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942B1 -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942B1
KR100468942B1 KR10-2002-0052434A KR20020052434A KR100468942B1 KR 100468942 B1 KR100468942 B1 KR 100468942B1 KR 20020052434 A KR20020052434 A KR 20020052434A KR 100468942 B1 KR100468942 B1 KR 10046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grease
valve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008A (ko
Inventor
이원해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9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13/1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fluid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1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by pressure of another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6Lubr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실린더실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내부에는 밸브실을 마련하고 그 밸브실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를 장착하되, 본체의 유압출입구로 고압의 유압이 유입될 때에는 피스톤은 외경이 가장 작게 형성된 피스톤중간부를 기준하여 그리스 수용공간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피스톤선단부의 외경은 상기 피스톤중간부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게 하며, 조정구를 향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후단부의 외경은 상기한 피스톤선단부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는 구조로서 유압출입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중간부가 위치해 있는 실린더실의 확장부 내측으로 유압이 유입될 때에는 그 유압이 피스톤중간부와 피스톤후단부의 경계부위인 확대경사면에 작용토록 하여 피스톤이 조정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후진수단과; 상기 피스톤이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선단부의 중심에 돌출되어 그리스 수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흡인/토출부가 그리스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그리스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그리스가 진공압에 의해 그리스 수용공간으로 충전되게 하는 그리스충전수단과; 상기 본체의 유압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조정구측을 향해 일정거리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유압이 상기 피스톤중간부에 등각도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한 밸브실에 장착된 밸브의 밸브후단부와 피스톤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구조로서 피스톤후단부 및 밸브후단부 각각의 단면적과 조정구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이 피스톤선단부의 단면적과 피스톤플러그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토록 하여 상기 피스톤 자체가 피스톤플러그쪽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전진수단과; 상기 피스톤선단부의 중심에 돌출된 흡인/토출부가 그리스 수용부에 충전되어있는 그리스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그리스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유압출입구로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앞서 실린더실 내부에 유입되었던 고압의 유압이 유압출입구로 퇴출되어 실린더실 내부의 유압은 저압상태가 됨과 동시 피스톤 자체는 그대로 있고 피스톤의 밸브실에 장착된 밸브만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조정구측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그리스 흡입 및 토출작동을 대기하도록 하는 밸브원위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Auto lubricating device for breake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붐 선단에 조립식으로 장착되는 브레이커(Breaker)의 타격공구가 작동될 때 그리스(Grease)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포장도로나 시멘트 포장도로의 굴착공사시 또는 산간지역 등지에서 신도로를 개설공사를 할 때에는 브레이커라는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브레이커는 뾰족한 첨단을 가지는 타격공구를 왕복운동시켜서 물체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깨뜨리는 장비인데, 이러한 브레이커는 타격공구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기구이므로 타격공구에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유를 수시로 공급하여야 한다. 만일 타격공구에 윤할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브레이커의 프런트 커버 내면 및 스러스트링 내면이 타격공구와의 심한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빠르게 나타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어 브레이커가 쉽게 고장을 일으키거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커를 보호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윤활유로서는 그리스가 사용된다. 그리스는 급유와 밀봉이 간편한 반고체상태의 물질이고 점성이 매우 커서 윤활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커에 공급되는 그리스는 연속적으로 급유되지 않고 타격공구 가 단속적으로 타격작동을 개시할 때마다 한차례씩 충분한 량으로 급유된다.
