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884B1 -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3884B1 KR100463884B1 KR10-2002-0079294A KR20020079294A KR100463884B1 KR 100463884 B1 KR100463884 B1 KR 100463884B1 KR 20020079294 A KR20020079294 A KR 20020079294A KR 100463884 B1 KR100463884 B1 KR 100463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orative member
- decorative
- support frame
- members
- ro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successively moulded portions rigidly join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부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운반 및 보관에 따른 취급 및 후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액세서리에 대한 장식부재의 부착 작업의 편리성에 의해 작업 능률의 현저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틀 및 장식부재 성형 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식부재의 이음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금형에 대하여 사출 소재를 강제 주입하여 하나의 지지틀 내에 각 장식부재가 절취 가능하게 일렬로 정렬 배치되고 또한 상호 절취가 가능하도록 연결 성형한 다음 냉각 취출하는 공정을 통해 장식부재가 지지틀에 대하여 절취 가능하게 정렬 배치 가능하게 제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산성의 향상 및 취급이 용이한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식부재라 함은 통상 액세서리라 일컬어지는, 예컨대 머리핀, 브로우치,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의 각종 장신구(裝身具)에 장식되는 부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주로 수지계열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및 가공되는 각종 형태의 인조 보석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식부재는 주지하다시피 각종의 액세서리에 장식됨으로써 액세서리의 외관에 상당한 장식효과를 부여하게 되고, 이러한 다양한 장식은 소비자로 하여금 상당한 구매 욕구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장식부재를 액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형태 및 크기로 성형함으로써 액세서리에 많은 변화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장식부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관계로 인해 외화 낭비의 초래를 가져왔던 것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품질이 우수한 장식부재(인조 보석류)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기술의 발전과 아울러 외화낭비 및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하지만 종래 제공되고 있는 장식부재들은 무엇보다도 하나 하나 낱개로 생산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취급이 불 용이하며, 증착 코팅 등의 후 가공성이 매우 나쁘다는 등의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종래 장식부재의 성형 방식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지적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사출 금형(1)을 이용하여 각 장식부재(2)들을 각각 낱개로 성형하는 것이어서, 이는 사출 구조상 한번에 여러 개의 장식부재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해낼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낱개로 성형된 각각의 장식부재를 하나씩 떼어내어 보관 및 사용해야 된다는 취급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어서 생산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2는 실리콘 금형(10)을 이용하여 장식부재(12)를 성형하는 것이나, 이 역시 금형으로 각각 분리 형성된 성형홈에 대하여 소재를 일일이 직접 부어 성형하는 것이어서 이러한 구조의 채용시에는 대량생산에 부적합하고, 특히 장식부재가 낱개로 생산되기 때문에 액세서리에 대하여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 일일이 하나씩 집어내어 부착하여야 하는 취급상 및 부착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문제는 곧 바로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도3은, 도1 및 도2에 있어서 장식부재의 제반 성형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이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사출 방식(국내 특허공개 제99-24140호)이기는 하나, 이 역시 금형(20)의 내부로 장식부재(22)가 낱개로 각기 분리 성형되는 것이어서, 궁극적으로는 원심분리 방식에 의한 성형상의 제반 이점은 있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1 및 도2의 성형 방식의 문제점인 대량생산의 한계 내지는 취급상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1 내지 도3의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부재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더하여 장식부재가 낱개로 성형되는 까닭에 증착이나 코팅 작업시 재료의 낭비와 더불어 도4와 같이 낱개로 된 장식부재(2)(12)(22)를 하나하나 일일이 액세서리(30)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이 번거롭고 부착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후 가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저하된다는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어서, 결국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부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운반 및 보관에 따른 취급 및 후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액세서리에 대한 장식부재의 부착 작업의 편리성에 의해 작업 능률의 현저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 장식부재의 사출 구조들을 보인 금형의 개략도,
도4는 종래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액세서리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Ⅵ-Ⅵ선 확대 단면도,
도7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의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의 제조에 따른 금형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9는 도7의 금형에 대하여 사출 소재가 주입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해 장식부재가 사출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액세서리에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장식부재 114: 연결리브
200: 지지틀 300: 금형
310, 320, 330: 각 성형공간 400: 액세서리
이러한 목적은 장식부재를 낱개로 각각 분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지지틀 내에 일렬로 정렬 배치하되 각 열의 각 장식부재들을 상호 절취가 가능하도록 이음 성형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장식부재는 각 열과 열 사이는 상호 이음되지 않고 분리 성형되어 해당 열의 절취시 방해되지 않도록 성형 제조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장식부재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통상 장식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형태의 액세서리(도11 참조)에 부착되어 장식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등의 각종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인조 보석류임은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장식부재(100)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지지틀(200)내에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이어지게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6과 같이 하나의 지지틀(200)내에 각 열로 이어져 있는 각각의 장식부재(100)들은 절취가 용이하도록 평탄면(112)을 이루는 하부가 각각 연결리브(114)에 의해 상호 이어져 있다.
