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308B1 -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308B1
KR100470308B1 KR10-2002-0002699A KR20020002699A KR100470308B1 KR 100470308 B1 KR100470308 B1 KR 100470308B1 KR 20020002699 A KR20020002699 A KR 20020002699A KR 100470308 B1 KR100470308 B1 KR 10047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ue
coordinate
digital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326A (ko
Inventor
이재석
진용규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02-000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3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경계선을 강조할 수 있는 저선량 디지털 엑스레이(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캡쳐된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과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면, 미리 정해진 상수값 β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β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상수값 α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여, 선택적으로 언샵 마스크 처리가 된 최종 영상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igital X-ray image by applying filter selectively}
본 발명은 입상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경계선을 강조할 수 있는 저선량 디지털 엑스레이(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인쇄회로기판(PCB) 실장 검사용 X선 장비는 영상 획득 장치로서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저선량에도 감도가 우수한 영상증배관과 CCD 카메라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의 단점으로 많은 양자 잡음, 스크린 잡음 등으로 획득 영상의 입상성 저하를 야기시킨다. 또한 영상증배관은 형광 물질을 입력단과 출력단에 두 번 사용하므로 해상도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CMOS, a-Si, a-Se 등을 이용한 평판형 디지털 X선 카메라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런 카메라들은 해상도 면에서는 상당히 향상되었으나 제조 공정상 카메라 픽셀 간의 엑스레이 감도 불균일과 기능 상실 픽셀 그리고 센서 내부의 암전류(Dark Current)에 의한 고유 잡음(Fixed Pattern Noise) 등이 혼합된 불규칙 잡음(Random Noise)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잡음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평판 보정(Flat Field Correction)이라고 알려진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평판 보정 후에도 완전히 잡음이 제거되지 못하고 양자 잡음과 X선 산란에 의한 불규칙 잡음에 의해 영상의 질이 여전히 떨어진다. 또한 엑스레이 발생기의 초점이 클수록, 기하학적 확대율을 크게 할수록 획득 영상의 경계선이 흐릿해지는 특징이 있다.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은 흐릿한 경계선과 영상 전반에 존재하는 잡음으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징을 가진 영상의 향상을 위해서 잡음을 감소시키거나 경계선을 강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들은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에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왜냐하면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면 이와 더불어 경계선이 더욱 흐릿하게 되고 반대로 경계선을 강조하면 저역 통과 영역에 존재하는 잡음을 더욱 강조하여 입상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영상 보정 기법들은 노이즈나 경계선 둘 중 어느 하나에 중점을 둔 방법들이어서 노이즈 및 경계선의 동시 보정을 통한 영상 향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노이즈 및 경계선을 동시에 보정하기 위해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저선량 디지털 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의 입상성 및 선예도를 함께 향상시키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저선량 디지털 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픽셀 보정 영역에 대하여 경계선 및 배경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 필터를 적용하는 저선량 디지털 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9가지의 3×3 영역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배경 영상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과 추정 배경 영상에 의해 산출된 조건 영상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배경 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언샵 마스킹(UnsharpMaski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 201 : 추정 원 영상
401 : 추정 배경 영상 501 : 조건 영상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획득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과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면, 미리 정해진 상수값 β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β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상수값 α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고, 선택적 언샵 마스크처리가 된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캡쳐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캡쳐한 영상을 평판 보정(Flat Field Correcti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좌표에 대한 영역은 상기 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3×3 의 9개 픽셀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은 상기 영상에 대하여 n×n 영역 단위로 반복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좌표에 대한 3×3 영역에서의 중심값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고, 상기 3×3 영역을 구성하는 9개의 픽셀 각각을 중심으로 하는 영역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고, 상기 중간값과 9개 픽셀 각각의 중간값(Median Value)을 비교하고, 상기 3×3 영역의 영역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영역 유형에 상응하는 픽셀 부분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유형은 평활 영역, 가로선, 좌측 위에서 우측 아래 방향의 대각선, 세로선, 우측 위에서 좌측 아래 방향의 대각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정해진 영역 크기에 상응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9가지의 3×3 영역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배경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과 추정 배경 영상에 의해 산출된 조건 영상의 예시도이다.
의료 영상 분야를 포함한 X선 영상 처리 분야에서 영상 향상을 위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식(3-1)과 같다.