그리스를 급유하는 장치로서 그리스 건(gun)이라 불리우는 것이 있는데, 이 그리스 건은 수동식이기 때문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 설치된 기계장치에는 사용이 가능하겠지만 일정한 위치에 정지되어 있지 않고 사방으로 움직이는 장치 예를 들어, 굴삭기의 브레이커 장치에는 상기한 그리스 건으로의 급유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왜냐하면, 브레이커는 굴삭기의 붐대 선단에 장착되어 상,하,좌,우 사방으로 움직이면서 아주 짧은 시간안에 목표하는 물체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파괴시킨 후 곧바로 이동하여 다음 타격작동을 수행하는 장치인 반면에 작업자가 그리스 건을이용하여 급유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어져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며. 무엇보다 브레이커를 사용하는 공사현장은 작업자가 접근할 수 없는 위험지역이기 때문에 수동식 그리스 건을 이용하여 브레이커에 그리스를 급유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브레이커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그리스를 자동으로 급유하는 윤활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중 하나는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번호 특1991-12593호로 공개된 것이 있는데, 이는 브레이커에 고정 설치된 장치본체의 그리스 전달챔버에 충진된 그리스를 토출시키는 작동과 그리스 카트리지에 저장된 그리스를 그리스 수용요 전달챔버로 흡인하는 피스톤을 압축스프링이 탄력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피스톤을 전진작동시켜서 그리스를 토출시킨 후 피스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은 전적으로 압축스프링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압축스프링의 탄성도가 저하된 경우에는 피스톤이 그리스 토출작동 후 설계대로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거나 또는 정해진 거리로 원위치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 그리스의 흡인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에는 브레이커의 사용수명을 감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다른 하나는 등록특허공보에 특허 제325577호로 공고된 것이 있는데, 이는 브레이커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에 그리스를 토출 및 흡인하기 위한 피스톤장치를 2중구조의 내,외측피스톤으로 구성하고, 상기한 2중구조의 피스톤장치와 그 후단측에 설치된 홀더 사이에 내,외측 스프링이 탄력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그리스를 토출시킬 때에는 브레이커의 타격공구를 전진작동시키는 고압의 유체압으로 2중구조로 된 피스톤장치의 내,외측 피스톤을 일정거리로 동시에 전진작동시킨 후 외측피스톤은 정지되어 있게 하고 내측피스톤만을 재차 전진작동시키는 구조로 그리스를 토출시킨 다음 상기한 내,외측피스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은 내,외측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역시 전술한 공개특허와 마찬가지로 내,외측 스프링의 탄성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설계대로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 그리스가 정해진 량만큼 흡인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하나는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번호 특2002-1514호로 공개된 것이 있는데, 브레이커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에 그리스를 흡인 및 토출하는 피스톤 수용구조와 피스톤을 왕복작동시키는 유체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밸브 구조가 이원화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생산비가 매우 비싸게 소요되고, 또한 상기한 하우징에는 피스톤을 왕복작동시키는 유압이 유입되는 입구와 유압이 회수되는 출구가 이원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커와의 조립구조가 복잡해진다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그리스를 토출 및 흡인하는 피스톤이 브레이커에 공급되는 고압의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을 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그리스 자동윤활장치의 설계수명까지 그리스의 토출 및 흡인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으며, 또한 그리스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그리스 수용통로에 유입된 공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브레이커의 일측면에 볼트로서 고정 부착되는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부착부의 내부중심에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리스 수용공간과, 상기 부착부의 정면측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의 그리스 수용공간과 연결되게 부착되어 그리스를 수동으로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과, 상기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과는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부의 일측면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그리스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 조립 설치되어 저장된 그리스를 그리스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그리스 카트리지와, 상기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의 대향위치인 부착부 배면측에 조립설치되어 그리스 수용공간에 있는 그리스에 토출압이 작용하였을 때에만 그리스를 토출시켜주는 그리스토출구와, 상기 그리스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실과, 상기 실린더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실린더실과 연통하도록 조립 설치되어 브레이커의 타격공구를 타격작동시키기 위해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출입을 허용하는 유압출입구 및 상기 본체의 끝부분에 조립설치되어 실린더실을 폐쇄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행정거리를 제어하여 그리스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실린더실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내부에는 밸브실을 마련하고 그 밸브실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를 장착하되, 상기 본체의 유압출입구로 고압의 유압이 유입될 때에는 상기 피스톤은 외경이 가장 작게 형성된 피스톤중간부를 기준하여 그리스 수용공간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피스톤선단부의 외경은 상기 피스톤중간부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게 하며, 상기 조정구를 향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후단부의 외경은 상기한 피스톤선단부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는 구조로서 유압출입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중간부가 위치해 있는 실린더실의 확장부 내측으로 유압이 유입될 때에는 그 유압이 피스톤중간부와 피스톤후단부의 경계부위인 확대경사면에 작용토록 하여 피스톤이 조정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후진수단과; 