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431B1 -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431B1
KR100466431B1 KR10-2001-0074465A KR20010074465A KR100466431B1 KR 100466431 B1 KR100466431 B1 KR 100466431B1 KR 20010074465 A KR20010074465 A KR 20010074465A KR 100466431 B1 KR100466431 B1 KR 10046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ashing
waterproof membrane
w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198A (ko
Inventor
김성배
Original Assignee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7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431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서 설거지나 세척을 할 경우에 물이 튀어 주변을 오손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싱크대의 전방측에 물튀김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막을 설치하여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경우는 방수막을 인출하고, 평상시에는 내부에 내장하므로서 설거지 도중 주변을 오손하거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은 싱크대(10)의 저수조(11)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을 뚫고, 상기 장공(12)의 내측에는 밀폐패킹(13)을 끼움으로 결합하여 양단에 인출공(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인출공(14)을 관통하는 한쌍의 고정관(15)을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관(15)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16)를 각각 결합하여 출몰자재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16)에는 방수막(17)을 고정하여 방수막(17)의 하단측을 권취봉(19)에 결합한 상태에서 저수조(11)의 외벽에 고정된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20)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A water splashed prevent apparatus of a sink}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서 설거지나 세척을 할 경우에 물이 튀어 주변을 오손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싱크대의 전방측에 물튀김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막을 설치하여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경우는 방수막을 인출하고, 평상시에는 내부에 내장하므로서 설거지 도중 주변을 오손하거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주방에는 설거지나 채소 또는 과일의 세척 등을 목적으로 싱크대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주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설거지 또는 세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싱크대의 용도는 일반적인 것인 바, 상기와 같이 싱크대에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할 경우에는 물을 대량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물은 싱크대의 저수조 바닥에 떨어지게 되므로 유속(流速)에 의해 주변으로 튕겨지게 되는 바, 주방의 주위를 오손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설거지를 하는 사람의 옷이나 신체를 오손하게 된다.
상기 싱크대를 사용할 경우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생선 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해야 하고, 설거지의 경우는 먹고 난 음식쓰레기나 그릇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물의 사용도중 저수조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물이 비산되므로 싱크대의 주변은 물론 주방의 주변을 오손하게 되고,한편으로는 설거지를 하는 사람의 옷이나 신체를 오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세척이나 설거지 등을 할 경우에 물이 튕기는 현상은 싱크대의 저수조 바닥에서 발생하는 물과의 마찰에 의해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일단 튕긴 물은 전방의 설거지를 하는 사람이나 주방의 바닥에 떨어지게 되어 주위를 오손하게 된다.
결국 싱크대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물과의 마찰에 의해 물이 튕기는 경우 이를 커버링하는 별도의 장치가 부가되지 못하게 되므로 비산되는 물은 전량 바닥이나 설거지를 하는 사람에서 직접적으로 튕기게 되어 설거지나 세척 등을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의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의 상부 전방에 물튀김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막을 출몰식으로 설치하여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경우는 인출하여 물이 비산되는 현상을 차단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방수막을 싱크대의 하부측 공간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부 전방에 방수막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장공을 형성하여 양단 가장자리에는 고정관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 선단에는 방수막을 연결하므로서 평상시에는 내부의 권취봉에 탄력설치된 복원스프링에 의해 방수막이 감겨지게 되고, 사용시에는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를 인출하게 되면 방수막이 인출되어 물이 튀길 경우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주방에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11 : 저수조
