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534B1 -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534B1
KR100472534B1 KR10-2002-0063803A KR20020063803A KR100472534B1 KR 100472534 B1 KR100472534 B1 KR 100472534B1 KR 20020063803 A KR20020063803 A KR 20020063803A KR 100472534 B1 KR100472534 B1 KR 10047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fixed
tundish
insulation material
therm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075A (ko
Inventor
이한균
이석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02-006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5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 개시 전에 턴디쉬에 수용된 용강의 재산화 및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턴디쉬에 투입하는 보온재를 기계화된 방법으로 투입하기 위한 연주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턴디쉬(101)의 주상데크(10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중공축(60) 및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65)로 이루어지는 장치 선회수단(80)과; 상기 중공축(6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외팔보(55)의 측단부에 고정되는 보온재 호퍼(47) 및 보온재를 배출시키는 댐퍼(49)로 이루어지는 보온재 공급수단(81)과; 상기 호퍼관(48)의 하부에 베어링(43) 결합하는 체인스프라켓(39)과, 이와 롤러체인(38)으로 연결되는 스프라켓(36)이 축결합된 제3구동모터(35)로 이루어지는 슈트 회전수단(84)과; 상기 체인스프라켓(39)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에 고정되는 제3슈트(23) 및 이의 외측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슈트(22), 제1슈트(21)로 이루어지는 슈트 확장수단(82)과; 상기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에 고정되는 웜감속기(29) 및 이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32)로 이루어지는 슈트 틸팅수단(8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APPARATUS FOR PUTTING IN LAGGINGS IN THE TUNDISH}
본 발명은 연주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 개시 전에 턴디쉬에 수용된 용강의 재산화 및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턴디쉬에 투입하는 보온재를 자동적이고 기계화된 방법으로 투입하기 위한 연주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이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이송하는 중에 용강의 온도 유지 및 산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턴디쉬에 보온재를 투입하게 된다.
종래의 보온재 투입방법에는 래이들(100)과 턴디쉬(101)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작업자들이 낱개의 봉투에 담겨져 있는 보온재를 턴디쉬(101)상에서 직접 보온재 투입구(A, B, C)에 던져서 투입하는 방식으로, 보온재의 투입량과 투입시간이 일정하지 못하였고, 고온의 턴디쉬(101)의 개구부 인접 위치에서 작업을 하므로 작업자의 재해발생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자들이 직접 투척하는 작업을 해소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보온재 투입과정의 고열작업을 생략하여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할 뿐만 아니라 턴디쉬에 투입하는 보온재의 양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투입할 수 있는 연주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턴디쉬의 주상데크에 고정되는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중공축과, 이의 외주면에 고정된 웜휠에 기어결합하는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장치 선회수단과;
상기 중공축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외팔보의 측단부에 고정되는 보온재 호퍼와, 이의 호퍼관을 개폐시키는 댐퍼와, 이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팔보의 타측까지 확장되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보온재 공급수단과;
상기 호퍼관의 하부에 베어링 결합하는 체인스프라켓과, 이와 롤러체인으로 연결되는 스프라켓이 축결합된 제3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슈트 회전수단과;
상기 체인스프라켓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연결플랜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에 고정되는 제3슈트와, 이의 외측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슈트 및 이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1슈트와, 상기 제1슈트의 상측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3슈트의 상측 하부면에 고정된 제3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드럼까지 확장되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슈트 확장수단과;
상기 연결플랜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에 고정되는 웜감속기와 기어결합하는 타이밍풀리와, 이와 타이밍벨트로 동력결합하여 상기 연결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슈트 틸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는 기본적으로 턴디쉬(101)의 주상데크(102) 상부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장치 선회수단(80)과, 이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외팔보(55)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온재 공급수단(81)과, 이를 구성하는 호퍼관(48)의 하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슈트 회전수단(84)과, 이를 구성하는 연결플랜지(33)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슈트 확장수단(82) 및 상기 슈트 확장수단(82)의 경사각을 조절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완전히 접은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는 슈트 틸팅수단(83)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선회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선회수단(80)은 래이들(10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는 턴디쉬(101)의 주상데크(102)에 견고히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58)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부는 베어링(61)에 의하여 접촉하면서, 상부는 부시(57)에 접촉하여 중공축(6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공축(60)의 하부 외주면에는 웜휠(59)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59)에는 웜기어(62)가 기어결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58)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웜기어(62)는 축가이드(63)에 의하여 안내되는 회전축(6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64)의 단부는 원형의 핸들(65)과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중공축(60)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핸들(65)을 원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중공축(6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보온재 공급수단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온재 공급수단(81)은 상기 장치 선회수단(80)을 구성하는 중공축(60)의 상단부에 보스(56)로 고정되는 외팔보(55)의 일측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외팔보(55)의 단부에 고정되는 체결 고정되는 호퍼고정구(52)의 상부에 보온재 호퍼(47)가 고정되며,
