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311B1 -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311B1
KR100465311B1 KR1019960029279A KR19960029279A KR100465311B1 KR 100465311 B1 KR100465311 B1 KR 100465311B1 KR 1019960029279 A KR1019960029279 A KR 1019960029279A KR 19960029279 A KR19960029279 A KR 19960029279A KR 100465311 B1 KR100465311 B1 KR 10046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jog dial
user
text data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003A (ko
Inventor
다꾸시 구니히로
후꾸하루 수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00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67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771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89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07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46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09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2475B2/ja
Priority claimed from US08/509,587 external-priority patent/US5883921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09,590 external-priority patent/US5694417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09,589 external-priority patent/US567533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09,588 external-priority patent/US5654991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09,586 external-priority patent/US5732105A/en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003A/ko
Publication of KR10046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종래의 휴대통신단말장치에서는 전자메일의 송신시 송신될 전문장을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장치에는 비교적 자주 쓰이는 약간의 정형문이 기억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임의의 문자열은 정형문의 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송신문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경감된다.

Description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본 발명은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서비스 중에는 비교적 단문의 텍스트데이터를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전자메일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통상, 이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대개 송신하는 문장 전부를 텐키(ten key)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전화기의 경우 입력에 이용할 수 있는 키의 수는 한정되어 있고, 또 키자체도 작으므로 단문이라도 그 입력하는데 수고가 많고, 시간이 걸리는 귀찮은 일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전송될 문장이 빠르고 쉽게 입력될 수 있는, 텍스트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휴대용통신단말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장치의 동작을 선택하고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수단과, 최소한의 문자 및 커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과, 특정한 복수의 텍스트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형적 패턴의 상기 복수의 텍스트데이터중에서 선택된 텍스트데이터를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동시에 입력된 문자를 입력수단을 이용해서 상기 표시된 텍스트데이터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여 송신문을 완성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여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성, 원리 및 유용성 등은 동일부분을 동일한 참조번호 및 문자로 표시하고 있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의 상세한 기술을 읽으면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도면과 관련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술한다.
(1)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휴대통신단말장치의 일예로써 휴대전화기(1)를 나타낸다.
휴대전화기(1)는 제어회로(2)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변복조회로(3) 및 음성부호화/복호화회로(4) 등의 내부회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시 변복조회로(3)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스위치(SW)를 거쳐서 입력하고, 변조된 신호를 음성부호화/복호화회로(4)에 출력한다. 이때 음성부호화/복호화회로(4)는 복조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복호하여 앰프(5)를 거쳐 스피커(6)에 출력한다.
송신시 음성부호화/복호화회로(4)는 마이크로폰(7) 및 앰프(8)를 거쳐서 입력한 음성신호를 부호화하고, 그것을 변복조회로(3)에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변복조회로(3)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로 변조하여 스위치(SW) 및 안테나를 거쳐 발신한다.
또한 이 휴대전화기(1)에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나 이름을 전화번호부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외에도, 비교적 단문의 문장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메일기능이 부설되어 있다. 이들 기능의 실행시에 문자나 숫자의 입력 등에 이용되는 것이 버튼키(9) 및 죠그다이얼(10)이다.
버튼키(9)는 「0」∼「9」까지의 10개의 숫자키외에, 몇개의 누름버튼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 버튼키(9)를 구성하는 10개의 숫자키「0」∼「9」중 「0」및「1」을 제외한 8개의 숫자키「2」∼「9」에는 복수의 알파벳이 각각 할당되어 있어 이들 각 키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2」에는 「a」∼「c」,「3」에는 「d」∼「f」가 할당되어 있다. 다른키도 이와 같다.
또한 알파벳을 입력할때는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숫자키를 몇번 누르면 된다. 예를들면 「a」를 입력할 때는 숫자키「2」를 1번 누르고, 「b」는 숫자키「2」를 2번 누르며, 동일하게 「c」는 숫자키「2」를 3번 누르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죠그다이얼(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주방향(A← →B)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동시에 반경방향(C← →D)으로도 슬라이드할 수 있는(slidable) 원판형의 부재와 스위치(SW)로 구성되어 있다. 원판형의 부재라는 것은 전극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을 서로 대면시켜서 형성되는 2장의 원판을 슬라이드판(도시생략)에 고정시킨 로터리엔코더(10A)이다. 여기서 슬라이드판은 통상 스프링의 힘에 의해 화살표(C)방향으로 눌러지고, 사용자가 죠그다이얼(10)을 반경방향으로 눌렀을때만 슬라이드하여 스위치(SW)의 전극을 닫는다.
사용자는 이 죠그다이얼(1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서가 표시되는 행을 상하로 이동시킨다던지, 문자를 전환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죠그다이얼(10)을 반경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기능의 선택을 확정한다던지, 문자의 입력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버튼키(9)나 죠그다이얼(10)을 이용해서 입력되고 선택된 정보는 메모리(11)에 기억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11)는 상기 정보의 기억에 이용되는 것 이외에도, 전자메일용의 정형문을 기억하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11)에 기억되어 있는 정형문은 전자메일의 작성시에 비교적 자주 이용되는 문장이고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열을 지정된 위치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정형문 중 하나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로 나타내는 위치가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을 삽입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들 각종정보는 LCD구동회로(12)에 의해 구동되는 LCD장치(13)에 표시된다.
