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379B1 -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379B1
KR100468379B1 KR10-2002-0011713A KR20020011713A KR100468379B1 KR 100468379 B1 KR100468379 B1 KR 100468379B1 KR 20020011713 A KR20020011713 A KR 20020011713A KR 100468379 B1 KR100468379 B1 KR 10046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signal
reproduction
strea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140A (ko
Inventor
백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티 filed Critical (주)에이엠티
Priority to KR10-2002-001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3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15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multiplex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튜너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위성방송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복조수단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와,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전송되는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와,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튜너마다 디멀티플렉서를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STORING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2개의 튜너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위성방송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로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케이블 텔레비전 및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또는 디지털 TV) 등을 들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패킷단위로 비트 스트림 형태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 하여 선택채널의 방송신호를 추출한다.
이 때,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는 일정한 시간단위로 PMT(Program Map Table ; PMT) 및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 PAT) 패킷정보가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PMT는 부호화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한 비트 스트림에 프로그램 번호를 매핑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정보이다.
PAT는 전송되는 모든 비트 스트림에 대한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TDT(Time Date Table) 및 PMT의 PID(Packet IDentifier ; 패킷 식별자) 정보로 이루어진다.
디멀티플렉서는 이러한 PMT 및 PAT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채널의 비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각각 추출한다.
추출된 방송신호는 엠펙(Moving Picture Expert Group ; 이하 MPEG 라고 함) 방식으로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다.
디멀티플렉서에서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DVHS나 DVCR 또는 DVD나 HDD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하였다가 동일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나 또 다른디지털방송 수신장치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식은 단일튜너를 이용하기 때문에 저장하고 있는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을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두 개의 튜너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각각의 튜너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로부터 선택채널의 방송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2개의 디멀티플렉서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2개의 튜너를 통하여 수신되는 서로 다른 위성방송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된 서로 다른 방송채널을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재생/저장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재생/저장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조수단 110 : 제 1 복조부
120 : 제 2 복조부 130 : 스위칭부
140 : 디스크램블러부 150 :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
160 : 디멀티플렉서 170 : MPEG 디코더
180 : 메모리부 190 : 중앙처리수단
200 : 외부 저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전송되는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 유료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여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디스크램블러부; 사용자가 재생/저장하려는 방송채널의 유료여부를 판단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방송스트림이 상기 디스크램블러부나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되도록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에 있어서,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신호는 무료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디지털로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QPSK/FEC 디코더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4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각각의 튜너를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에 있어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 1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Packet IDentifier ; 패킷 식별자)와 상기 제 2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할 때, 상기 제 2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를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6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 후에 역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상기 MPEG 디코더와 외부 저장수단에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8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MPEG 디코더와 상기 외부 저장수단에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 기억장치 접근)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전송되는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 및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조부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각각 디스크램블 하여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제 1, 2 디스크램블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 또는 제 10에 있어서, 상기 복조수단과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MPEG 디코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하여 수신방송 채널수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저장용 방송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한 외부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 또는 제 10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에서 각각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단위로 기록하기 위한 외부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A/V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a)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하는 단계; (b)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단계; (c) 합성된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d) 역다중화된 방송신호를 각각 동시에 디코딩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신호가 무료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 또는 제 16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단계; (a2)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방송의 유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3) 유료방송으로 판단된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7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a1-1)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1-2)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a1-3)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하는 단계; 및 (a1-4) 복조된 방송신호를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7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각각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 또는 제 16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와 상기 저장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b2) PID가 동일한 경우, 어느 하나의 PID 값을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0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2)단계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 후에 역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 또는 제 16에 있어서, 상기(c)단계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 기억장치 접근)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TS 단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튜너를 통하여 수신되는 서로 다른 위성방송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재생/저장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100)과, 복조수단(100)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와,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서 합성된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60)와,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170)와,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180)와, 디지털 방송을 동시에 재생/저장하도록 제어하는중앙처리수단(190)을 포함한다.
