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569B1 -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 Google Patents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569B1
KR100472569B1 KR10-2001-0003827A KR20010003827A KR100472569B1 KR 100472569 B1 KR100472569 B1 KR 100472569B1 KR 20010003827 A KR20010003827 A KR 20010003827A KR 100472569 B1 KR100472569 B1 KR 10047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case
annular body
coupl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163A (ko
Inventor
카즈히코 타와라
Original Assignee
카즈히코 타와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히코 타와라 filed Critical 카즈히코 타와라
Publication of KR2001008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하계량기케이스(10)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 여하에 관계없이, 계량기(20)의 지시와 소정사항 표시의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를 용이하게 해서 가지런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계량기케이스(10)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10)에 장착된계량기(20)와, 상계량기케이스(30)를 구비하고, 상계량기케이스(30)를 그 측벽(11)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계량기(20)를 그 측벽(11)에 보지하는 수도계량기이다. 상면측에 소정사항이 표시된 표시용환상체(50)를 구비하고, 표시용환상체(50)는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주방향의 모든 상대적 각도위치에 있는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을 통해서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Description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CASE-UNIT INCLUDING ME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도계량기등의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일반 가정용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는 수도계량기를 들 수 있다. 수도계량기의 전형예는 원형상을 이루는 저벽 및 저벽의 주연(周緣)에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상측벽을 구비한 하계량기케이스와, 상단부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단부가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 상단면에 재치되는 것에 의해 하계량기케이스에 이탈가능하게 장착된 계량기와,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 상단부 외주면에 이탈가능하게 장착된 환상의 상계량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제의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간 한대의 도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관부의 각각은 하계량기케이스를 축방향에서 볼 때, 축심을 통하는 직선에 의해서 나누어진 편측의 영역에서 약간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관통공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부터 내측으로 향함과 동시에 그 편측의 영역에 있는 측벽의 내주면측에서 약간 경사지게 연재 연(延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계량기케이스의 저벽 축심부에는 지지축이 그 상면에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도록 고정되고, 그 지지축에는 날개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날개바퀴의 축심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주가 형성되고, 그 지주의 상단부에는 출력기어가 배설되어 있다.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 상단부에 있는 반경방향 내측에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대경부와 그 대경부보다 하방의 소경부의 사이에는 환상의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에는 주방향(周方向) 위치결정용 핀이 직립해서 설치되어 있다.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 상단부(개구부)에 있는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는 전체가 용기같은 형상을 이루고, 그 상단부에는 원통벽이 배설되고, 원통벽의 상단부 반경방향 내측은 투명한 원판부를 포함한 덮개에 의해 폐색(閉塞)되어 있다. 계량기의 원통벽 외주면은 축방향 상측의 대경부와 하측의 소경부로 구성되어 있고, 대경부와 소경부의 사이에는 환상의 상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의 상기 원통벽의 하단은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하단면에 의해 규정되고, 그 원통벽의 하단면에 있는 외주면에는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주방향(周方向) 위치결정용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의 원통벽의 내부에는 전면 액봉(液封)의 적산지시부가 형성되고, 회전식 수치지시부, 지침등이 배설되어 있다. 적산지시부는 계량기의 상방에서 투명한 원판부를 통해서 시인할 수 있다. 적산지시부의 축방향 하측에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 회전전달기구가 배설되어 있다. 회전전달기구는 입력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계량기는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구성부재가 적당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의 상계량기케이스는 환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외주부에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또한 본체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환상의 누름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나가는 체부(締付) 및 체부해제조작용 돌기부가 복수개, 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누름플랜지의 내주면은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그 내경이 점점 확대되는 듯한 플레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계량기케이스의 상단면, 따라서 환상플랜지의 상단면에는 일반적으로 검정일,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이 각인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계량기는 하계량기케이스의 상단개구부에서 그 내부로 삽입된다. 계량기의 상단부가 하계량기케이스 상단면상에는 링형상의 씰부재를 통해서 재치된다. 씰부재의 외경 및 씰부재보다도 상방의 계량기 측벽 외경은 하계량기케이스의 상단면의 외경과 거의 같은, 또는 약간 작게 규정되어 있다. 계량기의 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주방향 위치결정용 노치가 하계량기케이스의 단부에 배설된 주방향 위치결정용 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계량기의 하계량기케이스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 장착각도위치가 소정의 장착각도위치에 규정된다. 계량기의 하단부는 하계량기케이스의 단부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축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계량기의 회전전달기구에 포함된 입력기어는 날개바퀴의 출력기어에 이탈가능하게 구동되도록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계량기는 하계량기케이스내에 그 상단부만이 외부로 들어난 형태로 장착된다. 상계량기케이스는 그 암나사가 하계량기케이스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환상의 와셔부재를 통해서 하계량기케이스에 장착된다. 이 와셔부재는 상계량기케이스의 누름플랜지의 내면과 계량기의 상면 주연부의 사이에 개재된다. 계량기는 적산지시부만이 외부로 들어난 상태로 하계량기케이스에 대해서 상계량기케이스에 의해 조임고정된다. 상계량기케이스에 설치된 덮개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계량기의 적산지시부를 외부로 드러내고, 또는 폐색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돗물은 하계량기케이스에 설치된 수도관의 한 방향으로 부터 하계량기케이스내를 통과해서 다른 방향으로 흐른다. 수돗물이 수도관의 한쪽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흐르면 날개바퀴가 회전하게 된다. 날개바퀴의 회전은 그 출력기어 및 계량기의 입력기어를 통해서 계량기의 회전전달기구로 전달된다. 그 결과, 날개바퀴의 회전은 계량기에 있어서 하계량기케이스내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량으로 교환되고,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적산 ·지시된다.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인 상기 수도계량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계량기의 하계량기케이스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 장착각도위치는 상기 주방향 위치결정용이 노치 및 주방향 위치결정용 핀에 의해 통상 소정의 주방향 장착각도위치에 규정된다. 