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282B1 - 풀리 - Google Patents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282B1
KR100466282B1 KR1019960032287A KR19960032287A KR100466282B1 KR 100466282 B1 KR100466282 B1 KR 100466282B1 KR 1019960032287 A KR1019960032287 A KR 1019960032287A KR 19960032287 A KR19960032287 A KR 19960032287A KR 100466282 B1 KR100466282 B1 KR 10046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ylinder
pulley according
pist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509A (ko
Inventor
안토니우스 렘버터스 헤르마너스 스케렌케스
Original Assignee
반 도르네즈 트랜스미씨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 도르네즈 트랜스미씨 비.브이. filed Critical 반 도르네즈 트랜스미씨 비.브이.
Publication of KR97001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4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06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 F16H63/065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hydraulic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16H55/56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of which the bearing parts are relatively axi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상기 발명은 특히 연속적으로 변화 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풀리에 관한 것이고, 상기 풀리는, 풀리 샤프트 위에 위치한 두 개의 시브들로 구성되며 상기 시브중 적어도 하나의 시브는 이동 장치에 의해서 풀리 샤프트(pulley shaft)의 축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된 장치를 가지며, 그리고 풀리 샤프트의 회전 방향으로는 상기 이동 시브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갖는다. 상기 발명은 고정 장치가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이동 장치의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 내부면에 장치된다.

Description

풀리{pulley}
상기 발명은, 폴리 샤프트 위에 두 개의 시브가 있고, 상기 시브들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장치에 의하여 풀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여 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장치로 구성되고, 풀리 샤프트의 회전 방향내에서 상기 이동 시브를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 (trans mission)를 위한 풀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풀리는 유럽특허 NO. 0615080에 나타나 있으며,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장치(trans mission)에 사용된다. 상기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구동 벨트는 두 개의 풀리 위에 고정되어지며 그리고, 풀리들 사이에서 구동 벨트의 반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어떤 특정한 범위를 가지고 무한대의 경우를 갖는 동력 전달율(trans missions ratios)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풀리들 사이에서 구동 벨트의 위치 변화는,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이동 시브를 풀리 샤프트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의 이동 시브는, 토크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풀리 샤프트이 회전 방향내에서 고정되어져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이동 시브는 풀리 샤프트의 회전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는 톱니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장치에 의해서 자유롭게 이동되어진다. 상기의 톱니 결합은 이동 장치의 외부면에서 원둘레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려진다. 상기의 이동 장치 외부면에서 원형으로 축을 따라 이루어지는 톱니 결합은 축방향과 반지름 방향 모두에서 추가적인 결합 공간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추가적인 작업 및 부품의 필요성은 구성 비용을 증가시키며 구성을 복잡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며, 또한 적은 결합 공간을 필요로 하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 풀리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 실린더 내부면에 고정 장치를 장치하는 것으로 특징된다. 고정 장치를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 실린더 내부에 장치한다는 것은 작은 결합 공간을 가지는 풀리가 얻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적은 작업수와 적은 수의 부품만으로 상기 풀리를 구성 할 수 있게 되고 그렇게 해서 간단하고 가벼우며 경제적인 풀리를 얻게 된다.
