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544B1 -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544B1
KR100468544B1 KR10-2002-0031802A KR20020031802A KR100468544B1 KR 100468544 B1 KR100468544 B1 KR 100468544B1 KR 20020031802 A KR20020031802 A KR 20020031802A KR 100468544 B1 KR100468544 B1 KR 10046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broadcast
date
li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598A (ko
Inventor
이희경
이한규
강경옥
김진웅
김문철
남제호
배빛나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5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의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방송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고, 주간 편성표 형태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취향에 기반을 둔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하며, 주간편성표 상의 요일(날짜)별 시간대별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장르, 등급 및 채널 선호도에 따라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색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과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리하여, 두 영역의 겹침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Electronic program guide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에 관한 것으로, 지상, 위성 또는 케이블 방송 등의 다양한 방송 매체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메타데이터의 일반적인 정의는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보와 문서"이고, 주로 방송 콘텐츠의 크기, 컬러, 시간정보 등의 방송에 관련된 정보입니다.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 대비되는 디지털 방송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다 채널 서비스의 제공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수많은 채널들은 방대한 양의 프로그램들을 생산 제공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텔레비젼 리모콘과 같은 기존의 방식으로 프로그램 네비게이션(navigation)과 검색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이 일반화되면 미국의 경우 500개 이상의 프로그램 채널이, 한국의 경우에도 150개 이상의 채널이 사용 가능할 전망이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각각의 프로그램이 원하는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한 채널 당 1초를 소비한다고 가정해도 10분이 걸린다. 즉, 프로그램의 네비게이션과 서치를 위해 텔레비젼을 시청할 때마다 10분의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방송국들은 채널별 방송 스케쥴과 각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들은 정보의 압축적 디스플레이에만 중점을 두어, 텔레비전 화면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 친숙하지 못하며, 오히려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번거롭게 느끼게 하였다.
일례로, 전자프로그램 안내 디스플레이 영역과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영역을 한 화면에 두어 두 영역이 겹치거나, 메뉴나 팝업 메뉴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 모니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방송 채널별 또는 시간대별로 방송 프로그램을 나열하는데 그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기에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반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하고, 사용자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프로그램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사용자 위주의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의 전체 동작 흐름도이다.
도3A는 전자프로그램 안내화면의 구성도이다.
도3B는 전자프로그램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에서 날짜 및 시간 변경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5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에서 장르 변경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6은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에서 등급 변경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데이터베이스 200: 입력부 300: 디스플레이부
400: 전자프로그램 안내부 440: 제어부 45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410: 주간편성표 처리부 420: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
430: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는,
방송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방송데이터로부터 해당 주간의 방송 안내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은,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고,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주간에 방송될 프로그램의 날짜, 요일 및 시간을 나타내는 주간 편성표를 구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방송 날짜의 시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고, 프로그램의 장르 및 등급을 선택하는 선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자프로그램 안내 정보 화면에서 다른 정보를 보기 위한 변경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다른 정보를 보기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 정보를 입력받아 주간 편성표 및 프로그램 등급 목록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100), 입력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전자프로그램 안내부(4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방송 컨텐츠와 메타데이터의 저장 장치이며(100), 입력부는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하기 위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브라우저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자프로그램 안내부(400)는 전자프로그램 안내의 핵심 부분으로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해당 주간의 방송 안내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한다. 전자프로그램 안내부(4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440),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50), 주간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주간편성표 처리부(410), 장르 및 등급을 선택하기 위한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420), 상기 장르, 등급 또는 주간 편성표의 날짜 및 시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프로그램 안내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의 전체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송 시청을 원하여 입력부(200)를 통해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시작하면, 제어부(440)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미리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해둔 방송 데이터들 중에서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 구성에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날짜, 요일, 시간, 타이틀, 채널,방송국, 장르, 등급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S100).
