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713B1 -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13B1
KR100462713B1 KR10-2002-0061814A KR20020061814A KR100462713B1 KR 100462713 B1 KR100462713 B1 KR 100462713B1 KR 20020061814 A KR20020061814 A KR 20020061814A KR 100462713 B1 KR100462713 B1 KR 10046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reverse
mixer
band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610A (ko
Inventor
김진수
변종대
정명섭
Original Assignee
현광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광전자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광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은 입력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여파기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와 제1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여파기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발진주파수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3 대역통과여파기와,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제2 또는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4 대역통과여파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높은 주파수 성분의 국부발진기의 위상잡음이 삭제되고, 낮은 주파수 성분의 국부발진기의 위상잡음 만을 가진다.

Description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A FREQUENCY CONVERTING REPEATER WITH IMPROVED PHASE-NOISE FEATURE}
본 발명은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변환기가 입력신호와 제1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고, 다음으로, 제1 발진 주파수와 제2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상기 입력신호와 제1 발진 주파수가 혼합된 신호와 혼합시켜서 주파수를 변환함으로써, 위상잡음이 줄어들도록 하는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의 기본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은 기지국(1)에 인접한 주 중계장치(2)와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서비스 지역에 설치되는 원격 중계장치(3)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파수 변환기는 각 단계의 입력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여파기(30)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국부발진기(41)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국부발진기(42)와, 입력신호와 제1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51)와, 제1 혼합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와 같이 제1 국부발진기(41)와 제2 국부발진기(42)를 각각 독립되게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각 국부발진기(41,42)사이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위상잡음이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중간주파수(IF) 방식을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주파수(IF) 방식을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는 하나의 국부발진기(40)를 가지고, 제1 혼합기(51) 및 제2 혼합기(52)에 발진주파수를 입력하여 주파수를 변환한다. 따라서, 하나의 국부발진기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주파수 변환기에 있어서, 국부발진기 사이의 위상차에 의한 위상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국부발진기에서 출력된 제1 발진주파수와 제2 국부발진기에서 출력된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입력신호와 제1 발진주파수가 혼합된 신호와 혼합함으로써, 높은 주파수 성분의 국부발진기의 위상잡음이 삭제되는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의 기본 구조에 관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
도 3은 중간주파수(IF) 방식을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주 중계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 중계끼의 원격 중계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기지국 2... 주 중계장치
3... 원격중계장치 4,5... 이동국
6...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7...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
8...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9...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
10... 전력증폭기 15... 제1 송수신부
16... 제2 송수신부 17... 제3 송수신부
20... 저잡음 증폭기 30,31,32,33,34... 대역통과여파기
40,41,42... 국부발진기 51... 제1 혼합기
52... 제2 혼합기 60... 전원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은 기지국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는,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전력증폭기와; 저잡음 증폭기와; 송수신부와;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 중계장치는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전력증폭기와; 저잡음 증폭기와; 송수신부와;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 중계장치의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및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원격 중계장치의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및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입력신호(제1 또는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여파기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와 제1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여파기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발진주파수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3 대역통과여파기와;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제2 또는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4 대역통과여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방법은 기지국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격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한 후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원격 중계장치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주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9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10 단계와;
상기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단계가, 제1 대역통과여파기가 제1 또는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1 국부발진기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1 혼합기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와 제1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2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2 국부발진기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2 혼합기가 상기 제1 발진주파수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3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3 혼합기가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4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제2 또는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주 중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2)는, 상기 기지국(1)으로부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가 되도록 주파수 변환하는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6)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0)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상기 원격 중계장치(3)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중계장치로부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는 제1 송수신부(15)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0)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가 되도록 주파수 변환을 하는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7)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의 원격 중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중계장치(3)는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주 중계장치(2)로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송수신부(16)와,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0)와,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가 되도록 주파수 변환하는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8)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0)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이동국(5)으로 전송하고 이동국(5)으로부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는 제3 송수신부(17)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0)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가 되도록 주파수 변환하는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9)와,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10)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 및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 발진기와,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 발진기와, 복수의 혼합기와, 복수의 대역통과여파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주 중계장치의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6)의 동작을 살펴보면, 입력신호(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가 제1 대역통과필터(31)에 입력된다.