스 표면을 제공하여 옥외 구조물로서 최적의 제품 수명을 자랑하며, 경사형 수로본체의 사용으로 수로의 방향 변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시공 전후로 자연 생태를 파괴시키지 않고 설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는 기존의 제품 중량 문제, 운반 문제, 시공/설치 문체, 제품 수명 문제, 내구성 문제 등의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완전 개선한 새로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농수 공급수로의 설치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1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2본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제 3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산지 농수 공급수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1, 110, 115, 120, 130, 140 : 수로본체
102 : 만곡부
103 : 플랜지부
104 : 보강용 양측 상단부
105 : 보강빔
200 : 주름체
300 : 지지체
301 : 나사산
302 : 기저축
303 : 연장축
305 : 상부받침대
306: 고정팔

Claims (10)

  1. 산악 지역, 고가하천, 고지대의 저수지, 댐, 간선수로의 물을 농작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고소(高所)에 설치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에 있어서,
    상기 산악 지역의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단 부위의 외주면에 나사산(301)이 돌출 성형된 다수의 지지체(300)와,
    상기 지지체(300)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될 때 소정 높이의 고소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300)의 높이에 대응한 고소에 일정 구배를 갖게 배치된 상기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를 따라 상기 산악 지역의 물이 저지대로 흘러 내려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0)는 하단에 상기 나사산(301)이 돌출 성형된 기저축(302)과, 상기 기저축(302)에 볼트결합되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면서 축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축(303)과, 상기 연장축(303)의 상부에 삽입된 중공 고정단(304)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를 감싸게 지지하는 고정팔(306)을 갖는 상부받침대(30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00, 101, 110)는 일자형으로서 단순한 표면을 형성한 'U' 자 만곡부(102)와, 상기 만곡부(102)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을 일체형으로 절곡성형하고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한 플랜지부(103)와, 상기 만곡부(102)의 양 상단부를 'ㅁ'자에 가깝게 일체형으로 절곡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와, 상기 만곡부(102)의 하면에 다수로 길이방향으로 용접되어 표피 보강용 형강인 보강빔(10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10)는 경사형 부재로서 물의 흐름 방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축심선들의 사이 각도를 소정 각도()로 유지하고 있는 전방부(111)와 후방부(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20)는 소정 넓이의 스테인레스 판재의 판금작업시에, 길이방향으로 표면에 골형상이 형성되도록 절곡시켜 보강부위(125)가 'U' 자 만곡부(1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말굽형 플랜지부(123)가 제 2수로본체(12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용 양측 상단부(124)의 길이방향의 양끝단과 보강부위(125)의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용접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30)는 상부가 개구된 정사각 내지 직사각 단면으로서 보강용 양측 상단부(134)를 갖는 만곡부(132)와,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다수의 볼트구멍들을 갖는 직각 말굽형 플랜지부(133)와, 상기 만곡부(132)의 양측면과 바닥의 바깥쪽 표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접된 보강빔(135)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40)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보강용 양측 상단부(134)가 형성된 두 개의 'ㄷ'자 단면 만곡파트(142a, 142b)로 사각 중공관 형상을 갖고, 상기 만곡부(142a)의 양측면과 바닥면의 표면에 수직하게 다수의 보강빔(145)들을 용접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송급수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들의 길이방향의 신장량을 감쇄시키도록, 주름형 반원 튜브 형상의 양측단에 플랜지부(20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수로본체(100, 101, 110, 120, 130, 140)의 사이에 체결되는 주름체(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00, 101)는 'U' 자 만곡부(102)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되, 상기 보강용 양측 상단부(104)의 각각의 하면과 그의 사이에 위치한 상기 보강빔(105)들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폭방향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스티프너(106 : stiffeners)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140)는 지지체(300)의 고정링(501)에 연결된 안전 와이어(500)를 장착하여, 만일에 있을 추락사고를 대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농수 공급수로.
KR10-2002-0054598A 2002-09-10 2002-09-10 산지 농수 공급수로 KR10047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598A KR100472599B1 (ko) 2002-09-10 2002-09-10 산지 농수 공급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598A KR100472599B1 (ko) 2002-09-10 2002-09-10 산지 농수 공급수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93U Division KR200301117Y1 (ko) 2002-09-10 2002-09-10 산지 농수 공급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988A KR20040022988A (ko) 2004-03-18
KR100472599B1 true KR100472599B1 (ko) 2005-03-15

Family

ID=3732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598A KR100472599B1 (ko) 2002-09-10 2002-09-10 산지 농수 공급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41B1 (ko) * 2006-08-30 2008-01-02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토사침전 방지장치
KR101657279B1 (ko) * 2014-09-11 2016-09-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988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7256B (zh) 一种基坑加深超挖的加固结构及方法
CN204753570U (zh) 一种储罐架空式高桩承台灌注桩施工装置
WO2012076007A1 (de) Gestell zur schwimmenden befestigung mindestens eines solarkollektors
CN213981055U (zh) 一种预应力中空夹层钢管混凝土格构式混合塔架
CN108112398B (zh) 一种农业大棚
CN111576452A (zh) 一种双排桩支护结构
CN100406652C (zh) 劲性钢结构塔吊基础
KR100472599B1 (ko) 산지 농수 공급수로
CN111305260A (zh) 一种地下综合管廊穿河渠引流的施工方法
CN202139545U (zh) 一种钢结构涵洞洞口
KR200301117Y1 (ko) 산지 농수 공급수로
US5449020A (en) Elongated enclosure of large cross-section,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CN203855904U (zh) 防风网立柱结构
EP0130178A2 (de) Bauwerk für den Lärm-, Wind- oder Sichtschutz oder den Verbau von Ufern von Bächen und Flüssen
CN107514012A (zh) 一种免模板的部分预制拼装钢混凝土组合地下综合管廊
CN209799546U (zh) 非牛顿流体临时封闭围挡
CN210695216U (zh) 一种非焊接组装式双膜节能温室大棚骨架
CN212563268U (zh) 一种网格式钢-混凝土组合顶管结构
CN208251112U (zh) 一种可拆卸式型钢组合冠梁
CN218713734U (zh) 一种地面组装式排水装置
CN216275621U (zh) 一种型钢混凝土护坡桩及基坑支护结构
CN210262915U (zh) 一种驳岸管槽栈道一体化构型
JP2003105722A (ja) 組立式フェンス
CN212337366U (zh) 波纹板隧道初期支护结构和隧道
CN210395391U (zh) 防渗墙锁口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