상기 피스톤이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선단부의 중심에 돌출되어 그리스 수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흡인/토출부가 그리스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그리스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그리스가 진공압에 의해 그리스 수용공간으로 충전되게 하는 그리스충전수단과; 상기 본체의 유압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조정구측을 향해 일정거리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유압이 상기 피스톤중간부에 등각도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한 밸브실에 장착된 밸브의 밸브후단부와 피스톤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구조로서 피스톤후단부 및 밸브후단부 각각의 단면적과 조정구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이 피스톤선단부의 단면적과 피스톤플러그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토록 하여 상기 피스톤 자체가 피스톤플러그쪽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전진수단과; 상기피스톤선단부의 중심에 돌출된 흡인/토출부가 그리스 수용부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그리스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유압출입구로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앞서 실린더실 내부에 유입되었던 고압의 유압이 유압출입구로 퇴출되어 실린더실 내부의 유압은 저압상태가 됨과 동시 피스톤 자체는 그대로 있고 피스톤의 밸브실에 장착된 밸브만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조정구측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그리스 흡입 및 토출작동을 대기하도록 하는 밸브원위치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본체의 부착부 일측에는 그리스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하여 조립설치되는 푸쉬하우징과, 상기 푸쉬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리스 수용공간에 길게 돌출되어 펌핑작동을 수행하는 펌핑부 및 푸쉬하우징의 암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수나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빼기용 푸숴를 마련하여 그리스 수용공간에 공기가 존재할 때에는 수나사를 암나사에서 나사풀림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빼기용 푸숴를 펌핑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브레이커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그리스 수용공간에서 공기빼기를 하는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커 11 : 타격공구
2 : 본체 21 : 부착부
22 : 그리스 수용공간 23 :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
24 : 공기빼기 밸브 25 : 조립공
26 : 실린더실 27 : 확장부
28 : 피스톤플러그 3 : 그리스토출구
31 : 일방향 볼밸브 4 : 카트리지 홀더
41 : 그리스 카트리지 42 : 조립부
43 : 일방향 볼밸브 5 : 유압출입구
6 : 피스톤 61 : 피스톤중간부
62 : 피스톤선단부 63 : 피스톤후단부
64 : 확대경사면 65 : 흡인/토출부
66 : 밸브실 67 : 연결구멍
68 : 안내실 69 : 스프링
621 : 연결통로 7 : 밸브
71 : 밸브중간부 72 : 밸브후단부
73 : 밸브선단부 74 : 유압통로
8 : 조정구 9 : 푸쉬하우징
91 : 펌핑봉 92 : 수나사부
93 : 공기빼기용 푸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브레이커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본 발명의 그리스챔버에서 공기빼기를 하는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브레이커를 나타내며, 2는 상기한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가 단속적으로 타격작동을 개시할 때마다 한차례씩 그리스를 자동으로 급유하는 윤활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2)의 일측에는 브레이커(1)의 일측에 볼트에 의하여 조립설치되는 부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21)의 중심에는 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그리스 수용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리스 수용공간(22)을 기준하여 부착부(21)의 정면측 중심부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결되도록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23)이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23) 일측의 근접한 위치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결되도록 공기빼기 밸브(24)가 나사조립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21)의 배면측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존재하는 그리스를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측으로 급유하는 급유라인(도시 없음)과 연결되는 그리스토출구(3)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그리스 토출구(3)와 그리스 수용공간(22)을 연결하는 통로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에서 그리스의 토출작용은 허용하는 반면에 그리스토출구(3)측에서는 그리스가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일방향 볼밸브(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21)의 일측면에는 카트리지 홀더(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카트리지 홀더(4)에는 그리스가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 카트리지(41)의 선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홀더(4)의 조립부(42)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결되어 있는 조립공(25)에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홀더(4)의 조립부(42)에는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가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흡인되는 작용은 허용하는 반면에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존재하는 그리스가 그리스 카트리지(41)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제어하는 일방향 볼밸브(43)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본체(2)의 일측에는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을 전,후진작동시키기 위하여 굴삭기의 유압장치(도시 없음)로부터 고압의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출입구(5)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를 단속적으로 연속해서 전,후진시키는 타격작동이 진행될 때에는 타격공구(11)를 타격작동시킬 때의 고압의 유압이 상기 유압출입구(5)에 공급되는 상태이며, 상기한 타격공구(11)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압출입구(5)에는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된 상태가 되며, 이때의 상기 유압출입구(5)는 저압상태가 된다.