그러나 상계량기케이스가 하계량기케이스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계량기가 조임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임토오크에 대해서, 혹은 계량기의 축방향 높이의 차이에 의해서 상계량기케이스의 하계량기케이스, 따라서 계량기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 결과, 계량기의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지시, 구체적으로는 회전식수치지시부, 지침 등에 의한 지시와 상계량기케이스의 상단면 각인된 검정일,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의 표시, 소정의 주방향의 상대적인 각도위치가 가지런히 결합되지 않고, 다시말하면 어느 시점으로 부터 상기 지시 및 표시전체를 용이하게 읽을 수 있는 소정의 주방향의 상대적인 각도위치에 가지런히 결합되지 않아 이들을 읽는 작업자에게 있어서 보기어렵게 되어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수치, 지침등의 지시 및 소정사항의 표시 읽기작업이 곤란하게 된다.한편, 기물번호는 계약자가 바뀐경우에 변경해야 하고 그 변경의 경우에는 금속제의 상계량기케이스의 상단면 기물부호의 부분을 연삭한 후, 재각인을 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 이유로 기물번호의 변경작업이 대규모로 곤란하고, 또한 변경작업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었다.이상이 문제는 수도계량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에 있어서도 공통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계량기케이스, 하계량기케이스, 따라서 계량기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의 여하에 관계없이 계량기의 적산지시부에 있는 지시와, 검정일, 제조 ·판매 ·작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 표시의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를 용이, 동시에 확실하게 가지런히 결합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적산지시부에 있는 지시 및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을 종래에 비해서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물번호의 변경작업을 종래에 비해서 용이하게, 동시에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특징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후의 기재에서 확실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상측벽을 갖는 하계량기케이스와 그 측벽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단측에 지시부를 갖는 계량기와 환상의 상계량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계량기케이스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개구부외주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계량기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개구부에보지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니스유니트에 있어서,
상면측에 소정사항이 표시된 표시용환상체를 구비하고, 이 표시용환상체는 상계량기케이스에 대한 주방향의 모든 상대적 각도위치에 있는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을 통해서 상계량기케이스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가 제공된다.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에 직접, 소정사항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된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한 양단 사이를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延在)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용환상체에는 덮개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위치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상방으로 들어낸 개위치의 사이를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주방향의 영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의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과 덮개 하면의 그 영역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덮개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에는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하는 환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용환상체에는 덮개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위치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상방으로 들어낸 개위치의 사이를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표시용환상체 및 덮개 각각에는 각각의 외주연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감과 동시에 상호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힌지수단은 그 돌출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의 저부에서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피표시부재의 그 결합공 각각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위치에는 피결합핀이 피표시부재의 하면에서 연장되오 나가도록 배설되고, 피표시부재의 피결합핀 각각은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공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계량기케이스는 환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환상의 누름플랜지를 구비하고, 계량기의 상단부에는 원통벽이 구비되고, 이 원통벽의 외주부에는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상단면에 재치할 수 있는 환상의 단부가 형성되고, 그 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상단부에 있는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계량기케이스 그 본체의 암나사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수나사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누름플랜지의 하면에서 계량기 상면의 주연부를 하계량기케이스를 향하여 강제하는 것에 의해 계량기의 원통벽의 단부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상단면으로 가압하고, 계량기 상면의 주연부와 누름플랜지의 하면의 사이에는 환상의 합성수지제 와셔 및 연결부재가 개재되고 와셔 및 연결부재는 와셔부와 와셔부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해 나가는 결합원통부로 구성되고, 표시용환상체의 하면에 있는 반경방향 내측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해 나가는 결합원통부가 형성되고, 결합수단은 상호 반경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하게된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와 표시용환상체의 피결합원통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은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한편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출부의 한편과 그 내주면 또는 그 외주면에 대향해서 위치하게 되는 표시용환상체의 피결합원통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안쪽의 한편에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한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계량기케이스의 누름플랜지의 내주면은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경사진 플레어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는 누름플랜지의 내주면 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표시용원상체의 피결합원통부는 결합원통부의 외주면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내주면과 누름플랜지의 내주면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외주면을 갖음과 동시에 결합원통부의 외주면과 누름플랜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질상 밀접해서 위치한 결합수단은 결합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와 피결합원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은 상계량기케이스의 주면부의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한편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기부의 한편과 그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한편에 대향하여 위치하게 되고, 표시용환상체의 주면부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의 한편으로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한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의 전형예인 수도계량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전체를 번호 100으로 나타낸 수도계량기는 원통상의 측벽(11)을 갖는 하계량기케이스(10)와 측벽(11)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10)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면측에 지시부을 갖는 계량기(20)와 환상의 상계량기케이스(30)와 계량기(20)과 상계량기케이스(30)의 사이에 개재된 환상의 와셔 및 연결부재(40)와 상계량기케이스(30)에 장착된 표시용환상체(50)를 구비하고 있다.
