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221B1 -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221B1
KR100467221B1 KR10-2002-0025230A KR20020025230A KR100467221B1 KR 100467221 B1 KR100467221 B1 KR 100467221B1 KR 20020025230 A KR20020025230 A KR 20020025230A KR 100467221 B1 KR100467221 B1 KR 10046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fixed
unit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245A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인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인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인에스피
Priority to KR10-2002-002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2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와 수직재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림막이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 단위천이 프레임의 수평재에 고정되고, 가림막의 주연부가 프레임의 외곽테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림막에 의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및 방풍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사중인 건물의 치장, 광고 및 홍보 역할을 하면서 도시 외적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대형의 가림막이 다수의 단위천을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COVERING APPARATUS FOR BUILDING CONSTRUCTION PLACE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빌딩의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에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및 방풍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대형 현수막처럼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빌딩의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에는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및 방풍을 위하여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한 변의 길이가 대략 2M 이내인 정방형 가림막을 형성하고, 각 모서리부에 연결공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가림막을 연결공에 끼워지는 묶음끈으로 비계에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가림막 장치는 많은 작업인원과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시공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단순히 공사장을 가려 물체 및 흙먼지 등의 낙하를 방지하고, 방풍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변의 경관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각종 빌딩의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에 각종 물체의낙하 방지 및 방풍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대형 현수막처럼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공사중인 빌딩에 가림막이 설치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공사중인 빌딩에 설치된 비계와 가림막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정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공사중인 빌딩에 설치된 비계와 가림막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3의 "C부" 확대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빌딩 10 : 비계
11 : 수직재 12 : 수평재
13 : 횡방향 브래키트 14 : 종방향 브래키트
15 : 체결구 100 : 가림막
200 : 프레임 210 : 수평재
211 : 걸림부 212 : 중공부
220 : 수직재 220' : 단관
230 : 연결구 231 : 삽입부
232 : 걸림부 240 : 연결구
241 : 삽입부 242 : 걸림부
243 : 볼트 244 : 너트
250 : 연결재 260 : 체결부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는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와 수직재를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방풍,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이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소정 폭만큼 겹쳐져 상기 프레임의 수평재에 고정되고, 상기 가림막의 주연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곽테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와 수직재를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하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방풍,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을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으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수평재에 소정 폭만큼 겹쳐지도록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림막의 주연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곽테에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평재를 이루는 각 단위재의 서로 인접한 단부의 중공부에 연결재를 삽입하고,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연결하며, 상기 수평재의 하측 걸림부에 연결구의 상측 걸림부를 끼우고, 상기 연결구의 삽입부를 상기 비계의 수직재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의 내측으로 끼워 고정하며, 상기 각 수평재의 상,하측 걸림부에 연결구의 걸림부를 끼우고, 상기 수직재를 이루는 각 단관의 상,하단부에 상기 연결구의 삽입부를 끼움과 아울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해 공사중인 빌딩에 가림막이 설치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및 도 3에는 공사중인 빌딩에 설치된 비계와 가림막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및 부분 절결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8에는 도 3의 "C부" 확대도,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부분의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1은 예를 들어 수십 층에 달하는 빌딩을 보인 것이고, 10은 이 빌딩(1)을 보수하기 위하여 빌딩(1)의 외벽 주위로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설치한 비계를 보인 것이며, 부호 100은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가림막을 보인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빌딩(1)의 비계(10)의 전면부에는 프레임(200)이 소정 면적의 범위에서 장방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비계(10)에 의지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림막(100)은 프레임(200)에 부착 시공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 및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비계(10)는 수직재(11)와 수평재(12)를 교차시켜 격자형으로 배열 설치한 통상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계(10)의 수직재(11)에는 내부가 빈 횡방향 브래키트(13)와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복수 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횡방향 브래키트(13)는 수직재(11)의 외주면에 좌,우로 고정되고, 종방향 브래키트(14)는 그 하측부에 전,후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림막(100)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200)에는 수평재(21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재(210)는 상기 비계(10)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계 수직재(11)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에 연결구(230)를 개재하여 체결된다.
도면에서 부호 15는 횡방향 브래키트(13)에 하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평재(12)를 체결하는 체결구를 보인 것이다.
상기 수평재(210)는 알루미늄 사출성형재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성형되고, 중공부(212)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이 중공부(212)의 상,하측에 걸림부(211)가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230)는 상기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삽입부(231)의 일측부에 T자형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2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재(210)는 그 하측 걸림부(211)에 연결구(230)의 상측 걸림부(232)가 끼워지고, 연결구(230)의 삽입부(231)가 비계 수직재(11)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비계(10)와 체결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B부" 확대도 및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하, 도 1,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0)에는 수직재(22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재(220)는 상기 비계(10)의 전면부에 상기 수평재(210)와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재(210)와 교차되는 각 수직재(220)는 복수개의 단관(220')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관(220')은 한 쌍의 수평재(21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상,하단부가 상,하측의 수평재(210)에 연결구(240)를 개재하여 체결된다.
