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079B1 -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079B1
KR100463079B1 KR10-2002-0068566A KR20020068566A KR100463079B1 KR 100463079 B1 KR100463079 B1 KR 100463079B1 KR 20020068566 A KR20020068566 A KR 20020068566A KR 100463079 B1 KR100463079 B1 KR 10046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nanofibers
nickel
secondary battery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218A (ko
Inventor
이대열
정원섭
Original Assignee
유비휴먼(주)
주식회사 카본나노텍
정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휴먼(주), 주식회사 카본나노텍, 정원섭 filed Critical 유비휴먼(주)
Priority to KR10-2002-006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0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Ni-CH Battery)용 음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극재료는 탄소나노섬유의 열처리, 볼 밀링 (Ball Milling), 무전해도금 등의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켜 기존의 니켈-금속수소 이차전지용 음극재료보다 충방전용량이 크고 수명이 향상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된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탄소나노음극재료를 제공한다.
탄소나노섬유에 함유된 카본블랙 등의 불필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처리로 내부를 대기 및 산화성분위기로 유지하면서 200~500℃ 온도범위에서 1~3시간 열처리하는 탄소나노섬유 정제용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장치에서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부피비 10~40%, 스틸볼(Steel Ball)을 90~60% 혼합 장입한 후 1~3시간 회전시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수소가 저장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볼밀링(Ball Milling) 단계; 및
상기 볼밀링장치에서 활성화된 탄소나노섬유를 황산니켈(Nickel Sulfate ) 10~30 g/l, pH 4~5, 온도 70~90℃, 시간 0.5~2시간의 조건에서 무전해도금하여 그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무전해도금 단계.

Description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 음극재료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CATHODE MATERIAL OF NICKEL-CARBON NANOFIBER SECONDARY BATTERY USING CARBON NANOFIBER}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의 음극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섬유를 열처리, 볼 밀링(Ball Milling), 무전해도금 등의 처리를 통하여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켜 기존의 니켈-금속수소 이차전지용 음극재료보다 충방전용량이 크고 수명이 향상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 음극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장비들이 범용화 되면서 고효율 소형전지(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성능 및 효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전지의 고용량, 고수명에 대한 요구는 끓임 없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니켈-수소흡장합금(Nickel-Metal Hydride, Ni-MH) 2차 전지는 금속 합금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단위 질량당 전하저장량이 상대적으로 낮고 충방전이 되풀이되면서 분말 입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극의 수명의 단축되고 전지의 효율성도 떨어질 뿐 만 아니라, Li, Zr, Ti, Cr, Mn, Mg 등의 금속재료가 지구상에 유한하고 그 제련 공정에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수소이온과 리튬이온의 저장용량이 큰 카본과 흑연을 이용한 전극재료이다. 이미 1990년대에 일본 SONY 사에서 리튬이 삽입된 카본전극을 개발한 이후 카본재료를 응용한 우수한 전극개발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 재료로써 탄소나노섬유는 화학적 안정성과 큰 이론적 수소 저장능력(2,200 mAh/g)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된 이차전지 전극재료에 비해 이론적 방전용량이 5배가 훨씬 넘는 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 때문에 최근 탄소나노섬유를 전극재료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탄소나노섬유는 제조과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그 구조가 결정면이 겹치면서 성장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결정면의 간격이 0.34nm로서 직경이0.289nm인 수소를 저장할 공간이 많아서 단위질량당 전하 저장능력이 뛰어나고, 또한 무게가 가볍고 구조가 안정되어 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탄소나노재료를 이용한 전극제조방법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327970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튜브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를 분말형태의 중합제와 섞은 후 이를 니켈망 위에 뿌린 후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였을 때 녹으면서 경화되는 중합제로 인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니켈망에 고착되도록 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과 비교 시 대상 물질, 제조방법, 제품 특성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1999-0056718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 탄소입자표면에 탄소기상성장섬유 및 탄소나노튜브를 생성시킨 탄소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과 비교시 전극재료로서의 형태 및 제조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킴으로서, 보다 높은 단위질량당 전하저장을 가지고, 수송 능력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수명이 향상된 저(低)무게의 이차전지용 음극재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음극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 나노 섬유 이차전지용 음극재료의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탄소나노섬유음극재료와 기존의 음극재료와의 충방전효율 및 수명 비교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탄소나노 섬유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공정을 포함한다.
탄소나노섬유의 불순물을 정제하는 열처리단계 ;
정제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볼밀링단계; 및
볼밀링기에서 활성화된 탄소나노섬유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니켈-무전해도금 단계.
각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다.
탄소나노섬유의 열처리 정제공정은 대기분위기 및 산화성분위기로 유지된 열처리로(爐) 내부에 탄소나노섬유를 장입한 후 내부 온도를 200~500℃ 범위로 가열하여 1~3시간 열처리함으로서 탄소나노섬유에 함유된 카본블랙 등의 불필요 성분을 제거한다.