또,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출력되는 저장용 방송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하여 HDD와 같은 외부 저장수단(20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조부(110,120)에서 각각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단위로 기록하기 위한 외부 저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것은 하나의 유료방송을 재생 또는 저장하고 있는 동안 다른 유료방송을 동시에 저장 또는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단위로 외부 저장수단에 기록된 방송신호는 디스크램블러부(140)에서 디스크램블 처리가 되어야 재생이 가능하다.
복조수단(100)은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110,120)와, 사용자가 재생/저장하려는 방송채널의 유료여부를 판단한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1, 2 복조부(110,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스트림이 디스크램블러부(140)나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 출력되도록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30)와, 유료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여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 출력하는 디스크램블러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복조부(110)와 제 2 복조부(120)가 각각의 위성 안테나와 연결하여 서로 다른 위성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 1 복조부(110)와 제 2 복조부(120)의 튜너를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하는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있다.
그리고, 제 1 복조부(110)와 제 2 복조부(120) 중 하나의 복조부는 무료 방송(Free To Air)신호를 재생이나 저장해야 한다. 이는 디스크램블러부(140)가 각각의 유료 방송을 일대일로 디스크램블 하기 때문에, 동시에 2개의 유료방송을 디스크램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2개 방송 모두 무료방송인 경우 디스크램블러부(140)는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신호를 바로 통과시키므로 상관이 없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제 1 복조부 및 제 2 복조부의 일실시예를 블록 구성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복조부(110)는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제 1 튜너(112)와, 제 1 튜너(112)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 컨버터(114)와,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제 1 QPSK/FEC 디코더(116)를 포함한다.
제 2 복조부(120)도 제 1 복조부(110)와 동일하게 제 2 튜너(122), 제 2 A/D 컨버터(124) 및 제 2 QPSK/FEC 디코더(126)를 포함한다.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는 제 1 복조부(110)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와 제 2 복조부(120)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할 때, 제 2 복조부(120)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를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한 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한다.
이와 같이 방송신호의 PID를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이유는 동일한 PID 값으로 방송스트림이 혼합되면, 디멀티플렉서(160)가 동일한 방송 스트림으로 인식해서 해당 방송스트림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은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원래 값으로 복원된 후에 역다중화 된다. 디멀티플렉서(160)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MPEG 디코더(170)와 외부 저장수단(200)에 각각 동시전송 한다.
이 때, 디멀티플렉서(160)는 MPEG 디코더(170)와 외부 저장수단(200)에 방송스트림을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 기억장치 접근)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80)로는 SDRAM을 사용하였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앙처리수단(190)은 CPU와 롬을 포함하며, 롬의 기억용량을 확장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수단(190)에 EEPROM과 플래쉬 롬을 사용할 수 있다. 플래쉬 롬은 위성 트랜스폰더,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실행 프로그램도 저장하고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복조부가 2개인 경우였지만, 3개 이상의 복조부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복조부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경우, 디멀티플렉서 및 MPEG 디코더를 1개씩 더 추가함으로써, 1개 방송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2개의 방송을 저장할 수 있다. 또, 2개의 방송을 보면서 동시에 1개의 방송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하나의 방송을 저장하면서 두 개의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장치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제 1 복조부(110)에서 복조된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기로 한다.
제 1 복조부(110)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첫 번째 방송신호가 유료방송인 경우, 스위칭부(130)와 디스크램블러부(140) 및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160)로 전송되며, 이와 같이 전송된 스트림을 외부 저장수단(200)에 저장한다.
만약, 제 1 복조부(110)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첫 번째 방송신호가 무료방송인 경우, 스위칭부(130)에서 바로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를 통해 디멀티플렉서(160)로 전송된 스트림을 외부 저장수단(200)에 저장한다.
제 2 복조부(120)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두 번째 방송신호는 유료방송 여부에 따라 디크램블되거나 또는 바로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로 전송되어 합성된 후, 디멀티플렉서(160)와 MPEG 디코더(170)를 통하여 시청하게 된다.