(2) 전자메일기능
이하 전자메일기능을 선택시에 실행되는 송신문입력수순을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기능 일람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메일기능이 선택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회로(2)는 스텝(SP1)에서 스텝(SP2)으로 이동해서 메시지작성기능을 호출한다. 이 메시지작성기능이 시동하면 제어회로(2)는 스텝(SP3)으로 이동해서 표시화면을 정형문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바꾸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때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1개를 선택하면 제어회로(2)는 스텝(SP4)으로 이동해서 선택된 정형문을 LCD장치(13)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로 되면 제어회로(2)는 스텝(SP5)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처리로 이동하고, 어떤 입력이 있으면, 스텝(SP6)으로 이동해서 입력의 내용이 삽입장소를 선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삽입장소의 선택인 경우 제어회로(2)는 긍정결과를 얻어서 스텝(SP7)으로 진행하고, 지시된 위치로 커서(K)를 이동시키도록 LCD구동회로(12)에 지시를 보낸다.
이후 제어회로(2)는 스텝(SP8)의 처리로 이동하여, 지시된 위치에 커서(K)를 표시시키고 스텝(SP5)으로 되돌아간다.
반면, 스텝(SP5)에 있어서의 조작이 삽입장소의 선택이 아닌 경우, 제어회로(2)는 스텝(SP6)에 있어서 부정결과를 얻고 스텝(SP9)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내용이 입력을 확정하기 위한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진 경우, 제어회로(2)는 아직 단문의 작성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것에 유의하여 스텝(SP10)으로 진행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커서(K)가 자리하는 위치(행)에 삽입하도록 LCD구동회로(12)에 지시를 보낸다.
이후 제어회로(2)는 스텝(SP11)의 처리로 이동하여, 지시된 위치에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하고 스텝(SP5)으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스텝(SP9)에 있어서, 긍정결과가 얻어진 경우 제어회로(2)는 스텝(SP12)의 처리로 이동해서 작성된 단문을 변복조회로(3)를 거쳐서 송신시키고, 스텝(SP13)에 있어서 메시지작성기능 및 전자메일기능을 종료한다.
(3) 표시예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메일기능의 매시지작성기능을 이용한 단문의 작성시 동작예를 도 5a, 도 5b 및 도 6에 나타낸다.
사용자가 기능선택화면에서 전자메일기능을 선택하면 LCD장치(11)의 화면상에는 복수의 정형문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의 정형문을 선택하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화면을 보면서 문자열을 입력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죠그다이얼(1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커서(K)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5a는 죠그다이얼(10)을 원주방향의 하향으로 회전시켜「from」의 후에 커서(K)를 이동시킨 예이다.
이와같이 삽입할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임의의 문자열을 버튼키(9)를 이용해서 입력한다.
이 예의 경우 사용자는 「MIKE」를 입력했다. 이 입력도중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 도 5b이다.
여기서 「MIKE」를 입력하는 것외에 다른 문자열을 입력하지 않는 것이라면 사용자는 죠그다이얼(10)을 원주방향의 하향으로 회전시키고, 입력확정기호 상에 커서(K)를 이동시킴으로써 송신문의 확정을 입력한다.
이 송신문의 확정후 휴대전화기(1)는 안테나를 거쳐서 「please call me/ dial no/ at/ from MIKE」라는 한 단문을 송신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송신문의 전문을 입력하지 않고 정형문을 이용해서 극히 적은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상대편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자메일기능의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전화기(1)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4) 다른 실시예
앞서 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형문의 한 예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문장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 이외의 여러가지 정형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자열을 삽입할 수 있는 위치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형문 중「▽」으로 나타내고 있는 장소만으로 하였으나 문자열은 다른 장소에도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에 대해서도 수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확정 기호상에 커서(K)를 이동하는 것으로써 작성문의 입력을 확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입력의 확정을 휴대전화기(1)에 지시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전화기에 입력확정키가 있는 경우에는 그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을 확정할 수도 있고, 또 죠그다이얼(10)을 반경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입력을 확정할 수도 있다. 또한, 커서(K)가 문서 전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이 아닌 장소를 커서(K)로 선택함으로써 입력을 확정할 수도 있다.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진 죠그다이얼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구조를 가진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죠그다이얼(10)에 대신해서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조작시에 키에서 손을 놓으면 항상 뉴트럴의 위치로 되돌아는 셔틀키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의 입력수단으로써 버튼키(9)와 죠그다이얼(10)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키와 죠그다이얼 중 어느 한편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버튼키(9)만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전화기(1)에도 죠그다이얼(10)만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전화기(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수단으로써 LCD장치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 이외의 표시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단말장치의 예로써 휴대전화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정보단말기 등의 통신단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메일의 작성시 선택한 정형문의 일부에 임의의 문자열을 첨가하는 것만으로 송신문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써 송신문을 빠르고 쉽게 작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그 기술에 있어 능숙한 이에 의해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꾀하여 질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화와 수정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에 귀속되는 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확실하게 보호받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단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죠그다이얼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정형문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전자메일 기능 선택시의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a와 도 5b는 정형문을 이용한 송신문 작성시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 6도는 입력확정시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기 2. 제어회로
3. 변복조회로 4. 음성부호화/복호화회로
5, 8. 앰프 6. 스피커
7. 마이크로폰 9. 버튼키
10. 죠그다이얼 11. 메모리
12. LCD구동회로 13. LCD장치

