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725B1 -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 Google Patents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725B1
KR100464725B1 KR1019970003026A KR19970003026A KR100464725B1 KR 100464725 B1 KR100464725 B1 KR 100464725B1 KR 1019970003026 A KR1019970003026 A KR 1019970003026A KR 19970003026 A KR19970003026 A KR 19970003026A KR 100464725 B1 KR100464725 B1 KR 10046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agent
mansonon
methicillin
present
staphylococcus aure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139A (ko
Inventor
서영거
정재경
민경훈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1997000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7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Abstract

본 발명은 느릅나무과 식물로부터 분리된 만소논에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항균제는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균 및 MSSA(methicillin- susceptive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작용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만소논에프를 주성분으로하는 항균제
본 발명은 느릅나무과 식물로부터 분리된 친유성 물질인 만소논에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주로 3차 의료기관에서의 원내감염의 주 원인균으로서, 균혈증(bacteremia), 심장내막염(endocarditis), 폐렴(pneumonia), 뇌막염(meningitis), 봉와직염(cellulitis)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한 치료제로는 1950년대 말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계 항생제로서 반코마이신(vancomycin)이 개발되었고, 그 후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이 개발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는 공통적으로 정맥염(thrombophlebitis), 이명(ototoxicity), 신장독성(nephrotoxicity) 등 강한 독성을 나타내어 반합성 페니실린인 메티실린 등으로 대체 사용되게 되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메티실린에 대해 강력한 내성을 가지게 된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발견되어 강한 독성에도 불구하고 심한 감염의 치료제로 반코마이신이 다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또한 반코마이신에 비해 투여가 용이하고, 비교적 독성이 적으며, 반감기가 비교적 길어 반코마이신의 대체제로 테이코플라닌이 있으나, 치료 용량과 적절한 검사 방법 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또한 반코마이신의 내성균주의 출현으로 새로운 치료 약물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MRSA 또는 MSSA(methicillin- susceptive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는 생약제제를 연구하던 중, 느릅나무과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만소논에프가 반코마이신이나 테이코플라닌에 비해 독성이 적으며, 항균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만소논에프는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만소니아 알티시마(Mansonia altissima)라는 식물로부터 분리되어 구조 규명이 되었고(Marini-Bettolo, G.B.; Casinovi, C.G.; Galeffi, C. Tetrahedron Lett. 1965, 4857.; Tanaka, N.; Yasue, M.; Imamura, H. Tetrahedron Lett. 1966. 2767.), 1986년 베스트(Wayne M. Best; Dieter Wege; Aust. J. Chem. 1986, 39, 647)에 의해 디엘스 알더 반응을 이용한 유일한 전합성이 보고되는 등 항균작용 및 독성연구 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만소논에프가 MRSA에 선택적으로 특별한 항균작용이 있다는 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만소논에프가 MRSA에 대해 어떤 항균작용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RSA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를 다른 기존의 항균제에 비교 측정한 결과 우수한 항균작용을 발휘함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소논에프를 주성분으로하는 항균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 효과가 뛰어난 만소논에프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는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액제, 시럽제 및 엘릭실제와 같은 경구 투여형태이거나, 주사액이나 좌제같은 비경구 투여형태일수 있으며, 주사제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제의 성인 일일 투여량은 0.3~1.5g 정도이다.
먼저 만소논에프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리된 만소논에프의 여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뛰어난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만소논에프는 모두 느릅나무과 식물에서 분리 추출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그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느릅나무과 식물의 근피를 세절하여 알코올로 수욕상에서 가열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모아 농축한 후 얻어진 알콜 추출물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 후, 이 에테르 추출물을 용매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농축한 후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 혼합 용액을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별하므로써 만소논에프를 순수한 물질로 얻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전체 추출물의 제조
참느릅나무의 근피 50㎏을 세절하여 메탄올 9ℓ로 세번 수욕상에서 가열 추출하고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모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은 후 이 메탄올 추출물을 물과 혼합한 에테르 2ℓ로 세번 추출하여 모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테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 순수 만소논에프의 분리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30:1)의 용매조건에서 프래쉬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50:1)의 용매조건에서 2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순수한 만소논에프를 분리하였다.
Mass(m/z) : 240(M), 212, 195, 169, 141, 128, 115
IR : 1688, 1631, 1599, 1580, 1328cm-1
1H-NMR(400MHz) : 7.42(1H, J=8.3Hz), 7.35(1H, J=8.3Hz), 7.03(1H), 2.66(3H, 6-Me), 2.05(3H, J=0.9Hz, 3-Me), 1.92(3H, 9-Me)
제제예 1 : 정맥 주사제
만소논에프 500㎎
상기 조성물질을 통상적인 주사제 제조방법으로 증류수에 녹이는 용시제조하여 정맥주사하거나 100ml 이상의 5% 포도당액에 녹여 점적하여 MRSA 또는 MSSA감염 치료제로 사용한다.
실험예 1 :만소논에프의 항균효과
본 발명에서의 화합물들의 항균력을 판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메치실린 감수성 및 내성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임상분리균주를 선발한 다음 일본 화학요법학회의 최소발육저지농도(MIC) 측정법(일본 화학요법학회지, 29(1) : 76 -79, 1981)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메치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경우, 3.13μg/ml 메치실린 함유 뮐러힌톤한천(Mueller Hinton Agar) 평판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멸균된 시험관에 뮐러힌톤브로스(Mueller Hinton Broth)를 10ml씩 분주한 후 각 균주를 한 백금이씩 접종한 다음 37℃에서 18시간동안 정치 배양하여 균배양액을 얻었다. 메치실린 감수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엔테로코커스 훼시움의 경우, 멸균된 시험관에 밀러힌톤브로스를 10ml씩 분주한 후 각 균주를 한 백금이씩 접종한 다음 37℃에서 18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균배양액을 얻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각각을 약 10㎎씩 달아 증류수에 녹인 다음 1㎎/ml가 되도록 한 후 시험관에서 0.25mg/ml까지 2배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시험 용액 1ml씩을 페트리접시에 분주한 다음 멸균하여 45-50℃로 냉각시킨 뮐러힌톤한천 배지 9ml씩을 가하여 잘 섞은 후 굳혀서 최소발육저지농도 측정용 평판을 제조하였다. 위의 균배양액 0.11ml를 취하여 10ml의 젤라틴 함유 생리식염수가 들어 있는 멸균 시험관에 섞어 접종균액을 제조한 다음 항생물질이 들어 있는 평판에 균접종기를 사용하여 접종한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하여 육안으로 균의 성장 여부를 관찰하여 MIC를 측정하였다.
표1. MRSA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MIC (μg/ml)
Figure pat00001
표2 MSSA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MIC (μg/ml)
Figure pat00002
표3 E. faecalis와 E. faecium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MIC (μg/ml)
Figure pat00003
위의 실험결과 만소논에프가 MRSA, MSSA,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움등의 그람 양성균 전반에 높은 살균력을 나타냄을 알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가장 우수한 MRSA 감염 치료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의 MIC90이 4μg/ml 임을 고려할 때 만소논에프는 이와 대등한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다.