제 3 복조부(미도시)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세 번째 방송신호는 추가된 디멀티플렉서 및 MPEG 디코더를 통하여 시청하게 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송신호는 화면에 두 개의 PIG(Picture In Graphic)로 보여줄 수도 있고, 두 개의 화면출력단(미도시)을 통해 두 개의 TV로 각각의 방송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 디멀티플렉서(160), MPEG 디코더(170) 이외에 추가된 디멀티플렉서(미도시)와 MPEG 디코더(미도시)를 통해 2개의 방송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4개의 복조부(150)를 포함해서 동시에 2개의 방송을 저장하고, 2개의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를 하나 더 포함해서, 2개의 복조부(150)마다 하나의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를 통해 방송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복조수단(100)과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와 디멀티플렉서(160) 및 MPEG 디코더(17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하여 수신방송 채널수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조수단을 도 1c와 같이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복조수단(100)은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110,120)와,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2 복조부(110,120)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각각 디스크램블 하여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 출력하는 제 1, 2 디스크램블러부(141,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조수단(100)은 2개의 디스크램블러부(141,142)를 구비하게 되므로, 도 1a와 같이 스위칭부(130)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2개의 유료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램블러부(141,142)가 하나의 유료방송에 대해서만 디스크램블이 가능하므로, 위와 같이 2개의 유료방송을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개의 디스크램블러부(141,142)가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MPEG 디코더(170)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일반 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A/V 변환부(미도시)와, TV와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셋탑박스나 디지털 TV 등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재생/저장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a)단계(S300~S345)와,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b)단계(S350~S360)와, 합성된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출력하는 (c)단계(S370~S380)와, (d) 역다중화된 방송신호를 각각 동시에 디코딩 및 저장하는 (d)단계(S390)를 포함한다.
(a)단계는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a1)단계(S300~S330)와, 재생/저장하기 위한 방송의 유료여부를 판단하는 (a2)단계(S340)와, 유료방송으로 판단된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는 (a3)단계(S345)를 포함한다.
이 때, (a)단계에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신호는 무료 방송이다.
(a1)단계는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a1-1)단계(S300)와,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1-2)단계(S310)와,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하는 (a1-3)단계(S320)와, 복조된 방송신호를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a1-4)단계(S330)를 포함한다.
(a1)단계는 각각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b)단계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와 저장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b1)단계(S350)와, PID가 동일한 경우 어느 하나의 PID 값을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b2)단계(S355)를 포함한다.
(c)단계는 (b2)단계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 후에 역다중화 한다. 이 때, (c)단계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DMA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장치가 서로 다른 위성방송을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 1a와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리모콘(미도시)이나 디지털 방송신호 재생장치에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한 채널과 저장하기 위한 채널을 각각 선택한다.
중앙처리수단(190)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플래쉬 롬(미도시)에서 검색한 뒤, 해당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복조수단(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복조부(110)가 재생하기 위한 유료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복조부(120)가 저장하기 위한 무료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제 1 복조부(110)의 제 1 튜너(112)가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제 1 A/D 컨버터(114)는 제 1 튜너(112)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제 1 QPSK/FEC 디코더(116)가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한다.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에 따라서 제 2 복조부(120)의 제 2 튜너(122)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각각 수신한다. 그리고, 제 2 A/D 컨버터(124)는 제 2 튜너(122)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제 2 QPSK/FEC 디코더(126)가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한다.
제 1 QPSK/FEC 디코더(116)와 제 2 QPSK/FEC 디코더(126)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는 스위칭부(130)로 출력된다.
한편, 중앙처리수단(190)은 재생/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의 유료여부를 판단한다. 중앙처리수단(190)은 유료방송으로 판단된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러부(140)에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30)를 제어하고, 유료방송이 아니면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 바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130)를 제어한다. 그러면, 스위칭부(130)는 중앙처리수단(19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하여 전송경로를 바꾸어 준다.
