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678B1 -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 Google Patents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678B1
KR100460678B1 KR10-2001-0059821A KR20010059821A KR100460678B1 KR 100460678 B1 KR100460678 B1 KR 100460678B1 KR 20010059821 A KR20010059821 A KR 20010059821A KR 100460678 B1 KR100460678 B1 KR 10046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hat
coupled
fixing b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700A (ko
Inventor
신재훈
Original Assignee
신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훈 filed Critical 신재훈
Priority to US10/084,223 priority Critical patent/US6662371B2/en
Publication of KR2002007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챙 하부로 선글라스를 전후 조절과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글라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자챙과 착용캡이 봉제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양측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공간부에 끼움결합되도록 그 외면에 전후이동돌기가 형성된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양측단부가 연결 결합되어 햇빛을 차양하는 햇빛차양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Hat having sunglass}
본 발명은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챙 하부로 선글라스를 전후 조절과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글라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 및 모자는 여름철 자외선을 피하고 자신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령과 성별에 제한되지 않고 누구나 신체 여러 부위에 자유롭게 걸거나 착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다수의 선글라스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같은 선글라스는 특히, 해변가 또는 운동경기장과 같이 강한 직사광선을 직접 장시간 받는 곳에서 선글라스와 모자를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선글라스와 모자는 사용자가 운동시 상기 선글라스를 모자위에 걸거나 따로 선글라스 케이스에 넣고 가방 등에 수납하여 보관한 후,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하지만 상기 선글라스는 운동시에 따로 보관하거나 인체에 걸어서 보관하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선글라스와 모자를 착용하고 격한 운동을 하게 될 경우, 인체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땀이 상기 선글라스와 인체의 접촉부위에 스며들어 상기 선글라스가 자주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선글라스 케이스 및 가방 등을 따로 구비한 채 이를 따로 보관 및 휴대해야만 했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선글라스를 의류 및 모자 위에 걸고 이동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옆을 지나가는 보행자 및 사용자의 부주위한 행동으로 인해 상기 선글라스가 지면으로 떨어져 선글라스가 심하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시말해, 이동인구가 많은 도시의 중심 및 해변가 등에서는 좁은 인도를 보행하게 될 경우, 반대편에서 보행하는 보행자와 잦은 인체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반대편 보행자가 사용자와 심하게 충돌시, 사용자의 선글라스가 지면에 떨어져 심하게 파손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 선글라스가 지면에 떨어질 경우, 상기 선글라스의 형태가 심하게 변형되어 재사용이 불가능 하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장시간 안면에 착용하고 생활하게 되면, 상기 선글라스테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안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평상시 안경 및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심한 피로와 통증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자챙 하부로 선글라스를 전후 조절과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글라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모자착용부 내측으로 혈액순환에 이로운 자석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선글라스와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피로감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측단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가 모자의 전후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자 12: 모자챙 14: 착용캡
20: 고정밴드 22: 공간부 24: 관통공
30: 조절수단 31: 전후이동돌기 32: 각도조절홈
33: 볼록돌기 34: 회동조절구 34a: 연결공
35: 탄발스프링 36: 중심축 36a: 가압판
36b: 나사홀 37: 외부케이스 37a: 협지공
38: 조절버튼 40: 햇빛차양수단 42: 선글라스
44: 회전구 44a: 각도조절돌기 44b: 접지홈
70: 자석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자챙과 착용캡이 봉제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양측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중간부에 끼움결합되도록 그 외면에 전후이동돌기가 형성된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양측단부가 연결 결합되어 햇빛을 차양하는 햇빛차양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의 각도조절돌기에는 상기 고정밴드의 관통공에 끼움되어 전후 이동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볼록돌기가 형성된 것은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측단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가 모자의 전후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자(10)와 고정밴드(20)와 조절수단(30)과 햇빛차양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자(10)는 모자챙(12)과 착용캡(14)이 봉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모자챙(12) 양측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단이 개방된 모자챙(12) 내부에는 양측단부가 모자챙(12) 양측단으로 노출되도록 고정밴드(20)가 삽입된다.상기 고정밴드(20)는 모자챙(12)에 삽입된 후, 좌우 이동되지 않도록 봉제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자챙(12)에 삽입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자챙(12)에 통상적인 봉제가 이루어지기전 모자챙(12) 내부에 고정밴드(20)의 일측의 삽입되면서 양측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후, 모자챙(12)에 통상의 모자와 같이 고정밴드(20)가 모자챙(12)에 함께 봉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겠다.