상기 유압출입구(5)는 본체(2)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실(26)과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인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실(26)의 중간부에 형성된 확장부(27)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실린더실(26)에는 피스톤(6)과 밸브(7)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실(26)의 일측으로서 그리스 수용공간(22)측으로는 피스톤플러그(28)가 고정상태로 장설되어 있고 그 반대측 즉, 본체(2)의 끝단측에는 실린더실(26)을 폐구시키기 위하여 나사조립된 너트(81)에 의하여 실린더실(26) 내부에 장착되어 밸브(7)의 왕복행거리를 조정하는 조정구(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6)은 실린더실(26) 내부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피스톤(6)은 외경이 가장 작은 피스톤중간부(61)를 기준하여 피스톤플러그(28)을 향한 피스톤선단부(62)는 상기한 피스톤중간부(61)의 외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가진 채 비교적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조정구(8)를 향한 피스톤후단부(63)는 상기 피스톤선단부(62)보다 조금 더 큰 외경을 가진 채 비교적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피스톤중간부(61)와 피스톤후단부(63)의 경계부위에는 피스톤후단측을 향해 외경이 점차로 커지는 경사면으로 된 확대경사면(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실(26)의 내부는 내경이 가장 큰 확장부(27)를 기준하여 좌,우 양측의 내경은 상기한 피스톤선단부(61) 및 피스톤후단부(63)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피스톤선단부(61) 및 피스톤후단부(63) 각각의 외경에는 하나 이상씩의 오링(부호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피스톤선단부(63)의 중심에는 피스톤플러그(28)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흡인/토출부(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흡인/토출부(65)는 피스톤(6)의 왕복작동에 따라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저장되어 있는 그리스를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흡인하였다가 그리스 토출구(3)로 토출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즉, 피스톤(6)이 조정구(8)쪽으로 후진작동을 할 때에는 흡인/토출부(65)가 후진작동을 하면서 그리스 수용공간(22)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그리스 수용공간(22)에는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저장되어 있던 그리스가 유출되어 충전되는 것이며, 피스톤(6)이 피스톤플러그(28)쪽으로 전진작동을 할 때에는 흡인/토출부(65)도 전진작동을 하면서 그리스 수용공간(22)을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그리스 토출구(3)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7)는 피스톤(6) 내부에 형성된 밸브실(66)에 왕복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7)는 외경이 가장 큰 밸브중간부(71)와 이 밸브중간부(71)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가지는 밸브후단부(72) 그리고 외경이 제일 작은 선단부(73)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밸브중간부(71)는 대략 피스톤(6)의 피스톤중간부(61)에서부터 피스톤후단부(63)까지 이르는 실린더실(26) 내면에 접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중간부(61)에 등각도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구멍(65)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며, 상기한 밸브후단부(72)는 연결구멍(67)에서부터 피스톤후단부(63)까지의 실린더실(26)의 후반부에 유압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여 밸브(7)가 실린더실(26) 내부를 향해 이동하여 밸브후단부(72)가 완전히 몰입되었을 때에는 복수개의 연결구멍(67)으로부터 유압이 실린더실(26)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실린더실(26)에 있던 유압이 연결구멍(67)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그리고 밸브선단부(73)의 선단은 피스톤선단부(62)의 내측 중심부에 작은 내경을 가지는 안내실(68)에 접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7)는 피스톤(6)의 밸브실(66)에 장착된 스프링(69)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링(69)의 일단은 밸브실(66)과 안내실(68)에 의하여 생긴 피스톤선단부(62) 내측의 단턱(부호 생략)에 지지되고 타단은 밸브중간부(71)와 밸브선단부(73)에 의해 생긴 밸브(7)의 단턱(부호 생략)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7)에는 밸브후단부(72) 중심부에서부터 밸브선단부(73)의 적당한 위치까지 관통된 유압통로(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압통로(74)의 끝부분은 밸브실(66)과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밸브실(66)은 안내실(68)의 주위에 복수개로 형성된 연결통로(621)에 의하여 피스톤선단부(62)와 피스톤플러그(28)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6)의 피스톤선단부(62)의 끝단(도면상 우측)과 피스톤후단부(63)의 끝단(도면상 좌측) 각각에는 유압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요철부(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스톤선단부(62)에 형성된 요철부의 경우는 피스톤(6)이 전진작동을 