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31)는 입력신호(F1)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제1 혼합기(51)로 입력한다. 제1 국부발진기(41)은 제1 발진주파수(FLO1)를 출력하여 상기 제1 혼합기(51)와 제2 혼합기(52)로 입력한다. 상기 제1 혼합기(51)는 입력신호(F1)과 제1 발진주파수(FLO1)를 혼합하여 주파수(FLO1±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2 대역통과여파기(32)로 입력한다. 제2 대역통과여파기(32)는 주파수(F1±FLO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고 주파수(F1- FLO1)를 가지는 신호를 추출하여 제3 혼합기(53)에 입력한다. 제2 국부발진기(42)는 제2 발진주파수(FLO2)를 출력하여 상기 제2 혼합기(52)로 입력한다. 상기 제2 혼합기(52)는 제1 발진주파수(FLO1)와 제2 발진주파수(FLO2)를 혼합하여 주파수(FLO1±FLO2)를 제3 대역통과여파기(33)로 입력한다.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33)는 주파수(FLO1-FLO2)를 추출하여 상기 제3 혼합기(53)에 입력한다. 상기 제3 혼합기(53)는 주파수(F1- FLO1)를 가지는 신호와 주파수(FLO1-FLO2)를 혼합하여, 주파수(F1+FLO2)와 주파수(F1-2FLO1+FLO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4 대역통과여파기(34)로 입력한다. 상기 제4 대역통과여파기(34)는 순방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주파수(F1+FLO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로써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FLO1)의 위상잡음은 삭제되고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FLO2)의 위상잡음 만이 남게 된다.
상기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제2 순방향 및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도 상기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의 동작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방법을 도4, 도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에서는 기지국(1)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2)가 상기 기지국(1)으로부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6)로 입력하고,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6)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F2)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한다.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격 중계장치(3)로 전송한다.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한 후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8)로 입력하고,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8)가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한다.
제6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5)으로 전송하고, 제7 단계에서는 상기 원격 중계장치(3)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9)로 입력한다.
제8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9)가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로 변환하고, 제9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주 중계장치로 전송한다.
제10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7)로 입력하고, 제11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7)가 상기 제2 주파수(F2)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고, 제1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
상기 각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단계는 각 주파수 변환기에서 동일한 원리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에서 주파수 변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대역통과여파기(51)가 제1 주파수(F1)를 가지는 순방향 입력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제1 국부발진기(41)가 제1 발진주파수(FLO1)를 출력하고, 다음으로, 제1 혼합기(51)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31)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F1)와 제1 발진주파수(FLO1)를 혼합하여 제2 대역통과여파기(32)로 입력한다. 제2 대역통과여파기(32)는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고 주파수(F1-FLO1)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추출한다. 제2 국부발진기(42)가 제2 발진주파수(FLO2)를 출력하고, 제2 혼합기(52)가 상기 제1 발진주파수(FLO1)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FLO2)를 혼합하여 제3 대역통과여파기(33)로 입력한다. 제3 대역통과여파기(33)는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고 주파수(FLO1-FLO2)를 추출하여 제3 혼합기(53)에 입력한다. 제3 혼합기(53)는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F1-FLO1)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FLO1-FLO2)를 혼합하고, 제4 대역통과여파기(34)는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에서 주파수(F1+FLO2)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추출하고,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면, 별도로 제1 국부발진기와 제2 국부발진기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위상을 동일한 기준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없이도, 제1 국부발진기와 제2 국부발진기의 위상차에 따른 위상잡음 중 높은 주파수 성분의 국부발진기의 위상잡음을 삭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주 중계장치와 원격 중계장치로 구성되어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으로서,
    기지국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는,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전력증폭기와; 저잡음 증폭기와; 송수신부와;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 중계장치는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전력증폭기와; 저잡음 증폭기와; 송수신부와;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 중계장치의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및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원격 중계장치의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 및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입력신호(제1 또는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통과여파기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와 제1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통과여파기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발진주파수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3 대역통과여파기와;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3 혼합기와;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제2 또는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제4 대역통과여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중계장치 및 원격 중계장치로 구성되어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2. 주 중계장치 및 원격 중계장치로 구성되어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방법으로서,
    기지국과 유선 통신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주 중계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원격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한 후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2 순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원격 중계장치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2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주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9 단계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여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하는 제10 단계와;
    상기 제1 역방향 주파수 변환기가 상기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를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단계가, 제1 대역통과여파기가 제1 또는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신호(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1 국부발진기가 제1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1 혼합기가 상기 제1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와 제1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2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1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2 국부발진기가 제2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2 혼합기가 상기 제1 발진주파수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3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2 혼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제3 혼합기가 상기 제2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3 대역통과여파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혼합하는 단계와; 제4 대역통과여파기가 상기 제3 혼합기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제2 또는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잡음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중계장치 및 원격 중계장치로 구성되어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방법.