12 : 장공 13 : 밀폐패킹
14 : 인출공 15 : 고정관
16 : 지지대 17 : 방수막
18 : 권취관 19 : 권취봉
20 : 복원스프링 21 : 개방부
본 발명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싱크대(10)의 저수조(11)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을 뚫고, 상기 장공(12)의 내측에는 밀폐패킹(13)을 끼움으로 결합하여 양단에 인출공(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인출공(14)을 관통하는 한쌍의 고정관(15)을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관(15)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16)를 각각 결합하여 출몰자재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16)에는 방수막(17)을 고정하여 하단측을 권취봉(19)에 결합한 상태에서 저수조(11)의 외벽에 고정된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20)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되게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권취관(18)에 결합되는 권취봉(19)의 복원력을 부가하기 위한 수단인 복원스프링(20)의 복원력은 임의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가령 지지대(16)를 들어올려 방수막(17)을 인출한 상태에서 놓으면 그자리에서 정지할수 있는 정도의 힘이 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방수막(17)을 권취봉(19)에 감아서 장공(12)을 통해 권취관(18)의 내부에 권취할 경우는 각 지지대(16)를 살짝 건드리면 복원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방수막(17)이 장공(12)의 내부를 통해 권취봉(19)에 감기면서 몰입될 수 있게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방수막(17)의 표면에는 각종 기업의 광고나 다양한 그림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며, 한편으로는 밀폐패킹(13)의 선단부는 방수막(17)과의 수밀성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측으로 약간 경사지면서 뾰족하게 구성하므로서 저수조(11)에서 튕겨지는 물방울이 싱크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통상의 싱크대(10)의 상부 전방에 물튀김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막(17)을 출몰식으로 설치하여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경우는 인출하여 물이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방수막(17)을 싱크대(10)의 하부측 공간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본 발명은 싱크대(10)의 상부 전방에 방수막(17)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장공(12)을 형성하여 양단 가장자리에는 고정관(15)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관(15)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16)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16)의 상부 선단에는 방수막(17)을 연결하므로서 평상시에는 내부의 복원스프링(20)에 의해 방수막(17)이 감겨지게 되고, 사용시에는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16)를 인출하게 되면 방수막(17)이 인출되어 물이 튀길 경우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주방에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평상시 싱크대(10)의 저수조(11) 전방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이 형성된 상태로 밀폐패킹(13)이 지지된 방수막(17)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대(16)를 고정관(15)의 내측에 밀어넣으면 방수막(17)과 함께 싱크대(10)의 내부측 저수조(11)의 외벽에 고정된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내부에 결합된 권취봉(19)에 권취된 상태로 복원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방수막(17)이 권취봉()의 외주연에 감겨지게 되어 상기 방수막(17)이 싱크대(10)의 내부에 몰입되므로 일반적인 싱크대(10)로 사용할 수 있다.
설거지를 하거나 기타 음식을 조리할 시 채소나 과일 등을 세척할 경우는 양단의 인출공(14) 내부에 있는 고정관(15)으로부터 지지대(16)를 뽑아 올리면 상기 지지대(16)는 변형이 용이한 플렉시블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대(16)는 고정관(15)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고, 이러한 플렉시블한 지지대(16)는 약간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도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충격 등을 방지하면서 물이 비산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대(16)에는 방수막(17)이 묶여 있으므로 지지대(16)가 인출됨과 동시에 방수막(17)이 함께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장공(12)측으로 인출되는 바, 이때 상기 장공(12)의 선단에는 대략 선단이 뾰족한 밀폐패킹(13)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방수막(17)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밀폐패킹(13)의 선단에 의해 수밀성이 양호하여 외부의 물기가 인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싱크대(10)의 내부는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싱크대(10)의 저수조(11) 외벽에는 전방에 개방부(21)가형성된 권취관(18)이 고정되어 있고, 이의 내부에는 복원스프링(20)의 탄발력을 