그리고 나서, 제어부(440)의 제어를 받아 주간 편성표 영역 처리부(410)는 프로그램 방송 날짜와 요일,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S200). 초기 주간편성표 영역(201)의 날짜는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이용하고 있는 당일 날짜이며, 그 날짜가 속한 한 주 동안, 아침 8시에서 오후 11시 사이에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이 있는지의 여부와 사용자 선호 채널 정보를 나타낸다(S300). 이러한 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목록 영역 처리부(430)는 상기 주간편성표 영역(20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와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프로그램 목록의 상세 정보를 프로그램 목록 영역(202)에 표시한다. 상세한 정보에는 채널, 방송사, 방송 시간대, 프로그램 타이틀, 실시간 방송 여부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나 삭제가 가능하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공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정한 후, 입력부(200)에서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S900). 여기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입력키 등의 입력부(20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주간 편성표가 표시되면, 장르 및 등급 목록 영역 처리부(420)는 프로그램의 장르 및 등급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 방식을 채택하여 장르의 세부 항목들과 등급의 세부 항목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장르 및 등급 목록 영역(202)에 표시되는 장르의 세부 항목들에는 뉴스, 교육, 다큐멘터리, 드라마, 쇼, 음악, 오락, 과학, 선호(My favorite) 가 있고, 등급의 세부 항목들에는 7세 까지 가능, 14세 까지 가능, 19세 까지 가능, 소년 가능, 성인 가능, 미성년자 가능, 미성년자 불가능, 연령에 무관, 등급 정보 없음 등이 있으며, 도3에 이를 도시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르 및 등급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다른 메뉴들이 같이 출력되는 드럽다운(Drop down)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방송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이 구성되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화면은 크게 주간편성표 영역(201) 과 프로그램 목록 영역(202), 장르 및 등급 목록 영역(203)으로 이루어진다.
도3A 또는 도3B를 참조하면, 주간편성표 영역(201)은 수평과 수직의 두 축을 가지는데, 수평방향은 요일을, 수직방향은 시간을 나타낸다. 주간편성표 내의 각 셀은 해당 요일(날짜), 해당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마킹이 된다.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하는 날짜는 주간편성표의 좌측 상단에 표시되며, 주간편성표를 보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한 간단한 키 조작에 의해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주간편성표의 아래쪽에는 프로그램 목록이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와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의 목록이 바(bar) 형태로 나열된다. 각 프로그램 바 에는 채널, 방송사, 방송 시간대, 프로그램 타이틀, 실시간 방송 여부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주간편성표의 우측에는 프로그램의 장르 및 등급 목록이 있어 원하는 장르나등급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만을 볼 수 있다. 장르에는 뉴스, 교육, 다큐멘터리, 드라마, 쇼, 음악, 오락, 과학, 선호(My favorite) 항목이 있고, 등급 목록에는 7세 까지 가능, 14세 까지 가능, 19세 까지 가능, 소년 가능, 성인 가능, 미성년자 가능, 미성년자 불가능, 연령에 무관, 등급 정보 없음 항목이 있다.
장르의 선호(My favorite) 항목은 장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보고자 할 때 사용되며, 이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440)의 제어에 의해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420)가 나머지 8개 장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위 특정 개수의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칼라링하고 정렬하여 주간편성표의 아래쪽 프로그램 목록에 나타낸다. 그리고 주간편성표의 각 셀에도 해당 장르에 속한 프로그램이 있을 때 프로그램 목록과 같은 색으로 칼라링을 한다. 이와 같은 표시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주간편성표의 각 셀의 마크에는 해당 요일,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채널 번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시청을 원하는 사용자의 프로그램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르, 등급 및 채널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은 사용자가 수많은 채널과 프로그램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한편, 사용자가 초기 지정 날짜와 시간을 변경하고자 할 때(S500)는 사용자 입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변경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40)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의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400).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주를 변경하고자 하는 제어신호가 있으면, 주간편성표 처리부(410)는 날짜와 시간의 변경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는 해당 날짜에 대한 프로그램으로 목록을 갱신(update) 하며(S500), 날짜와 시간의 변경에 대한 상세 흐름도는 도4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자들은 장르나 등급 영역의 항목들 중에서 시청을 원하는 장르(S600) 나 등급(S700)을 변경함으로써 주간편성표 영역 및 프로그램 영역이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만을 나타내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가 장르의 선호(My favorite) 항목을 선택하면,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42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위 특정 개수의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에 대해 서로 다른 색으로 칼라링을 하고 정렬하여 프로그램 목록 영역(202)에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들이 방송되는 날짜와 시간에 해당하는 주간편성표의 셀도 같은 색으로 칼라링을 하여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날짜와 시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공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정한 후, 입력부(200)를 통해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면(S900),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초기화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50)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해당 방송 콘텐츠 프로그램을 불러와 재생한다(S900).
상기 과정에서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사용자가 입력부에서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주간편성표의 날짜와 시간을 변경할 때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텔레비전 리모콘, 키보드 등의 입력부(200)가 갖는 방향 키를 이용하는 예를 들면, 주간편성표에서 날짜를 변경할 때는 좌, 우 방향 키를 사용하고, 시간을 변경할 때는 위, 아래 방향키를 사용한다.