상기 보온재 호퍼(47)의 하부 배출부에는 일정 두께 이상의 후판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호퍼관(48)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호퍼관(48)의 중앙부에는 호퍼관(48)을 개폐시키는 댐퍼(49)가 미닫이 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댐퍼(49)는 이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팔보(80)의 타측까지 확장되는 와이어로프(53)를 당겨주고 놓아줌으로써 상기 호퍼관(48)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댐퍼(49)가 호퍼관(48)을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3)를 작업자가 당겨주어 보온재가 불출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댐퍼(49)의 타측(도면상에서 우측)에는 댐퍼스토퍼(51)가 형성되어 호퍼관(48)로부터 댐퍼(49)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정량의 보온재가 불출되면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로프(53)을 놓아주면, 상기 댐퍼(49)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호퍼고정구(52)에 고정된 스프링(54)의 압축작용에 의하여 원래 폐쇄위치로 회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회전수단의 체결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회전수단(84)은 상기 보온재 공급수단(81)을 구성하는 호퍼관(48)의 하부 외주면에 베어링(43) 결합하는 체인스프라켓(39) 및 이와 롤러체인(38)으로 연결되는 제3구동모터(35)에 의하여 구동된다.
즉, 상기 호퍼관(48)의 하부 외주면에 베어링 하우징(44)로 보호되는 크로스롤러 베어링(43)으로 상기 체인스프라켓(39)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스프라켓(39)은 상기 호퍼관(48)에 고정된 지지대(35a)에 고정된 제3구동모터(35)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스프라켓(36)과 롤러체인(38)으로 동력 결합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체인스프라켓(39)의 하부면에서는 하기하는 연결플랜지(33)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구동모터(35)가 회전하면 상기 체인스프라켓(39)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랜지(33)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82)은 상기 슈트 회전수단(84)을 구성하는 체인스프라켓(39)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의 내부에 제3슈트(23)의 상부에 형성된 브래킷이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3슈트(23)의 외부 양측부에는 슬라이딩 레일(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20b)을 따라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제2슈트(22)의 슬라이딩 팩(19b)이 삽입되며,
상기 제2슈트(22)의 외부 양측부에는 상기 제3슈트(23)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20a)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따라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제1슈트(21)의 슬라이딩 팩(19a)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슈트(21)의 상측 하부면에서는 와이어로프(18)를 고정할 수 있는 브래킷(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고정된 와이어로프(18)는 상기 제3슈트(23)의 상측 하부면에 고정된 제3구동모터(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드럼(15)까지 확장되어 권취 또는 귄해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구동모터(11)의 출력축의 타이밍 풀리(12)와 와이어드럼(15)의 타이밍 풀리(13)를 타이밍 벨트(17)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와이어드럼(15)이 회전하여 제1슈트(21), 제2슈트(22)가 순차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하는 신축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주상데크(102)와 턴디쉬(101) 상의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고 3개소의 보온재 투입구(A, B, C) 위치에 보온재가 도달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틸팅수단의 체결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틸팅수단(83)은 상기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에 웜감속기(29)가 플랜지 고정(27a,27b)됨으로써 구성된다.
즉, 상기 슈트회전축(26)을 회전시키도록 이와 플랜지 고정(27a,27b)되면서 상기 연결플랜지(33)의 일측 지지부에 고정되는 웜감속기(29)에 타이밍풀리(30)가 기어결합하게 되고,
상기 타이밍풀리(30)와 상기 연결플랜지(33)의 타측 지지부에 고정된 제1구동모터(32)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풀리(31)가 타이밍벨트(69)에 의하여 동력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틸팅수단(83)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구동모터(32)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타이밍벨트(69)로 동력연결된 타이밍풀리(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타이밍풀리(30)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기어결합된 웜감속기(29)가 회전하여 상기 슈트회전축(2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슈트회전축(26)이 회전하게 되면, 이의 내부에 고정된 슈트 확장수단(82)의 제3슈트(23)가 회전하여 틸팅각(Tilting Angle)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보온재 투입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제1구동모터(32)를 더욱 회전시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82)을 완전히 외팔보(55) 하부로 회전시켜 작동전의 상태로 회귀하도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를 구성하는 슈트확장수단이 슈트 틸팅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턴디쉬(101)에 보온재 투입시기가 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선회수단(80)의 핸들(65)을 작업자가 적절하게 조작하여 턴디쉬(101)의 투입구(A, B, C) 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가 근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치 선회수단(80)의 조작이 완료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회전수단(84)의 제3구동모터(35)를 작동시켜 체인스프라켓(39)에 고정된 연결플랜지(33)를 회전시키며,
상기 연결플랜지(33)의 슈트회전축(26)에 고정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82)이 턴디쉬(101)의 보온재 투입구(A, B, C)에 근접하도록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회전수단(84)의 조작이 완료되어 슈트 확장수단(82)이 턴디쉬(101)의 보온재 투입구(A, B, C)에 최근접하면, 상기 슈트 확장수단(82)을 구성하는 제3구동모터(11)를 회전시켜 와이어드럼(15)에 권취된 와이어로프(18)를 권해시켜주고,
상기 와이어로프(18)가 권해됨과 동시에 제3슈트(23)의 외측에 삽입된 제2슈트(22) 및 제1슈트(21)가 확장되어 턴디쉬(101)의 보온재 투입구(A, B, C)에 더욱 근접하게 된다.
