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778B1 -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778B1
KR100463778B1 KR10-2000-0043308A KR20000043308A KR100463778B1 KR 100463778 B1 KR100463778 B1 KR 100463778B1 KR 20000043308 A KR20000043308 A KR 20000043308A KR 100463778 B1 KR100463778 B1 KR 10046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de
speed calculation
wireless terminal
portable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809A (ko
Inventor
박석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7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위치등록 요구시 복수개의 기지국들중 하나로 자신의 휴대용 무선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을 요구하는 과정과, 속도 계산 요구시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들 중 하나의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시간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계산 결과값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DRIVING MOD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일 경우 운전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운전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운전중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용은 교통사고의 한 요인이 되고 있어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 김창태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특허 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제1999-66998호(발명의 명칭: 휴대폰의 자동 안내 메시지 통보방법)에는 휴대폰 사용자가 운전을 위해 운전모드로 설정하였을 때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운전모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특허 출원번호 제1999-66998호에는 차량 운전을 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는 직접 휴대폰을 꺼내 운전모드로 전환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일 경우 운전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일 경우 운전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운전이 끝나면 운전모드가 자동 해제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구성 일 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모드 자동전환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위치등록 요구시 복수개의 기지국들중 하나로 자신의 휴대용 무선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을 요구하는 과정과, 속도 계산 요구시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들 중 하나의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시간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계산 결과값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 자동전환 기능 요구가 있으면 무선채널 형성되는 기지국으로 자신의 휴대용 무선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을 요구하는 과정과, 속도 계산 요구시 상기 무선채널이 형성되는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시간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계산 결과값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기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함과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운전모드 설정 해제됨을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운전모드"라 함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임을 상대방 전화기(발 호 가입자)에게 알려주고 운전중인 사용자에게는 착신 벨이 울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의 모드로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적용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2)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24)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무선부(2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2)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6)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표시부(28)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30)는 휴대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운전모드 상황이 되면 자동으로 운전모드로 전환되고 운전모드 해제 상황이 되면 기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모드 자동전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운전모드 자동 전환하는 기능을 옵션으로 설정한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다. 즉 도 2의 100단계는 옵션(option)이다.
사용자가 운전모드 자동전환기능이 설정되도록 하는 키들을 이용해서 운전모드 자동전환 기능을 요구하게 되면 제어부(20)는 도 2의 10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도 2의 102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100단계와 같은 옵션 설정이 없이디폴트(default)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바로 102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02단계에서 제어부(20)는 위치등록 요구시 복수개의 기지국들중 무선채널 형성 가능한 기지국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 자신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 계산을 요구한 후 도 2의 104단계로 진행한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 등록요구는 단말기의 파워 온 또는 파워 오프시,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들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존(zone) 이탈시, 미리 설정한 일정 기간 경과시, 기지국의 명령시 등과 같은 일 예에서 수행된다. 위치등록 요구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 계산을 요구하면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삼각 측량법에 의해 시간별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래서 해당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단말기와 무선채널 형성 가능한 기지국에 해당단말기의 이동속도 계산 결과값이 제공되게 한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에 출원되고 우선권 주장된 특허출원번호 제99-31845호(발명의 명칭: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및 방법)에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게 되면 속도 계산 요구한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속도 계산 결과값을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20)는 도 2의 104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수신되면 도 2의 1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속도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의 일 예로는 시속 40킬로미터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 되면 제어부(20)는 도 2의 108단계로 진행하여 운전모드로 전환하고 그와 함께 사용자에게 운전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준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운전모드에 대응된 부저음 송출 및/또는 운전모드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전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의 동작은 일 예로 특허 출원번호 제1999-66998호에서 개시된 바대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106단계의 판단에서 수신된 속도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이 아니면 제어부(20)는 도 2의 110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10단계에서 제어부(20)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운전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운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11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도 2의 112단계에서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운전모드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의 일 예로는 시속 40킬로미터 미만이 될 수 있다. 도 2의 112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운전모드 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이 되면 제어부(20)는 도 2의 114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하고 그와 함께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운전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려준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운전모드 해제에 대응된 부저음 송출 및/또는 운전모드 해제에 대응된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운전중일 경우 운전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운전이 끝나면 운전모드가 자동 해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위치등록 요구시 복수개의 기지국들중 하나로 자신의 휴대용 무선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을 요구하는 과정과,
    속도 계산 요구시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들 중 하나의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시간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계산 결과값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운전모드 자동전환됨을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요구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 자동전환 기능 요구에 의한 설정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 자동전환 기능 요구가 있으면 무선채널 형성되는 기지국으로 자신의 휴대용 무선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을 요구하는 과정과,
    속도 계산 요구시 상기 무선채널이 형성되는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 기지국들과 통신하여 시간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속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계산 결과값을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자동전환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자동 전환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이동에 따른 속도계산 결과값이 수신되면 상기 속도 계산 결과값이 운전모드 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운전모드 설정 해제에 대응된 값이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기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설정된 운전모드를 해제함과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운전모드 설정 해제됨을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전모드 설정 해제는 부저음의 송출 또는 메시지의 표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전모드 전환은 부저음의 송출 또는 메시지의 표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2000-0043308A 2000-07-27 2000-07-27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046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308A KR100463778B1 (ko) 2000-07-27 2000-07-27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308A KR100463778B1 (ko) 2000-07-27 2000-07-27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09A KR20020009809A (ko) 2002-02-02
KR100463778B1 true KR100463778B1 (ko) 2004-12-29

Family

ID=1968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308A KR100463778B1 (ko) 2000-07-27 2000-07-27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7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251A (ko) * 1997-02-06 1998-10-26 니시무로타이조 이동통신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251A (ko) * 1997-02-06 1998-10-26 니시무로타이조 이동통신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09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286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ccepting telephone calls without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5953650A (en) Portable-mobile radiotelephon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mobile personal security systems
EP1424840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answering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H10190557A (ja) 無線機
US5956632A (en) Method for displaying receiv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cordless telephone
JP2008061268A (ja) 携帯電話機
US6219556B1 (en) Method for pursuing missing cellular telephone
KR10046377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운전모드 자동 전환방법
JP2004015728A (ja) 携帯電話端末装置
KR20020054583A (ko) Gps 기능을 갖는 커플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4349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내멘트 송출방법
JPH10136451A (ja) 自動応答機能を持つ無線機
JP3150118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KR20040058655A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6187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호출 방법
KR1003197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JPH11150760A (ja) 簡易型携帯電話陸上移動局
JP2000341755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の着信制御方法
JP2539255B2 (ja) 拡声呼び出し方式及びそのための無線機
JPH10210143A (ja)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JPH11317792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220

Effective date: 200410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