수행하여 피스톤선단부(62)가 피스톤플러그(28)에 닿게 되었을 때 유압이 연결통로(621)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며, 피스톤후단부(62)에 형성된 요철부의 경우 역시 피스톤(6)이 후진작동하여 조정구(8)에 닿게 되었을 때 유압이 연결구멍(67) 및 유압통로(74)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밸브(7)의 밸브후단부(63) 끝단에도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요철부(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7)의 밸브중간부(71)와 밸브선단부(73)로서 안내실(68)에 삽입된 부분 각각에는 오링(부호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본체(2)의 반대측의 부착부(21) 일측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통하는 상태로 푸쉬하우징(9)이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하우징(9)에는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생략)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펌핑봉(91)과 나사조립되는 수나사부(92)가 일체로 형성된 공기빼기용 푸숴(93)가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펌핑봉(91) 끝단에는 이탈방지핀(94)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푸쉬하우징(9)에는 부착부(21)와 펌핑봉(91)과의 기밀작용을 위한 패킹 및 오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체(2)의 끝단에서 실린더실(26)을 폐구하기 위하여 나사조립되는 조정구(8)는 나사조임 또는 나사풀림하는 수단으로 피스톤(6)의 왕복행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행정거리의 조정으로 그리스의 토출량 즉, 브레이커(1)에 그리스를 공급하는 급유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윤활장치는 브레이커(1)의 일측면에 본체(1)의 부착부(21)를 볼트로 고정 조립되는 것이며, 또한 유압출입구(5)는 타격공구(11)를 전,후진작동시켜주기 위하여 브레이커(1)의 유압공급밸브에 연결되는 굴삭기의 유압라인(도시 생략)과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 그리스토출구(3)는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에 그리스를 급유하는 급유라인(도시 생략)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 4의 도시는 브레이커(1)가 타격작동을 수행하지 않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유압출입구(5)에 연결된 유압공급라인은 저압상태이며, 상기한 유압출입구(5)에 저압의 유압이 작용될 경우에는 밸브(7)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69)의 탄성압력이 저압의 유압보다 큰 압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69)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6)은 전진작동(도면상 좌측방향)을 한 상태로서 피스톤선단부(62)의 선단(요철부)가 피스톤플러그(28)에 당접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흡인/토출부(65)는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완전히 몰입된 상태이다. 이와 반대로 밸브(7)는 스프링(69)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6)과는 반대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작동을 하여 그 밸브후단부(72)의 끝단(요철부)이 조정구(8)에 당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69)의 탄성압력에 의해 피스톤(7)은 전진작동, 밸브(7)는 후진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로 물체를 파괴시키기 위해 굴삭기의 유압장치를 작동시켜서 고압의 유압이 브레이커(1)로 공급되게 하게 되면 타격공구(11)가 연속적으로 전,후진작동하는 타격작동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압은 브레이커(1)로 공급됨과 동시 본체(1)의 유압출입구(5)에도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출입구(5)로 공급되는 고압의 유압은 실린더실(26)의 확장부(27)로 유입되는데, 이때에는 피스톤중간부(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구멍(67)들이 밸브중간부(71)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확장부(27)로 유입된 고압의 유압은 단면적이 큰 확대경사면(64)에 작용하게 되며, 이렇게 확대경사면(64)에 작용하게 되는 고압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6)은 스프링(69)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조정구(8)측을 향해 후진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흡입/토출부(65)도 함께 후진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토출부(65)가 후진작동을 하게 되면 그리스 수용공간(22)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한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될 때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결되어 있는 그리스토출구(3)측의 일방향 볼밸브(31)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결된 통로를 차단하는 상태가 되고, 공기빼기 밸브(24)는 닫혀있는 상태인 반면에, 카트리지 홀더(4)의 조립부(42)에 장착되어 있는 일방향 볼밸브(43)는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흡인/토출부(65)가 후진작동을 하면서 진공압을 발생시킨 만큼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는 개방되는 일방향 볼밸브(43)를 통해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충전되는 것이다.