상기 발명에서 제시된 풀리의 또다른 특징은 고정장치가 실린더 원주 전체에 걸쳐 장치된다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풀리가 토크를 전달할 때 발생되는 힘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고정장치는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제한된 수의 부품으로 충분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해서 고정 장치의 결합 및 구성을 최대로 간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의 고정 장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장치될 수 있으며 두 실린더를 가지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는 두 실린더 사이에 장치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장치의 내부에 고정 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은 고정 장치의 간단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작은 결합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고정 장치는 내부링 및/또는 외부링으로 구성 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해서 한정적인 수의 부품만을 필요로 하게 되어 고정 장치의 제조 뿐 아니라 구조 그리고 결합을 간소화 시킨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방사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와 외부로 향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어 이들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의 구조는 이동시브(sheave)와 풀리 샤프트 사이의 결합을 손쉽게 제공한다. 상기의 경우에서 두 개의 프로파일 회전 방향 내에서 최소의 공차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고정 장치위에 장치 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은 풀리 샤프트에 대하며 이동 시브가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이 회전 방향내에서 얻어짐을 의미한다. 상기 풀리(pulley)는 고정 장치의 프로파일이 톱니 형태 또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 될 수 있다. 그러한 프로파일들은 풀리 샤프트에 대하여 이동 시브의 자유 이동이 가능한 고정 뿐 아니라 토크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가 압력 챔버를 밀봉하는 위치에 장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고정 장치는 밀봉 장치를 갖출수도 있다. 밀봉 장치와 고정장치의 결합은 압력 챔버가 외부에 대해 밀폐되는 풀리(pulley)내의 위치에 상기 고정 장치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는 결과적으로 풀리 샤프트에 대하여 이동시브(movable sheave)를 고정시키며, 그와 동시에 상기 고정 장치는 압력 챔버를 밀폐 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제시된 고정 장치와 밀봉 장치의 결합은, 풀리(pulley)의 형태를 간소하게 하며, 또한 추가적인 결합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구조를 갖게된다. 상기 밀봉은 회전 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프로파일의 외부 윤곽선을 따라, 특히 방사상으로 프로파일의 외부를 향하는 윤곽선을 따라 이루어진다. 좋은 밀봉 작용은 결과적으로 실린더의 전체 원주 둘레를 전체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그리하여 이동 시브(sheave)의 축방향 이동이 밀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발명에 따르는 밀봉 장치는 0자의 모양을 갖는 링일 수도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는 고정 장치는, 적어도 축방향에서 고정 장치의 접촉면이 낮은 마찰계수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마찰 계수는 풀리 샤프트에 대한 이동 시보의 축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의 고정 장치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합성 물질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질들은 작업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고정 장치가 간단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가볍고, 간소하며, 강하고 경제적인 구조가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다.
상기 발명은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의 전달과 관계되며, 상기 발명에 따르는 풀리(pulley)를 제공한다.
상기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을 따르는 풀리의 도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연속적으로변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풀리(1)는 풀리 샤프트(2) 위에 위치하고 고정 시브(3)와 이동 시브(4)로 구성된다. 상기의 이동 시브(4)는 이동 장치(6)에 의해서 풀리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의 이동 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유압 장치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의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유압 장치는 이동 시브(4), 실린더(8), 피스톤(9), 풀리 샤프트(2) 그리고 이동 시브의 칼라(10)에 의해 밀봉되는 압력 챔버(7)를 갖는다. 상기 피스톤(9)은 풀리 사프트(2)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피스톤의 다른 단부는 실린더(8)에 접한다. 오일과 같은 액체가 압력을 발생 시키기 위해서 압력 챔버(7)로 유료(11)를 따라 들어가거나 흘러 나온다. 상기의 방법으로 이동시브(4)가 풀리 샤프트(2)의 축방향에서 움직여 질 수 있게 된다. 구동벨트(5)는 시브들(3,4)사이에 장치된다. 상기 시브들(3,4)사이에서 구동 벨트의 반지름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동력전달율을 부분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동 장치(6)를 사용하여 풀리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이동시브(sheave)를 이동시킴으로서 시브들(3,4) 사이에서 구동벨트(5)의 방사상의 반지름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동력 전달율이 특정 영역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값들을 갖도록 조정될 수 있다.
풀리 샤프트(2)와 시브들(3,4)사이에서 토크가 전달되려면, 이동시브(4)가 풀리샤프트(2)위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장치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상기 이동 시브(4)는 다양한 동력 전달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풀리 샤프트(2)의 축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어야만 한다. 상기의 시브(4)는 풀리 샤프트위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장치되나, 축 방향으로는 톱니 결합 장치(12)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게 장치된다. 상기의 톱니 결합 장치(12)는 이동장치(6)의 외부면에서 축을 따라 방사상으로 장치된다. 상기의 경우에서 톱니결합장치(12)는 실린더(8)의 외부면과 벽(13)위에 모두 장치된다. 상기 벽(13)은 벽(14)에 의해서 풀리 샤프트(2)위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의 이동 시브(4)는 풀리 샤프트(2)의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렇지만, 상기의 결합 방법은 원방향 (상사상외 방향) 및 축방향 모두에서 추가적인 결합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게다가, 추가적인 부품들인 벽(13,14)들은 제조 비용을 비싸게 하고 제조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풀리 샤프트(2)에 대한 이동 시브들의 축방향 이동이 원할히 수행되기 위해서, 압력 챔버(7)들이 외부로 부터 적당하게 밀봉되어야 한다. 그리고 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체가 압력 챔버(7)로 부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륵 하기 위해서 밀봉장치(15)로 피스톤(9)과 실린더(8) 사이를 밀봉한다.
