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31B1 -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31B1
KR102094731B1 KR1020190049856A KR20190049856A KR102094731B1 KR 102094731 B1 KR102094731 B1 KR 102094731B1 KR 1020190049856 A KR1020190049856 A KR 1020190049856A KR 20190049856 A KR20190049856 A KR 20190049856A KR 102094731 B1 KR102094731 B1 KR 10209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lower mold
mold
engine cover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세
정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04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filler
    • B29K25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VO)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에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일체형으로 흡음성능과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VERTICAL ZERO, 수직연소성)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상부금형에 사출물을 인서트 삽입한 후 폴리우레탄을 하부금형에 도포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발포층을 발포하며 표면에 스킨층이 형성되는 엔진커버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킨층은 폴리우레탄을 0.05∼0.15 mm의 두께로 스킨 스프레이하고, 50∼60 초간 자연건조하여 발포에 의해 2.1∼3 mm의 두께가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층은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와, 폴리우레탄 소재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온도가 55∼6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280∼300초간 유지해 스킨층과 일체형으로 발포되어 이루어지며, 15∼20mm 크기의 홀을 형성하여 흡음성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VERTICAL ZERO flame retardant integral engine cover using polyuretha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VO)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에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일체형으로 흡음성능과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VERTICAL ZERO, 수직연소성)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차량 실내로 외부 소음이 유입된다.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음, 배기 계통의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 유동으로 발생하는 소음, 엔진에서 발생하여 차체 또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 투과 소음은 승객의 귀로 전달되어 차량의 정숙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엔진 투과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엔진 커버 또는 후드 인슐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엔진 투과 소음을 원하는 수준까지 제거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전방과 좌측 측면, 그리고 바닥에 흡음재를 장착하는데, 예컨대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엔진룸과 차실을 구분하는 대쉬 패널에 흡음재가 설치되며, 차체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이드 패널에도 흡음재를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흡음재를 사용하는 재질로 통상 유리섬유, 우레탄 폼, 잡사 펠트를 사용한다. 주로 사용되는 우레탄 폼의 경우 냄새가 유독하며, 가연성으로 인하여 사고 시 유독성 가스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흡음재로 제조하는 경우에 발포두께가 얇은 경우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친환경적 요인과 재활용 가능 여부에 대한 각국의 규제가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우레탄폼 보다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섬유 펠트와, 흡음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펠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한 흡음재에 관해 한국등록특허 제10-0893690호에는 폐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압축성형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시트와 폴리우레탄 시트의 외측으로 PET 시트를 적층하여 열융착으로 상호 결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활용이 어려운 폴리우레탄 시트를 기본으로 하여 펠트나 재활용 잡사 등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흡음재라고 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며, 1액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폐 폴리우레탄폼을 압축, 공극을 메움으로써 흡음률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organic compounds, VOC) 규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편, 음향 특성에 따른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ness)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대형 고급차종에 서는 주로 고중량, 고후도의 흡음재를 사용한다. 이 경우 폴리우레탄 폼이 소음을 가장 많이 감소시키며, 차량 정숙성 또한 향상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재활용이 불가하여 친환경적인 소재가 아니며, 고후도로 제작되는 경우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연비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한민국특허로는 특허등록번호 제1470478호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저융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와 레귤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카딩(Carding)하고 니들펀칭하여 제1 펠트층(Felt layer) 및 제2 펠트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펠트층을 하부 지그에 삽입하고 상기 제2 펠트층을 상기 하부 지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지그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의 일단에 위치하는 열판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열판에 상기 제1 펠트층과 제2 펠트층을 인접하게 위치시켜 상기 제1 펠트층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펠트층의 하부면을 상기 열판의 온도에 의해 간접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펠트층과 상기 제2 펠트층의 간접 용융시킨 후 상기 하부 지그와 상기 상부 지그 사이에서 상기 열판을 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판을 인출 후 상기 하부 지그와 상부 지그를 상하로 이동시켜 간접 용융된 상기 제1 펠트층과 제2 펠트층을 압착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제1, 2 펠트층을 압착하여 합지하는 것이므로 노이즈를 정상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많은 의문이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번호 제1375442호는 "저융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와 레귤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함유하는 상부펠트층(Felt layer) 및 하부펠트층; 및 상기 상부펠트층과 하부펠트층 사이에 개재되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함유하는 에어라이트층을 포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부펠트층과 하부펠트층을 각각 성형해야 하고, 상기 상, 하부 펠트층의 사이에 에어라이트층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원가가 크게 상승하며 구조에 따른 생산의 복잡성과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흡음재는 주로 pp 극세사로 구성되어 있어 엔진룸의 온도에 노출되면 내열성 부분이 취약하여 장시간 운전시 심하게는 딱딱하게 굳어 어스러지거나 부스러지기 때문에 가루가 발생할 수 있다 . 엔진룸의 온도는 150~180℃인데 반해, 기존 pp 극세사는 온도가 통상적으로 100℃정도 이기 때문이다.