그 자체는 주지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고, 금속제의 하계량기케이스(10)는 거의 원통판형상을 이루는 저벽(12)을 구비하고, 원통상측벽(11)은 저벽(12)의 주연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11)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대의 수도관(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수도관(13)이 각각은 하계량기케이스(10)를 축방향에서 보아, 축심을 통하는 직선에 의해 나누어진 편측의 영역에서 약간 치우친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수도관(13) 각각의 관통공(13a)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함과 동시에 그 편측의 영역에 있는 측벽(11)의 내주면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계량기케이스(10)의 저벽(12)의 축심부에는 지지축(12a)이 그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축(12a)에는 날개바퀴(14)가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이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적당한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날개바퀴(14)의 축심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지주(14a)가 형성되고, 이 지주(14a)의 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상 측벽(11)의 상단부에 있는 내주면에는 대경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1a)는 측벽(11)의 상단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일정의 폭을 갖음과 동시에 전주에 걸쳐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1a)와 대경부(11a)보다도 하방의 소경부(11b)의 사이에는 환상의 단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1)의 상단면 및 단부(11c)는 각각 하계량기케이스(10)의 축선으로 직교하는 평면상으로 위치하게 되어 있다. 단부(11c)의 소정의 주방향위치에는 위치결정용 핀(15)이 직립해서 설치되어 있다. 측벽(11)의 상단부(개구부)에 있어서 외주면에는 수나사(1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번호(16)는 하계량기케이스(10)의 저벽(12) 하면에 배설된 리브(rib)를 나타내고, 저벽(12)의 하면에 있는 축심부에서 상호 90도의 주방향각도를 이루도록 반경방향으로 직선상에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 자체는 주지의 구성을 이용하여도 바람직하고, 계량기(20)는 전체로서 거의 원통상의 외주부를 갖는 용기 같은 형상을 이루고, 그 상단부에는 원통벽(21)이 배설되어 있다. 원통벽(21)에 있는 상단부의 반경방향 내측은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한 덮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계량기(20)의 원통벽(21)의 외주면은 축방향 상측의 대경부(21a)와 하측의 소경부(21b)에 의해 구성되고, 대경부(21a) 와 소경부(21b)의 사이에는 환상의 상단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1a)는 하계량기케이스(10)의 상단부 내주면(대경부11a)보다도 큰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20)의 상기 원통벽(21)의 하단은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단부(21c)에 의해 규종되어 있다. 원통벽(21)의 상단면, 상단부(21c) 및 하단부(21d)는 계량기(20)의 축선에 직행하는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원통벽(21)의 하단부에 있는 외주면에는 하단부(21d)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주방향 위치결정용 노치(22)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기(20)의 원통벽(21)이 내부에는 전면액봉의 적산지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적산지시부에는 회전식 수치지시부, 지침 등이 배설되고, 이것들은 계량기(20)의 상방에서 투명한 원판부를 통해 시인할 수 있다.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계량기(20)의 하단은 원판형상의 저벽이 배설되고 이 저벽의 주연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원호형상을 이루는 판상의 지주가 배설되고, 지주 각각의 상단에 는 적산지시부를 포함하는 원통벽(21)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계량기(20)의 상기 저벽과 적산지시부 사이의 공간부에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회전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설되어 있다. 회전전달기구는 입력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계량기(20)는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구성부재가 적당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의 상계량기케이스(30)는 원환상의(원통상의) 본체(31)와 본체(31)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환상의 누름플랜지(3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31a)가 형성되고, 본체(31)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체부 및 체부해제조작용이 돌기부(31b)가 4개, 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누름플랜지(32)의 상면 및 하면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축선으로 직교하는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누름플랜지(32)의 내주면은 도 1 및 도 3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계량기케이스(30)의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그 내경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 외주면과 누름플랜지(32)의 상면(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면) 사이의 각부에는 소경부와 환상의 단부로 이루어진 노치(33)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33)의 단부는 상계량기케이스(30)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계량기(20)는 하계량기케이스(10)의 원통상측벽(11)의 상단개구부에서 그 내부로 삽입된다. 계량기(20)의 상단부(21c)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의 상단면상에 링형상의 씰부재(2)를 통해 재치된다. 단면이 박판구형상을 이루는 씰부재(2)의 외경 및 씰부재(2)보다도 상방으로 위치된 계량기(20)의 원통벽(21)에 있어서 대경부(21a)의 외경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원통상측벽(11)의 상단면의 외경과 거의 같게 또는 약간 작게 규정되어 있다. 계량기(20)의 내측(21) 하단부에 형성된 주방향 위치결정용이 노치(22)가 하계량기케이스(10)의 단부(11c)에 배설된 주방향 위치결정용 핀(15)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계량기(20)의 하계량기케이스(10)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가 소정의 장착각도위치에 규정된다. 계량기(20)의 하단부(21d)는 하계량기케이스(10)의 단부(11c)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축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계량기(20)의 회전전달기구에 포함된 입력기어는 날개바퀴(14)의 출력기어에 이탈가능하게 구동결합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계량기(20)는 하계량기케이스(10) 내에 그 상단부(원통벽(21)에 있는 대경부(21a))만이 외부에 들어난 형태로 장착된다. 상계량기케이스(30)는, 그 암나사(31a)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에 형성된 수나사(11d)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계량기케이스(30)가 하계량기케이스(10)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계량기(20) 상면의 주연부가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하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하계량기케이스(10)를 향해서 강제하게 된다. 계량기(20)는 그 원통벽(21)의 단부(21c)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의 상단면에 가압하게 되고, 하계량기케이스(10)에 이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계량기(20)의 상면에 있어서 주연부와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 하면의 사이에는 환상의 합성수지제 와셔 및 연결부재(40)가 연재된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적당한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와셔 및 연결부재(40)는 단면이 박판구형상을 이루는 원형 링상의 와셔부(41)와 와셔부(41)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직각으로 연장해 나가는 결합원통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결합오목부(42a)가 전주에 걸쳐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오목부(42a)의 횡단면은 이 형상에 한정된 것이 아니지만, 거의 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와셔부(41)는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하면과 계량기(20)의 상면에 있어서 주연부의 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개재되고 결합원통부(42)는 누름플랜지(32)의 내주면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접해서 위치하게 된다.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은 누름플랜지(32)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향해서 위치하게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단면이 거의 V형상을 이루는 환상의 간극이 형성된다. 상계량기케이스(30)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조임장치에 의해 상계량기케이스(30)의 본체(31)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31b) 각각을 이용해서 소정의 체부토오크로 하계량기케이스(10)에 조여지게 된다. 