도 2는 발명에 따르는 풀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풀리(pulley)(20)는 풀리샤프트(21)위에 놓여지며, 고정시브(22)와 이동시브(23)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이동시브는 이동장치(24)에 의해서 풀리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의 이동장치(24)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의 형태를 가지며, 두 개의 챔버(25,26)와 그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대기압 챔버(28)를 가진다. 압력이 발생시키는 액체가 유로(33,34)들을 통해서 챔버들(25,26) 각각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챔버들로 부터 유출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이동시브(23)은 풀리샤프트(28)의 축방향을 다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압력 챔버(25)는 이동시브(23), 실린더(30), 피스톤(27)과 이동시브(23)의 칼라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압력 챔버(26)은 피스톤(29), 실린더(31), 벽(32) 그리고 풀리 샤프트(21)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의 피스톤(27)은 실린더(30)와 칼라(35) 사이에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피스톤(27)은 실린더(3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9)은 칼라(35)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른 단부는 실린더(310에 접하나 실린더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이동 장치(24)의 내부에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된 것을 다수의 밀봉링(36)들이며, 상기의 밀봉링(36)들은 상기의 압력 챔버(25,26)들을 대기압 챔버(28)와 외부로 부터 밀폐 시킨다. 상기 대기압 챔버(28)는 밀폐되어 있지 않으며, 실린더(31)내에 있는 다수의 슬릿(slit)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실린더(30,31)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외부와 연결되어 있다.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풀리는 고정 장치인 링(41,42)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고정을 위한 링(41,42)들은 이동 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실린더 구조에서 실린더의 내부면에 장치되며, 상기 이동 시브(23)를 풀리 샤프트(21)의 회전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의 고정을 위한 링(41,42)들이 실린더(30) 내부에 장치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적은 반지름 방향 및 축방향의 결합 공간을 갖는 간단하며 경제적인 풀 리가 얻어진다.
단면 A-A는 이동장치(24)와 실린더(30,31)들 사이에 장치된 고정 장치들을 자세히 보기 위해 확대 시킨 것이다. 상기의 고정 장치들은 실린더(30,31)들의 전원주 둘레에 걸쳐 장치 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하며 상기 고정 장치들은 적은 수의 부품들로 구성되며, 그로 인해 간단한 구조와 토크의 전달에 있어서 발생되는 힘의 효율적인 분산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고정 장치인 링들은 실린더(31)의 외부면에 장치되는 내부링(41)과 실린더(30)의 내부면에 장치되는 외부링(42)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내부링(41)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는 프로파일(43)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외부링(42)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는 프로파일(44)로 구성된다. 상기의 두 프로파일(43,44)들은 서로 맞물려 있으며 그리고 풀리 샤프트(2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이동시브(23)가 움직이지 않도륵 이동 시브(23)을 고정시킨다. 상기의 내부링(41)과 외부링(42)은 축방향에서 서로 경사를 이루며 지나게 되고, 그렇게 해서 풀리 샤프트(21)에 대한 이동시브의 축방향 이동을 방해 하지 않게 된다. 풀리 샤프트(21)에 대한 이동 시브(23)의 제멋대로의 회전을 가능한한 적게 하기 위해서, 상기의 프로파일(43,44)들은 내부링(41)과 외부링(42) 각각에 대해서 회전 방향으로는 거의 틈이 없도록(최소의 공차를 가지고서)서로가 결합된다.
회전 방향내에서, 두 프로파일(43,44) 사이의 운동은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서 내부링(41)과 외부링(42)이 대기압 챔버(28)를 외부로 부터 밀봉 시켜서는 안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상기의 프로파일(43,44)들은 반지름 방향내에서 약간 평평하게 구성되며, 그렇게 해서 내부링(41)과 외부링(42) 사이의 방사상의 (반지름상의)방향에서 약간의 운동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의 구조는 대기압 챔버(28)에 공기가 들어오거나 빠져 나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게 해서 풀리 샤프트(21)에 대한 이동 시브(23)의 축방향 운동과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의 동력 전달율의 지정이 얻어진다.