디스크램블러부(140)는 유료방송을 해독하는데 필요한 스마트 카드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제 1 튜너(112)에서 수신한 유료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여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 출력한다.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MT_PID와 저장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MT_PID가 동일한지 판단하여, PMT_PID가 동일한 경우 어느 하나의 PMT_PID 값을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한다. 그리고,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여 디멀티플렉서(160)에 출력한다.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가 PMT_PID 값을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 PID 값이 0x100 이라고 가정하면, 실제 PID와 틀린 PID 값(예를 들면, 0x200)을 랜덤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실제 PID 값에 랜덤하게 설정된 0x200을 더하여 0x300으로 임시 변환한다.
또, 해당 레지스터 값을 1로 설정하여 임시 변환이 이루어졌음을 표시한다.
한편, 디멀티플렉서(160)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에서 임시 변환된 PMT_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다. 이 때에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150)가 실행한 것과 반대로 임시 변환된 0x300에서 랜덤 값인 0x200을 빼서 원래의 PID 값 0x100으로 복원시킨다.
그 후에, 디멀티플렉서(160)는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160)는 PID를 분석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송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을 구분하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MPEG 디코더(170)와 외부 저장수단(200)에 DMA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한다. MPEG 디코더(170)와 외부 저장수단(200)에 전송되는 방송스트림은 PES(PacketizedElementary Stream) 형태이다.
이와 같이 디멀티플렉서(160)가 두 개의 DMA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위성의 동일한 TP(transponder ; 트랜스폰더)로부터 다채널을 수신할 때 하나의 방송채널을 저장함과 동시에 또 다른 방송채널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은 메모리부(180)에 임시 저장되며, MPEG 디코더(170)는 메모리(180)부에 저장된 재생용 방송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MPEG 디코더(170)에서 디코딩된 방송스트림은 디지털 TV를 통하여 직접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디멀티플렉서(160)에서 출력되는 저장용 방송스트림은 외부 저장수단(200)에 기록된다.
나중에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재생을 실행하면, 외부 저장수단(200)에 기록된 방송스트림을 MPEG 디코더(170)가 디코딩하여 TV로 시청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각각의 튜너가 서로 다른 위성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였지만, 위성에 따라서는 하나의 트랜스폰더에서 여러 채널을 방송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하나의 위성 안테나에 연결하는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위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동시에 재생 및 저장이 가능하다.
또, 튜너 1개만을 사용하여 하나의 위성으로부터 다채널 방송을 수신하고, 위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서로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할 수도 있다.
루프 쓰루 방식에서는 위성 안테나의 가운데에 위치한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미도시)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증폭한다. LNB에 제 1 튜너(112)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 2 튜너(122)가 오프되고, 제 2 튜너(122)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 1 튜너(112)가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인가되는 전압은 채널의 편파가 수평편파일 때 18V를, 수직편파일 때 13V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이 오프된 튜너는 전원을 인가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채널과 동일한 수평편파 또는 수직편파를 가지는 채널만을 수신하는 비독립적 관계가 형성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MPEG 디코더(170)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일반 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A/V 변환부(미도시)와, TV와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디지털 방송 재생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튜너마다 디멀티플렉서를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재생함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한 서로 다른 방송채널을 재생 및 저장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전송되는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
    유료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여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디스크램블러부;
    사용자가 재생/저장하려는 방송채널의 유료여부를 판단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되는 방송스트림이 상기 디스크램블러부나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되도록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신호는 무료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QPSK/FEC 디코더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각각의 튜너를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 1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Packet IDentifier ; 패킷 식별자)와 상기 제 2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할 때, 상기 제 2 복조부에서 디코딩한 방송신호의 PID를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 후에 역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상기 MPEG 디코더와 외부 저장수단에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MPEG 디코더와 상기 외부 저장수단에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기억장치 접근)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0.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동시에 재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서 전송되는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기 위한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각각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재생용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역다중화된 재생용 방송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 및 디코딩하는 제 1, 2 복조부; 및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조부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각각 디스크램블 하여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제 1, 2 디스크램블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수단과 상기 전송스트림 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MPEG 디코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하여 수신방송 채널수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2.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저장용 방송스트림을 기록하기 위한 외부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3.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에서 각각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단위로 기록하기 위한 외부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4.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A/V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15. (a)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하는 단계;
    (b) 복조된 방송스트림을 하나의 방송스트림으로 합성하는 단계;
    (c) 합성된 방송스트림 중에서 재생/저장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송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d) 역다중화된 방송신호를 각각 동시에 디코딩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재생/저장하려는 디지털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신호가 무료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단계;
    (a2)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방송의 유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3) 유료방송으로 판단된 방송신호를 디스크램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a1-1) 상기 재생/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1-2)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a1-3) 디지털로 변환된 방송신호를 QPSK 복조하는 단계; 및
    (a1-4) 복조된 방송신호를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각각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루프 쓰루(Loop Through) 방식으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와 상기 저장하기 위한 방송신호의 PID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b2) PID가 동일한 경우, 어느 하나의 PID 값을 다른 값으로 임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2)단계에서 임시 변환된 PID 값을 원래 값으로 복원시킨 후에 역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22.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재생하기 위한 방송스트림과 저장하기 위한 방송스트림을 구분하여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 기억장치 접근) 방식으로 각각 동시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단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방법.
