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23B1 -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23B1
KR100471023B1 KR10-2002-0034513A KR20020034513A KR100471023B1 KR 100471023 B1 KR100471023 B1 KR 100471023B1 KR 20020034513 A KR20020034513 A KR 20020034513A KR 100471023 B1 KR100471023 B1 KR 10047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material
same
sound absorb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232A (ko
Inventor
윤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0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29C43/2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by pressing the material between two preformed layers, e.g. deformab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 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흡음재와 차음재로 조합되는 차량의 이중구조 방음재에 있어서, 흡음재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차음재는 재생이 불가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방음재의 재생이 불가하던 점을 감안하여, 기존에 재생이 가능한 흡음재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흡음재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섬유를 차음재로도 사용하되, 폴리에틸렌 섬유를 압착시킨 것을 차음재로 적용함으로써, 흡음재와 차음재가 동일한 재질로 적용됨에 따라 방음재의 전체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다.

Description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Soundproof panel having doubl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흡음재와 차음재로 조합되는 차량의 이중구조 방음재에 있어서, 흡음재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차음재는 재생이 불가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방음재의 재생이 불가하던 점을 감안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동일의 폴리에틸렌 섬유(PET FIBER)재료를 흡음재와 차음재로 적용시킨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방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방음재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주요 주파수인 500∼ 2500Hz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동차용 방음재가 사용되는 중요 부분은 소음이 가장 많이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엔진룸과 실내간의 설치되는 대시패널(Dash panel), 차량의 바닥면 및 천정면을 이루고 있는 플로어 패널(Floor panel) 및 루프패널(Roof panel), 차량의 뒷쪽공간 및 크렁크 룸 사이를 이루는 트렁크 패널(Trunk panel)이며, 여기에 사용되는 재료 또한 펠트(Felt)류, 유리섬유(Glass Fiber)류, 폴리우레탄 폼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레진 펠트(RESIN FELT)가 값이 싸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점차 성능면에서 유리한 폴리우레탄 폼(PUR FOAM)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폼(PUR FOAM)이 성능과 디자인 자유도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재생 및 재활용(RECYCLE)이 불가능하여 최근에는 폴리에틸렌 섬유(PET FIBER)를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여 차량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음재를 제작함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방음재를 이중 구조로 제작함에 있다.
이중 구조란, 밀도가 다른 즉, 흡음재와 차음재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자동차의 중요 부분에 사용되는 방음재는 자동차의 NVH 성능을 높이기 위해 흡음재와 차음재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기존의 차량용 방음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흡음재에는 펠트류, 폴리에틸렌 섬유(PET FIBER), 폴리우레탄 폼(PU FOAM)등이 선택 사용되고, 차음재는 에바 시트(Eva sheet)와 같은 무거운 층(HEAVY LAYER)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방음재는 흡음재와 차음재를 조합하여 방음재로 사용하고 있는 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합은 흡음재를 폴리우레탄 폼으로, 그리고 차음재를 에바 시트로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음재에서 환경 문제와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흡음재를 재생(RECYCLE)이 가능하고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섬유(PET FIBER)로 사용하고 있지만, 차음재로 사용된 기존의 에바 시트와 같은 무거운층(HEAVY LAYER)은 재생이 불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상기 흡음재는 재생(RECYCLE)이 가능하지만, 재생이 불가한 차음재가 붙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재생이 불가능하여, 결국 흡음재와 차음재를 별도로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작업성 저하 및 비용이 많이 드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분리 작업시 차음재에서는 악취가 발생하여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기되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에 재생이 가능한 흡음재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흡음재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섬유를 차음재로도 사용하되, 폴리에틸렌 섬유를 압착시킨 것을 차음재로 적용함으로써, 흡음재와 차음재가 동일한 재질로 적용됨에 따라 방음재의 전체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 구조 방음재는 스틸 플레이트와 흡음재와 차음재가 차례로 적층 부착되어 이루어진 이중 구조 방음재로 구성되되, 상기 흡음재는 일반 레귤러 섬유와 저융점 섬유가 혼합 방사되어, 저융점 섬유가 열에 의해 녹으면서 이루어진 것을 채택하고, 상기 차음재는 일반 레귤러 섬유를 압착시킨 것을 채택하여, 상기 흡음재 및 차음재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 구조 방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구조 방음재의 제조 방법은 스틸 플레이트와 흡음재와 차음재가 차례로 적층 부착되어 이루어진 이중 구조 방음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흡음재로서 서로 혼합 방사된 일반 레귤러 섬유 및 저융점 섬유에 차음재로서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를 밀착시킨 후, 소정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상기 흡음재중의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흡음재의 일반 레귤러 섬유와 자체 결속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상기 차음재로 채택된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와의 접촉면에서도 결속반응이 일어나, 상기 흡음재와 차음재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 구조 방음재는 스틸 플레이트와 흡음재와 차음재가 차례로 적층 부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기존의 흡음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흡음재에 일체로 적층되는 차음재를 흡음재와 동일 재질을 사용하되, 2∼5mm로 압착 처리된 것을 사용함에 따라, 재생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구조 방음재에서 흡음재는 폴리에틸렌 섬유로서, 일반 레귤러 섬유 및 저융점 섬유를 서로 혼합 방사시킨 것을 사용하고, 차음재는 일반 레귤러 섬유만을 압착 처리시킨 것을 사용하여, 서로 일체로 자체 결속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 구조 방음재는 흡음재와 차음재가 동일한 폴리에틸렌 섬유로 적용됨에 따라,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중 구조 방음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일반 레귤러 섬유 및 저융점 섬유를 서로 혼합 방사하여 흡음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차음재로서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를 흡음재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단계가 소정의 금형내에서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음재와 차음재를 소정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상기 흡음재중의 저융점 섬유가 녹이는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흡음재의 일반 레귤러 섬유와 자체 결속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흡음재에 차음재가 면접촉된 상태인 바, 상기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상기 차음재인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에도 스며들어 결속반응이 일어나는 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흡음재와 차음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완성된 본 발명의 방음재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의 무게는 기존의 차음재인 무거운층에 비하여 그 중량이 현격하게 감소되어 차량 경량화 실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방음재에서 차음재는 전체 중량의 50∼70%를 차지하지만, 본 발명에 채택된 차음재는 동일한 재료를 압착 처리한 것이기 때문에 중량이 기존에 비하여 20∼40%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동일의 폴리에틸렌 섬유 재료로 흡음재와 차음재를 구성함으로써, 폐차 처리시 분리 과정 없이 재생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방음재보다 중량이 20∼40% 감소되어, 차체 경량화에 일조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물론, 기존에 재생을 위하여 흡음재와 차음재를 분리하던 작업이 배제되어,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이중구조 방음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Claims (2)