도 5는 피스톤(6)이 후진작동을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도면에 의하면 피스톤(6)이 후진작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피스톤중간부(61)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구멍(64)들이 피스톤후단부(63)의 내면과 밸브후단부(72)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하게 되어 유압출입구(5)로 유입되는 고안의 유압은 그 공간을 통해 피스톤후단부(63) 및 밸브후단부(72) 각각의 끝단에 형성된 요철부에 의해 조정구(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게 됨과 동시 밸브(7)에 형성되어 있는 유압통로(74)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7)의 유압통로(74)로 흐르는 고압의 유압은 순식간에 밸브실(66)에 채워지고, 또 복수개의 연결통로(621)을 통해 피스톤선단부(62)의 선단과 피스톤플러그(28)와의 사이에 생긴 공간에도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후단부(63)의 외경이 피스톤선단부(62)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피스톤후단부(63)측의 단면적이 피스톤선단부(62)의 단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피스톤(6)의 밸브실(66)로 유입된 고압의 유압은 단면적이 큰 피스톤후단부(63)측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피스톤(6)과 밸브(7)는 함께 도 6의 도시와 같이 피스톤플러그(28)측을 향해 전진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피스톤(6)이 전진작동하게 되면 흡입/토출부(65)도 함께 전진작동을 수행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가압하여 토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카트리지 홀더(4)의 조립부(42)에 설치된 일방향 볼밸브(43)는 그리스 조립부(42)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그리스는 그리스토출구(3)측에 형성된 일방향 볼밸브(31)를 개방시키면서 그리스토출구(3)를 통해 브레이커(1)로 급유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6)이 전진작동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유압출입구(5)로 공급되는 고압의 유압이 연결구멍(67)을 통해 피스톤후단부(63)와 조정구(8) 사이로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를 연속적으로 타격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피스톤(6)은 한차례의 전진작동을 수행한 후 그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에 그리스를 급유작동은 타격공구(11)의 타격작동을 개시할 때 한차례씩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서 타격작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브레이커의 타격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굴삭기의 운전자가 브레이커(1)에 공급하던 고압의 유압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압출입구(5)에도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압출입구(5)에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는 그와 동시에 유압출입구(5)와 밸브실(66) 내부 전체가 저압상태가 되는데, 이때 고압의 유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던 스프링(69)의 탄성압력은 저압의 유압보다는 압력이 센 상태이므로 밸브(7)를 밸브실(66)에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6)은 피스톤플러그(28)에 당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한편, 밸브(6)의 밸브후단부(72)는 밸브실(66)에서 바져나와 조정구(8)에 당접된 상태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리스를 흡인 및 토출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되며, 이어서 타격공구(11)를 재차 타격작동시키기 고압의 유압을 브레이커(1)에 공급하게 되면 본 발명의 자동윤활장치의 피스톤(6)과 밸브(7)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이와 같이 피스톤(6)과 밸브(7)가 반복적으로 왕복작동을 수행할 때마다 그리스를 한차례씩 반복적으로 브레이커에 급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브레이커(1)에 그리스를 반복해서 공급함에 따라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충전되어 있던 그리스가 소진되어 새것의 그리스 카트리지를 카트리스 홀더(4)에 교체하는 과정에서 그리스 수용공간(22)에 공기가 들어가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에 공기가 들어가 그리스 수용공간(22)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카트리지 홀더(4)에 그리스가 충진된 그리스 카트리지(41)를 장착하게 되더라도 기포에 의해 그리스의 흡인작용 및 토출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빼기 밸브(24)를 열고 이어서 공기빼기용 푸숴(93)의 수나사부(92)를푸쉬하우징(9)의 암나사부에서 완전히 나사풀림한 다음 도 8의 도시와 같이 공기빼기용 푸숴(93)를 전,후진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펌핑봉(91)이 그리스 수용공간(22)내에서 펌핑작동을 하면서 공기를 공기빼기 밸브(24)로 배출시키게 되므로서 그리스 수용공간(220에는 그리스만 충전되어 있게 되며, 공기의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공기빼기 밸브(24)는 잠그고 또한 공기빼기용 푸숴(93)의 수나사부(92)를 푸쉬하우징(9)의 암나사부에 나사조임하게 되면 그리스를 브레이커(1)에 원활하게 급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리스를 흡인 및 토출시키는 피스톤이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공급되는 고·저압의 유압에 의해서만 왕복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리스의 흡인작동 및 토출작동을 설계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스톤의 밸브실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은 피스톤의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구멍을 열고 닫아주는 밸브만을 작동시키는 작용만을 담당하고 있게 되므로서 스프링의 탄성압력이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나 밸브의 후진작동이 조금 더디게 나타나게 된다 하더라도 그 더디어지는 시간은 브레이커가 한차례의 연속적인 타격작동의 수행을 완료하고 일시적으로 정지하였다가 다음의 