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08B1 -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08B1
KR100469308B1 KR1019970037001A KR19970037001A KR100469308B1 KR 100469308 B1 KR100469308 B1 KR 100469308B1 KR 1019970037001 A KR1019970037001 A KR 1019970037001A KR 19970037001 A KR19970037001 A KR 19970037001A KR 100469308 B1 KR100469308 B1 KR 100469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 reflection
particles
reflection sheet
co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101A (ko
Inventor
문종건
임대우
김순식
조재은
여운길
정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1997003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02B5/3091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for use in the UV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의한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반사 효과가 특히 우수하고 내스크랫치성, 콘트래스트 등의 물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난반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와 실리카 입자 및 용제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을 기재시트위에 코팅하여 건조후 자외선 경화에 의해 제조되는 공지의 난반사시트 제조시,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는 밀링처리된 입자로서 평균입자크기가 400㎚-10㎛범위에 있고 표면에 드러나는 입자의 평균개수를 특정한 범위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난반사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이 제조된 난반사 시트는 액정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난반사 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HEET FOR DIFFUSED REFLECTION}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의한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반사효과가 특히 우수하고 내스크랫치성, 콘트래스트등의 물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난반사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눈부심방지(방현) 가공물로서는 표면에 요철이 있는 롤을 연속적으로 필름에 눌러줌으로써 필름에 요철을 부여하여 난반사효과를 내는 매트상 가공물(1), 수지의 상용성이나 결정화도의 차이를 이용한 확산형 가공물(2) 및 무기화합물의 박층 코팅을 한 가공물(3)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공물 중에서 (1)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장시간을 요하여 제조단가가 높고, 또한 사용하는 금형의 내구성이나 금형수지를 분리할 때의 난점이 있으며, (2)는 가공물 자체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3)의 가공물은 기재 표면에 박층의 단층 또는 다층의 코팅층을 광선의 파장 레벨(Level)에 맞추어 형성한 것으로, 사용한 기재가 제한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장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양산화가 가능하며 성능면에서도 우수한 난반사 효과를 가진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와 실리카 입자 및 용제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을 기재 시트위에 코팅하여 건조 후 자외선 경화방식으로 제조하는 공지의 난반사 시트 제조공정에서 실리카 입자로서 입자의 평균크기가 400㎚∼10㎛인 것을 사용하고 표면에 드러난 입자의 평균개수가 103-108개/㎠의 범위에 있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난반사 시트의 제조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마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며, 분자 골격중에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동시에 분자내의 임의위치(가장 좋기로는 분자말단)에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유도된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는 대부분 모노마와 분자량 5,000미만의 올리고머와의 혼합제를 사용하는데,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5,000이상이 되면 고형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더라도 코팅액의 점도가 올라가고 코팅 후 필름의 표면조도가 작아져 난반사효과가 줄어들고 이 때문에 입자의 함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필름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는 굴절율이 1.52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굴절율이 대략 1.46 정도인 실리카와의 굴절율 차이를 크게하여 정반사되는 광을 줄이기 위함으로, 즉 코팅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은 표면에 드러난 입자에 의해 결정되지만 표면을 통과한 빛의 경우는 입자와 수지를 동시에 통과하게 되므로 이때 수지와 입자의 굴절율 차이를 이용해 빛의 난반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같이 제조된 난반사 필름은 내부광의 투과율은 최대로 유지하면서 반사광은 줄일 수 있어 콘트래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는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같은 실리카 입자의 밀링 후 입자의 크기는 400㎚-10㎛(보다 바람직하게는 1∼3㎛)정도가 바람직한데, 입자 크기가 400㎚미만인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산란 시키지 못하게 되고, 입자크기가 10㎛보다 클 경우에는 광투과율이 떨어지며 표면 상태가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코팅 후 표면에 드러나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개수는 103개/㎠∼108개/㎠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부로 하는데, 입자의 평균개수가 103개/㎠ 미만 일때는 입자개수가 너무적어 정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화상의 콘트레스트가 떨어지고, 108개/㎠ 초과시에는 빛의 산란으로 인해 광투과율이 저하되며 입자의 돌출로 인해 표면경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카 입자를 용제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이때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기재에 대하여 불활성인 것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고형분 농도가 20∼80중량% 정도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의 코팅 조성물에는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각종의 첨가제, 예를들면,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 경화를 위해 개시제가 사용되는데, 사용 가능한 개시제로는 아세톤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제된 코팅 조성물은 기재 시트위에 스프레이법, 그라비에법 등의 일반적인 코팅방법에 의해 통상 두께가 3-10㎛정도로 코팅되며 가열건조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기재 시트로서는 통상 TAC(TriAcetate Cellulose)이 사용되며, 그외에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4, 비교예 1, 2)아래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코팅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난반사 시트를 제조하였는바, 이때 밀링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실시예1∼실시예4 에서는 코팅 후 표면에 드러나는 입자의 개수가 103개/㎠∼108개/㎠ 범위가 되도록 입자량을 조절하여 코팅하였으며, 비교예 1,2에서는 표면에 드러나는 입자의 개수가 103개/㎠미만, 또는 109개/㎠ 초과되도록 하였다. 이때 난반사 시트는 평균 코팅 두께가 5㎛ 되도록 하였으며, 물성을 조사하여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5∼7, 비교예 3, 4)하기 표 2 는 조성물 중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의 굴절율에 따른 반사광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5∼실시예7 에서는 굴절율이 1.52 이상인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3, 비교예4에서는 굴절율이 각각 1.48, 1.50인 수지를 사용하였다. 코팅액의 조성 및 코팅방식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코팅두께 5㎛의 난반사 시트를 얻었으며, 물성을 조사하여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도 확인 되듯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난반사 시트는 실리카가 함유된 경화피막으로 인해 양호한 방현성을 가지며, 자외선 경화피막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한편 콘트래스트가 우수한 성능을 지닌다.