이같은 고정밴드(20)는 일정폭을 갖고, 그 양측단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공간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2)의 내측벽에는 동일축선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20)는 다양한 각도로 접어 착용하게 되는 모자챙(12)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자챙(12) 내부소재와 같은 소재 및 대채로 형상 변형이 용이한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의 공간부(22)에는 조절수단(30)이 끼움결합된다. 상기 조절수단(30)은 그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전후이동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각도조절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후 이동돌기(31)에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부(22) 내부에서 조절수단(30)을 전후 이동시, 중간부(22)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24)에 끼움결합되어 전후이동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록돌기(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같은 볼록돌기(33)는 상기 공간부(22)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24)에 견고하게 끼움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그 크기를 상기 관통공(24) 보다 크게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의 각도조절홈(32)에는 햇빛차양수단(40)이 결합된다. 상기 햇빛차양수단(40)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선글라스(42)와 상기 선글라스(42) 상단 양측단부에 분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구(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44)에는 각도조절돌기(44a)가 그 외면에 돌설되어 상기 조절수단(30)의 각도조절홈(32)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홈(32)의 중앙에는 나사산을 갖는 접지홈(4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구(44)는 전술한 조절수단의 각도조절홈(32)에 끼움되어 상기 선글라스(42)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상 및 모양으로 구성된 선글라스를 구입하여 상기 선글라스의 회전구(44)를, 새로 구입한 선글라스에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글라스를 편리하게 교환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챙(12) 내부에 고정밴드(20)의 양측단부를 모자챙(12) 양측단에 돌출되게 삽입 설치하고, 상기 고정밴드(20)에는 조절수단의 전후이동돌기(31)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공간부(22) 내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조절수단(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각도조절홈(32)에는 선글라스(42)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회전구(44)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선글라스(42)를 전후 또는 상하로 회동시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선글라스(42)를 특별한 보관수단 없이도 편리하게 모자챙(12)에 부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선글라스(42)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글라스(42)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로 교환하여 상기 고정밴드(20)에 끼움한 후,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패션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수단(30)은 선글라스(42)의 상하 회동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수단(42)의 각도조절홈(32)은, 중앙에 연결공(34a)이 형성된 회동조절구(34)의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동조절구(34) 내부에는 탄발스프링(35)이 수용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탄발스프링(35) 내부에는 일측에 가압판(36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 일측에 나사홀(36b)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 타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심축(36)이 삽입되면서 상기 탄발스프링(35)의 일측면을 가압판(36a)이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같은 중심축의 나사산은 상기 회도조절구의 접지홈(44b)과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탄발스프링(35)과 중심축(36) 외면에는 그 외면을 수용하면서 외부케이스(37)의 단부가 상기 회동조절구(34)와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37)는 그 일측 중앙이 천공된 협지공(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협지공(37a)에는 조절버튼(38)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두손으로 조절버튼(38)을 각각 누르게 되면, 상기 조절버튼(38)과 연결된 중심축의 가압판(36a)이 탄발스프링(35)을 가압하면서 상기 회동조절구의 연결공(34a)을 지나 상기 선글라스의 회전구(44)에 형성된 접지홈(44b)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조절구의 각도조절홈(32)과 회전구의 각도조절돌기(44a)가 서로 이격되며, 이때 사용자가 한손으로 선글라스(42)를 잡고 편리하게 상하로 회동하게 되면, 선글라스(42)에 부착된 상기 회전구의 각도조절돌기(44a)가 선글라스(42)와 함께 회동되면서 회동조절구의 각도조절홈(32)에 회전구의 각도조절돌기(44a)가 끼워지게 된다. 이후, 상기 각도조절돌기(44a)가 각도조절홈(32)에 끼워진 후에는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회전구(44)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돌기(44a)가 각도조절홈(44)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선글라스(42)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모자의 착용캡(14) 내부에는 사용자의 혈액순환 및 건강에 이로운 자석(70) 등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은 자석(7)은 착용캡(14) 내부에 일측이 돌출되도록 고정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장시간 모자(10)를 착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착용캡(14)의 곡선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 설치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는 모자챙 하부로 선글라스를 전후 조절과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글라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모자착용부 내측으로 혈액순환에 이로운 자석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선글라스와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피로감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는 고정밴드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조절버튼을 사용자의 두손으로 간편하게 누른 상태에서 한손으로 선글라스를 상하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실 및 파손에 대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6)