Claims (6)

  1. 휴대통신단말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문자기호를 입력하고, 상기 문자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키와, 스위치를 갖는 조그다이얼 및 상기 조그다이얼을 상기 스위치로부터 스프링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조그다이얼은 상기 정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면과 평행한 면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조그다이얼은 상기 스위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측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정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입력수단과,
    상기 문자 기호 및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소정의 사용자 입력삽입부분을 갖는 복수의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을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조그다이얼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에서 선택된 상기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중 하나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선택된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중에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입력 삽입점에만 상기 문자 기호를 삽입하고, 상기 소정의 사용자 입력 삽입점에만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한 문자 기호를 갖는 상기 선택된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에 의해 형성된 편집된 문장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문장에, 상기 소정의 사용자 입력 삽입점에 복수의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더 제어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마크와 상기 커서가 겹쳐지는 위치에서 상기 입력수단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문자기호의 삽입을 제어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들은 푸시버튼키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다이얼은 로터리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기호는 상기 조그다이얼을 상기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위치를 활성화시켜 선택되고, 상기 문자기호는 상기 조그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전환되는 텍스트테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장치.
KR1019960029279A 1995-07-13 1996-07-19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KR100465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0593 1995-07-13
JP7200593A JPH0936768A (ja) 1995-07-13 1995-07-13 受信用icおよびスーパーヘテロダイン受信機
JP7207719A JPH0934621A (ja) 1995-07-21 1995-07-21 携帯通信端末装置
JP95-207719 1995-07-21
JP20771695A JP3508961B2 (ja) 1995-07-21 1995-07-21 端末装置
JP95-207716 1995-07-21
JP95-209240 1995-07-25
JP7209240A JP2792475B2 (ja) 1995-07-25 1995-07-25 入力バッファ
US08/509,590 US5694417A (en) 1995-07-31 1995-07-31 Short burst direct acquisitio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US08/509589 1995-07-31
US08/509,587 US5883921A (en) 1995-07-31 1995-07-31 Short burst acquisition circuit and method fo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links
US08/509,589 US5675339A (en) 1995-07-31 1995-07-31 A/D reference level adjustment circuit to maintain optimum dynamic range at the A/D
US08/509588 1995-07-31
US08/509587 1995-07-31
US08/509590 1995-07-31
US08/509,588 US5654991A (en) 1995-07-31 1995-07-31 Fast acquisition bit timing loop method and apparatus
US08/509586 1995-07-31
US08/509,586 US5732105A (en) 1995-07-31 1995-07-31 Method of estimating signal quality in a DPSK demod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003A KR970009003A (ko) 1997-02-24
KR100465311B1 true KR100465311B1 (ko) 2005-04-13

Family

ID=662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279A KR100465311B1 (ko) 1995-07-13 1996-07-19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254A (en) * 1986-06-30 1989-01-17 Wang Laboratories, Inc.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mote database query
KR930024442A (ko) * 1992-05-28 1993-12-22 이헌조 영상기기의 동작명령 입력장치 및 원격제어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254A (en) * 1986-06-30 1989-01-17 Wang Laboratories, Inc.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mote database query
KR930024442A (ko) * 1992-05-28 1993-12-22 이헌조 영상기기의 동작명령 입력장치 및 원격제어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003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336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text data
JP3508961B2 (ja) 端末装置
KR100808319B1 (ko) 휴대용 전화기
US7453462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4865B1 (ko) 휴대용통신장치
KR19980042677A (ko) 정보입력장치, 커서이동장치 및 휴대용 전화
JP2001111672A (ja) 移動体通信端末
US81889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numbers in mobile terminal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KR100465311B1 (ko)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KR100461523B1 (ko) 일본어문자입력장치및방법,휴대전화단말기및휴대전화단말기의일본어문자입력방법
EP11118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crolling means for scrolling through a two-dimensional array of characters
TW526443B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JP2004343778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030006960A (ko)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JPH08125603A (ja) 通信端末装置
EP111194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editing mode for editing messages of a predetermined maximum length
JP2002342005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JPS5849051B2 (ja) 移動メツセ−ジ通信における入力方式
KR970010837B1 (ko) 전화기의 한글 저장 방법
KR19990015990A (ko) 사용자 선택기능에 대한 음성안내메시지 출력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JP4429542B2 (ja) 携帯通信端末
JPH0934431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