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54B1 -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654B1
KR100461654B1 KR10-2003-0010463A KR20030010463A KR100461654B1 KR 100461654 B1 KR100461654 B1 KR 100461654B1 KR 20030010463 A KR20030010463 A KR 20030010463A KR 100461654 B1 KR100461654 B1 KR 10046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vane
room temperature
air
indo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547A (ko
Inventor
박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6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삼면으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조화기에서, 전면에 위치한 베인의 구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온도감지부를 통해서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실내온도를 마이크로컨트롤러가 기설정된 기준온도값과 비교판단하여 전면에 위치한 베인의 구동여부를 판단/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공기조화기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열교환된 차가운바람이나 뜨거운 바람을 직접 맞지 않게 되어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A van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에 토출하기 위해서 공기조화기의 베인 또는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액자형공기조화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1b는 일반적인 액자형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외관을 메인샤시(3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샤시(30)는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부품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전방부(32)와 상기 전방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후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방은 지지패널(38)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전방부(32)는 상대적으로 전후 폭이 좁은 납작한 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3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부(32)의 좌우폭보다 짧은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이나 측방에서 벽면에 설치된 실내기를 보면 대체로 상기 전방부(32)가 주로 보이게 되어 전체적으로 실내기의 구성이 시각적으로 슬림화되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메인샤시(30)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38')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패널(38)에는 전면패널(4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40)은 상기 지지패널(38)에 형성된 흡입그릴(3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패널(38)은 그 하단 양측을 중심으로 선단이 소정 각도 회전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면패널(40)의 동작을 위해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40)은 공기조화기가 동작될 때에는 상기 흡입그릴(38')을 개방하고, 공기조화기가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흡입그릴(38')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그릴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메인샤시(30)의 좌, 우, 하면을 통해 실내기의 내외부로 입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은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는 메인샤시(30)의 외부로 돌출되고, 공기조화기가 동작되지 않을 때는 메인샤시(30)의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72)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베인(74)과 루버(76)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74)은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토출시키고, 상기 루버(76)는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베인(74)과 루버(76)는 각각 별도의 구동원으로 구동되거나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다음의 과정으로 제어되었다.
운전 중인 경우, 공기조화기에 구성된 모든 토출구가 열리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열교환된 바람이 토출되었다. 그리고 열교환된 바람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온도가 낮아져도 종래에는 토출구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냉방운전 중, 에어컨 정면이나 밑에 있는 사람에게 찬바람이 직접적으로 닿게 되어 불쾌감을 느꼈다. 또한 난방운전 중 에어컨 정면이나 밑에 있는 사람에게 더운 바람이 직접적으로 닿게 되어 불쾌감을 느꼈다.
이와 같이 종래 공기조화기는 운전 중에 실내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액자형공기조화기 본체에 구성된 모든 토출구를 통해서 열교환된 바람이 토출되어진다. 즉, 종래 액자형공기조화기는 실내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면 적절한 실내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삼면으로 토출시키는 과정에서, 실내온도에 관계없이 전 토출구를 통해 바람을 토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자형공기조화기 바로 하측이나 정면에 있게 되면 공기조화기 전면으로부터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찬바람이나 더운바람이 사용자에게 직접 닿게 되어,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불쾌감을느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형, 또는 삼면 토출과 같이 토출구가 좌우에도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일정 온도 대역 이외에는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을 닫은 상태로 운전시켜 너무 차거나 더운 바람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도를 높이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1b는 일반적인 액자형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를 위한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를 위한 동작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 마이크로컨트롤러 240 : 실내온도감지부
250 : 베인/루버 구동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은, 본체의 토출구로 풍향의 상하조절을 위한 베인과, 본체의 측면부에 구성되어 풍향의 좌우조절을 위한 루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풍향상하조절 베인과 루버의 제어를 위한 기준실내온도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베인과 루버를 열고, 실내공기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범위를 비교판단하고, 본체 토출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은, 현재 실내온도가 기준실내온도범위를 벗어나면, 풍향상하조절을 위한 베인이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은, 상기 베인이 닫히도록 제어한 후,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가 기준실내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베인이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30)와,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0)와,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실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온도감지부(240)와, 베인 및 루버를 구동시키는 베인/루버구동부(250)와, 냉난방 제어를 위해 열교환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온도감지부(240)는 실내온도를 측정가능한 어느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온도감지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는, 각 냉/난방 기능에 따른 기준실내온도범위가 기설정되어져 있고,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설정된 기준실내온도범위와 현재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감지된 실내온도를 비교판단한다.
그리고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지속적으로 열교환작업을 수행하고, 실내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너무 차가운 바람이나 너무 뜨거운 바람이 토출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면, 또는 하단에 설치된 베인(74)이 닫히도록 구동제어된다.
이하 상기 제어구성을 통해서 공기조화기 베인의 구동을 동작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난방 사이클의 동작과정을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를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이다.
제품에 전원이 인가되면, 키입력부(200)를 통해서 동작제어신호를 입력한다(제 300 단계). 상기 동작제어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이를 인지하여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열교환작업을 수행한다(제 310 단계).