상기 슈트 확장수단(82)의 조작완료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틸팅수단(83)의 제2구동모터(32)를 작동시켜 확장된 슈트 확장수단(82)의 제1 내지 제3슈트(21,222,23)이 상기 보온재 투입구(A, B, C)에 최근접하도록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장치구동수단에 의하여 슈트(21,22,23)가 보온재 투입구(A, B, C)에 최근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온재 공급수단(81)의 와이어로프(53)의 손잡이(68)를 작업자가 당기면 보온재 호퍼(47)의 호퍼관(48)을 댐퍼(49)가 개방시켜 보온재가 슈트 확장수단(82)을 따라 턴디쉬(101)의 보온재 투입구(A, B, C)로 안정적으로 투입되어진다.
일정량의 보온재가 턴디쉬(101)로 투입완료되면, 작업자는 손잡이(68)를 놓아 상기 개방되었던 댐퍼(49)를 스프링(54)의 힘으로 폐쇄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보온재 공급수단(81)이 작동완료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82)의 제3구동모터(11)를 작동시켜 상기한 제1 내지 제3슈트(21,22,23)를 작동전의 상태로 완전하게 수축시키며,
슈트 회전수단(84)의 제3구동모터(35)를 작동시켜 상기 수축된 제1 내지 제3슈트(21,22,23)를 외팔보(55)와 일자형으로 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슈트 틸팅수단(83)의 제2구동모터(32)를 작동시켜 상기 수축된 제1 내지 제3슈트(21,22,23)가 외팔보(55) 하부로 완전히 접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동수단의 동작이 완료되면, 턴디쉬(101)의 주상데크(102)에 마련된 장치 선회수단(80)의 작업자는 핸들(65)을 회전시켜 중공축(60) 상에 고정된 외팔보(55)를 턴디쉬(101)의 상부에서 완전히 이탈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래이들과 턴디쉬 사이의 고열의 열악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자들이 보온재를 직접 투입하지 않고, 기계적인 투입장치를 통하여 짧은 시간에 일정량의 보온재를 투입하기 때문에, 투입시간이 절약되고 정량투입이 가능하므로 용강의 산화억제로 제품의 품질향상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재해발생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열작업의 배제하여 작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선회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보온재 공급수단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회전수단의 체결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확장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 틸팅수단의 체결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 장치를 구성하는 슈트확장수단이 슈트 틸팅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제3구동모터 12:타이밍풀리 15:와이어드럼 17:타이밍벨트
18:와이어로프 19:슬라이딩 팩 20:슬라이드 레일 21:제1슈트
22:제2슈트 23:제3슈트 26:슈트회전축 29:웜감속기
30:타이밍 풀리 32:제2구동모터 35:제3구동모터 36:스프라켓
38:롤러체인 43:크로스롤러베어링 47:보온재 호퍼 49:댐퍼
54:스프링 55:외팔보 58:메인프레임 59:웜휠 60:중공축
62:웜기어 65:핸들 80:장치 선회수단 81:보온재 공급수단
82:슈트 확장수단 83:슈트 틸팅수단 84:슈트 회전수단

Claims (3)

  1. 턴디쉬(101)의 주상데크(102)에 고정되는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중공축(60)과, 이의 외주면에 고정된 웜휠(59)에 기어결합하는 웜기어(62)를 회전시키는 핸들(65)로 이루어지는 장치 선회수단(80)과; 상기 중공축(6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외팔보(55)의 측단부에 고정되는 보온재 호퍼(47)와, 이의 호퍼관(48)을 개폐시키는 댐퍼(49)와, 이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팔보(80)의 타측까지 확장되는 와이어로프(53)로 이루어지는 보온재 공급수단(81)과; 상기 호퍼관(48)의 하부에 베어링(43) 결합하는 체인스프라켓(39)과, 이와 롤러체인(38)으로 연결되는 스프라켓(36)이 축결합된 제3구동모터(35)로 이루어지는 슈트 회전수단(84)과; 상기 체인스프라켓(39)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에 고정되는 제3슈트(23)와, 이의 외측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슈트(22) 및 이에 삽입되는 제1슈트(21)와, 상기 제1슈트(21)의 상측 하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3슈트(23)의 상측 하부면에 고정된 제3구동모터(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드럼(15)까지 확장되는 와이어로프(18)로 이루어지는 슈트 확장수단(82)과; 상기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에 고정되는 웜감속기(29)와 기어결합하는 타이밍풀리(30)와, 