타격작동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보다 훨씬 짧게 나타나기 때문에 피스톤의 왕복작동에는 스프링의 탄성압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스톤은 유압에 의해서만 왕복작동을 하게 되므로서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브레이커(1)의 일측면에 볼트로서 고정 부착되는 부착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2)와, 상기 부착부(21)의 내부중심에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상기 부착부의 정면측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의 그리스 수용공간과 연결되게 부착되어 그리스를 수동으로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23)과, 상기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과는 직각을 이루는 상기 부착부의 일측면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그리스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조립공(25)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홀더(4)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 조립 설치되어 저장된 그리스를 그리스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그리스 카트리지(41)와, 상기 그리스 수동공급용 니플의 대향위치인 부착부 배면측에 조립설치되어 그리스 수용공간에 있는 그리스에 토출압이 작용하였을 때에만 그리스를 토출시켜주는 그리스토출구(3)와, 상기 그리스 수용공간(22)과 연통하도록 본체(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실(26)과, 상기 실린더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6)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실린더실과 연통하도록 조립 설치되어 브레이커(1)의 타격공구(11)를 타격작동시키기 위해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출입을 허용하는 유압출입구(5) 및 상기 본체의 끝부분에 조립설치되어 실린더실을 폐쇄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행정거리를 제어하여 그리스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조정구(8)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실린더실(26)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6) 내부에는 밸브실(66)을 마련하고 그 밸브실에 스프링(6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7)를 장착하되, 상기 피스톤(6)은 외경이 가장 작게 형성된 피스톤중간부(61)를 기준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측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피스톤선단부(62)의 외경은 상기 피스톤중간부(6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게 하며, 상기 조정구(8)를 향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피스톤후단부(62)의 외경은 상기한 피스톤선단부(62)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구조로서 유압출입구(5)를 통해 고압의 유압이 상기 피스톤중간부(61)가 위치해 있는 실린더실(26)의 확장부(27) 내측으로 유입될 때에는 그 유압이 피스톤중간부(61)와 피스톤후단부(62)의 경계부위인 확대경사면(64)에 작용토록 하여 피스톤(6)이 조정구(8)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후진수단과;
    상기 피스톤(6)이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선단부(62)의 중심에 돌출되어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흡인/토출부(65)가 그리스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그리스 카트리지(41)에 저장되어 있는 그리스가 진공압에 의해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흡입 충전되게 하는 그리스충전수단과;
    상기 본체(2)의 유압출입구(5)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6)이 조정구(8)측을 향해 일정거리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유압이 상기 피스톤중간부(61)에 등각도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67)을 통해 상기한 밸브실(66)에 장착된 밸브(7)의 밸브후단부(72)와 피스톤후단부(6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구조로서 피스톤후단부(63) 및 밸브후단부(72) 각각의 단면적과 조정구(8)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이 피스톤선단부(62)의 단면적과 피스톤플러그(28) 사이에 작용하는 유압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토록 하여 상기 피스톤(6) 자체가 피스톤플러그(28)쪽으로 이동되게 하는 피스톤전진수단과;
    상기 피스톤선단부(62)의 중심에 돌출된 흡인/토출부(65)가 그리스 수용공간(22)에 충전되어 있는 그리스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그리스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2)의 유압출입구(5)로 고압의 유압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앞서 실린더실(26) 내부에 유입되었던 고압의 유압이 유압출입구(5)로 퇴출되어 실린더실 내부의 유압은 저압상태가 됨과 동시 피스톤(6) 자체는 그대로 있고 피스톤의 밸브실(66)에 장착된 밸브(7)만 스프링(69)의 탄발력에 의해 조정구(8)측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그리스 흡입 및 토출작동을 대기하도록 하는 밸브원위치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부착부(21) 일측에는 그리스 수용공간(22)을 폐쇄하기 위하여 조립설치되는 푸쉬하우징(9)과, 상기 푸쉬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으로 길게 돌출되어 펌핑작동을 수행하는 펌핑봉(91) 및 푸쉬하우징의 암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수나사(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빼기용 푸숴(93)를 마련하여 그리스 수용공간(22)에 공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한 수나사(92)를 암나사에서 나사풀림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빼기용 푸숴(93)를 펌핑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KR10-2002-0052434A 2002-09-02 2002-09-02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KR10046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34A KR100468942B1 (ko) 2002-09-02 2002-09-02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34A KR100468942B1 (ko) 2002-09-02 2002-09-02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08A KR20040021008A (ko) 2004-03-10