그 조임에 의해 계량기(20)는 그 상면의 외주연부가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와셔부(41)를 통해서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 하면에 의해 축방향 하방으로 하계량기케이스(10)를 향하여 강제된다. 그리고 계량기(20)의 원통벽(21)에 있는 상단부(21c)가 하계량기케이스(10)의 측벽(11)의 상단면에 씰부재(2)를 통해서 압접하게된다. 하계량기케이스(10)내에는 수돗물이 통과하는 밀봉공간이 형성된다. 계량기(20)는 적산지시부를 포함하는 원통벽(21)의 대경부(21a)만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계량기케이스(10)에 장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적당한 합성수지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표시용환상체(50)는 전체가 원형 링상을 이루고, 그 축선에 직교하는 상면(50a) 및 하면(50b)을 갖고 있다. 표시용환상체(50)에는 하면(50b)에 있어서 일정의 반경방향폭을 갖고 전주에서 연재하는 반경방향 내측연부영역의 반경방향 외측에 인접해하여 하면(50b)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도록 형성된 피결합원통부(51)와 피결합원통부(51)에 대한 반경방향 외측에 일정의 간격을 두고 하면(50b)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된 환상의 외측수하벽(52)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수하벽(52)의 내주면은 표시용환상체(50)의 하면(50b)에 있는 반경방향 외측연을 규정하고, 또한 외측수하벽(52)의 외주면은 표시용환상체(50)의 반경방향 외주연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외측수하벽(52)의 내경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 외주면과 누름플랜지(32)의 상면 사이의 각부에 형성된 노치(33)의 소경부 외주면에 실질상 밀착해서 끼워 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규정되어 있다.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의 내경은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끼워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규정되고,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경사진 내주면에 실질상 밀착할 수 있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에는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42a)에 결합할 수있는 환상의 피결합돌기부(51a)가 전주에 걸쳐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돌기부(51a)의 횡단면은 이 형상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지만, 거의 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표시용환상체(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보아, 그 내주연(면) 및 외주연(면)은 동심원상으로 위치되어 있다.그리고 표시용환상체(50)의 내주면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 하단부에 있는 축선에 평행하게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하단부와 상단의 사이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으로 향함에 따라 그 지름이 서서히 확대 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50a)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된 일단(53a) 및 타단(53b)(도 4참조) 사이를 주방향으로 연결해서 원형상으로 연재하는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53)은 일정의 주방향 폭 및 일정의 축방향 깊이를 갖고 표시용환상체(50)와 동심원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고, 그 횡단면은 상면(50a)에 평행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표시용환상체(50)의 하면(50b)에는 결합홈(53)에 대향하여 연재하는 구(54)가 형성되어 있다. 구(54)의 횡단면도 거의 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결합홈(53)의 저면과 구(54)의 저면의 사이에는 일정의 깊이를 갖는 경계벽이 형성되고, 이 경계벽에는 복수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7개의 결합공(55)이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53)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되고(도시하지 않음) 동시에 결합홈(53)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피표시부재(60)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피표시부재(60)는 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위치된 일단(60a) 및 타단(60b) 사이를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원호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횡단면은 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피표시부재(60)는 박판링체의 주방향의 일부를 제거한 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표시부재(60)의 표시용환상체(50)에 있어서 결합홈(53)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55)의 각각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위치에는 피결합핀(61)이 피표시부재(60)의 하면에서 직각으로 연장해 나가도록 배설되어 있다.피표시부재(60)는 그 피표시핀(61) 각각이 표시용환상체(50)에 있어서 결합홈(53)에 대응하는 결합공(55)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표시용환상체(50)의 결합홈(53)에 이탈가능하게 끼워서 결합 ·장착된다. 피표시부재(60)가 표시용환상체(50)에 장착된 상태로 피표시부재(60)의 상면은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50a)과 실질상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피표시부재(60)의 상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검침일, 제조 ·판매·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이 표시되어 있다. 이 중에 검정일 및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는 피표시부재(60)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기물번호는 사출성형 후 도시하지 않은 각인기로 타각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50a)측의 결합홈(53)의 일단(53a)과 타단(53b)의 사이에 있어서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주방향의 영역, 그리고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에는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보아 거의 초승달형상의 평탄면(5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50c)은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50a)보다도 낮고, 동시에 상면(50a)과 평행한 면상으로 존재하도록 형성되고, 평탄면(50c)과 상면(50a)의 경계는 표시용환상체(50)의 도시하지 않은 접선에 평행하게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50c)의 상기 접선방향 중앙부에는 그립부(56)가 평탄면(50c)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56)는 실질상 직방체형상을 이루는 기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연장해 나감과 동시에 표시용환상체(50)의 접선방향에 평행으로 연재하는 한대의 그립용 측벽(56a 및 56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립용 측벽(56a 및 56b)사이에는 상단 및 상기 접선방향 양단이 개방된 보지구(5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지구(56c)의 횡단면은 보지구(56c)의 상단을 제외하고 하방의 대부분이 원형의 내주면을 갖고, 상방으로 개방된 상단의 반경방향 폭이 그 원형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56)의 상기 접선방향의 양단을 규정하는 양측면은 표시용환상체(50)의 축방향에서 보아 상기 접선에 직교함과 동시에 상호 평행하게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용환상체(50)에는 덮개(70)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적당한 합성수지로 후술하는 힌지핀(73)을 제외하고 일체로 형성 할 수 있는 덮개(70)는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연과 실질상 같은 직경의 외주연을 갖는 거의 원판형상을 이루고,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50a)에 대해 상방으로 이탈가능하게 밀착할 수 있는 하면(70a)을 구비하고 있다. 하면(70a)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구(71)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70)의 하면(70a)측의 구(7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주방향영역이고 덮개(70)의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에는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측에 형성된 상기 초승달형상의 평탄면(50c)에 거의 가지런히 결합한, 초승달형상의 평탄면(7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70b)은 덮개(70)의 상기 하면(70a) 보다도 축방향 상방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고, 동시에 하면(70a)과 평행한 면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70b)과 하면(70a)의 경계는 덮개(70)의 도시하지 않은 접선에 평행하게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70b)의 상기 접선방향 중앙부에는 한대의 지지플랜지부(72)가 덮개(70)의 접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탄면(70b)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부(72) 각각의 접선방향에 대향하는 측면은 덮개(70)의 상기 접선에 직교함과 동시에 평탄면 평탄면(70b)에 직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부(7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은 표시용환상체(50)의 그립부(56)의 상기 양측면을 사이에 두고 상대이동 가능하게 까워 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규정되어 있다. 지지플랜지부(72) 각각에는 같은 지름의 관통공(72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72a) 각각은 상기 접선방향으로 연재하는 공통의 축선을 갖고 있다. 