상기 각 수직재(220)의 각 단관(22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관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240)는 단관(220')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241)의 일측부에는 상기 수평재(210)의 걸림부(211)에 끼워져 걸리는 T자형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2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재(220)는 상기 수평재(210)와 함께 격자형으로 배치하면서 각 수평재(210)의 상,하측 걸림부(211)에 상기 연결구(240)의 걸림부(242)가 끼워져 걸리고, 각 단관(220')의 상,하단부에 연결구(240)의 삽입부(241)가 끼워져 걸리도록 함으로써 비계(10)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단관(220')의 상,하단부와 이에 끼워지는 각 연결구(240)의삽입부(241)는 볼트(243)를 관통되게 삽입하고, 너트(244)를 체결함으로써 더 견고하게 체결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C부" 확대도 및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하, 도 1,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단위재(210') 복수개를 동일선상으로 길게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위재(210')를 연결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재(210')의 서로 인접한 단부의 중공부(212)에 사각막대형 연결재(25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260)로 체결하여 연결하며, 각 단위재(210')와 연결재(250)의 체결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260)를 수작업으로 고정하거나, 그 외 타카(타정기) 등을 이용하여 못, 스태플과 같은 체결부재(260)로 자동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빌딩(1)의 비계(10)의 전면부에 수평재(210)와 수직재(220)를 격자형으로 배치 고정하여 형성되는 프레임(200)에는 도 1과 같이 가림막(100)이 부착 고정되고, 이 가림막(100)은 바탕의 천(110)에 예를 들어 월드컵 홍보를 위한 그림(110), 또는 자연의 풍경화, 회사를 홍보하기 위한 그림 및 문자 등을 인쇄하여 공사중인 빌딩(1)의 외관을 미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여러 장의 단위천(101)을 상기 프레임(200)에 연결하여 형성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단위천(101)을 연결할 때에는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소정 폭으로 겹쳐 체결부재(261)로 고정함으로써 가림막(100)을 형성하고, 이 가림막(100)의 주연부를 프레임(200)의 외곽테에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단위천(101)을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고정할 때에는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단위천(101)의 하단부를 수평재(210)에 체결부재(261)로 고정하고, 하측 단위천(101)의 상단부를 하측 단위천(101)의 하단부 위로 소정 폭만큼 겹친 후, 체결부재(261)로 고정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체결작업은 타카(타정기) 등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림막(100)의 주연부를 프레임(200)의 외곽테에 묶음선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1)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10)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210)와 수직재(220)를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하여 프레임(200)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가림막(100)을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101)으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00)에 상,하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소정 폭만큼 겹쳐지도록 고정하며, 상기 가림막(100)의 주연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외곽테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수평재(210)를 이루는 각 단위재(210')의 서로 인접한 단부의 중공부(212)에 연결재(25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260)로 체결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재(210)의 하측 걸림부(211)에 연결구(230)의 상측 걸림부(232)를 끼우고, 상기 연결구(230)의 삽입부(231)를 상기 비계(10)의수직재(11)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내측으로 끼워 고정한다.
또, 상기 각 수평재(210)의 상,하측 걸림부(211)에 연결구(240)의 걸림부(242)를 끼우고, 상기 수직재(220)를 이루는 각 단관(220')의 상,하단부에 상기 연결구(240)의 삽입부(241)를 끼움과 아울러, 볼트(243)와 너트(244)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는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와 수직재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림막이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 단위천이 프레임의 수평재에 고정되고, 가림막의 주연부가 프레임의 외곽테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가림막에 의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및 방풍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형 현수막과 같이 치장, 광고 및 홍보 역할을 하면서 도시 외적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대형의 가림막이 다수의 단위천을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1)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10)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210)와 수직재(220)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프레임(20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방풍,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100)이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101)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에 복수의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림막(100)의 주연부가 상기 프레임(200)의 외곽테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에 상,하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소정 폭만큼 겹쳐져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재(2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비계(10)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비계(10)의 수직재(11)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에 연결구(230)를 개재하여 체결되며, 상기 수직재(220)는 상기 비계(10)의 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관(220')이 상기 수평재(210)와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각 단관(220')은 그 상,하단부가 그 상,하측의 수평재(210)에 연결구(240)를 개재하여 체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210)는 그 하측 걸림부(211)에 상기 연결구(230)의 상측 걸림부(232)가 끼워지고, 상기 연결구(230)의 삽입부(231)가 상기 비계(10)의 수직재(11)의 상기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수직재(220)는 각 수평재(210)의 상,하측 걸림부(211)에 상기 연결구(240)의 걸림부(242)가 끼워져 걸리고, 각 단관(220')의 상,하단부에 상기 연결구(240)의 삽입부(241)가 끼워짐과 아울러, 볼트(243)와 너트(244)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210)는 상기 단위재(210')의 서로 인접한 단부의 중공부(212)에 연결재(250)가 삽입되고, 체결부재(260)로 체결되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5. 삭제
  6. 신축 및 보수 공사를 위하여 빌딩(1)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비계(10)의 전면부에 다수개의 수평재(210)와 수직재(220)를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하여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각종 물체의 낙하 방지, 방풍, 치장, 광고, 홍보 역할을 하는 가림막(100)을 소정 폭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천(101)으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200)에 복수의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림막(100)의 주연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외곽테에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평재(210)를 이루는 각 단위재(210')의 서로 인접한 단부의 중공부(212)에 연결재(25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260)로 체결하여 연결하며, 상기 수평재(210)의 하측 걸림부(211)에 연결구(230)의 상측 걸림부(232)를 끼우고, 상기 연결구(230)의 삽입부(231)를 상기 비계(10)의 수직재(11)의 전방 종방향 브래키트(14)의 내측으로 끼워 고정하며, 상기 각 수평재(210)의 상,하측 걸림부(211)에 연결구(240)의 걸림부(242)를 끼우고, 상기 수직재(220)를 이루는 각 단관(220')의 상,하단부에 상기 연결구(240)의 삽입부(241)를 끼움과 아울러, 볼트(243)와 너트(244)로 체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프레임(200)에 복수의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200)에 상,하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단위천(101)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200)의 수평재(210)에 소정 폭만큼 겹쳐지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의 시공방법.