풀리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이동 시브(23)가 이동되는 동안, 내부링(41)과 외부링(42) 경사를 이루면 서로 지나게 된다. 이동시브(23)의 축방향 이동을 진행 시키기 위해서는 내부링(41)과 외부링(42)의 접촉면은 축방향에 대해서 낮은 마찰계수를 가져야 한다. 저 마찰계수는 내부링(41)과 외부링(42)을 합성 물질로 만듦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적당한 합성 물질은 폴리아미드(나일론-6) 또는 테이프론 일 수 있고, 내부링(41)과 외부링(4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부링(41) 및 외부링(42)은 쉽고 경제적인 기술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의 내부링(41)과 외부링(42)은 가벼우며, 내마모성이 강하고 장착이 용이하다.
상기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내부링(41)와 외부링(42)은 다각형 구조의 두 프로파일(43,44)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프로파일(43,44)들은 톱니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수도 있다.
도 3에서 풀리축 상부는 상기 발명에 따르는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면 풀리축 하부는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의 풀리(50)는 풀리 샤프트(51) 위에 위치하며, 고정 시브(52)와 이동시브(5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이동 시브(53)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동장치(54)에 의해 풀리 샤프트(5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풀리(50)는 내부링(60)과 외부링(62)을 가지며, 상기의 링들은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동장치(54)의 실린더(56) 내부에 장치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내부링(61)과 외부링(62)은 대기압 챔버(58)에 대해 압력 챔버(55)를 밀봉하는 피스톤(57)과 실린더(56)의 위치에 장치된다. 내부링(61)은 피스톤(57)위에 장치되며,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는 프로파일(63)을 가지는 반면, 외부링(62)은 실린더(56)의 내부에 장치되며,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는 프로파일(64)을 갖는다. 상기 두 개의 프로파일은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적은 공차를 가지고 서로 밀착되어 있어, 이동시브(53)이 풀리 샤프트(51)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 챔버(55)가 밀봉되는 위치에서 내부링(61)과 외부링(62)의 결합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전달율을 지정이 방해 받지 않도록 적당한 밀봉 작용을 하게 된다. 단면 B-B는, 상기 프로파일(63,64)들이 전체 원둘레에 걸쳐서 좁은 공차를 가지고 서로 연결되는 모양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이다. 상기의 구조는 압력 챔버(55)의 자유이동 밀봉과 풀리 샤프트(51)에 대한, 이동 시브(53)의 비회전 고정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압력 챔버(55)의 개선된 밀봉은 도 3의 풀리 하부에서 제시되었듯이 밀봉링(650과 같은 추가적인 밀봉 장치를 갖는 고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지며, 단면 C-C와 D-D가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서 확대 되어있다. 상기 밀봉링(65)은 고정장치의 내부링(61)안에 만들어진 그루브(66)내의 실린더(56)의 전 원주둘레를 따라 장치된다. 상기 밀봉링(65)의 외형은 (contoure)는 상기 외형이 내부링(61)의 프로파일(63)을 일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압력 챔버(55)는 결과적으로 밀봉되며, 반면에 밀봉링(65)은 이동시브(5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는다. 상기의 밀봉링(65)는 원한다면 표면 O-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 에서 나타나는 고정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 사익 내부링(61)과 외부링(62)은 합성 물질 또는 경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간단하며, 가볍고, 경제적이며, 그리고 내마모성이 큰 구조가 간단한 제조 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조는 풀리 샤프트(51)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브(5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이동 장치(54)로 부터 압력 챔버(55)를 적당하게 밀봉시킨다.
고정장치가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동 장치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장치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며, 특히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가 내부 및 외부링을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풀리 (pulley)단면도,
도 2는 상기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의 풀리 단면도,
도 3은, 상기 발명에 의한 제 2 및 제 3의 실시예로서의 풀리 단면도.