KR100468942B1 true KR100468942B1 (ko) 2005-01-29

Family

ID=3732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434A KR100468942B1 (ko) 2002-09-02 2002-09-02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659B1 (ko) * 2016-06-20 2017-11-15 윤여송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 그 제어방법 및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커
WO2019221321A1 (ko) 2018-05-18 2019-11-2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20240055488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직결식 윤활유 자동 공급 블록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984B1 (ko) * 2004-03-17 2004-12-09 이기호 유압브레이커를 위한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WO2005124093A1 (en) * 2004-03-17 2005-12-29 Ki Ho Lee An auto lubrication device for hydraulic breaker
KR101903357B1 (ko) * 2017-05-12 2018-11-13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내장된 유압 브레이커
JP6986415B2 (ja) * 2017-10-25 2021-12-22 甲南電機株式会社 自動給脂装置ならびに液圧式打撃装置
DE102017129731A1 (de) * 2017-12-13 2019-06-13 Mts Maschinentechnik Schrode Ag Anbaugerät zum Ankuppeln an eine Baumaschine und zur Verwendung im Tiefbau
KR102115006B1 (ko) * 2018-07-30 2020-05-26 이종호 그리스 주입장치
KR102408772B1 (ko) * 2021-11-04 2022-06-13 이일재 윤활유 주입장치
CN116554944B (zh) * 2023-05-06 2023-10-13 西安玛珂特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绳润滑脂及钢丝绳润滑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4084U (ja) * 1982-11-30 1984-06-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穿孔用ロツドの連結部給脂装置
JPH04194188A (ja) * 1990-11-26 1992-07-14 Teikusu:Kk 自動潤滑式ドリリングビット
KR200296069Y1 (ko) * 2002-07-26 2002-11-2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착암기의 자동 그리이스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4084U (ja) * 1982-11-30 1984-06-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穿孔用ロツドの連結部給脂装置
JPH04194188A (ja) * 1990-11-26 1992-07-14 Teikusu:Kk 自動潤滑式ドリリングビット
KR200296069Y1 (ko) * 2002-07-26 2002-11-2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착암기의 자동 그리이스 주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659B1 (ko) * 2016-06-20 2017-11-15 윤여송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 그 제어방법 및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커
WO2019221321A1 (ko) 2018-05-18 2019-11-2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20190131957A (ko)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EP4234172A2 (en) 2018-05-18 2023-08-30 Soosan Heavy Industries Co., Ltd. Hydraulic breaker provided with automatic lubricant supply structure
KR20240055488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직결식 윤활유 자동 공급 블록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08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942B1 (ko) 브레이커용 자동윤활장치
EP1717507B1 (en) Lubrication system for a hydraulic or pneumatic tool
KR100918709B1 (ko) 유압 타격 해머 공구의 베어링면 윤활 장치
CN105026111A (zh) 具有同轴蓄能器和活塞的液压锤
CN103140329A (zh) 用于破碎工具的润滑系统
CA2329533C (en) Hammer device
US10335939B2 (en) Lubrication system for hydraulic hammer
KR102103906B1 (ko)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JP2014513221A (ja) 岩盤及びコンクリートの機械掘り用装置及び方法
KR20020043209A (ko) 충격 공구
KR101231757B1 (ko) 공압 및 유압을 이용한 구동기
KR101797659B1 (ko)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 그 제어방법 및 자동 윤활유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커
KR100838310B1 (ko) 유압브레이커의 급유량 조절장치
KR101903357B1 (ko)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내장된 유압 브레이커
JP2005014134A (ja) 液圧式打撃装置
US4261249A (en) Hammer
KR101149834B1 (ko) 공타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200296069Y1 (ko) 유압식 착암기의 자동 그리이스 주입장치.
KR100325577B1 (ko) 그리스 토출장치
JP2004353682A (ja) 開閉弁
SU979628A1 (ru) Гидроуд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06021U (ko) 유압 브레이커의 공타방지 선택 밸브
KR200272412Y1 (ko) 자동 그리스 주입기
JPH0432228Y2 (ko)
CN116816745A (zh) 一种往复运动装置及打击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