KR10-2002-0011713A 2002-03-05 2002-03-05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46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13A KR100468379B1 (ko) 2002-03-05 2002-03-05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13A KR100468379B1 (ko) 2002-03-05 2002-03-05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14U Division KR200277664Y1 (ko) 2002-03-05 2002-03-05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40A KR20030072140A (ko) 2003-09-13
KR100468379B1 true KR100468379B1 (ko) 2005-01-31

Family

ID=3222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713A KR100468379B1 (ko) 2002-03-05 2002-03-05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46B1 (ko) * 2002-03-19 2004-11-06 (주)토필드 단일 디스크램블러를 구비한 방송신호 수신기에서의 유료 방송 스트림 저장 및 재생 방법
KR100747530B1 (ko) * 2004-12-13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시스템 및 그 방송 재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93A (ko)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위성 방송 기록 및 재생 장치
KR19990035646A (ko) * 1997-10-31 1999-05-1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브이씨알
JP2001339665A (ja) * 2000-05-29 2001-12-07 Sanyo Electric Co Ltd 共用化受信機
JP2002010148A (ja) * 2000-06-22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93A (ko)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위성 방송 기록 및 재생 장치
KR19990035646A (ko) * 1997-10-31 1999-05-1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브이씨알
JP2001339665A (ja) * 2000-05-29 2001-12-07 Sanyo Electric Co Ltd 共用化受信機
JP2002010148A (ja) * 2000-06-22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40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250B1 (ko) 디지탈오디오/비디오(a/v)시스템
US7359620B2 (e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93977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060009225A (ko) 컨텐츠 배신 시스템, 컨텐츠 배신 장치, 컨텐츠 기록 재생장치 및 컨텐츠 기록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4748195B2 (ja) 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及び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処理方法
KR200277664Y1 (ko)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JP200111963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
KR100915845B1 (ko) 텔레비전 수신기 및 비디오 신호 수신 방법
KR100468379B1 (ko)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US77464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30035745A (ko) 외부 오디오/비디오신호의 저장/재생기능을 가지며 위성신호, 케이블 신호, 지상파를 수용하는 디지털 셋탑박스
US7120163B2 (en)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40044665A (ko) 디지털 방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신 프로그램의 시청,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셋톱박스 및 하나 이상의 수신프로그램의 시청, 저장 및 재생방법
JP200006945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649900B2 (ja) 番組表示装置
JP2007235650A (ja) チューナモジュールおよび放送受信装置
JP4192363B2 (ja) 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455946B1 (ko) 단일 디스크램블러를 구비한 방송신호 수신기에서의 유료 방송 스트림 저장 및 재생 방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KR100595155B1 (ko) 디지털 방송신호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JP4438176B2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757086B2 (ja) Catvシステム
US200901231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broadcasting data
JP4244479B2 (ja) 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及び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処理方法
JP3297805B2 (ja) 復号装置及び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