지지플랜지부(72) 각각의 관통공(72a)에는 힌지핀(73)이 장착되어 있다. 한끝에 빠짐방지용 두부가 구비된 힌지핀(73)은 관통공(72a) 각각의 사이에 연재한 후 다른끝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지지플랜지(72) 각각의 사이에 연장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덮개(70)는 지지플랜지(72) 각각의 사이에 연재하는 힌지핀(73)을 표시용환상체(50)의 상기 그립부(56)의 보지구(56c)에 이탈가능하게 끼워결합하는 것에 의해 표시용환상체(50)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다. 힌지핀(73)의 직경은 표시용환상체(50)의 그립부(56)에 있는 보지구(56c)의 원형내주면과 거의 같이 형성되고 또한 보지구(56c) 상방으로 개방된 상단의 반경방향 폭은 힌지핀(73)의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73)을 상방에서 보지구(56c)내에 강제하면 그립용 측벽(56a 및 56b)은 반경방향으로 상호 떨어지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힌지핀(73)의 보지구(56c)의 단의 반경방향 간극의 통과가 허용되고, 힌지부재(73)는 보지구(56c)에 상대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끼워 결합된다. 힌지핀(73)은 그립용 측벽(56a 및 56b)에 의해서 표시용환상체(50)에 대한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탄성적으로 그립된다. 덮개(70)의 지지플랜지부(72) 각각은 표시용환상체(50) 그립부(56)의 상기 양측면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게 되고, 덮개(70)의 표시용환상체(50)에 대한 접선방향으로의 이탈이 저지된다.
표시용환상체(50)의 상기 보지구(56c)을 포함하는 그립부(56)와 덮개(70)의 지지플랜지부(72) 각각 및 지지플랜지부(72)의 각각의 사이에 지지된 힌지핀(73)은 힌지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상체(50) 상면의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주방향의 영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과 덮개(70) 하면의 그 영역에 대한 축방향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덮개(70) 외주연의 반경방향내측 영역사이에 설비되는 것이 된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쉽게 이해되 듯이 덮개(70)의 표시용환상체(50)에 대한 장착은 원터치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실질상 편리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덮개(70)를 표시용환상체(50)에서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보지구(56c)내의 힌지핀(73)을 그립용 측벽(56a 및 56b)의 상단 사이의 간극을 향해서, 표시용환상체(50)에 대한 축방향 상방으로 강제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덮개(70)가 장착된 표시용환상체(50)는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과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경사진 내주면 사이의 단면이 거의 V형태의 환상의 간극에 축방향의 상방에서 삽입된다.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51a)가 와셔 및 연격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상단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넘어가 결합원통부(42)의 결합오목부(42a)에 결합된다. 그 결과 표시용환상체(50)는 와셔 및 연결부재(40)에 대해서, 따라서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에 대해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탈이 저지된다.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은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실질상 밀착해서 끼워 결합되고,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은 누름플랜지(32)의 내주면에 실질상 밀착해서 끼워 결합된다. 또한 표시용환상체(50)의 외측수하벽(52)의 내주면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 외주면과 누름플랜지(32)의 상단면 사이의 각부에 형성된 노치(33)의 소경부 외주면에 실질상 밀착해서 끼워결합하게 된다. 표시용환상체(50)의 하면(50b)은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상단면 및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상단면에 밀착해서 재치된다.
덮개(70)가 장착된 표시용환상체(50)는 이상과 같이하여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42a)와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51a)는 표시용환상체(50)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피결합수단을 구성한다. 이 결합수단은 표시용환상체(50)의 와셔 및 연결부재(40)에 대한, 따라서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따라서 계량기(20)에 대한 주방향의 모든 상대적 각도위치에 있어서 결합을 허용함과 동시에 결합후는 표시용환상체(50)의 와셔 및 연결부재(40)에 대한 따라서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탈을 저지하는 것이고, 표시용환상체(50)의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표시용환상체(50)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작된상태에 있어서 덮개(70)는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 및 계량기(20)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위치(도 1 및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와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 및 계량기(20)의 상면을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개위치(도 1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위치) 사이를 상기 힌지수단을 선회중심으로서 선회가능하게 된다. 수도계량기(100)가 표시하지 않은 수도의 유로에 하계량기케이스(10)의 수도관(13)를 통해서 장착된 상태에서는 덮개(70)가 폐위치에 위치되어 있지만 계량기(20)의 적산지시부 및 표시용환상체(50)에 장착된 피표시부재(60)의 상면 표시를 읽는 작업시 등, 필요에 따라 힌지수단을 선회중심으로서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개위치에서 폐위치로도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는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에 대해 거의 동축사이에 가지런히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덮개(70)가 장착된 표시용환상체(50)를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덮개(7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용환상체(50)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에 장착한 후 표시용환상체(50)에 덮개(70)를 장착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표시용환상체(50)의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로의 장착은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에 강제적으로 강합시키고,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51a)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42a)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표시용환상체(50)를 와셔 및 연결부재(40)에 대해, 따라서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따라서 계량기(20)에 대해 어떠한 주방향의 상대적각도 위치에서 장착하더라고 그 장착이 가능하다. 이것에 기인하여 상계량기케이스(30)의 하계량기케이스(10), 따라서 하계량기케이스(10)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 장착각도위치가 소정의 장착각도위치에 규정되어 있는 계량기(20)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 장착각도위치 여하에 상관없이 계량기(20)의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표시에 대해, 표시용환상체(50)의 피표시부재(60)에 표시된 검침일,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의 표시와 상대적 주방향위치를 최적의 읽기위치에 용이, 또한 확실하게 가지런히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지시 및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을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 양단 사이를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하는 결합홈(53)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53)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53)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피표시부재(60)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계약자가 바뀌고, 기물번호를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피표시부재(60)를 표시용환상체(50)의 결합홈(53)에서 떼어내어 새로운 기물번호를 타각한 별도의 피표시부재(60)를 그 표시결합핀(61)의 각각을 결합홈(53)의 대응하는 결합공(55)에 삽입 ·결합하여 표시용환상체(50)의 결합홈(53)에 끼워져 결합 ·장착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기물번호의 변경작업을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에는 덮개(70)가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상체(50) 상면의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주방향의 영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연 반경방향 내측영역과 덮개(70) 하면의 그 영역에 대한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덮개(70)의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수단이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수도계량기(100)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관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6에 나타낸 