부호의 설명
1,20,50........ 풀리(pulley) 2,21,51........ 풀리 샤프트
3,22,52........ 고정시보(sheave) 4,23,53........ 이동시브
5........ 구동벨트 6,24,54........ 이동장치
7,25,26,55........ 압력 챔버 8,30,31,56........ 실린더
9,27,29,57........ 피스톤 10,35........ 칼라
11,34,33........ 유로(流路)
12........ 튬니결합장치(tooth/groove connection)
13,14,32........ 벽 15........ 밀봉장치
28,58........ 대기압 챔버 36,65........ 밀봉링
41,42,61,62........ 링 43,44,63,64........ 프로파일
66........ 그루브

Claims (16)

  1. 풀리 샤프트(Pulley shaft) 상에 위치된 두 개의 시브(sheave)가 제공되어지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기 시브(sheave)들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장치로 구성되는 이동 장치(movement means)에 의해서 풀리 샤프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풀리 샤프트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 상기 이동 시브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fixing means)가 역시 제공되어지는, 특히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풀리(pulley)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이동 장치의 적어도 실린더 내에 장치(fit)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fixing means)는 실린더의 전체 원주둘레에 걸쳐서 장치(fit)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의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장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이동장치는 두 개의 실린더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장치의 실린더들 사이에 장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내부링 또는/및 외부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방사적으로 외부로 향하는 프로파일(profile)과 방사적으로 내부로 향하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파일들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로파일들은 적어도 회전방향에 대해서 최소의 공차(tolerane)를 가지고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들의 프로파일들은 톱니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들의 프로파일들은 다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들은 피스톤과 실린더가 압력 챔버(pressure chamber)를 밀봉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장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밀봉장치(sea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장치는 회전방향으로 프로파일들 중 하나의 프로파일, 선호적으로는 방사적으로 외부로 향하는 프로파일의 외형 윤곽선(contour)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장치는 O-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접촉면들은 적어도 축방향에 대해서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합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KR1019960032287A 1995-08-04 1996-08-02 풀리 KR100466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0932 1995-08-04
NL1000932A NL1000932C2 (nl) 1995-08-04 1995-08-04 Poel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509A KR970011509A (ko) 1997-03-27
KR100466282B1 true KR100466282B1 (ko) 2005-04-19

Family

ID=1976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287A KR100466282B1 (ko) 1995-08-04 1996-08-02 풀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76022A (ko)
EP (1) EP0760440B1 (ko)
JP (1) JP3779383B2 (ko)
KR (1) KR100466282B1 (ko)
DE (1) DE69612151T2 (ko)
ES (1) ES2155164T3 (ko)
NL (1) NL100093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0932C2 (nl) * 1995-08-04 1997-02-06 Doornes Transmissie Bv Poelie.
JP3248615B2 (ja) * 1997-01-24 2002-01-21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プーリ用シリンダ構造
DE19921750B4 (de) * 1998-05-18 2012-03-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Getriebe
US6561934B2 (en) * 2000-02-18 2003-05-13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Oil pressure control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60106414T2 (de) * 2001-06-18 2005-10-20 Van Doorne's Transmissie B.V. Stufenloses Getriebe und Riemenscheibe
DE10255536B4 (de) 2002-11-28 2005-07-28 Audi Ag Antriebsanordnung mit hydraulisch gesteuertem Umschlingungsgetriebe sowie mit einem Differenzialgetriebe
JP4039379B2 (ja) * 2004-03-23 2008-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US7686715B2 (en) * 2004-07-08 2010-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ybrid clamping mechanism for 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70052741A (ko) * 2004-08-19 2007-05-22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원뿔 풀리 가요성 구동 트랜스미션, 상기 구동트랜스미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을 구비한차량
US20060154761A1 (en) * 2005-01-11 2006-07-13 Brown Albert W Single cha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690716B2 (en) * 2006-08-12 2014-04-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transmission
JP4970344B2 (ja) * 2008-05-26 2012-07-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式アクチュエータ
JP4670904B2 (ja) * 2008-05-30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NL2002260C2 (nl) * 2008-11-28 2010-05-31 Bosch Gmbh Robert Verstelbare poelie voor een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JP5397552B2 (ja) * 2010-09-15 2014-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
DE112011105093T5 (de) * 2011-03-25 2014-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iemengetriebenes stufenlos einstellbares Getriebe
US9182017B2 (en) * 2011-03-31 2015-11-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elt-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NL1039977C2 (en) * 2012-12-27 2014-06-30 Bosch Gmbh Robert HYDRAULICALLY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324137B2 (ja) * 2014-03-24 2018-05-16 ジヤトコ株式会社 シール機構付き車両用無段変速機
MX2019006810A (es) * 2017-02-20 2019-08-14 Unipres Corp Pared divisoria para polea primaria en la transmision variable continua de tipo corre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3028A (en) * 1955-02-25 1958-09-23 Century Machine Company Dough handling apparatus
US4504246A (en) * 1983-12-14 1985-03-12 Borg-Warner Corporation Revised spline drive for metal belt CVT
JPH0512825U (ja) * 1991-07-30 1993-02-19 株式会社山田製作所 Vベルトの無段変速機のプーリー構造
US5334108A (en) * 1992-03-09 1994-08-02 Van Doorne's Transmissie B.V. Pulley
JPH07198010A (ja) * 1993-12-15 1995-08-01 Van Doornes Transmissie Bv プーリ
JPH09105445A (ja) * 1995-08-04 1997-04-22 Van Doornes Transmissie Bv 調 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7165B (de) * 1961-01-25 1962-04-05 Reimers Getriebe K G Stufenlos verstellbares Getriebe mit zwischen Kegelscheibenpaaren laufendem Zugmittelstrang und hydraulischer Steuerung
US3948111A (en) * 1970-11-27 1976-04-06 P.I.V. Antrieb Werner Reimers Kg Cylinder/piston aggregate on a rotating shaft
DE2853028A1 (de) * 1978-12-08 1980-06-12 Piv Antrieb Reimers Kg Werner Stufenlos einstellbares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US4552545A (en) * 1984-06-18 1985-1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Centrifugal pressure compensator for a variable drive pulley
FR2574516B1 (fr) * 1984-12-07 1990-06-22 Valeo Poulie de variateur de vitesse a moyen d'etancheite a la peripherie du flasque mobil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0233881B1 (de) * 1984-10-24 1989-04-26 ZF FRIEDRICHSHAFEN Aktiengesellschaft Lamellenkupplung mit klauenkupplung
NL8800315A (nl) * 1988-02-10 1989-09-01 Doornes Transmissie Bv Traploos variabele overbrenging.
