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60A -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60A
KR20030006960A KR1020020025266A KR20020025266A KR20030006960A KR 20030006960 A KR20030006960 A KR 20030006960A KR 1020020025266 A KR1020020025266 A KR 1020020025266A KR 20020025266 A KR20020025266 A KR 20020025266A KR 20030006960 A KR20030006960 A KR 2003000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ymbol
displayed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쿠토시히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키 등을 배치하는 위치가 한정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종류가 많은 문자 입력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시키고, 소정의 조작으로 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기호와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시키고, 소정의 조작으로 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 단말 등의 비교적 소형의 전자기기에 적용하는데 알맞는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휴대전화 단말, 페이저장치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숫자, 문자, 도형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단말의 경우에는 전자 전화번호부라고 칭하여지는 기능을 구비하고, 수백건 정도의 복수 전화번호를 기억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기억된 각각의 전화번호마다, 누구에게 발신되는 전화번호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이름 또는 명칭(회사명 등)을 기억시키고, 그 기억된 전화번호와 이름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기종이 있다. 또한, 문자 메세지의 전송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 단말의 경우에는, 이 휴대전화 단말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다른 전화기에 대하여 송신하거나, 다른 전화기로부터 송신된 문자 정보를 이 휴대전화 단말에서 수신하여 표시수단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표시수단으로 a, b, c …와 같은 알파벳과 같이 비교적 문자 수가 적은 문자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입력용 숫자 키와 같은, 기기에 배치된 10개 정도의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되는 언어에 따라서는 숫자 키 등의 10개 정도의 제한된 수의 키에는 신속한 문자 입력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문자인 한글 문자의 경우에는 문자의 종류가 수백이고, 10개 정도의 키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입력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퍼스널 컴퓨터장치가 구비하는 것과 같이, 배치되는 키의 수가 많은 키보드가 준비될 수 있다면, 그 키보드를 사용하여 알파벳화된 발음의 입력으로 어느 정도는 간단히 문자의 입력이 행하여질 수 있으나, 휴대전화 단말과 같은 소형의 전자기기에 그와 같은 다수의 키를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한글 문자 이외의 언어 문자인 경우에도, 그 문자 수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문자 입력이 간단히 행하여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전화 단말에서 한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의 문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휴대전화 단말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각종 전자기기로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키 등을 배치하는 위치가 한정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종류가 많은 문자의 입력이 양호하게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시키고, 소정의 조작으로 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기호와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시키고, 소정의 조작으로 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가, 각 발음 요소를 나타내는 기호를 차례로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 만으로 특정되며, 그 특정된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킴으로써 간단히 문자 입력이 행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한글 문자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문자 입력 처리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예(받침의 입력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10", 10"' : 휴대전화 단말
31 : 중앙제어 유닛 32 : 메모리
33, 33a, 33b, 33c, 35, 36, 37 : 조작 키
34, 34' : 회전형 조작부 40 : 표시부
41 : 제1 표시자릿수
42 : 제2 표시자릿수, 제3 표시자릿수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무선전화용의 기지국 등으로 소정의 무선전화 회선에 의해 무선통신을 행하고, 음성 데이터의 전송에 의한 통화나 각종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 질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로,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휴대전화 단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휴대전화 단말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중앙제어 유닛(CPU)(31)을 구비하고, 이 중앙제어 유닛의 제어로 무선전화로서의 통신이나 이 단말이 구비하는 각종 기능이 실행된다.
무선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서는, 마이크로폰(11)이 취한 음성 신호를 앰프(12) 등으로 베이스 밴드 처리를 행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로 소정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4)에 공급하여 송신용 데이터 구성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중앙제어 유닛(3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 등도 송신용 데이터에 부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처리부(14)에서 처리된 송신용 데이터는 변조부(15)에 공급하여 송신용으로 변조한다. 변조부(15)에서 변조된 데이터는 송신용 고주파회로부(16)에 공급하여 송신 주파수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고주파회로부(16)에서 송신 주파수로 변환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17)를 통하여 안테나(18)에 공급하고,안테나(18)로부터 무선송신시킨다.