수도계량기(10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힌지수단이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하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에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하는 환상의 결합홈(53)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53) 상면에 소요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53)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피표시부재(60)를 이탈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형성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힌지수단을 약간 컴팩트화하고, 또한 표시용환상체(50)의 내경을 약간 작게하는 것에 의해 그 상단면의 면적을 등가 시키고 또한 힌지수단이 배설된 부분에 있어서 결합홈(53) 및 피표시부재(60)의 외주부를 거의 초승달형상으로 제거한 듯한 형상(결합홈(53) 및 피표시부재(60)의 각각에 있어서 주방향 동위치의 외주면은 접선과 평행한 직선과 일치하는 접선면이 되는 듯한 형태)이 되는 것에 의해 성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60(도 1∼도6에 표시된 수도 계량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피표시부재(60))에 비해서 상기 소정사항의 표시범위가 확대되고,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이 한층 용이한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그 결과, 적산지시부에 있어서 표시 및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동시에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힌지수단이 표시용환상체(5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않은 구성이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계량기(100)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보지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량기(20)의 지시부의 시인가능한 면적은 약간 축소되지만 실질상 문제는 없다.
상기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가 상기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된 결합수단은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42a)와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5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외주면에 결합돌기부를 형성하고,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환상체(51) 내주면에 피결합돌기부를 형성하는것에 의해 결합수단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또한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을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고, 양자 사이에 상기한 결합오목부와 피결합돌기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 혹은 결합돌기부와 피결합오목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형태 또한 있다. 그리고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수단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상기 와셔 및 연결부재(40)는 와셔(41)와 와셔부(41)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결합원통부(42)로 구성되어, 따라서 종래의 수도계량기(100)에 있어서 와셔부재에 결합원통부(42)를 일체로 부가하는 것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실용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계량기케이스(30)도 그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재고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비교적 저비용으로 쉽게 실용화하는 것에 기여하는 것이다. 상계량기케이스(30)의 재고품이 존재하지 않게 된 후에 있어서는 종래에 필요했던 체부 및 체부해제조작용이 돌기부(31b)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핀 삽통용(揷通用) 구멍의 형성을 안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계량기케이스(30)의 가공비용은 더욱 저감되는 것이 된다.
표시용환상체(50)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결합수단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셔 및 연결부재(40)의 결합원통부(42)와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계량기케이스(30)의 주면부의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기부 일방과 그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일방에 대향해서 위치한 표시용환상체(50)의 주면부의 반경방향외측 또는 내측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피계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일방에 형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계량기케이스(30)의 누름플랜지(32)의 내주면을 경사면이 아닌, 상계량기케이스(30)의 축선에 평행으로 연재하는 내주면으로 하고 누름플랜지(32)의 내주면과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수단을 설치하는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누름플랜지(32) 내주면에 환상의 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결합오목부의 일방이 형성되고 표시용환상체(50)의 피결합원통부(51)의 외주면에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일방이 형성된다. 또한 상계량기케이스(30)의 상단부 외주면과 표시용환상체(50) 외측수하벽(52)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수단을 설치하는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계량기케이스(30)의 노치(33) 외주면에 환상의 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결합오목부의 일방이 형성되고 표시용환상체(50)의 외측수하벽(52)의 내주면에 환상의 피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돌기부의 일방이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노치(33)를 설치하지 않은 상계량기케이스(30) 외주면에 환상의 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결합오목부 일방을 형성하고, 표시용환상체(50)의 외측수하벽(52) 외주면에 환상의 피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돌기부의 일방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상계량기케이스의 주면부와 표시용환상체(50)의 주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수단을 압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셔 및 연결부재(40)에 있는 결합원통부(42)는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거되고, 와셔(41)만의 구성, 따라서 종래의 구성을 이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의 다른 실시형태가 나타내져 있다. 도 7에 나타내져 있는 수도계량기(200)가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앞의 수도계량기(100)과 상위한 주요한 점은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53) 및 결합홈(53)에 끼워 결합된 피표시부재(60)가 주방향으로 연속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덮개(70)의 힌지수단이 표시용환상체(50) 및 덮개(70) 외주연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앞의 수도계량기(100)와 실질상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져 있는 수도계량기(200)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50) 상면에는 주방향에 연속해서 원형으로 연재하는 환상의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53)에는 상면에 앞에서 서술한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53)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피표시부재(60)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표시용환상체(50)에는 그 원형외주연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돌출부(57)가 형성되고, 돌출부(57)에는 앞에서 서술한 것과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갖는 그립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70)에는 그 원형외주연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해 나오는 돌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4)의 중앙부에는 앞에 서술한 것과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대의 지지플랜지(72)(도 7에 있어서는 그 편측만 표시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72) 각각에는 앞에 서술한 것과 실질상 동일의 구성을 갖는 관통공(7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72) 각각의관통공(72a)에는 앞에 서술한 것과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갖는 힌지핀(73)이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덮개(70)는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플랜지부(72) 각각 사이에 연재하는 힌지핀(73)을 표시용환상체(50)의 상기 그립부(56)의 보지구(56c)에 이탈가능하게 끼워서 결합되는 것에 의해 표시용환상체(50)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다. 표시용환상체(50)의 상기 보지구(56c)을 포함한 그립부(56)와 덮개(70)의 지지플랜지부(72) 각각 및 지지플랜지부(72) 각각의 사이에 지지된 힌지핀(73)은 힌지수단을 구성한다. 따라서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상체(50)의 돌출부(57)와 덮개(70) 돌출부(74)의 사이에 형성된다. 환언하면 이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사체(50) 외주연의 반경방향 외측영역과 덮개(70)의 그 영역에 대향하는 외주방향 외측영역의 사이에 배설된다.