볼밀링 공정은 상기의 열처리과정에서 정제 처리된 탄소나노섬유와 스틸볼을 부피비로 소정의 비율(탄소나노섬유 : 스틸볼 = 10~40% : 90~60% )로 각각 장입한 후 일정한 속도로 1~3시간 회전시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킨다.
니켈무전해도금공정은 상기 볼밀링과정에서 활성화된 탄소나노섬유를 최종적으로 황산니켈 10~30 g/l, pH 4~5로 조절된 도금반응조에서 온도 70~90℃, 시간 0.5~2시간의 조건으로 무전해도금하여 그 표면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탄소나노 섬유의 열처리공정
탄소나노섬유를 대기분위기 및 산화성분위기로 유지된 열처리로(爐) 내부에장입한 후 내부 온도를 200~500℃ 범위로 가열하여 1~3시간 열처리를 함으로서 탄소나노섬유에 함유된 카본블랙 등의 불필요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의 정제효율은 SEM 이미지와 화상해석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맵핑(Image mapping)법을 이용하여 각 입력화면에 잔류하는 탄소나노섬유 이외 물질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정제효율이 높으면 탄소나노섬유의 순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은 탄소나노섬유의 열처리정제 조건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열처리온도(℃)(시간 1~3시간) 열처리시간(시간)(온도 200~500℃)
200미만 200~500 500초과 1미만 1~3 3초과
정제효율(%) 50~60 95~98 탄소나노섬유일부산화 60~80 95~98 탄소나노섬유일부산화
열처리시간이 1~3시간 범위인 경우, 열처리온도가 200℃ 미만에서는 정제효율이 급격히 저하하였으며, 500℃ 초과에서는 일부 탄소나노섬유가 산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열처리 온도가 200~500℃ 범위인 경우, 열처리시간이 1시간 이하에서는 정제효율이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3시간 이상에서는 온도변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부 탄소나노섬유가 산화되었으며, 투입 전력 대비 정제효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탄소나노섬유의 볼밀링공정
상기의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정제 처리된 탄소나노섬유와 스틸볼을 각각 부피비 기준 10~40% : 90~60%로 장입한 후 일정한 속도로 1~3시간 회전시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켰다.
이때의 탄소나노섬유의 활성정도는 SEM으로부터 화상해석장치로 입력된 각 화면에서의 탄소나노섬유 형상을 축비(입자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 Aspect Ratio)와 원형도(입자의 둥근 정도, Roundness)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탄소나노섬유는 축비가 클수록 원형도가 나쁠수록 전극재료로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낸다.
표 2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정제된 탄소나노섬유의 볼밀링 조건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탄소나노섬유의 비율(%)(시간 1~3시간) 볼밀링 시간(시간)(탄소나노섬유 10~40%)
10미만 10~40 40초과 1미만 1~3 3초과
활성정도 파쇄 양호 불량 불량 양호 파쇄
[실시예 3]
탄소나노 섬유의 니켈도금 공정
상기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조건으로 정제 및 활성화 처리된 탄소나노섬
유를 탈지처리와 표면촉매제(SNCl2 등)도금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황산니켈 10~30
g/l, pH 4~5로 조절된 도금반응조에서 온도 70~90℃, 시간 0.5~2시간의 조건으로
무전해도금하여 그 표면을 더욱 활성화시킨 후 단위질량당 충방전용량을 측정하였
다.
표 3은 탄소나노섬유의 니켈무전해도금 조건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탄소나노섬유의 무전해도금에 있어서 상기의 황산니켈 농도, 도금온도, pH
조건의 벗어나는 경우 충방전용량이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황산니켈 비율(%)(pH 4~5,온도 70~90℃) 온도(℃)(황산니켈 10~40%.pH 4~5) pH(황산니켈 10~40%, 온도70~90℃)
10미만 10~30 30초과 70미만 70~90 90초과 4미만 4~5 5초과
충방전용량 210~320 520~580 280~320 160~290 520~580 330~410 270~330 520~580 180~230
[실시예 4]
탄소나노음극재료의 총방전 용량 및 수명의 측정
도 2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거쳐서 제조된 탄소나노음극재료의 총방전용량과 수명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종래의 금속계 수소흡장합금 음극재료의 충방전용량이 220 mAh/g 수준인데 반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료는 520~580 mAh/g 수준을 나타내었다.
전극재료의 수명에 있어서도 종래의 수소흡장합금 음극재료는 1,000 Cycle 수준이었으나 본 발명으로 제조한 탄소나노음극재료는 1,500 Cycle 수준이었다.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이차전지용 음극재료는 종래의 금속계 수소흡장합금 음극재료와 비교시 높은 단위질량당 전하저장 능력 및 수송능력을 구비하므로 충방전용량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니켈-탄소나노 섬유 이차섬유 이차전지용 음극 재료는 무게가 가벼운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열처리 정제 공정,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볼밀링 공정,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니켈무전해도금 공정을 거친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 음극재료.