그리고 열교환작업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해서, 본체에 구성된 토출구가 모두 열리도록 제어한다(제 320 단계).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좌,우, 정면에 구성된 삼면의 토출구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에 삼면으로 구성된 토출구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소정시간 동안 실내로 토출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제 330 단계),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실내온도를 측정한다(제 340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는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와 기준설정값을 비교판단하여,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체크하고, 적절하게 베인(74) 및 루버(76)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 340 단계에 따라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실내온도가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범위 (T1<현재실내온도<T2)에 포함되면(제 350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현재실내온도가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주는 적정온도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 삼면의 토출구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계속 토출되도록 제어한다. 즉, 공기조화기의 좌/우면에 구성된 루버(76)와,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구성된 베인(74)을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계속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제 350 단계에서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실내온도가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범위 (T1<현재실내온도< T2)를 벗어나, 현재실내온도가 T1보다 낮으면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찬 바람이 직접 토출된다. 그리고 현재실내온도가 T2보다 높으면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직접 더운 바람이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찬 바람 또는 더운 바람이 전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토출됨에 따라 전면에 있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공기조화기의 삼면으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던 중에 전면에 구비된 베인(74)이 닫히도록 제어한다(제 360 단계).
이에 따라 전면에 구성되어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74)이 닫힘으로 인해서 좌/우 루버(76)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찬 바람 또는 더운 바람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베인(74)이 닫힌 상태에서 계속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현재실내온도를 측정한다(제 370 단계). 그리고 측정된 현재실내온도값이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현재실내온도값이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범위 (T1<현재실내온도<T2) 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한다(제 380 단계).
즉,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실내온도가 마이크로컨트롤(220)에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범위(T1<현재실내온도<T2)를 벗어나면,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현재 실내온도가 아직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온도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전면에 구성된 베인(74)이 계속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결국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74)이 닫힘 상태로 좌/우 루버(76)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그 결과 공기조화기 전면에서 너무 차거나 더운 바람이 토출되어,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 380 단계의 판단에 따라 실내온도감지부(240)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실내온도가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값범위(T1<현재실내온도<T2)에 포함되면, 현재 실내온도는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주는 온도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공기조화기의 삼면으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전면에 구성된 베인(74)을 다시 연다. 그 결과 공기조화기의 좌/우면에 구성된 루버(76)와,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구성된 베인(74)을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실내온도가 적정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공기조화기 전면에 위치한 베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전면으로 불어,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직접 너무 차거나 더운 바람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난방사이클에 따른 베인의 구동제어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로서 냉방사이클에 따라 베인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준실내온도범위를 정하고, 실내온도감지부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값과 상기 기준실내온도범위를 비교판단하여 공기조화기 전면에 구비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하로 토출되도록 하는 베인의 구동여부를 제어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된 실내온도값을 기준실내온도범위와 비교하여 기준실내온도범위에서 벗어나면, 열교환된 공기가 액자형공기조화기의 전면으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닿지 않도록 베인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으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난방 운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온도조건이라고 판단되면 베인을 닫고, 적절한 온도조건을 벗어나면 베인을 다시 열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적절한 온도조건을 벗어난 찬바람이나 더운 바람이 액자형공기조화기 전면에 설치된 베인의 동작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의 토출구로 풍향의 상하조절을 위한 베인과, 본체의 측면부에 구성되어 풍향의 좌우조절을 위한 루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풍향상하조절 베인과 루버의 제어를 위한 기준실내온도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베인과 루버를 열고, 실내공기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실내온도범위를 비교판단하고, 본체 토출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실내온도가 기준실내온도범위를 벗어나면, 풍향상하조절을 위한 베인이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닫히도록 제어한 후, 측정된 현재 실내온도가 기준실내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베인이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KR10-2003-0010463A 2003-02-19 2003-02-19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KR10046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63A KR100461654B1 (ko) 2003-02-19 2003-02-19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63A KR100461654B1 (ko) 2003-02-19 2003-02-19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547A KR20040074547A (ko) 2004-08-25
KR100461654B1 true KR100461654B1 (ko) 2004-12-18

Family

ID=3736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63A KR100461654B1 (ko) 2003-02-19 2003-02-19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483A (zh) * 2019-12-03 2020-04-1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存储介质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547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870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1811239B1 (en) Method of controlling blowing direction in sleeping operation mode of air conditioner
CN106765540B (zh) 空调室内机
CN106152464A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9891159B (zh) 空调室内机
KR100461654B1 (ko)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CN111279136B (zh) 空调机
KR2009008594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4090315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548627B2 (ja) 空気調和機
KR10055196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85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63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JPH0526508A (ja) 空気調和機
KR100520959B1 (ko) 액자형공기조화기의 배인제어방법
KR10055428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루버제어방법
KR100691231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04674A (ko)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되는 공조기
KR10048492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49894A1 (ja) 空調システム
KR20140072458A (ko)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0486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56482B1 (ko) 분리형 에어컨의 루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