KR10-2002-0061814A 2002-10-10 2002-10-10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462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814A KR100462713B1 (ko) 2002-10-10 2002-10-10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814A KR100462713B1 (ko) 2002-10-10 2002-10-10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610A KR20040032610A (ko) 2004-04-17
KR100462713B1 true KR100462713B1 (ko) 2004-12-23

Family

ID=3733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814A KR100462713B1 (ko) 2002-10-10 2002-10-10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677B1 (ko) * 1994-12-14 1998-07-01 배순훈 위성방송용 중계기의 위상제어회로
US5987304A (en) * 1996-05-31 1999-11-16 Allgon Ab Repeater with variable bandwidth
KR20000006905A (ko) * 1999-11-11 2000-02-07 이승엽 동적 필터링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변환장치
KR20000034563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마이크로파 중계기
JP2001267993A (ja) * 2000-03-22 2001-09-28 Japan Radio Co Ltd 周波数変換装置及び同一周波数中継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677B1 (ko) * 1994-12-14 1998-07-01 배순훈 위성방송용 중계기의 위상제어회로
US5987304A (en) * 1996-05-31 1999-11-16 Allgon Ab Repeater with variable bandwidth
KR20000034563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마이크로파 중계기
KR20000006905A (ko) * 1999-11-11 2000-02-07 이승엽 동적 필터링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 변환장치
JP2001267993A (ja) * 2000-03-22 2001-09-28 Japan Radio Co Ltd 周波数変換装置及び同一周波数中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610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929A (en) Homodyne receiver minimizing oscillator leakage
JP2917890B2 (ja) 無線送受信機
US910008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 repeater
KR100462713B1 (ko)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260252B1 (ko) 로컬 멀티포인트 통신시스템(lmcs)의 고주파(rf) 송수신기
KR100751554B1 (ko) 이중 대역 주파수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 장치 및 전력 증폭 방법
KR100628704B1 (ko) 디지털신호지연필터를 이용한 발진제거 중계기
KR100665865B1 (ko) 다중밴드 송수신 장치
KR100628556B1 (ko) 디지털 지연기를 갖는 아날로그 광 중계기
JPH0818616A (ja) 多周波信号受信回路
KR100302944B1 (ko) 주파수 변환 중계장치
KR100466490B1 (ko) 항온조 수정발진기를 이용한 변조품질 개선용 송수신주파수 상/하향 변환장치
JPH01300627A (ja) 入出力単方向周波数双方向変換装置
KR100322382B1 (ko) 동일 fa를 이용한 cdma용 광대역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3012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2 경로 광중계장치
KR100451638B1 (ko) 주파수 합성 장치
KR20080083760A (ko) 직접변환 방식의 알에프 중계기용 채널 필터링 장치
KR200222047Y1 (ko) 송수신 주파수 상/하향 변환장치
JP3464653B2 (ja) 衛星信号伝送システム
KR100249676B1 (ko) 국부 발진신호의 누설 신호 소거장치
KR100442332B1 (ko) 능동 필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
EP1858166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65787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 칩 모듈
JPH08316908A (ja) 光ファイバ伝送装置
JP3452830B2 (ja) 衛星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ブロック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