또한, 안테나(18)에서 수신한 신호를 안테나 전환 스위치(17)를 통하여 수신용의 고주파회로부(19)에 공급하고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중간 주파 신호(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처리를 행한다. 고주파회로부(19)에서 변환된 중간 주파 신호는 복조부(20)에 공급하여 수신용으로 복조한다. 복조부(20)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4)에 공급한다. 데이터 처리부(14)에서는 공급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추출된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에서 변환된 음성 신호는 앰프(22) 등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를 행한 후, 스피커(23)로부터 출력시킨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4)에서 추출한 제어 데이터는 중앙제어 유닛(31)에 공급한다.
중앙제어 유닛(31)은 메모리(32)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메모리(32)에 무선전화기로서 필요한 동작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시키고 있다. 또한,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전자 전화번호부 데이터나 문자 메세지 정보 등의 사용자 조작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메모리(32)가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의 경우에는 전자 전화번호부 데이터나 문자 메세지 정보로서, 알파벳 등의 문자 이외에 한국 문자인 한글 문자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한글 문자를 소정의 코드로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이 한글 문자의 입력을 행할 때 필요한 검색 처리에 필요한 정보에 관해서도 메모리(32)에 기억시키고 있다. 그 검색 처리에 필요한 기억 정보에 관해 설명하면, 한글 문자는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발음요소의 기호에 관해서 기억시키고 있다. 이 발음요소의 기호를 사용한 한글 문자 입력의 구체적인 검색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휴대전화 단말은, 1, 2, 3‥‥9, 0의 숫자 및 #, *의 기호에 대응한 다이얼 키나, 발신 키, 종료 키 등의 복수의 기능 키가 배치된 조작 키(33)를 구비하는 동시에,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조작이 행하여질 수 있는 회전형 조작부(34)를 구비한다. 이 회전형 조작부(34)는 조그다이얼 등이라고 칭하여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 조작 키(33) 및 회전형 조작부(34)를 조작하였을 때, 그 조작 지령이 중앙제어 유닛(31)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40)를 구비하고,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로 이 표시부(40)에 소정 자릿수의 숫자, 문자나 도형을 복수행(예를 들면 4행 정도) 표시시킬 수 있다. 이 표시부(40)에는 백라이트가 조립되어 있고, 어두운 장소에서도 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의 외관의 예를 도 2에 도시하면, 휴대전화 단말(10)을 구성하는 본체의 정면에는 하측에 마이크로폰(11)이 배치되어 있고, 상측에 스피커(23)가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의 위치에 조작 키(33)와 표시부(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키(33)나 표시부(40)가 배치된 면의 왼편 옆의 측면부에 회전형 조작부(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형 조작부(34)는 조그다이얼 등으로 칭하여지는 로터리형의 스위치로 원반형상 부재의 일부만이 단말의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부재를 화살표 a로 도시한 윗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과, 화살표 b로 도시한 아랫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과, 화살표 c로 도시한 본체 내측으로 누르는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작을 하였을 때, 대응한 조작 정보가 중앙제어 유닛(34)에 공급된다. 이 회전형 조작부(34)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단말(10)을 왼쪽 손으로 쥐었을 때, 그 왼쪽 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 상하의 회전 조작과 가압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 회전형 조작부(34)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회전형 조작부(34)의 화살표 a방향이나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으로서는 반드시 360°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구성시킬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제한된 소정 각도만을 윗방향 및 아랫 방향으로 회전(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에 배치된 표시부(40)는 숫자나 문자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자릿수로서, 적어도 제1 표시자릿수(41)와, 제2 표시자릿수(42)와, 제3 표시자릿수(43)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도형 등으로 수신 레벨이나 전지의 잔량 등을 표시하는 표시자릿수(44)가 준비되어 있다.