한편, 자동차에는 노이즈 방지를 목적으로 엔진 커버, 후드 덮개, 대시보드, 휠 커버 등 다양한 위치에 사용되고 있는 물품이 있으나, 이들은 서로 다른 구조와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원가의 소모가 많으며, 노이즈 방지에 대한 효과가 미비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375442호(2014. 03.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470478호(2014. 12. 02.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893690호(2009. 04. 09.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128199호(2012. 03. 12.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외관을 미려하기 위해 고밀도 폼재질을 사용한 스킨층을 형성하고, 한단계 발포성형으로 일체형 타입의 엔진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POL((POLYOL) 올 혼합 발포 성형해 뛰어난 VO(UL 94 VERTICAL ZERO, 수직연소성)급의 난연성, 고내열성, 내오일성, 내약품성, 내가수분해성, 내오존성, 치수안정성, 인열, 인장, 압축강도 우수성, 신장률, 영구압축률, 곰팡이 저하성 우수성 등의 특징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조립성관련 조립품을 인서트 삽입 발포 성형하고, 두께가 20mm 이상으로 별도의 조립없이 일체형으로 흡음성능이 우수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상부금형에 사출물을 인서트 삽입한 후 폴리우레탄을 하부금형에 도포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발포층을 발포하며 표면에 스킨층이 형성되는 엔진커버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킨층은 폴리우레탄을 0.05∼0.15 mm의 두께로 스킨 스프레이하고, 50∼60 초간 자연건조하여 발포에 의해 2.1∼3 mm의 두께가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층은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와, 폴리우레탄 소재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온도가 55∼6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280∼300초간 유지해 스킨층과 일체형으로 발포되어 이루어지며, 15∼20mm 크기의 홀을 형성하여 흡음성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커버 적용소재인,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에 Graphite 소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해 발포성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엔진커버를 제작함으로써 흡음성능과 단열성능이 우수하며, 바닥면을 발포 셀이 열려 있어 발포 성형되고 스킨층은 이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흡음성능, 저온 안전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뛰어난 난연성, 고 내열성, 내 오일성, 내 약품성, 길이 안정성의 특성과 VO(UL94 VERTICAL ZERO, 수직연소성)급의 난연성을 가지며, 조립성을 위한 인서트 사출과 발포 성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의 홀 삽입에 따른 흡음성 증대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파이트(Graphite)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를 일체형태로 발포성형하여 경량화된 엔진커버(10)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발포 성형한 엔진커버(10)의 바닥면은 발포 셀이 열려 있어 발포층(30)으로 발포 성형되는 상태지만 전면은 스킨층(20)을 형성하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커버(10)는 흡음성능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좋으며, 밀도가 200∼220kg/㎥로 고밀도이고, 내연온도가 150∼155℃로 매우 높아 안전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상기 엔진커버(10)는 700g∼1kg 내외로 기존폼대비 무게가 가벼우며, 금형부식(문양) 처리 추가로 표면외관이 미려하여 자동차 엔진커버의 적합한 특성을 제공하게 되고, 발포성형으로 제조하는 폴리루에탄 스킨 폼이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흡음성능, 저온 안전성 등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뛰어난 난연성, 고 내열성, 내 오일성, 내 약품성, 길이 안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VO(UL94 VERTICAL ZERO, 수직연소성)급의 난연성을 가지기 위해 특수 제조된 그래파이트(Graphite)를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 그래파이트(Graphite)는 팽창용 흑연으로 열을 주는 경우 25배 부피가 커지게 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구제적으로 내부온도가 400℃까지 상승하는 것에 견딜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포층(30)에는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의 홀(40)을 형성하여 흡음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며, 상기 홀(40)의 크기는 15∼20mm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진커버(10)는 조립성을 위해 인서트 사출성형과 발포 성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일체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상부금형에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엔진블럭과 조립에 의한 이탈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EPDM(Ethyiene Propyiene diene monomer)을 인서트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이형제를 도포한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고압으로 발포에 의해 2.1∼3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0.05∼0.15 mm의 두께가 되도록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을 통해 성형되는 스킨층(20)이 외부로 노출되며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하부금형을 50∼60초간 자연건조를 통해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이 도포되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 는 팽창용 흑연으로 열을 주는 경우 25배 부피가 커지게 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온도가 55∼6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280∼300초간 유지해 발포를 통한 발포층(30)이 스킨층(20)과 일체형으로 발포되어 엔진커버(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성형한 엔진커버(10)는 최대 75mm의 두께로 성형될 수 있으며, 탈형을 수행한 후 사상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발포층(30)에 형성하는 홀(40)은 흡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홀(40)의 크기는 지름이 15∼2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층(30)에 홀(40)이 없는 초기샘플과 비교하여 약 20% 정도의 흡음성이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6에 도시한 블럭도와 첨부시킨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이형제 도포단계(S10)