도 7에 표시되어 있는 수도계량기(200)에 있어서는 환상의 피표시부재(60)가 표시용환상체(50)에 형성된 결합홈(53)에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계량기(100)에 있는 피표시부재(60)에 비해 상기 소정사항의 표시범위가 확대되고,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이 한층 용이한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그 결과, 적산지시부에 있는 지시 및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동시에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도계량기(200)는 수도계량기(100)가 갖는, 앞에 서술한 많은 특징이 있는 구성과 실질상 같은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도계량기 (100)와 실질상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상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도계량기(100 및 200)로서 표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상측벽을 갖는 하계량기케이스와 그 측벽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면측에 지시부를 갖는 계량기와 환상의 상계량기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계량기케이스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의 개구단부외주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한 계량기를 하미터케이스의 그 측벽의 개구부에 보지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이면, 계량해야 할 유체가 액체, 기체의 어떤 종류이더라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검침일,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등의 소정사항은 피표시부재(60)에 표시되고 피표시부재(60)는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 결합부(53)에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장착된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에 결합홈(53)을 형성하는 일없이 그 상면에 피표시부재(60)를 이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표시환상체(50)에는 복수의 결합공(55)을 형성하고 피표시부재(60)에는 그것에 대응해서 복수의 피결합핀(61)을 형성해 두는 것으로 성립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사항은 피표시부재(60)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표시용환상체(50)의 상면에 직접, 표시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계약자가 바뀌고, 기물번호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표시용환상체(50)를 새로운 기물번호를 타각한 별도의 표시용환상체(50)와 교환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표시용환상체(50)의 교환은 상계량기케이스(30)를 하계량기케이스(10)에 대해 체부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와셔 및 연결부재(40) 및 덮개(70)가 장착된 표시용환상체(50)와 함께 하계량기케이스(10)에서 이탈시킨 후 와셔 및 연결부재(40) 표시용환상체(50)를 탄성변형시켜 상호로 결합을 해제시켜 분리하고, 표시용환상체(50)에서 덮개(70)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피표시부재(60)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적어지고 따라서 앞에 서술한 실시형태에 비해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표시용환상체(50)와 상계량기케이스(30)의 사이에 결합수단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용환상체(50)의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주방향의 모든 상대적 각도위치에 있는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이면, 어떤구성으로도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용환상체(50)와 상계량케이스(30)의 사이의 결합수단이 상기 실시형태에 있는 바와 같이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기부 일방과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일방에 의해 구성되는 형태의 경우 결합돌기부 도는 피결합돌기부를 환상이 아닌, 주방향에 불연속으로 형성하여도(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여도), 상대측의 피결합오목부 또는 결합오목부를 환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에 의해 표시용환상체(50)의 상계량기케이스(30)에 대한 주방향의 모든 상대적 각도위치에 있는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에 의하면 상계량기케이스의 하계량기케이스, 따라서 계량기에 대한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의 여하에 관계없이 계량기의 적산지시부에 있는 지시와 검정일, 제조 ·판매 ·수리업자 등의 로고, 기물번호 등의 소정사항 표시의 주방향의 상대적인 장착각도위치를 용이하게 동시에 확실하게 가지런히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적산지시부에 잇는 지시 및 소정사항 표시의 읽기작업을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의 전형예인 수도계량기의 실시형태의 요부를 파단(破斷)해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도계량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수도계량기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용환상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수도계량기에 구비되어 있는 피표시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수도계량기에 구비되어 있는 덮개의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의 전형예인 수도계량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와 동양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0 : 하계량기케이스 11 : 원통상측벽
11d : 수나사 20 : 계량기
30 : 상계량기케이스 31a : 암나사
32 : 누름플랜지 40 : 와셔 및 연결부재
42 : 결합원통부 42a : 결합오목부
50 : 표시용환상체 51 : 피결합원통부
51a : 피결합돌기부 53 : 결합홈
60 : 피표시부재 70 : 덮개

Claims (12)

  1. 원통상(圓筒狀)측벽을 갖는 하계량기케이스와, 상기 측벽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면측에 지시부를 갖는 계량기와, 상기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의 개구부 외주에 나사결합된 상계량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니트는, 상계량케이스의 상단부에 표시용환상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표시용환상체는 상면에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하는 환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의 상면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일단과 타단 사이를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延在)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에는 덮개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색하는 폐위치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상방으로 들어낸 개위치와의 사이를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수단은 표시용환상체 상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주방향의 영역인 환상체의 외주연 반경방향 내측영역과 덮개 하면의, 그 영역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인 덮개 외주연의 반경방향 내측영역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6. 