표시부(40)의 제1, 제2, 제3 표시자릿수(41, 42, 43)에는, 예를 들면 이 단말에서 발신 조작을 하였을 때나, 이 단말으로의 착신이 있었을 때,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에 의해 그 발신처의 전화번호나 발신기지의 전화번호를 제2 표시자릿수(42)에 숫자로 표시한다. 또한, 전자 전화번호부 기능에 의해 발신처의 전화번호의 등록 처리를 행할 때는,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에 의해 그 등록된 전화번호의 수자로서의 표시와, 그 전화번호에 관계된 이름(또는 회사명 등의 명칭)의 문자 등에서의 표시를 3개의 표시자릿수(41, 42, 43)를 사용하여 행한다. 본 예의 경우에는 전화번호에 관계된 이름이나 명칭으로서, 한국문자인 한글 문자나 알파벳 등의 문자를 사용한 표시를 행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등록된 전화번호를 표시부(40)에 표시시키는 모드로 하였을 때에는, 상술한 회전형 조작부(34)의 윗 방향 또는 아랫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거한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로, 소정의 순서 또는 그와는 반대의 순서로 표시시키는 전화번호와 이름을 1건마다 차례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조작으로 발신시키고 싶은 전화번호가 표시부(40)에 표시되었을 때, 회전형 조작부(34)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였을 때, 중앙제어 유닛(31)은 그 전화번호로의 발신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신처나 발신기지의 전화번호를 표시할 때에도, 그 전화번호가 상술한 전자 전화번호부 기능으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전화번호 이외에 등록된 이름 등을 표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은,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에 의해 문자 메세지의 송신이나 수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문자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수신한 문자 메세지를 메모리(32)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그 기억된 문자 메세지를 표시부(40)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 문자 메세지를, 중앙제어 유닛(31)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전화번호의 상대로 발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문자 메세지에 관해서도, 상술한 전화번호부 기능의 경우와 같이, 한국문자인 한글 문자나 알파벳 등의 문자를 사용한 표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을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상술한 전자 전화번호부 기능으로 이름 등을 등록하기 위하여 또는 송신하는 문자 메세지를 준비하기 위해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예의 휴대전화 단말이 구비하는 메모리(32)에는 한글 문자의 코드를 그 문자를 구성하는 발음요소에 의거하여 분류하고 기억시키고 있다. 즉, 한글 문자는 기본적으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의 데이터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한글 문자가 어떤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지의 데이터에 관해서도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자음이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자모(宇母)라고 칭하여진다.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자모)는 19개로 구성되고, 그중 14개가 기본 자음이 된다.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10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자음과 모음과의 조합으로, 하나의 한글 문자가 구성된다. 도 3은 한글 문자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반분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우반분이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인 경우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분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하반분이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인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분 왼쪽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오른쪽이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하반분에 다시 별도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부가되는 경우나,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루부터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도 3C, 도 3D와 같이, 복수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배치된 예는, 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는 문자이며 받침이라로 칭하여진다.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한 자음과 모음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한글 문자의 일람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이 표 1에 나타내는 자음, 모음의 일람표는 반절표(反切表)라고 칭하여진다.
이 반절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한 통상의 한글 문자(여기서의 통상이란 받침이 아닌 문자)는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는 것으로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받침의 문자인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으로 기본이 되는 문자를 지정한 후에, 다시 말미의 자음을 지정함으로써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 것에 착안하여 휴대전화 단말이 구비하는 회전형 조작부(34)에서의 조작에 의해 한글 문자의 입력이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 4의 플로우차트와 도 5, 도 6의 표시예를 참조하여, 본 예에 있어서의 한글 문자의 입력 처리예를 설명한다. 이 문자 입력 처리시에는 중앙제어 유닛(31)은 표시부(40)의 제2, 제3 표시자릿수(42, 43)를 문자 입력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자음 또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로서 사용하고, 그 표시자릿수(42, 43)에서의 표시를 보면서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실행한다. 또한, 표시부(40)의 제1 표시자릿수(41)는, 입력이 확정한 문자열의 표시 위치로 하여 사용하고, 이하의 처리에서 입력된 문자를 1문자씩 이 표시자릿수(41)에 표시시켜 가고, 이름이나 문자 메세지 등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도 5A 내지 G는, 통상의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표시자릿수(41, 42, 43)에서의 표시의 변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 내지 G는 받침의 한글 문자의 입력시의 표시자릿수(41, 42, 43)에서의 표시의 변화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하면, 우선 중앙제어 유닛(31)은 문자 입력을 행하는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1).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에는 제3 표시자릿수(43)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킨다(스텝 102). 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으로서는 19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차례로표시시킨다. 단지, 표시부(40)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한번에 몇개(도 5의 예에서는 8개)의 기호만을 표시시키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형 조작부(34)의 회전 조작으로 표시를 스크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그 순서로 8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한번에 표시시킨다.