연결리브(114)는 사출 금형으로부터 취출시나 운반 및 보관시 각 장식부재(100)가 지지틀(200)이나 각 부재들 사이가 임의적으로 절취되지 않을 정도의 사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장식부재(100)들의 절취 사용시 연결리브(114)에 의한 절취 자국이 남지 않도록 가급적 촘촘하게 연결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지지틀(200)내에 일렬로 이어지게 각각 정렬된 각 장식부재(100)들은 이웃하는 다른 렬과는 상호 절취 간섭을 받지 않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다른 열로 정렬된 장식부재(100)를 절취하는 경우 이웃하는 다른 렬의 장식부재는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약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어서 각 열 마다의 절취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100)는 도면상 그 단면이 반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고 특정의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장식부재(100)는 도7a 내지 도7d에 각기 예시된 바와 같이 삼각뿔이나 원추형 및 이와 유사한 형태는 물론 이에 도시되지 않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식부재(100)의 장식 기능을 감안하여 매우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또한 장식부재(100)의 표면으로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팅 및 착색, 증착 등의 후 가공을 통해 미려한 장식미를 갖도록 제조됨은 이미 동 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100)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성과 작업 환경 등의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적정한 방식의 채용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100)의 사출 방식에 의한 하나의 제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우선 도7을 참조하면, 상 하틀(301, 302)로 이루어진 금형(300)의 내부로는 소정 형태의 장식부재(100)를 지지틀(200)에 대하여 상호 이어지게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장식부재 성형공간(310) 및 지지틀 성형공간(320)이 서로 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장식부재 성형공간(310)과 지지틀 성형공간(320) 및 장식부재 성형공간(310)간에 서로 통하게하는 연결리브 성형공간(330)이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8과 같이 구성된 금형(300)에 대하여 사출 소재를 주입하면, 사출 소재는 도9와 같이 각 성형공간(310, 320, 330)으로 강제 주입되어 지지틀(200)에 대하여 각각의 장식부재(100)가 연결리브(114)들에 의하여 각기 연결 이음되는 상태로 성형되어 지는 것이다.
즉, 도10과 같이 지지틀(200)에 대하여 각 장식부재(100)들이 각각 일렬로 정렬되게 이어지도록 배열 제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장식부재(100)는 통상 금형(300)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취출하게 되는 것이고, 그 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식미를 제공하기 위한 코팅이나 증착 등의 후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10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100)는 하나의 금형(300)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의 지지틀(200)로 나누어 동시 사출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출 구조의 형태는 작업 환경을 고려한 금형의 설계 사항에 좌우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핵심 기술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100)는 사출작업에 의해 지지틀(200)에 대하여 일체로 연속 성형되기 때문에 낱개로 성형되는 것에 비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하나의 지지틀(200)내에 장식부재(100)가 연결리브(114)에 의하여 일렬로 배치되게 각기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300)으로부터 취출이나 운반 보관시 각 장식부재(100)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어 그만큼 장식부재(100)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틀(200)에 대하여 장식부재(100)들이 집단적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장식부재(100)에 대한 코팅이나 증착 등의 후 가공성이 그만큼 수월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부재(100)를 소정의 길이만큼 지지틀(200)로부터 떼어내어 소정 형태의 액세서리(400)에 대하여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100)가 지지틀(200)에 대하여 상호 이어지게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세서리(400)의 부착면을 감안하여 적절한 길이만큼 장식부재(100)를 지지틀(200)로부터 편리하게 절취하여 부착함으로서 종래 도4와 같이 낱개로 된 장식부재를 일일이 액세서리에 부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고 신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세서리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장식부재가 지지틀에 대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 절취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렬로 정렬 배치되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지지틀에 대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어 금형으로부터의 취출이나 운반 보관에 따른 장식부재의 취급 및 후 가공이 용이하고, 특히 지지틀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절취하여 액세서리에 부착함으로써 그만큼 부착 작업의 편의성에 의한 작업능률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 하나의 지지틀 내에 장식부재가 일렬로 정렬 배치됨과 동시에 각 열의 장식부재별로 절취가 가능하도록 상호 이어지게 성형 제조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각 열과 열 사이는 상호 이음되지 않고 분리 성형되어 절취시 각 열끼리 상호 방해되지 않도록 성형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로 이어지게 배열되는 각 장식부재는 평탄면을 갖는 하부가 절취 가능한 연결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장식 부재.