원통상(圓筒狀)측벽을 갖는 하계량기케이스와, 상기 측벽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계량기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면측에 지시부를 갖는 계량기와, 상기 하계량기케이스의 측벽의 개구부 외주에 나사결합된 상계량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니트는, 상계량케이스의 상단부에 표시용환상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표시용환상체는 상면에 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재하는 환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면에 소정사항이 표시됨과 동시에 결합홈에 실질상 가지런히 결합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피표시부재가 이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표시용환상체에는 덮개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폐색하는 폐위치와 표시용환상체의 상면 및 계량기의 상면을 상방으로 들어낸 개위치와의 사이를 힌지수단을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표시용환상체 및 덮개 각각에는 각각의 외주연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감과 동시에 상호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힌지부재는 그 돌출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8. 제 4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결합홈의 저부에는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피표시부재의 그 결합공 각각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위치에는 피결합핀이 피결합부재의 하면에서 연장되어 나가도록 배설되고, 피표시부재의 피결합핀 각각은 결합홈의 대응하는 결합공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계량기케이스는 환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상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해 나가는 환상의 누름플랜지를 구비하고, 계량기의 상단부에는 원통벽이 구비되고, 이 원통벽의 외주부에는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의 상단면에 장착할 수 있는 환상의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그 본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의 상단부에 있는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계량기케이스의 그 본체의 암나사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수나사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누름플랜지의 하면에서 계량기 상면의 주연부를 하계량기케이스를 향하여 강제하는 것에 의해 계량기의 원통벽 단부(段部)를 하계량기케이스의 그 측벽 상단면에 가압하고, 계량기 상면의 주연부와 누름플랜지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환상의 합성수지제 와셔 및 연결부재가 개재되고, 와셔 및 연결부재는 와셔부와 와셔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端部)에서 상방으로 연장해 나가는 결합원통부로 구성되고, 표시용환상체의 하면에 있는 반경방향 내측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피결합원통부가 형성되고, 결합수단은 서로 반경방향에 대향하여 위치된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와 표시용환상체의 피결합원통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기부의 일방과 그 내주면 또는 그 외주면에 대향해서 위치된 표시용환상체의 피결합원통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일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계량기케이스의 누름플랜지의 내주면은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경사진 플레어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셔 및 연결부재의 결합원통부는 누름플랜지의 내주면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게되고, 표시용환상체의 피결합원통부는 결합원통부의 외주면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내주면과 누름플랜지의 내주면에 가지런히 결합하는 외주면을 갖음과 동시에 결합원통부의 외주면과 누름플랜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실질상 밀접해서 위치되고, 결합수단은 결합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와 피결합원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피결합돌기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계량기케이스의 주면부(周面部)의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오목부 또는 환상의 결합돌기부의 일방과 그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일방에 대향해서 위치되고, 표시용환상체의 주면부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의 일방에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돌기부 또는 환상의 피결합오목부의 일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KR10-2001-0003827A 2000-01-27 2001-01-26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KR100472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8640A JP3465142B2 (ja) 2000-01-27 2000-01-27 計量器を備えたケースユニット
JP2000-18640 200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163A KR20010087163A (ko) 2001-09-15
KR100472569B1 true KR100472569B1 (ko) 2005-03-07

Family

ID=1854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827A KR100472569B1 (ko) 2000-01-27 2001-01-26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65142B2 (ko)
KR (1) KR100472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758B (zh) * 2018-12-28 2024-03-19 温岭甬岭水表有限公司 一种水表计数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712U (ko) * 1986-09-09 1988-05-31 신한공기 주식회사 익차형 수도미터의 상단복개뚜껑 착설장치
JPH0248816A (ja) * 1988-03-29 1990-02-19 Magnetic Peripherals Inc 不安定防止回路
KR950031161U (ko) * 1994-04-21 1995-11-22 냉온수 계량기의 뚜껑 회전장치
JP2000171272A (ja) * 1998-12-04 2000-06-23 Aichi Tokei Denki Co Ltd 乾式水道メ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712U (ko) * 1986-09-09 1988-05-31 신한공기 주식회사 익차형 수도미터의 상단복개뚜껑 착설장치
JPH0248816A (ja) * 1988-03-29 1990-02-19 Magnetic Peripherals Inc 不安定防止回路
KR950031161U (ko) * 1994-04-21 1995-11-22 냉온수 계량기의 뚜껑 회전장치
JP2000171272A (ja) * 1998-12-04 2000-06-23 Aichi Tokei Denki Co Ltd 乾式水道メ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163A (ko) 2001-09-15
JP2001208591A (ja) 2001-08-03
JP3465142B2 (ja)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4437A1 (en) Hinged closure device with first opening indicator
CN104460287A (zh) 钟表
US7975946B2 (en) Combined salt and pepper mill
JP2016511201A (ja) 粉末化学製品を輸送するためのシールド・ドラム
JP4156732B2 (ja) 乾式水道メータ
KR100472569B1 (ko) 계량기를 구비한 케이스유니트
KR102491886B1 (ko) 일회용 식품 준비 용기 어셈블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6088A (ko) 덮개 제거 기구를 갖춘 게이지 인클로져
WO2019142671A1 (ja) 濾過装置
JP2022062781A (ja) 水道メータの流量読取装置の保持具
JP4841941B2 (ja) メータ検査器固定治具
JP6009289B2 (ja) 乾式水道メータ
JP6710459B2 (ja) 水道メーター
US2275477A (en) Flow control device
US10107451B2 (en) Fluid reservoir
JP4005121B1 (ja) 流量計
CN104502530B (zh) 树干呼吸测定系统和用于树干呼吸测定系统的转接器
JP6548568B2 (ja) 水道メーター
CN211602061U (zh) 一种表头可旋转并方便拆卸的仪表壳体
CN206149643U (zh) 一种可拆卸紧固结构
JP5819161B2 (ja) 水道メータ
KR200351181Y1 (ko) 수도 미터기의 회전커버
JP5489918B2 (ja) 注出キャップ
JP2008064484A (ja) 水道メータ及びその計測ユニット
CN220365090U (zh) 一种暗装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