도 5A는, 최초로 제3 표시자릿수(43)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중앙제어 유닛(31)은 회전형 조작부(34)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3),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을 때, 그 회전형 조작부(34)가 회전하는 방향과 회전량을 판단하여 그 판단에 의거하여 표시자릿수(43)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스크롤시킨다(스텝 104). 예를 들면, 회전형 조작부(34)가 윗 방향(도 2에 도시한 a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때마다, 표시자릿수(43)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하나씩 차례로 오른쪽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또한, 회전형 조작부(34)가 아랫 방향(도 2에 도시한 b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때마다, 표시자릿수(43)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하나씩 차례로 왼쪽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표시 상태로부터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가 왼쪽으로 하나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수는 19이기 때문에, 19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래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표시자릿수(43)로 표시되는 특정 위치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에는 그 기호가 선택되는 기호인 것을 알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A, 도 5B의 예에서는 좌단에 표시된 기호에 언더라인을 부여하고, 이 기호가 선택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시키고 싶은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선택되는 위치(도 5의 예에서는 좌단)에 표시되게 되었을 때, 회전형 조작부(34)를 가압 조작한다(도 2에 화살표 c로 도시한 방향으로의 조작). 중앙제어 유닛(31)에서는 그 가압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5), 가압 조작이 없을 때에는 스텝 102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 표시를 속행시킨다.
스텝 105에서 회전형 조작부(34)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그 때 선택되는 위치(여기서는 좌단)에 표시된 기호를 입력문자의 자음기호로서 선택하고, 그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표시자릿수(42)에 표시시킨다. 이 때 동시에, 제3 표시자릿수(43)에는 그 때 선택된 자음과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킨다(스텝 106). 단, 상술한 반절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어떤 자음도 모든 모음과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10개 모두의 모음 일람을 표시시킨다. 단, 표시부(40)의사이즈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한번에 몇개(도 5의 예에서는 8개)의 기호만을 표시시키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형 조작부(34)의 회전 조작으로 표시를 스크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그 순서로 8개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한번에 표시시킨다.
도 5C는, 제3 표시자릿수(43)에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시킨 최초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제2 표시자릿수(42)의 좌단에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중앙제어 유닛(31)은 회전형 조작부(34)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7),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을 때, 그 회전형 조작부(34)가 회전하는 방향과, 회전량을 판단하여 그 판단에 의거하여 표시자릿수(43)에서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스크롤시킨다(스텝 108). 예를 들면, 회전형 조작부(34)가 윗 방향(도 2에 도시한 a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때마다, 표시자릿수(43)에서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하나씩 차례로 오른쪽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또한, 회전형 조작부(34)가 아랫 방향(도 2에 도시한 b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때마다 표시자릿수(43)에서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하나씩 차례로 왼쪽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여기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수는 10이기 때문에, 10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래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표시자릿수(43)에 표시되는 특정 위치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에는, 그 기호가 선택되는 기호인 것을 알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C의 예에서는 좌단에 표시된 기호에 언더라인을 부여하고, 이 기호가 선택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입력시키고 싶은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선택되는 위치(도 5의 예에서는 좌단)에 표시되게 되었을 때, 회전형 조작부(34)를 가압 조작한다(도 2에 화살표 c로 도시한 방향으로의 조작). 중앙제어 유닛(31)에서는 그 가압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9), 가압 조작이 없을 때에는 스텝 106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 표시를 속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109에서 가압 조작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입력문자가 선택한 자음 및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조합되는 문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시 별도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조합되는 받침의 문자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110).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이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조작시켜 선택시킨다. 단, 그 때의 입력상황에서 받침의 문자일 가능성이 없다고 중앙제어 유닛(31)이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중앙제어 유닛(31)이 자동적으로 판단하여도 좋다.
이 판단에서 받침의 문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스텝 111로 옮기고, 스텝 105에서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스텝 109에서 선택된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결정(확정)한다. 이 입력문자가 결정되었을 때에는 그 결정된 입력문자를 제1 표시자릿수(41)의 말미에 표시시킨다(스텝 112). 이 때 동시에, 제2 표시자릿수(42)에 표시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거시킨다.