상,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나. 상부금형 인서트 삽입단계(S20)
상부금형에 엔진블럭과 조립 및 이탈방지를 위해 EPDM을 인서트 삽입(EPDM 재질, 사출재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다. 하부금형 우레탄 도포단계(S30)
이형제를 도포한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고압으로 발포에 의해 2.5 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0.10 mm의 두께가 되도록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는 것이다.
라. 우레탄 건조단계(S40)
상기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하부금형을 55초간 자연건조를 통해 건조되도록 한다.
마. 원료 투입단계(S50)
상기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이 도포되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 20 중량%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바. 엔진커버 성형단계(S60)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 20 중량%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온도가 60℃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300초간 유지해 엔진커버(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사. 탈형단계(S70)
성형한 엔진커버(10)는 최대 75mm의 두께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해 일체형으로 성형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것이다.
아. 사상단계(S80)
엔진커버(10)를 정상적인 제품으로 마감하는 사상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이형제를 도포한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성형되는 스킨층이 외부로 노출되며 미려하게 하는 것이며, 그래파이트(Graphite)와, MDI와 P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를 혼합하여 투입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하며, 제품중량이 가볍고, 흡음성과 내가수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엔진커버 20 : 스킨층
30 : 발포층 40 : 홀

Claims (7)

  1.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상부금형에 사출물을 인서트 삽입한 후 폴리우레탄을 하부금형에 도포하여 자연건조시킨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발포층(30)을 발포하며 표면에 스킨층(20)이 형성되는 엔진커버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킨층(20)은 폴리우레탄을 0.05∼0.15 mm의 두께로 스킨 스프레이하고, 50∼60 초간 자연건조하여 발포에 의해 2.1∼3 mm의 두께가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층(30)은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와, 폴리우레탄 소재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온도가 55∼6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280∼300초간 유지해 스킨층(20)과 일체형으로 발포되어 이루어지며, 15∼20mm 크기의 홀(40)을 형성하여 흡음성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S10);
    상부금형에 엔진블럭과 조립 및 이탈방지를 위해 EPDM을 인서트 삽입하는 상부금형 인서트 삽입단계(S20);
    이형제를 도포한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에 의해 2.1∼3 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0.05∼0.15 mm의 두께가 되도록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는 하부금형 우레탄 도포단계(S30);
    상기 스킨 스프레이를 통해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하부금형을 50∼60초간 자연건조를 통해 건조되도록 하는 우레탄 건조단계(S40);
    상기 하부금형에 폴리우레탄이 도포되어 건조한 후 그래파이트(Graphite) 15∼20 중량%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POL(polyol)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소재 80∼85 중량%를 혼합하여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50);
    상부금형을 결합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가열하여 엔진커버(10)를 성형하는 엔진커버 성형단계(S60);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해 일체형으로 성형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탈형단계(S70);
    엔진커버(10)를 정상적인 제품으로 마감하는 사상단계(S80); 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9856A 2019-04-29 2019-04-29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209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56A KR102094731B1 (ko) 2019-04-29 2019-04-29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56A KR102094731B1 (ko) 2019-04-29 2019-04-29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731B1 true KR102094731B1 (ko) 2020-03-31

Family