제어부(440)는 주간편성표가 한 주간의 방송 스케쥴을 특정 시간 단위로 나타내므로, 방향 키를 이용한 날짜 및 시간 변경이 해당 범위에 속하면, 주간편성표 자체는 변화를 시키지 않고, 날짜만 변경하며,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가 프로그램 목록 영역(202)에 나타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만을 갱신하여 표시한다.
날짜 및 시간의 변경이 한 주를 넘거나 특정 시간 범위를 넘으면,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주간편성표 처리부(410)가 방송 예정된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각 셀을 마킹하고(S530),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는 프로그램 목록 영역(202)을 갱신한다(S540).
한편, 해당 날짜 및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없을시에는 주간편성표와 프로그램 목록을 초기화한다.
도 5는 장르 및 등급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장르를 변경했을 때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장르 및 등급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뉴스, 교육, 다큐멘터리, 드라마, 쇼, 음악, 오락, 과학 장르 중에서 입력부(200)를 이용하여 하나를 선택하면(S610), 주간 편성표 처리부(41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5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00)를 검색하여 해당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될 날짜와 시간의 셀을 마킹하여 디스플레이하고(S660), 이에 따라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도 프로그램 목록 상의 프로그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를 검색하여 갱신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S670).
그러나 사용자가 선호(My favorite) 항목을 선택하면(S620),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50)가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읽고(S630),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위 특정 개수의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에 대해 서로 다른 색으로 칼라링을 하고, 정렬하여 프로그램 목록 영역에 나타낸다(S650). 또한, 주간편성표 처리부(410)가 해당 프로그램들이 방송되는 날짜와 시간에 해당하는 주간편성표의 셀을 동일 색으로 칼라링한다(S640).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자프로그램 안내 브라우저를 사용함에 따라,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행한 동작(action)들은 데이터베이스의 일정 공간에 기록되고,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갱신된다. 이러한 사용자 동작(action) 기반 선호도 변경은 사용자의 시청 패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보다 정확한 선호도 정보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및 채널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장르 및 등급 리스트에서 등급을 변경했을 때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장르 및 등급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등급을 선택하면(S710), 제어부(4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50)를 제어하여 선택된 등급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한다(S720).
해당 등급에 속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주간편성표 처리부(410)는 해당 프로그램들이 방송될 날짜와 시간의 셀을 마킹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S730). 또한,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는 프로그램 목록 상의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된 프로그램 정보로 갱신한다(S740).
한편, 선택된 등급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없으면,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주간 편성표 처리부(410) 및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430)가 주간편성표와 프로그램 목록을 초기화한다(S750).
상기 기술한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 선택은 사용자들이 장르 및 등급 선호도에 따라 보다 빨리,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도록 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는데 드는 시간을 최소화했다.
상기 과정의 주간편성표 처리부,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방송 채널들로부터 제공되는 방대한 양의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 선호도 기반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에게 친숙한 주간편성표 형태로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신속 정확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간 편성표 상의 요일(날짜)별 시간대별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장르, 등급 및 채널 선호도에 따라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색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자프로그램 안내 화면과 방송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리하여, 두 영역의 겹침을 방지하였다.

Claims (13)

  1. 방송의 날짜, 시간, 장르 및 등급을 가진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데이터의 방송의 날짜, 시간, 장르 및 등급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주간의 방송 안내 정보를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는 셀단위로 방송요일과 시간을 선택하는 주간편성표 및 상기 주간편성표의 요일(날짜) 및 시간대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바형태로 표시하는 프로그램 목록 영역을 표시하고, 방송 요일과 시간을 기준으로 방송될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를 상기 셀에 마킹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간편성표는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가 속한 한 주간 동안, 매 시간마다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주간편성표내의 각 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는 방송의 날짜, 시간, 장르 및 등급 변경에 따라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는 장르 및 채널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발송 날짜 및 시간을 변경하도록 하는 변경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주간편성표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날짜와 시간을 변경하고, 변경된 날짜 및 시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프로그램 안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변경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주간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주간편성표 처리부;
    장르 및 등급을 선택하기 위한 목록을 제공하는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
    상기 장르, 등급, 주간 편성표의 날짜 및 시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간 편성표 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장르 및 등급 목록에서 원하는 등급이나 장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등급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들만 선별하여 해당 날짜의 셀에 마킹하여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는 해당 장르나 등급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갱신하고, 갱신된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및 등급 목록 처리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 선호도 항목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상위 특정 개수의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칼라로 표시하고 정렬하여 상기 프로그램 목록에 나타내고, 주간편성표 처리부가 해당 날짜의 해당 셀을 같은 칼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장치.