  2. 제 1항의 음극재료를 포함하는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
  3.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 음극재료의 제조 방법:
    탄소나노섬유를 열처리하여 정제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탄소나노 섬유와 스틸볼을 장입하여 회전시켜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볼밀링 과정에서 활성화된 탄소나노섬유를 니켈 무전해 도금하여 그 표면의 전기전도를 향상시키는 니켈 무전해 도금 단계.
  4. 제 3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 음극재료의 제조 방법:
    탄소나노섬유를 대기 및 산화성분위기로 유지하면서 200~500℃ 온도범위에서 1~3시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부피비로 10~40%, 스틸볼(Steel Ball)을 90~60% 각각 장입한 후 1~3시간 회전시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볼밀링 단계; 및
    상기 볼밀링단계에서 활성화된 탄소나노섬유를 황산니켈(Sulfate Nickel) 10~30 g/l, pH 4~5, 온도 70~90℃, 시간 0.5~2시간의 조건에서 무전해도금하는 단계.
KR10-2002-0068566A 2002-11-06 2002-11-06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KR10046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66A KR100463079B1 (ko) 2002-11-06 2002-11-06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66A KR100463079B1 (ko) 2002-11-06 2002-11-06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218A KR20040040218A (ko) 2004-05-12
KR100463079B1 true KR100463079B1 (ko) 2004-12-23

Family

ID=3733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566A KR100463079B1 (ko) 2002-11-06 2002-11-06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816A2 (en) * 2009-04-13 2010-10-21 Applied Materials, Inc. Metallized fiber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KR101024169B1 (ko) * 2008-08-07 2011-03-22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길이가 제어된 나노파이버, 그 제어방법 및 장치, 길이가제어된 나노파이버를 이용한 복합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2545B (zh) * 2011-02-28 2013-06-19 深圳市豪鹏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负极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52A (ja) * 1989-06-12 1991-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カドミウム負極
JPH0479170A (ja) * 1990-07-23 1992-03-12 Yuasa Corp リチウム電池
KR20020039823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020039824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52A (ja) * 1989-06-12 1991-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カドミウム負極
JPH0479170A (ja) * 1990-07-23 1992-03-12 Yuasa Corp リチウム電池
KR20020039823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020039824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169B1 (ko) * 2008-08-07 2011-03-22 주식회사 어플라이드카본나노 길이가 제어된 나노파이버, 그 제어방법 및 장치, 길이가제어된 나노파이버를 이용한 복합소재
WO2010120816A2 (en) * 2009-04-13 2010-10-21 Applied Materials, Inc. Metallized fiber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WO2010120813A2 (en) * 2009-04-13 2010-10-21 Applied Materials, Inc.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metallized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WO2010120813A3 (en) * 2009-04-13 2011-01-13 Applied Materials, Inc.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metallized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WO2010120816A3 (en) * 2009-04-13 2011-03-24 Applied Materials, Inc. Metallized fiber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218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6789B2 (ja) 電池
CN109273680B (zh) 一种多孔硅碳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CN111952567B (zh) 一种以三维导电碳材料为基底的有机亲锂复合负极及其制备方法
CN108963265B (zh) 一种锂金属电池用负极集流体及其制备方法
CN109037554A (zh) 一种应用于锂硫电池的Ni/C复合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锂硫电池
CN110429282B (zh) 一种锂离子电池用新型纳米碳球负极材料
CN102903973A (zh) 电池
CN102903924A (zh) 电池
CN111129504A (zh) 改性集流体的制备方法、改性集流体、电极片及锂电池
CN110405219B (zh) 高功率储氢合金粉末的制备方法及高功率储氢合金粉末
US20230369589A1 (en)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containing silicate skeleton,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lithium battery
CN107256946A (zh) 电池
CN110600682B (zh) 三明治形中空球形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394118A (zh) 一种自支撑柔性电极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799098A (zh) 一种多孔碳/金属氧化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Baek et al. Electrospun conductive carbon nanofiber hosts for stable zinc metal anode
Zhang et al. Porous nitrogen-doped FeP/C nanofibers as promising anode for potassium-ion batteries
Fan et al. Carbon coated porous SnO2 nanosheet arrays on carbon cloth towards enhanced lithium storage performance
KR100463079B1 (ko)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니켈-탄소나노섬유이차전지용음극재료제조 방법
CN110474023B (zh) 一种纤维状镍铋电池及其制备方法
CN110504450B (zh) 一种杂原子掺杂的多级孔碳材料的制备方法及在锂电池负极浆料中的应用
Zou et al. CNT network crosslinked by metal Co2+ for stabilizing SnO2 anodes
CN115116760A (zh) 碳-氧化锂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21295A (zh) 一种基于炭杂化新型扣式电池型超级电容器的制备方法
CN112670471A (zh) 一种石墨负极材料、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