Claims (2)

  1.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실리카 입자 및 용제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을 기재 시트 위에 코팅하여 건조후 자외선 경화방식으로 제조하는 난반사 시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는 밀링처리된 입자로서 평균 입자크기가 0.4~10㎛이고 표면에 드러난 입자의 평균개수가 103개/㎠∼108개/㎠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는 굴절율을 1.52 이상인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70037001A 1997-08-01 1997-08-01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KR100469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01A KR100469308B1 (ko) 1997-08-01 1997-08-01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01A KR100469308B1 (ko) 1997-08-01 1997-08-01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101A KR19990015101A (ko) 1999-03-05
KR100469308B1 true KR100469308B1 (ko) 2005-08-31

Family

ID=3730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001A KR100469308B1 (ko) 1997-08-01 1997-08-01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83B1 (ko) * 2001-12-28 201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24325B1 (ko) * 2006-05-26 2008-04-22 요업기술원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06B2 (ko) * 1978-06-05 1987-01-19 Osaka Gas Co Ltd
JPH05341109A (ja) * 1992-06-04 1993-12-24 Toyo Alum Kk 光反射板
JPH0727905A (ja) * 1993-07-14 1995-01-31 Keiwa Shoko Kk 反射シート材
JPH07110476A (ja) * 1993-10-13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反射板の製造法
JPH09113707A (ja) * 1995-10-19 1997-05-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反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06B2 (ko) * 1978-06-05 1987-01-19 Osaka Gas Co Ltd
JPH05341109A (ja) * 1992-06-04 1993-12-24 Toyo Alum Kk 光反射板
JPH0727905A (ja) * 1993-07-14 1995-01-31 Keiwa Shoko Kk 反射シート材
JPH07110476A (ja) * 1993-10-13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反射板の製造法
JPH09113707A (ja) * 1995-10-19 1997-05-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反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101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864B2 (en)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AU696383B2 (en) Scratch resistant optical film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6011389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광학 필름
US20070243339A1 (en) Anti-glare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EP2631068A1 (en) Laminat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101801A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JP2009025808A (ja) 高度に均一な粒径の有機粒子を有する耐擦傷性光学フィルム
JPH11286083A (ja) 防眩性フイルム
JP7205815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4243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9791226A (zh) 防眩性防反射硬涂膜、图像显示装置、防眩性防反射硬涂膜的制造方法
TWI826414B (zh) 抗反射膜、偏光板、及顯示設備
KR20070113988A (ko) 눈부심 방지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51135B1 (ko) 방오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투명 시트의 제조방법
KR100469308B1 (ko) 난반사시트의제조방법
KR100405305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KR100563239B1 (ko) 난반사효과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0186020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6126822A (ja) 光拡散フィルム
JPH06262133A (ja) つや消し化粧材
KR0181690B1 (ko) 난반사 시트의 제조방법
JPH10114006A (ja) 光拡散機能を有するガラス飛散防止フィルム
JPH1054901A (ja) ノングレアシート
JP4013557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80003612A (ko) 방현성 코팅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