ID=7000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56A KR102094731B1 (ko) 2019-04-29 2019-04-29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494A (ko) 2020-05-26 2021-12-06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3128995A1 (en) * 2021-12-31 2023-07-06 Pi̇msa Otomoti̇v Anoni̇m Şi̇rketi̇ A new engine top cover embodim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479A (ko) * 2001-07-24 2001-09-28 덕양산업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분발포부 구조
KR20060005434A (ko) * 2004-07-12 2006-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내장재용 패널의 성형방법
US20060029789A1 (en) * 2004-08-05 2006-02-09 Lear Corporation Interior vehicle trim panel having dual density spray elastom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893690B1 (ko) 2008-07-03 2009-04-17 엔피에프(주)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128199B1 (ko) 2010-05-25 2012-03-22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의 대쉬 판넬 흡차음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442B1 (ko) 2013-11-26 2014-03-17 후성산업 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3448A (ko) * 2011-06-29 2014-04-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열에 안정한 난연성 가요성 폴리우레탄 포옴
KR101470478B1 (ko) 2014-03-26 2014-12-09 서우산업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엔진 커버용 흡음재의 제조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479A (ko) * 2001-07-24 2001-09-28 덕양산업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분발포부 구조
KR20060005434A (ko) * 2004-07-12 2006-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내장재용 패널의 성형방법
US20060029789A1 (en) * 2004-08-05 2006-02-09 Lear Corporation Interior vehicle trim panel having dual density spray elastom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893690B1 (ko) 2008-07-03 2009-04-17 엔피에프(주)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128199B1 (ko) 2010-05-25 2012-03-22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의 대쉬 판넬 흡차음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3448A (ko) * 2011-06-29 2014-04-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열에 안정한 난연성 가요성 폴리우레탄 포옴
KR101375442B1 (ko) 2013-11-26 2014-03-17 후성산업 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478B1 (ko) 2014-03-26 2014-12-09 서우산업주식회사 엔진 커버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엔진 커버용 흡음재의 제조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494A (ko) 2020-05-26 2021-12-06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3128995A1 (en) * 2021-12-31 2023-07-06 Pi̇msa Otomoti̇v Anoni̇m Şi̇rketi̇ A new engine top cover embodi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1851092B1 (en) The member for headliner on motor vehicles of multilayer structure
US8157051B2 (en) Moulded soundproofing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597562B2 (en) Composit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505178B2 (en) Production process for a moulded multilyer lining
KR102094731B1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브이오급 난연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US20140287644A1 (en) Sound-absorbing material for automobile using foaming urethane foam to which carbon nano-tube is appli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0182810A1 (en) HOT-MOLDABLE COMPOSITE ITEMS.
KR20140016949A (ko) 방열 및 방음을 위한 성형 다층 라이닝
KR101919855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차량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690B1 (ko)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US10569500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utomotive equipment part and associated part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7919B1 (ko)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DE102010021123B4 (de) Form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insbesondere eines Formteils für ein Kraftfahrzeug, wie ein Armaturenbrett oder eine Mittelkonsole
EP3335871B1 (en) A multilayer structure and automotive component made thereof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8488B1 (ko)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용 섬유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의 제조방법
KR102322387B1 (ko) 차량용 플로워 카페트 언더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856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차량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0230A (ko) Pet펠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7525A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CZ206095A3 (en) Energy-absorb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