이와 타이밍벨트(69)로 동력결합하여 상기 연결플랜지(33)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32)로 이루어지는 슈트 틸팅수단(8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 공급수단(81)은 호퍼관(48)을 개폐시키는 상기 댐퍼(49)의 일단부에 형성된 댐퍼 스토퍼(51)와, 상기 댐퍼(49)의 타측에 고정되어 호퍼고정구(52)에 고정되는 스프링(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틸팅수단(83)은 상기 연결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슈트회전축(26)과 웜감속기(29)가 상호 플랜지 고정(27a,27b)되는 것을 특징하는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KR10-2002-0063803A 2002-10-18 2002-10-18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KR10047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803A KR100472534B1 (ko) 2002-10-18 2002-10-18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803A KR100472534B1 (ko) 2002-10-18 2002-10-18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075A KR20040035075A (ko) 2004-04-29
KR100472534B1 true KR100472534B1 (ko) 2005-03-08

Family

ID=3733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803A KR100472534B1 (ko) 2002-10-18 2002-10-18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779B1 (ko) * 2007-07-12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보온재 투입장치
KR101041530B1 (ko) * 2008-10-27 2011-06-17 주식회사 우진 턴디쉬 플럭스 투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436A (ja) * 1992-08-31 1994-03-22 Leotec:Kk 分散強化型金属基複合材の製造に使用する分散強化材供給装置
JPH07180967A (ja) * 1993-12-22 1995-07-18 Kawasaki Steel Corp 出鋼口への閉塞材投入装置
JPH1043849A (ja) * 1996-08-02 1998-02-17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に於ける旋回式パウダー投入機
JPH11285796A (ja) * 1998-03-31 1999-10-19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における鋳造パウダー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436A (ja) * 1992-08-31 1994-03-22 Leotec:Kk 分散強化型金属基複合材の製造に使用する分散強化材供給装置
JPH07180967A (ja) * 1993-12-22 1995-07-18 Kawasaki Steel Corp 出鋼口への閉塞材投入装置
JPH1043849A (ja) * 1996-08-02 1998-02-17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に於ける旋回式パウダー投入機
JPH11285796A (ja) * 1998-03-31 1999-10-19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における鋳造パウダー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075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9010A (en) Binding tool
KR100472534B1 (ko) 연주 턴디시 보온재 투입장치
KR200479033Y1 (ko) 조립형 드럼 믹서
CN109015026A (zh) 一种起重机械配件切割加工设备
KR101610264B1 (ko) 이동식 원료 공급 장치
CZ289540B6 (cs) Přenosné zařízení pro spojování armovacích ľelez
KR102034876B1 (ko) 혼련효율을 향상한 내화물 혼련장치
KR100629408B1 (ko) 고로 노벽 보수장치
KR940011294A (ko) 포장물 결속 장치
JP4971115B2 (ja) 煎餅用生地供給装置
CZ285640B6 (cs) Uzávěr zařízení, zejména pro zařízení na svařování fólií
KR20040055524A (ko) 고로노벽 보수 및 노내가스 상승 차단장치
WO2007026642A1 (ja) 鋳造設備における金型鋳造装置
EP1169153B1 (en) Device for decoring casting pieces
KR200251267Y1 (ko) 파이프 가공장치
KR20020019769A (ko) 더미 슬라브 자동 인출장치
CN108971473A (zh) 一种通用型浇注包结构
CN114012165B (zh) 一种钢管切割设备
DE3035239A1 (de) Brennschneidmaschine
CN216758153U (zh) 一种浇铸用铁水包装置
CN216031727U (zh) 一种用于高耐磨地坪裁切装置
KR100733368B1 (ko) 고온 소둔로의 실링장치
TR2023001787A2 (tr) Kalip açma ayirma maki̇nesi̇
JPH0794124B2 (ja) コンクリ−ト切断工法及びコンクリ−ト切断装置
KR19980015036U (ko) 자동필러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