Unsharp Masking = (A)(Original) - Lowpass
= (A-1)(Original) + Original - Lowpass (3-1)
= (A-1)(Original) + Highpass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은 원 영상에 고역 통과 영역의 성분을 더함으로써 경계선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 기법을 잡음의 분포가 불규칙적이고 값의 변화 범위가 경계선에서의 값의 변화보다 더 큰 저선량 X선 영상에 그대로 적용하면 저주파 영역에 있는 잡음의 값이 더욱 강조되어 선예도와 대조도는 향상되나 입상성이 더욱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고역 통과 영역과 저역 통과 영역에 선택적으로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을 적용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저역 통과 영역에서의 잡음과 고역 통과 영역에서의 경계 구분이 어려운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101)에서는 이 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 구분을 위하여 잡음의 영향을 적게 받는 추정 원 영상(estimated original image)(201)과 추정 배경영상(estimated background image)(401)을 만든다.
도 1에서와 같이 저선량 디지털 X선 영상(101)은 일반 영상에 비하여 잡음의 영향으로 경계선이 분명하지 않고 비슷한 값 분포로 구성되어야 할 동일 영역의 실제 픽셀 값들이 큰 편차를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추정된 원 영상이 좀 더 명확한 경계를 같고 동일 영역에서 일정한 픽셀 값을 갖기 위해 먼저 도 3에 있는 9가지의 3×3 영역분포를 제안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X선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5[line-pair/mm](1[mm]의 범위 안에 흑백 한 쌍의 라인이 5개 존재) 이하의 해상도를 가진다. 이는 최소 하나의 흑색이나 백색의 라인이 차지하는 픽셀은 2개 이상임을 뜻하므로 이 픽셀이 포함되는 영역의 형상은 이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3×3 영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3×3영역이 표현할 수 있는 형상은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에서 301 형태는 평활 영역의 한 부분을 나타내고, 303과 305 형태는 가로선, 307과 309 형태는 좌측 위에서 우측 아래 방향 대각선 영역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311과 313의 형태는 세로선을 315와 317의 형태는 우측 위에서 좌측 아래 방향 대각선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안한 9가지의 영역 분포를 사용한 추정 원 영상의 각 픽셀 값 E(x, y)는 식(3-2)와 같다.
, 단(3-2)
여기서, Med()는 중간값을 나타낸다. 오메가(Ω)는 도 3에 있는 형태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Ω를 찾기 위한 과정은 아래와 같다.
① (x, y)를 중심으로 하는 3×3 영역에서 중간값을 구한다.
② ①에서의 3×3 영역에 속하는 9개의 픽셀 각각에 대하여 ①의 과정을 반복한다.
③ ②에서 구한 각 픽셀에서의 중간값과 ①에서 구한 픽셀 값의 차이가 동일 영역으로 간주하는 경계값(Delta) 이하인 픽셀들을 구한다.
④ 도 3에 있는 형태 중에서 ③에서 구한 픽셀들의 형태와 가장 유사한 것을 찾는다.
그리고 Im(i, j)는 Ω에 속하는 각 픽셀의 값이다. 식(3-2)를 이용하여 원 영상을 추측하면 도 2의 추정 원 영상(201)이 된다. 도 1의 영상(101)에 비하여 라인의 경계와 내부에 있는 값들이 좀 더 균일해졌음을 볼 수 있다. 추정 원 영상을 구하는 과정은 하기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식(3-3)과 같다.
(3-3)
새로운 픽셀 값 U(x, y)는 추정 원 영상과 배경 영상의 차이값 T(x, y)에 따라 선택적으로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을 적용한 값으로 대체된다. 여기에서 D(x, y)는 식(3-4)에 나타내었다.
(3-4)
D(x, y)는 원 영상의 픽셀 값 O(x, y)에서 각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국부적 영역에서의 평균값 M(x, y)를 뺀 값이다. 식(3-4)는 일종의 고역 통과 필터이다. 경계값(Threshold)은 저역 통과 영역과 고역 통과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이 값은 영상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도 5의 조건 영상(501)은 도 2의 추정 원 영상(201)에서 도 4의 추정 배경 영상(401)을 뺀 절대값이 경계값 이상이면 255으로 대체하고 이하이면 0로 대체한 영상을 나타낸다.