US5458540A (en) * 1993-03-08 1995-10-17 Ford Motor Company Flow control valv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3028A (en) * 1955-02-25 1958-09-23 Century Machine Company Dough handling apparatus
US4504246A (en) * 1983-12-14 1985-03-12 Borg-Warner Corporation Revised spline drive for metal belt CVT
JPH0512825U (ja) * 1991-07-30 1993-02-19 株式会社山田製作所 Vベルトの無段変速機のプーリー構造
US5334108A (en) * 1992-03-09 1994-08-02 Van Doorne's Transmissie B.V. Pulley
JPH07198010A (ja) * 1993-12-15 1995-08-01 Van Doornes Transmissie Bv プーリ
JPH09105445A (ja) * 1995-08-04 1997-04-22 Van Doornes Transmissie Bv 調 車
US5776022A (en) * 1995-08-04 1998-07-07 Van Doorne's Transmissie B.V. Pulley
EP0760440B1 (en) * 1995-08-04 2001-03-21 Van Doorne's Transmissie B.V. Pu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00932C2 (nl) 1997-02-06
EP0760440A1 (en) 1997-03-05
US5776022A (en) 1998-07-07
EP0760440B1 (en) 2001-03-21
JPH09105445A (ja) 1997-04-22
JP3779383B2 (ja) 2006-05-24
DE69612151T2 (de) 2001-09-27
ES2155164T3 (es) 2001-05-01
DE69612151D1 (de) 2001-04-26
KR970011509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282B1 (ko) 풀리
US6398679B1 (en) Dual Driv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527269B1 (ko) 연속 가변 변속 풀리
EP0777069B1 (en) Pulley
EP0777070B1 (en) Pulley
GB2339865A (en) Rapidly adjusted cone pulley belt CVT gearbox with three hydraulic chambers
US5122099A (en) Two-speed planetary friction accessory drive
JP3790027B2 (ja) 伝動装置
EP0180089B1 (en) Infinitely variable belt drive with low friction seal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sheaves
HU9801582D0 (en) Adjustable under way, continuously controlled torque differential gear for running gears
JPH0676821B2 (ja) 連続可変変速機用のプーリ
US6105463A (en) Transmission and transaxle casing
US4995279A (en) Transmission systems
US4772247A (en) Integrated fixed drive belt sheaves for a continually variable transmission
US5496124A (en) Tensioning assembly
GB2305978A (en) Auxiliary hydraulic motor for road vehicles
US5884739A (en) Coupling assembly with reservoir for highly viscous fluid
GB2371840A (en) Twin coupling device
US20010020368A1 (en) Vapour lead-through system for a rotary evaporator, and a rotary evaporator
US4713041A (en) Non-lubricated drive belt system for a continual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494959B1 (ko) 자동차용유체동력학커플링장치
GB2096237A (en) Isolation of auxiliary-device drive belt from torsional vibrations of an I.C. engine
US20230160463A1 (en) Cone pulley arrangement for a cone pulley transmission with nested components
JPS634844Y2 (ko)
US20030186770A1 (en) Varibale displacement oil hydraulic motor and crawler vehicle drive speed reduc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