여기에서 중앙제어 유닛(31)은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13),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02로 되돌아가 제3 표시자릿수(43)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표시자릿수(42)에 선택된 자음이 표시된 상태로, 이 때 제3 표시자릿수(43)에 표시된 모음의 일람중에서 특정한 모음이 선택되었다고 한다(여기서는 좌단의 모음이 선택되었다고 한다). 이 때,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제1 표시자릿수(41)의 좌단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스텝 102로부터 스텝 112까지의 입력 처리를 반복하고, 1문자씩 차례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1 표시자릿수(41)에는, 입력된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표시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D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다시 회전형 조작부(34)를 회전 조작하여,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의 표시를 스크롤시키고, 회전형 조작부(34)를 가압 조작하여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자음이 제2 표시자릿수(42)에 표시되게 되고, 다시 이 상태에서 제3 표시자릿수(43)에 표시된 모음의 일람으로부터 임의의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그 선택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문자가,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자릿수(41)의 표시문자의 말미(도 5G의 예에서는 2문자번째)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 113에서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예를 들면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자릿수(41)에 표시된 문자열을, 그 때의 동작 모드로 입력된 문자 데이터로서 처리시킨다(스텝 114). 이 스텝 114에서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이 때의 입력 모드가 전화번호부 정보 등록 모드인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열의 데이터를,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 또는 명칭의 정보인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메모리(32)에 기억시킨다. 또한 스텝 114에서의 처리로서 문자 메세지 정보로서 송신하기 위한 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열의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2)에 송신용의 문자 메세지 정보로서 기억시키고, 데이터 처리부(14), 변조부(15), 고주파회로부(16) 등의 통신 처리부를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 회선이 설정되었을 때, 그 일단 기억된 문자 메세지 정보를 기지국을 경유하여 지정된 상대에게 송신한다.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입력문자가 받침 문자가 아닌 경우의 예이지만, 도 4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110에서 받침 문자 입력이라고 판단된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이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제1 표시자릿수(41)에 표시시키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호를 제2 표시자릿수(42)에 표시시키고, 제3 표시자릿수(43)에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키고, 그 일람 표시로부터 특정한 모음이 선택되고, 스텝 110의 판단이 행하여졌다고 한다.
그리고, 이 스텝 110의 판단에서, 중앙제어 유닛(31)이 받침 문자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이 판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한 판단이나 자동적인 판단중 어느것이라도 좋다)에는 제2 표시자릿수(42)로, 여기까지 선택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표시시킨 후에, 제3 표시자릿수(43)로 받침으로서 부가되는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킨다(스텝 115). 예를 들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표시자릿수(42)로 선택된 문자를 표시시킨 후에, 이 문자로 조합되는 자음 기호의 일람을 제3 표시자릿수(43)로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중앙제어 유닛(31)은 회전형 조작부(34)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16), 회전하는 조작이 있었을 때, 그 회전형 조작부(34)가 회전하는 방향과, 회전량을 판단하여 그 판단에 의거하여 표시자릿수(43)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표시 위치를 스크롤시키고(스텝 117), 스텝 115에서의 표시를 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시키고 싶은 받침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선택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되었을 때, 회전형 조작부(34)를 가압 조작한다(도 2에 화살표 c로 도시한 방향으로의 조작). 중앙제어 유닛(31)에서는 그 가압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18), 가압 조작이 없을 때에는 스텝 115에서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일람 표시를 속행시킨다.
스텝 118에서 회전형 조작부(34)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그 때 선택되는 위치(여기서는 좌단)에 표시된 기호를 부가하는 자음으로서 선택하고, 여기까지 선택된 자음, 모음, 자음으로 구성되는 받침의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결정(확정)시킨다(스텝 119). 이 입력문자가 결정되면, 그 결정된 받침의 문자를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자릿수(41)의 말미에 표시시키는 스텝 112로 옮긴다.예를 들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자릿수(41)에 받침 문자를 표시시킨다. 이 때 동시에 제3 표시자릿수(43)에는 다음에 입력하는 문자 자음의 일람을 표시시킨다.