- 지지틀 및 장식부재 성형 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지지틀사이 그리고 상기 장식부재 끼리의 사이 이음이 가능하도록 성형공간이 형성된 금형에 대하여 사출 소재를 강제 주입하여 하나의 지지틀 내에 각 장식부재가 절취 가능하게 일렬로 정렬 배치되도록 연결 성형한 다음 냉각 취출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장식부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9294A KR100463884B1 (ko) | 2002-12-12 | 2002-12-12 |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79294A KR100463884B1 (ko) | 2002-12-12 | 2002-12-12 |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7330U Division KR200307387Y1 (ko) | 2002-12-13 | 2002-12-13 | 액세서리 제작용 장식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1372A KR20040051372A (ko) | 2004-06-18 |
KR100463884B1 true KR100463884B1 (ko) | 2005-01-03 |
Family
ID=3734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79294A KR100463884B1 (ko) | 2002-12-12 | 2002-12-12 |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38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446B1 (ko) | 2008-03-06 | 2010-08-11 | 이상근 | 핫픽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핫픽스 |
KR20150104413A (ko) * | 2014-03-05 | 2015-09-15 | (주) 미미월드 | 트위스트 사출물과 그의 증착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7452B1 (ko) * | 2009-06-25 | 2011-07-07 | 덕 희 홍 | 모티브 정렬장치 |
IT201700002296A1 (it) * | 2017-01-11 | 2018-07-11 | Riri Sa |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maschera di posizionamento per caratteri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0236A (ko) * | 1995-05-29 | 1996-12-17 | 이신복 | 금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
JPH11137314A (ja) * | 1997-11-04 | 1999-05-25 | Hisaya Kamei | 装身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1275726A (ja) * | 2000-03-31 | 2001-10-09 | Namiki Seisakusho:Kk | 装飾チェーン用のデザインパーツとその製造方法 |
KR20010113118A (ko) * | 2000-06-16 | 2001-12-28 | 김현곤 | 인공 진주가 결합된 장신구와 그 제조 방법 |
KR20020074293A (ko) * | 2001-03-19 | 2002-09-30 | 유진선 | 장식용 메탈피스 제조방법 |
-
2002
- 2002-12-12 KR KR10-2002-0079294A patent/KR1004638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0236A (ko) * | 1995-05-29 | 1996-12-17 | 이신복 | 금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
JPH11137314A (ja) * | 1997-11-04 | 1999-05-25 | Hisaya Kamei | 装身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1275726A (ja) * | 2000-03-31 | 2001-10-09 | Namiki Seisakusho:Kk | 装飾チェーン用のデザインパーツとその製造方法 |
KR20010113118A (ko) * | 2000-06-16 | 2001-12-28 | 김현곤 | 인공 진주가 결합된 장신구와 그 제조 방법 |
KR20020074293A (ko) * | 2001-03-19 | 2002-09-30 | 유진선 | 장식용 메탈피스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446B1 (ko) | 2008-03-06 | 2010-08-11 | 이상근 | 핫픽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핫픽스 |
KR20150104413A (ko) * | 2014-03-05 | 2015-09-15 | (주) 미미월드 | 트위스트 사출물과 그의 증착방법 |
KR101580970B1 (ko) | 2014-03-05 | 2015-12-30 | (주)미미월드 | 트위스트 사출물과 그의 증착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1372A (ko) | 2004-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63884B1 (ko) |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 |
US6360484B1 (en) | Pla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200307387Y1 (ko) | 액세서리 제작용 장식부재 | |
KR100309065B1 (ko) | 목편을 이용한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 |
US6772614B1 (en) | Key ring with a diamond-shining ornamental block | |
WO2007078044A1 (en) | A corporate body of vessel for a plant medicine for promoting nutrition | |
CN205512774U (zh) | 一种分体式组合戒指 | |
CN202085908U (zh) | 松紧圈与饰物的连接结构 | |
KR200252416Y1 (ko) | 악세사리용 장신구 | |
KR101767204B1 (ko) |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 |
KR200216024Y1 (ko) |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 |
CN101068482A (zh) | 珠宝的柔性连接装置及其制造方法 | |
ITFI20130226A1 (it) | Elemento modulare per articoli di bigiotteria o gioielleria | |
KR19980072239A (ko) |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 |
KR950005010Y1 (ko) | 장신용 악세사리연결소자의 연결구조 | |
KR200263993Y1 (ko) | 장식테가 형성된 두발고정구 | |
KR100424687B1 (ko) |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 |
KR200205647Y1 (ko) | 장신구의 스톤 세팅장치 | |
KR200193516Y1 (ko) | 장신구용 원판 | |
KR200183269Y1 (ko) | 세라믹재로 된 반지의 장식용 알 | |
KR100332025B1 (ko) | 죽(竹)제품의 제작방법 | |
KR960003438Y1 (ko) | 악세서리용 부품 | |
KR200438263Y1 (ko) |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 |
KR100266070B1 (ko) | 장신구 제조방법 | |
KR20240084926A (ko) | 주조 시 금손실을 최소화한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