받는 권취봉(19)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수막(17)이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놓으면 지지대(16)와 고정관(15)에서 받는 저항에 대비해 복원스프링(20)의 탄발력이 작기 때문에 방수막(17)이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싱크대(10)의 저수조(11)에 물을 받아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막(17)이 싱크대(10)의 저수조(11) 전방에 인출되어 저수조(11)와 차단이 되어 있으므로 설거지 도중 물이 튕기게 되면 상기 방수막(17)에서 이러한 물을 차단하여 세척이나 설거지 도중 옷이나 신체를 오손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물이 튕기게 되면 상기 방수막(17)이 이를 차단하면서 자체적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12)내에 결합된 밀폐패킹(13)의 선단에 형성된 뾰족한 부위에 의해 내부와 차단되므로 물기기 싱크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막(17)을 인출하게 되면 상기 방수막(17)의 표면에는 각종 기업의 광고나 그림 또는 문자 등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광고효과나 설거지도중 그림이나 시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시각적인 면이나 장식적인 면에서도 합리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에 의해 각종 기업의 판촉용품으로 유통할 경우 그 기대되는 가치가 우수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설거지나 세척을 완료하고 방수막(17)을 싱크대(10)의 내부에 내장할 경우는 양측의 인출공(14)을 통해 고정관(15)에 결합된 양측의 지지대(16)를 밀어넣으면 고정관(15)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6)가 고정관(15)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저수조(11)의 외벽에 취부된 권취관(18)의 전방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되어 내부의 권취봉(19)이 복원스프링(20)의 복원력으로 감겨지게 되어 각 지지대(16)에 연결되어 있는 방수막(17)은 권취봉(19)의 외주면에 가지런하게 감겨지게 된다.
즉, 권취관(18)의 내부에 복원스프링(20)에 의해 내장된 권취봉(19)은 상기 복원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16)를 밀어넣으면 방수막(17)이 감겨질 정도의 복원력이 발생하고, 인출할 경우는 지지대(16)와 고정관(15)의 마찰에 의해 정지될 수 있는 정도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싱크대(10)에서 설거지를 하거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을 세척할 경우는 싱크대(10) 양측의 인출공(14)에 결합된 지지대(16)를 인출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16)는 고정관(15)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6)에 연결된 방수막(17)이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하여 싱크대(10)의 저수조(11)와 사람사이가 차단되어 세척이나 설거지 도중 물이 튕기게 되면 상기 방수막(17)이 이를 차단하여 옷이나 신체를 오손하거나 젖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방수막(17)이 이동하는 장공(12)의 내측에는 밀폐패킹(13)이 결합된 상태로 선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방수막(17)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방수막(17)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차단하여 싱크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사용시에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양측의 지지대(16)를 눌러 밀어넣으면 지지대(16)는 고정관(15)의 내부로 함입되면서 각 지지대(16)와 연결된 방수막(17)도 동시에 감겨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방수막(17)을 권취하는 권취봉(19)의 양단에는 복원스프링(20)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원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방수막(17)은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내부측에 축설된 권취봉(19)에 감겨지게 되어 결국 방수막(17)은 소형의 부피로 권취관(18)의 내부에 결합되어 원래의 싱크대(10)와 같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로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10)의 상부 전방에 물튀김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막(17)을 출몰식으로 설치하여 설거지나 세척 등을 할 경우는 인출하여 물이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방수막(17)을 싱크대(10)의 하부측 공간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싱크대(10)의 상부 전방에 방수막(17)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장공(12)을 형성하여 양단 가장자리에는 고정관(15)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관(15)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16)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16)의 상부 선단에는 방수막(17)을 연결하므로서 평상시에는 내부의 복원스프링(20)에 의해 방수막(17)이 권취봉(19)측에 감겨지게 되고, 사용시에는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16)를 인출하게 되면 방수막(17)이 인출되어 물이 튀길 경우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주방의 싱크대용 물튀김 방지장치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1. 