이러한 처리에 의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받침 문자를 입력시키고, 제1 표시자릿수(41)로 표시시킬 수 있고, 이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의 입력도 할 수 있다. 도 6의 예는 2문자의 입력을 행한 예이며,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문자 입력시킨 상태로부터 회전형 조작부(34)를 조작하고,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을 선택한다. 그리고, 다시 회전형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자음과 조합되는 모음을 선택하고,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제2 표시자릿수(42)에 표시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부가되는 자음을 회전형 조작부(34)의 조작으로 선택함으로써,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째 문자의 입력문자가 확정되고, 그 2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 제1 표시자릿수(41)에 표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의하면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의 표시부(40)에서의 표시를 사용자가 보면서, 회전형 조작부(34)의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으로 자음과 모음을 차례로 지정하는 것 만으로, 한글 문자의 입력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따라서, 다수의 키가 배치된 키보드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휴대전화 단말과 같이 배치할 수 있는 키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단일의 조작수단인 회전형 조작부(34)의 조작만으로 문자선택을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한쪽 손으로 휴대전화 단말을 쥐고, 그 휴대전화 단말을 쥔 손의 손가락을 약간 움직이므로서 문자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한 손으로 단말을 쥔 상태에서 아주 간단하게 문자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전화 단말(10)이 회전형 조작부(34)를 단말의 측면에 구비하고, 그 회전형 조작부(34)의 조작으로 문자 입력을 행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 구성의 조작부를 구비한 단말에서, 같은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형 조작부(34)와 같은 위치에 소정 각도만 위 및 아래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배치하고, 그 레버의 위 또는 아래로의 회전 조작으로 표시의 스크롤을 시키고, 그 레버 그 자체(또는 레버와는 별도 부재)의 가압 조작으로 문자선택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단말의 측면부에 문자 입력 조작용의 조작수단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얼 키 등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조작수단을 사용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단말(10') 표면의 표시부(40)와 조작 키(33)와의 사이에 회전형 조작부(34')를 배치한다. 이 조작부(34')로서는 윗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의 회전(회동) 조작과, 아랫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회동) 조작과, 본체 내측(화살표 c방향)으로의 가압 조작이 행하여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 본체 표면의 회전형 조작부(34')를 도 2에 도시한 단말(10)의 회전형 조작부(34)와 같이 도 4의 플로우차트에 기초를 둔 조작을 행하고, 한글 문자 등의 문자 입력이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회전 또는 회동하는 조작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을 지시하는 키와, 확정 조작(회전형 조작부에서의 가압 조작에 상당하는 조작)을 하는 키의 적어도 3개의 키를 문자 입력용의 조작수단으로서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단말(10")의 측면에 윗 방향을 지시하는 키(35)와, 아랫 방향을 지시하는 키(36)와, 확정 조작을 행하는 키(37)를 배치하고, 이들 키(35, 36)의 조작으로 표시의 한쪽 및 다른쪽의 스크롤을 행하고, 키(37)로 확정 조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단말(10"')의 표면에 배치된 조작 키(33)중 특정한 3개의 키(33a, 33b, 33c)를 한쪽으로의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 키와, 다른쪽으로의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 키와, 확정 조작을 행하는 조작 키로서 정의하고, 각 키(33a, 33b, 33c)의 조작이 있었을 때, 같은 문자 입력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문자 입력을 행할 때의 표시부에서의 표시에 관해서는, 도 5, 도 6의 표시예를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그 밖의 표시 형태로서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5,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 문자 등으로 언더라인을 부여한 표시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그 밖의 표시 형태에서 그 부분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선택되는 문자가 표시된 부분을 점멸하는 표시로서 그 부분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표시색이 반전된 표시로서 그 부분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입력이 확정된 문자에 관해서는 미 확정의 문자나 기호와는 다른 표시형태(예를 들면 다른 표시색)로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전화 단말에서 한글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하였지만, 다른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한글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 등의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곡명 등을 한글 문자로 입력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한글 문자와 같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른 언어의 문자 입력을 같은 구성 및 처리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의 입력이, 그 문자를 구성하는 각 기호의 선택으로 행할 수 있고, 표시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선택 조작과,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선택 조작의 2개 선택 조작을 하는 것 만으로 할 수 있고,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입력시키고 싶은 소망의 문자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한 후, 다시 별도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자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에 관해서도, 간단히 입력문자를 특정시킬수 있게 된다.
제 3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회전형 조작수단을 제1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회전형 조작수단을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과는 반대의 방향의 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나의 회전형 조작수단을 준비하는 것만으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의 입력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제 4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조작수단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조작수단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개의 방향을 지시하는 조작수단을 준비하는 것 만으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 입력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제 5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입력공정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 또는 명칭의 정보인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공정을 갖는 것으로,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되는 이름 또는 명칭의 입력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제 6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제1 및 제2 입력공정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문자 메세지의 정보로서 소정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대에게 송신하는 송신공정을 갖는 것으로, 문자 메세지로서 송신하는 문자 입력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7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의 입력이, 그 문자를 구성하는 각 기호의 선택으로 행할 수 있고, 표시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선택 조작과,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선택 조작의 2개 선택 조작을 하는 것 만으로 행할 수 있고, 키보드와 같은 다수의 키가 없어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입력시키고 싶은 소망의 문자를 찾아낼 수 있다.