  1. 삭제
  2. 스틸 플레이트와 흡음재와 차음재가 차례로 적층 부착되어 이루어진 이중 구조 방음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흡음재로서 서로 혼합 방사된 일반 레귤러 섬유 및 저융점 섬유에 차음재로서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를 밀착시킨 후, 소정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상기 흡음재중의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흡음재의 일반 레귤러 섬유와 자체 결속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저융점 섬유가 녹으면서 상기 차음재로 채택된 압착 처리된 일반 레귤러 섬유와의 접촉면에서도 결속반응이 일어나, 상기 흡음재와 차음재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 구조 방음재의 제조 방법.
KR10-2002-0034513A 2002-06-20 2002-06-20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513A KR100471023B1 (ko) 2002-06-20 2002-06-20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513A KR100471023B1 (ko) 2002-06-20 2002-06-20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232A KR20030097232A (ko) 2003-12-31
KR100471023B1 true KR100471023B1 (ko) 2005-03-08

Family

ID=3238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513A KR100471023B1 (ko) 2002-06-20 2002-06-20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87B1 (ko) * 2002-10-31 2005-04-22 (주)대한솔루션 폴리에틸렌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831A (en) * 1993-09-27 1996-09-10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Sound absorbing member
JPH1134760A (ja) * 1997-07-24 1999-02-0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ダッシュインシュレータ
KR20000033419A (ko) * 1998-11-23 2000-06-15 홍종만 자동차의 대시 인슐레이터
JP2001233249A (ja) * 2000-02-18 2001-08-28 Kasai Kogyo Co Ltd 車両用防音材
JP2003326625A (ja) * 2002-05-10 2003-11-19 Kureha Ltd リサイクル可能な車両用内装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831A (en) * 1993-09-27 1996-09-10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Sound absorbing member
JPH1134760A (ja) * 1997-07-24 1999-02-0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ダッシュインシュレータ
KR20000033419A (ko) * 1998-11-23 2000-06-15 홍종만 자동차의 대시 인슐레이터
JP2001233249A (ja) * 2000-02-18 2001-08-28 Kasai Kogyo Co Ltd 車両用防音材
JP2003326625A (ja) * 2002-05-10 2003-11-19 Kureha Ltd リサイクル可能な車両用内装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232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334338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ound insulating structure
KR100475872B1 (ko) 자동차용 방음재와 그 제조방법
US20050202740A1 (en) Acoustical insulator for a vehicle
WO1998018656A1 (de) Ultraleichter multifunktionaler, schallisolierender bausatz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289230A1 (en) Acoustical insulation for motor vehicles
US20040235376A1 (en)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containing carbon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96321B2 (en) Vehicle headliner
KR100893690B1 (ko)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697699B1 (ko) 자동차용 2중 엔진 커버 노이즈 방지재와 그 제조방법
KR100471023B1 (ko) 단일 재료를 이용한 이중구조 방음재 및 그 제조 방법
JP3252405B2 (ja) 自動車用防音材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4731B1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US20220203649A1 (en) Absorptive needle-punched layer composite
KR20020047937A (ko)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CN215096190U (zh) 一种汽车内饰顶棚
KR20050118338A (ko)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 방법
KR970074643A (ko) 흡음 · 차음용 섬유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9703A (ko) 적층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흡음재
KR100202744B1 (ko) 흡차음재시트
JP3003445B2 (ja) 自動車用内装材
JPH073599A (ja) 高剛性吸音材
JP3170998B2 (ja) 自動車用遮音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