T(x, y)의 값이 경계값보다 작으면 저주파 영역으로 간주하고 입상성의 유지를 위한 이득(α)을 작은 값으로 선택하고 경계값보다 크면 고주파 영역으로 간주하여 경계선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득(β)을 큰 값으로 선택한다. 선택적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 알고리즘의 과정은 하기의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원 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택적 필터를 적용할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을 캡쳐(S601)한 후, 캡쳐한 영상을 평판 보정(Flat Field Correction)(S603)한다. 보정이 완료되면, 영상의 x좌표 0, y좌표 0부터 시작(S605)하여 3×3 영역에서의 중심 픽셀 K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S607)한다. 그리고 상기 3×3영역을 구성하는 9개의 픽셀각각을 중심으로 하는 3×3 영역에 대한 중간값(Median Value)들을 산출(S609)한다.
중심 픽셀 K에 대한 중간값(Median Value)과 9개의 픽셀의 중간값(Median Value)을 각각 비교(S611)하여 K의 중간값(Median Value)과각 값과의 차이가 일정한 범위(Delta) 내에 속하는 지를 파악하여 3×3 영역이 상기 도 3의 9가지 영역 중 어느 유형에 속하는 지를 판단(S613)한다. 3×3 영역의 유형이 판단되면, 영역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S615)한다.
x좌표가 캡쳐한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가 영상의 행 크기와 같은지를 판단(S617)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 및 행 크기와 같으면, 추정 원 영상을 생성(S621)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와 같지 않거나 행 크기와 같지 않으면, x좌표값 또는 y좌표값을 증가(S619)시킨 후 다시 S607 단계로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배경 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택적 필터를 적용할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을 캡쳐(S701)한 후, 캡쳐한 영상을 평판 보정(Flat Field Correction)(S703)한다.
보정이 완료되면, 영상의 x좌표 0, y좌표 0부터 시작(S705)하여 정해진(15×15, 35×35,... 등) 영역 크기에 따른 영역을 선택(S707)한다. 선택된 영역에 대한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S709)한 후, x좌표가 캡쳐한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가 영상의 행 크기와 같은지를 판단(S711)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 및 행 크기와 같으면, 추정 배경 영상을 생성(S615)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와 같지 않거나 행 크기와 같지 않으면, x좌표값 또는 y좌표값을 증가(S713)시킨 후 다시 S707 단계로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택적 필터를 적용할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을 캡쳐(S801)한 후, 캡쳐한 영상을 평판 보정(S803)(Flat Field Correction)한다. 보정이 완료되면, 영상의 x좌표 0, y좌표 0부터 시작(S805)하여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 O(x,y)를 산출(S807)한다. 그리고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 B(x,y)를 산출(S809)한다.
O(x,y)와 B(x,y)의 값이 산출되면, O(x,y)와 B(x,y)의 차이의 절대값이 경계값(Threshold)보다 큰 지를 판단(S811)한다.
상기 판단 결과 차이의 절대값이 경계값(Threshold)보다 크면, β를 이용하여 영상에 언샵 마스크를 처리(S815)한다. 상기 판단 결과 차이의 절대값이 경계값(Threshold)보다 크지 않으면, α를 이용하여 영상에 언샵 마스크를 처리(S813)한다. 여기서, β는 큰 값이고 α는 작은 값이며,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에는 상기 식(3-3)이 이용된다.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가 완료되면, x좌표가 캡쳐한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가 영상의 행 크기와 같은지를 판단(S817)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 및 행 크기와 같으면, 최종 영상을 생성(S821)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열 크기와 같지 않거나 행 크기와 같지 않으면, x좌표값 또는 y좌표값을 증가(S819)시킨 후 다시 S607 단계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엑스선 영상 향상에 사용되는 일반적인평균 필터 방법과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 방법이 저선량 디지털 엑스선 영상에서는 입상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단점을 최소화하고 선예도와 대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언샵 마스킹(Unsharp Masking)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저선량 디지털 엑스레이(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이즈 및 경계선을 동시에 보정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영상을 제공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저선량 디지털 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픽셀 보정 영역에 대하여 경계선 및 배경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 필터를 적용하는 저선량 디지털 X-ray의 영상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캡쳐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과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면, 미리 정해진 상수값 β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β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상수값 α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는 단계; 및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가 된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캡쳐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캡쳐한 영상을 평판 보정(Flat Field Correction)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 과정을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에 대한 영역은
    상기 좌표를 시작 좌표로 하는 3×3 의 9개 픽셀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은
    상기 영상에 대하여 n×n 영역 단위로 반복되어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좌표에 대한 3×3 영역에서의 중심값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3×3 영역을 구성하는 9개의 픽셀 각각을 중심으로 하는 영역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심값의 중간값(Median Value)과 9개 픽셀 각각의 중간값(Median Value)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3×3 영역의 영역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 유형에 상응하는 픽셀 부분 각각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유형은