싱크대(10)의 저수조(11)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을 뚫고, 상기 장공(12)의 내측에는 밀폐패킹(13)을 끼움으로 결합하여 양단에 인출공(1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인출공(14)을 관통하는 한쌍의 고정관(15)을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관(15)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지지대(16)를 각각 결합하여 출몰자재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플렉시블 지지대(16)에는 방수막(17)을 고정하여 방수막(17)의 하단측을 권취봉(19)에 결합한 상태에서 저수조(11)의 외벽에 고정된 권취관(18)의 개방부(21)를 통해 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20)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KR10-2001-0074465A 2001-11-28 2001-11-28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KR10046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5A KR100466431B1 (ko) 2001-11-28 2001-11-28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5A KR100466431B1 (ko) 2001-11-28 2001-11-28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198A KR20010112198A (ko) 2001-12-20
KR100466431B1 true KR100466431B1 (ko) 2005-01-17

Family

ID=1971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65A KR100466431B1 (ko) 2001-11-28 2001-11-28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53Y1 (ko) * 2007-09-08 2009-07-02 정의봉 튀김방지커튼
KR20220112476A (ko) 2021-02-04 2022-08-11 이진국 물 튀김 방지기능을 갖는 앞치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0534A (ja) * 1988-03-31 1989-10-05 Toto Ltd 水槽付キャビネット
KR920001948U (ko) * 1990-07-24 1992-02-24 문진열 씽크대용 물튀김 막이판
JPH07255542A (ja) * 1994-03-22 1995-10-09 Techno Design Kenkyusho:Kk 流しの飛沫防止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US5625910A (en) * 1995-06-02 1997-05-06 Adrian P. Sween Protective shield
JPH09234127A (ja) * 1996-02-28 1997-09-09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布掛け付き流し台
KR200214249Y1 (ko) * 2000-05-26 2001-02-15 이해석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JP2001049713A (ja) * 1999-08-09 2001-02-20 Haruhisa Emi シンク用水飛び散り防止器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0534A (ja) * 1988-03-31 1989-10-05 Toto Ltd 水槽付キャビネット
KR920001948U (ko) * 1990-07-24 1992-02-24 문진열 씽크대용 물튀김 막이판
JPH07255542A (ja) * 1994-03-22 1995-10-09 Techno Design Kenkyusho:Kk 流しの飛沫防止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US5625910A (en) * 1995-06-02 1997-05-06 Adrian P. Sween Protective shield
JPH09234127A (ja) * 1996-02-28 1997-09-09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布掛け付き流し台
JP2001049713A (ja) * 1999-08-09 2001-02-20 Haruhisa Emi シンク用水飛び散り防止器具
KR200214249Y1 (ko) * 2000-05-26 2001-02-15 이해석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53Y1 (ko) * 2007-09-08 2009-07-02 정의봉 튀김방지커튼
KR20220112476A (ko) 2021-02-04 2022-08-11 이진국 물 튀김 방지기능을 갖는 앞치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198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1442A (ko) 이동식 부엌, 화장실 및 샤워 장치
JP20152023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JP2007068945A (ja) 流し台排水口用洗浄ブラシ
KR100466431B1 (ko)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
US1930180A (en) Sink cabinet
JP2007056509A (ja) 水切り具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KR200306340Y1 (ko)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
JP3845791B2 (ja) 塗布器具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KR100766302B1 (ko) 주방용 세척기
KR0129733Y1 (ko) 세척용구
KR20150025929A (ko) 깔끔비누거치대
CA2241736A1 (en) Cleaning device for fondue forks
KR20100005174U (ko) 수도꼭지 비누걸이구
US9332832B2 (en) Decorative kitchen sink storage device
KR102396624B1 (ko) 싱크대 물 튐 방지기
KR20150011116A (ko) 개수대 물 튀김 방지장치
JP6029815B2 (ja) 水はね防止具
JP3116648U (ja) 流し台用水跳防止具
KR20180000384U (ko) 욕실 내 물튀김 방지대
KR200185160Y1 (ko) 와이어선반
US5970753A (en) Drain for washing machine door boot
FR2800981B1 (fr) Lave-vaisselle avec cuve de lavage formant tiroir extractible
KR200320242Y1 (ko) 씽크대용 세척수의 비산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