  1. 모자챙과 착용캡이 봉제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양측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공간부에 끼움결합되도록 그 외면에 전후이동돌기가 형성된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양측단부가 연결 결합되어 햇빛을 차양하는 햇빛차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일측에 각도조절홈을 갖는 회동조절구와, 상기 회동조절구에 수용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탄발스프링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탄발스프링 일측 단부를 가압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탄발스프링과 중심축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되 상기 회동조절구와 결합되며 중앙이 천공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천공된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중심축과 결합되는 조절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차양수단은 선글라스와 상기 선글라스의 상단 각 측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외측면에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접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의 전후이동돌기에는 상기 고정밴드의 내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볼록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 내부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KR10-2001-0059821A 2001-03-07 2001-09-26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KR10046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84,223 US6662371B2 (en) 2001-03-07 2002-02-28 Reconfigurable eyewear apparatus for headwear vi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53 2001-03-07
KR1020010013953 2001-03-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086U Division KR200260782Y1 (ko) 2001-03-07 2001-09-28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700A KR20020071700A (ko) 2002-09-13
KR100460678B1 true KR100460678B1 (ko) 2004-12-09

Family

ID=2769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821A KR100460678B1 (ko) 2001-03-07 2001-09-26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6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655A (en) * 1993-07-09 1994-09-20 I-Sha-Vi, Inc. Eyewear in combination with a visor
JPH07243114A (ja) * 1994-03-02 1995-09-19 Sadao Yabuno 簡易双眼鏡付き帽子。
JPH0744746U (ja) * 1993-02-04 1995-11-28 勝通 戴 調整可能なアイシールドを有する帽子
KR200194370Y1 (ko) * 2000-03-31 2000-09-01 임채웅 선글라스를 장착한 챙 모자
KR200199241Y1 (ko) * 2000-04-07 2000-10-02 조성복 거리조절안경을 부착한 모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746U (ja) * 1993-02-04 1995-11-28 勝通 戴 調整可能なアイシールドを有する帽子
US5347655A (en) * 1993-07-09 1994-09-20 I-Sha-Vi, Inc. Eyewear in combination with a visor
JPH07243114A (ja) * 1994-03-02 1995-09-19 Sadao Yabuno 簡易双眼鏡付き帽子。
KR200194370Y1 (ko) * 2000-03-31 2000-09-01 임채웅 선글라스를 장착한 챙 모자
KR200199241Y1 (ko) * 2000-04-07 2000-10-02 조성복 거리조절안경을 부착한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700A (ko) 200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1946Y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US7441737B2 (en) Sunglasses holder
KR100460678B1 (ko) 선글라스가 부착된 모자
KR200260782Y1 (ko)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CA2856082A1 (en) Baseball style cap with interchangeable bill or crown portion
KR200243049Y1 (ko)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KR200236656Y1 (ko) 선글라스의 탈부착 및 전 후 이동이 가능한 모자
KR100612777B1 (ko) 선글라스 수납공간이 형성된 선글라스 장착형 모자
KR200218881Y1 (ko) 차양모자
KR100368950B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489223Y1 (ko) 일체형 선글라스 모자
KR10050365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164111Y1 (ko) 자외선차단용차양모
KR200363370Y1 (ko)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KR200330134Y1 (ko) 분리형 모자
KR200231332Y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360099Y1 (ko) 안경테에 고정되는 차광모자
KR200187595Y1 (ko) 차양의 탈착이 가능한 모자
KR200231925Y1 (ko) 다방향 차양 조절 모자
KR200292113Y1 (ko) 선글라스홀더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KR100538114B1 (ko)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KR100788954B1 (ko) 모자
KR200354334Y1 (ko) 모자
KR200292607Y1 (ko) 모자 부착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