  10. 방송 콘텐츠 및 방송의 날짜, 시간, 장르 및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놓고, 전자프로그램 안내를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주간에 방송될 프로그램의 날짜, 요일 및 시간을 나타내는 셀단위의 주간 편성표를 구성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주간편성표의 방송 날짜와 시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고, 프로그램의 장르 및 등급을 선택하는 선택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자프로그램 안내 정보 화면에서 다른 정보를 보기 위한 변경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다른 정보를 보기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 정보를 입력받아 주간 편성표 및 프로그램 등급 목록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간편성표는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가 속한 한 주간 동안, 매 시간마다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방송 채널을 상기 주간편성표내의 각 셀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간편성표는 방송 요일과 시간을 기준으로 방송될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를 마킹해 주며, 방송의 날짜, 시간, 장르 및 등급 변경에 따라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장르 및 등급 선택 영역에서,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을 보는 것을 선택하면, 입력부에서 해당 변경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주간편성표 처리부및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각각 주간편성표 및 프로그램 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신호가 입력되어 등급을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등급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날짜 및 시간에 방송예정인 방송 프로그램이 있으면, 주간편성표 처리부가 한 주간의 해당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는 해당 셀에 해당 등급의 방송 프로그램이 있음을 마킹하여 주간편성표를 갱신하는 단계;
    프로그램 목록 처리부가 해당 등급의 방송예정인 방송 프로그램의 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프로그램 안내 방법.
KR10-2002-0031802A 2002-06-07 2002-06-07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046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02A KR100468544B1 (ko) 2002-06-07 2002-06-07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02A KR100468544B1 (ko) 2002-06-07 2002-06-07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598A KR20030094598A (ko) 2003-12-18
KR100468544B1 true KR100468544B1 (ko) 2005-01-27

Family

ID=323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802A KR100468544B1 (ko) 2002-06-07 2002-06-07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72B1 (ko) * 2005-10-06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819A (ko)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채널 편집 제어방법
KR100931307B1 (ko) * 2004-03-23 2009-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적 표현을 갖는 강화된 관계 모델 구조 및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52573B1 (ko) * 2004-12-3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9B1 (ko) * 2005-04-1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Link 방식의 프레임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03163B1 (ko) * 2005-06-14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및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설정 방법
KR100819738B1 (ko) * 2005-08-08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337B1 (ko) * 2005-08-29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맞춤형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1218B1 (ko) * 2006-06-16 2007-10-2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방송의 전자프로그램안내 전송방법
KR100755864B1 (ko) * 2006-06-22 200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들을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KR101297191B1 (ko) * 2006-10-04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396981B1 (ko) * 2007-08-13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TW201038069A (en) * 2009-04-02 2010-10-16 Hometouch Co Ltd Multimedia remote control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734A (ja) * 1996-02-14 1997-10-31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H11215444A (ja) * 1998-01-23 1999-08-06 Toshiba Corp 電子番組表表示装置
JP2001024965A (ja) * 1999-07-09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表の選択システム
KR20020027368A (ko) * 2000-04-27 2002-04-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일람표 표시 장치 및 녹화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734A (ja) * 1996-02-14 1997-10-31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H11215444A (ja) * 1998-01-23 1999-08-06 Toshiba Corp 電子番組表表示装置
JP2001024965A (ja) * 1999-07-09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表の選択システム
KR20020027368A (ko) * 2000-04-27 2002-04-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일람표 표시 장치 및 녹화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72B1 (ko) * 2005-10-06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598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5929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US6865746B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JP4478214B2 (ja) 番組ガイド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816251B1 (ko) 컨텐츠 선택장치, 컨텐츠 선택방법 및 컨텐츠 선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806536B2 (en) Program guide system with preference profiles
US200200596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guide implementation
JP4882781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125169A (ja) 番組案内装置および番組案内方法
WO2005064928A1 (ja) 推薦番組通知方法および推薦番組通知装置
KR100468544B1 (ko)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JP2006217215A (ja) 番組検索装置、番組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ならびに受信装置
JP4597157B2 (ja) 番組ガイド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20064431A (ko) 시청자 선호 프로그램 관리 방법
JP2005110282A (ja) 情報素材選択
MXPA01005496A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