제 8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한 후, 다시 별도의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자음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호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에 관해서도 간단하게 입력문자를 특정시킬 수 있다.
제 9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조작수단으로서 적어도 소정 각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그 조작수단의 회전 조작으로 간단히 특정한 문자를 찾아낼 수 있다.
제 10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조작수단으로서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조작수단과,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조작수단으로 구성한 것으로, 그 제1, 제2 조작수단의 조작으로간단하게 특정한 문자를 찾아낼 수 있다.
제 11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력된 문자열을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 또는 명칭의 정보인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함으로써,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되는 이름 또는 명칭의 입력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가 얻어진다.
제 12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력된 문자열을 문자 메세지의 정보로서 소정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대에게 송신하는 것으로, 문자 메세지로서 송신하는 문자의 입력 조작이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가 얻어진다.

Claims (12)

  1.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하는 제1 표시공정과,
    소정의 조작으로 상기 제1 표시공정에서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를 선택하는 제1 선택공정과,
    상기 제1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기호와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하는 제2 표시공정과,
    소정의 조작으로 상기 제2 표시공정에서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를 선택하는 제2 선택공정과,
    상기 제1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상기 제2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는 입력문자 확정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선택공정을 행하여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한 후, 다시 그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하는 제3 표시공정과,
    소정의 조작으로 상기 제3 표시공정에서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를 선택하는 제3 선택공정을 가지며,
    상기 입력문자 확정공정에서, 상기 제1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상기 제2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상기 제3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회전형 조작수단을 제1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列)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회전형 조작수단을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 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상기 한쪽과는 반대 방향의 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조작수단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조작수단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된 기호의 열 중에서 선택되는 기호를 상기 한쪽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문자 확정공정에서 입력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를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 또는 명칭의 정보인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문자 확정공정에서 입력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를 문자 메세지의 정보로서 소정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대에게 송신하는 송신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7. 입력가능한 문자의 정보를 각각의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기호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문자 및 그 문자를 구성하는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소정의 순서로 표시시키고, 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으로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기호와 조합될 가능성이 있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소정의 순서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그 표시된 기호중에서 임의의 기호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으로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선택되었을 때, 그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조합되는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더 존재할 때, 그 조합되는 자음의 후보를 소정의 순서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그 표시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중 임의의 기호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으로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모든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서 확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적어도 소정 각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재이며,
    상기 표시수단에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후보 표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소정의 순서로 표시된 그 후보중 선택되는 문자가 한쪽으로 변화하고,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소정의 순서로 표시된 그 후보중 선택되는 문자가 상기 한쪽과는 반대 방향으로 변화하도록상기 제어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조작수단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으로 자음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의 후보 표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조작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소정의 순서로 표시된 그 후보중 선택되는 문자가 한쪽으로 변화하고, 상기 제2 조작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소정의 순서로 표시된 그 후보중 선택되는 문자가 다른쪽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를 전화번호에 대응한 이름 또는 명칭의 정보인 전화번호부 정보로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를 문자 메세지의 정보로서 소정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대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KR1020020025266A 2001-05-11 2002-05-08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KR20030006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2144A JP2002342004A (ja) 2001-05-11 2001-05-11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JPJP-P-2001-00142144 200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60A true KR20030006960A (ko) 2003-01-23

Family

ID=1898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66A KR20030006960A (ko) 2001-05-11 2002-05-08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342004A (ko)
KR (1) KR20030006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3725A1 (en) * 2013-02-15 2014-12-11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3725A1 (en) * 2013-02-15 2014-12-11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42004A (ja)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961B2 (ja) 端末装置
US7453462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80042677A (ko) 정보입력장치, 커서이동장치 및 휴대용 전화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KR100324634B1 (ko) 전화기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JP5109927B2 (ja) 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286108B2 (ja) 文字検索方法及び装置、並びに携帯端末装置
TW526443B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030006960A (ko) 문자 입력방법 및 문자 입력장치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2856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EP11118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crolling means for scrolling through a two-dimensional array of characters
KR100586319B1 (ko)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0354778B1 (ko) 휴대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TW507138B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JP2002342005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KR100409278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0465311B1 (ko) 텍스트데이터를전송할수있는휴대통신단말장치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KR200232648Y1 (ko) 일정 버튼을 포함하는 휴대폰
AU2012200999B2 (en) Improved device interface
JP5352417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KR20050110553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