KR10-2002-0025230A 2002-05-08 2002-05-08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46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230A KR100467221B1 (ko) 2002-05-08 2002-05-08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230A KR100467221B1 (ko) 2002-05-08 2002-05-08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245A KR20030087245A (ko) 2003-11-14
KR100467221B1 true KR100467221B1 (ko) 2005-01-24

Family

ID=3238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30A KR100467221B1 (ko) 2002-05-08 2002-05-08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2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9965A (ja) * 1991-05-15 1992-11-26 S Shii S Kikaku:Kk シート張設用具及びその取付け調節具並びにその張設用具によって張設されるべきシート
WO1997048863A1 (en) * 1996-06-19 1997-12-24 Jonsereds Miljösystem AB System for covering
JPH10306592A (ja) * 1997-05-06 1998-11-17 Yuji Nimura 仮設建築用シートジョイントの取付具
JP2000204767A (ja) * 1999-01-13 2000-07-25 Koyo Kikai Sangyo Kk 建築用シ―トの取付け金具
KR20010090349A (ko) * 2000-03-24 2001-10-18 김종권 가이드 후레임과 윈치를 이용한 수직보호망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9965A (ja) * 1991-05-15 1992-11-26 S Shii S Kikaku:Kk シート張設用具及びその取付け調節具並びにその張設用具によって張設されるべきシート
WO1997048863A1 (en) * 1996-06-19 1997-12-24 Jonsereds Miljösystem AB System for covering
JPH10306592A (ja) * 1997-05-06 1998-11-17 Yuji Nimura 仮設建築用シートジョイントの取付具
JP2000204767A (ja) * 1999-01-13 2000-07-25 Koyo Kikai Sangyo Kk 建築用シ―トの取付け金具
KR20010090349A (ko) * 2000-03-24 2001-10-18 김종권 가이드 후레임과 윈치를 이용한 수직보호망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245A (ko)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314B2 (en) Outdoor advertising system
CN205688962U (zh) 一种拼装式自清洁施工围挡
KR100467221B1 (ko) 빌딩 공사장의 가림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1701B1 (ko) 메쉬망 지지틀을 갖는 메쉬 펜스
CN210460140U (zh) 预制显示屏钢结构
JPH11141196A (ja) 木製フェンス
JP2004346681A (ja) 透光型防音壁への改修方法
KR100551943B1 (ko) 차양장치
CA2939794C (en) Building-mounted awning with single location attachment
KR200190085Y1 (ko) 건축용 안전망
KR200234887Y1 (ko)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KR102080141B1 (ko) 이중 체결용 가설방음벽 설치 구조물
JPH0133685Y2 (ko)
KR100820721B1 (ko) 건축용 안전판넬의 설치구조
JP3709173B2 (ja) 屋根上工事用日よけ装置
JP7419197B2 (ja) フレーム構造体の製造方法
CN213979451U (zh) 一种易拆卸外挑玻璃装饰线幕墙
KR101240485B1 (ko) 연결 조인트를 이용한 텐트 구조물
KR0140397Y1 (ko)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에어튜브구조
JP3030818B1 (ja) 足場囲い用のシート及びシートの足場への架設係止用ハンガークランプ
KR200352468Y1 (ko) 발코니 시스템 안전난간대
KR0125099Y1 (ko) 천막용 조립식 파이프 골조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CN207003877U (zh) 一种室内立面异形装饰铝板安装结构
JP2618343B2 (ja) 仮覆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