Claims (3)

  1. 만소논에프를 주성분으로하는 항균제.
  2. 제1항에 있어서, 주사제 제형으로 제제화된 항균제.
  3. 제1항에 있어서, 항균효과가 MRSA를 대상으로 하는 것인 항균제.
KR1019970003026A 1997-01-31 1997-01-31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KR10046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026A KR100464725B1 (ko) 1997-01-31 1997-01-31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026A KR100464725B1 (ko) 1997-01-31 1997-01-31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139A KR19980067139A (ko) 1998-10-15
KR100464725B1 true KR100464725B1 (ko) 2005-04-06

Family

ID=3730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026A KR100464725B1 (ko) 1997-01-31 1997-01-31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36B1 (ko) * 2000-01-10 2003-11-21 주식회사 코오롱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jechi BO; Curr Microbiol. 1996 May; 32(5); 297-298 *
김종평, 김원곤 등; 한국농화학학회지 제39권 제1호(1996) 89-94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139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bosa et al. Targeting antimicrobial drug resistance with marine natural products
Rosselli et al. Antibacterial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coumarins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Magydaris tomentosa
Berlinck et al.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organic guanidine derivatives
GB2274842A (en) Flavanone from plant extract
CN111635380A (zh) 野艾蒿中倍半萜及其药物组合物与其制备方法和应用
EP0282507A1 (en) DISCORHABD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Xu et al. Recent advances in chemistry and bioactivity of marine cyanobacteria Moorea species
Gan-Jun et al. Anti-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ssay of azalomycin F5a and its derivatives
Nkanwen et al. Antibacterial agents from the leaves of Crinum purpurascens herb (Amaryllidaceae)
EP3316901A1 (en) New bicyclic lipolantipeptide, preparation and use as antimicrobial agent
Rajendran et al. Antibacterial eremophilane sesquiterpenoids from Xylaria feejeensis, an endophytic fungi of the medicinal plant Geophila repens
KR100464725B1 (ko) 만소논에프를주성분으로하는항균제
KR0165564B1 (ko) 캄노사이드 화합물 및 그 추출방법
CN115109014A (zh) 大果大戟中二萜类化合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CN115010720A (zh) 中甸艾中倍半萜二聚体及其药物组合物与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56307B (zh) 黄酮苷类化合物、法国梧桐树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制药用途
CZ20022904A3 (cs) Memnopeptidy, způsob jejich přípravy a kompozice a léčiva, které je obsahují
WO2010107793A1 (e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tive metabolites
FI111009B (fi) Menetelmä streptogramiinien puhdistetun muodon valmistamiseksi
JPH07188245A (ja) 苦甘草に含まれる新規化合物
FI8160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1-hydroxi-cytorodiner.
JP7405855B2 (ja) 生理活性化合物
CN109553565B (zh) 两种新生物碱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抗mrsa的抗菌剂中的应用
Malabarb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de (acetylglucosaminyl) didehydrodeoxy derivatives of teicoplanin antibiotics
CN107050004A (zh) 三苯基新木脂素类化合物在抗万古霉素耐药肠球菌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