    평활 영역, 가로선, 좌측 위에서 우측 아래 방향의 대각선, 세로선, 우측 위에서 좌측 아래 방향의 대각선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정해진 영역 크기에 상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서의 중간값(Median Value)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은
    상기 영상의 시작 좌표를 x좌표 0, y좌표 0으로 설정하고, x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열 크기와 같고 y좌표값이 상기 영상의 행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각 좌표에 대하여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
  11. 삭제
  12.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 방법이,
    선택적 필터 적용을 위해 캡쳐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상응하는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정 원 영상의 픽셀값과 상기 추정 배경 영상의 픽셀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면, 미리 정해진 상수값 β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경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β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상수값 α를 이용하여 언샵 마스크 처리를 하는 단계; 및
    선택적 언샵 마스크 처리가 된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2-0002699A 2002-01-17 2002-01-17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KR10047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699A KR100470308B1 (ko) 2002-01-17 2002-01-17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699A KR100470308B1 (ko) 2002-01-17 2002-01-17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326A KR20020023326A (ko) 2002-03-28
KR100470308B1 true KR100470308B1 (ko) 2005-02-05

Family

ID=1971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699A KR100470308B1 (ko) 2002-01-17 2002-01-17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806B1 (ko) 2008-05-14 2010-08-25 (주)제노레이 X선 영상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9889B2 (en) * 2014-10-21 2017-04-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normalizing contrast across multiple acquisiti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1482A (ja) * 1989-04-13 1990-11-06 Konica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
JPH1099321A (ja) * 1996-09-30 1998-04-21 Hitachi Medical Corp X線ct装置
KR0153965B1 (ko) * 1994-12-14 1998-11-16 배순훈 영역분할된 영상의 후처리 방법 및 장치
US5867606A (en) * 1997-08-12 1999-02-0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sharpening for an image
KR20000008619A (ko) * 1998-07-15 2000-02-07 구자홍 화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1221A (ko) * 2001-03-05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의 화질 향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1482A (ja) * 1989-04-13 1990-11-06 Konica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
KR0153965B1 (ko) * 1994-12-14 1998-11-16 배순훈 영역분할된 영상의 후처리 방법 및 장치
JPH1099321A (ja) * 1996-09-30 1998-04-21 Hitachi Medical Corp X線ct装置
US5867606A (en) * 1997-08-12 1999-02-0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sharpening for an image
KR20000008619A (ko) * 1998-07-15 2000-02-07 구자홍 화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1221A (ko) * 2001-03-05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의 화질 향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806B1 (ko) 2008-05-14 2010-08-25 (주)제노레이 X선 영상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326A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3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5315157B2 (ja) 情報処理装置、ライン状ノイズ低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27411B1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EP178992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for image processing
JP2006050494A (ja) 画像撮影装置
KR100560027B1 (ko) 압축 에지 적응형 비디오 및 화상의 샤프닝 및 스캐일링
JP2009034413A (ja) 放射線画像処理装置
CN107464219A (zh) 连续图像的运动检测及降噪方法
US97944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470308B1 (ko) 선택적 필터 적용을 통한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의 향상방법 및 장치
US7912313B2 (en) Shading noise filter
JP633501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279162A (ja) 画像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入力装置
JP5219771B2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527439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3271273B2 (ja) 画像の振動判定装置、画像の振動補正装置、画像の振動判定方法及び画像の振動補正方法
CN109636759B (zh) 图像处理方法
JPWO2006117844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情報端末装置
TWI388201B (zh) 利用遮罩加速濾除雜訊之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及數位相機
EP22604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a level of distortion created by blocking artifacts
JP4872108B2 (ja) 濃度調整処理方法、それ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濃度調整処理装置
JP201107646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x線画像撮影装置
JP3271274B2 (ja) 画像の振動判定装置、画像の振動補正装置、画像の振動判定方法及び画像の振動補正方法
JPH08265572A (ja) 画像処理装置
JPS6359267A (ja) 画像補正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