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946Y1 - 자외선 차단용 모자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946Y1
KR200231946Y1 KR2020010003938U KR20010003938U KR200231946Y1 KR 200231946 Y1 KR200231946 Y1 KR 200231946Y1 KR 2020010003938 U KR2020010003938 U KR 2020010003938U KR 20010003938 U KR20010003938 U KR 20010003938U KR 200231946 Y1 KR200231946 Y1 KR 200231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sunshade
couple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희
Original Assignee
정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희 filed Critical 정용희
Priority to KR2020010003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946Y1/ko
Priority to JP2001001802U priority patent/JP3080764U/ja
Priority to US09/888,974 priority patent/US64571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946Y1/ko
Priority to PCT/KR2001/001192 priority patent/WO2002065866A1/en
Priority to CNB01822430XA priority patent/CN1233285C/zh
Priority to CA002438538A priority patent/CA2438538C/en
Priority to HK04106492A priority patent/HK1063714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밴드와 차양을 연결하는 힌지부가 상하좌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장치를 구성하여 햇빛의 방향에 따라 차양을 회전시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외선 차단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으며 상기 지지밴드의 외주연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는 사용자가 태양의 빛을 가릴 수 있도록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하는 차양수단과; 및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차양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다수의 홈을 갖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으며 상기 끼움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발편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의 방향만을 이동시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모자{The headgear for ultraviolet rays interception}
본 고안은 여름철에 스포츠관람, 해수욕장, 낚시 등을 할 때 얼굴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차양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밴드와 차양을 연결하는 힌지부가 상하좌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장치를 구성하여 햇빛의 방향에 따라 차양을 회전시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외선 차단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양모는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지지밴드와 차양이 일체로 형성되어 햇빛의 조사 방향에 따라서 차양을 유동시킬 수 없어 모자를 옆으로 돌려서 착용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또 다른 차양모는 지지밴드와 차양의 양측 끝단부를 연결핀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되 지지밴드와 차양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부싱을 개재시켜 차양을 상하 회전시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연결핀으로부터 회전하는 차양의 양측끝단이 탄성 부싱에 몰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모자 차양의 상하 회전이 부드럽지 못하고, 부싱과 차양의 연결부에 약간 유격이 발생되도록 하면 상하 회전은 부드러우나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서 상부에 위치한 차양이 아래로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되어 착용자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갖게 될 뿐 아니라 차양이 좌우로는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외선 차단용 모자는 지지밴드와 차양을 연결하는 힌지부가 상하좌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장치를 구성하여 햇빛의 방향에 따라 차양을 회전시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는 탄성을 갖는 지지밴드 양측에 차양 끝단부에 연결핀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모자 차양을 상하로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모자에 있어서,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으며 상기 지지밴드의 외주연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는 사용자가 태양의 빛을 가릴 수 있도록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하는 차양수단과; 및 상기차양수단은 상기 차양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다수의 홈을 갖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으며 상기 끼움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발편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딩편의 가이드 돌기 일측단에는 상기 차양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요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움홀을 중심으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기가 형성된 탄발편을 갖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끼움홀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부재가 착설되는 회전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구는 상기 지지밴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내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장방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편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밴드는 상기 지지구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외측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밴드에는 지지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구는 상기 이동편이 가이드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으로 돌설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지지구의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중심에 일체로 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3개의 돌기를 갖는 이동편과;
상기 차양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연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의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부재가 착설된 회전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구의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목에 모자를 목에 걸을 수 있도록 끈이 끼워지는 설치공을 갖는 설치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모자 차양이 상하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모자 차양이 좌우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장치 요부 발취 분리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요부 발취 결합 단면 구성도.
도7은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취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결합단면도.
도9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10은 도9의 결합단면도
도11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자 2 : 차양
3, 300, 500 : 지지밴드 100 : 차양수단
110, 410 : 지지구 111 : 가이드홈
112 : 지지홈 112, 125a, 256a : 요철
113 : 고정돌기 114 : 뚜껑
114a : 고정홈 120, 250, 420 : 이동편
121, 241,421 : 힌지축 122, 242 : 걸림홈
123, 243, 432 : 홈 124, 255, 423, : 슬라이딩편
125, 256, 424 : 가이드돌기 130, 240, 430 : 회전편
130a, 430a : 결합홀 131, 251, 431 : 끼움홀
131a, 254 : 걸림돌기 132, 252 : 탄발편
133, 253, 422 : 돌기 134,244 : 마감부재
310 : 지지돌기 411 : 슬라이딩돌기
412 : 결합공 413 : 설치돌기
414 : 설치공 510 : 결합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모자 차양이 상하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모자 차양이 좌우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장치 요부 발취 분리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요부 발취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지지밴드 양측에 차양 끝단부에 연결핀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차양을 상하로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모자에 있어서, 상기 차양(2)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111)을 갖으며 상기 지지밴드(3)의 외주연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구(110)의 가이드홈(111)에는 요철(111a)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태양의 빛을 가릴 수 있도록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하는 차양수단(100)이 상기 지지구(110)에 설치된다.
상기 차양수단(100)에는 상기 지지구(11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편(120)과, 상기 이동편(120)에 결합되고 그 소정부위에 형성된 결합홀(130a)에 차양(2)이 결합된 회전편(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편(120)은 상기 차양(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1110)의 가이드홈(11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편(124)이 일측에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 형의 슬라이딩편(124) 내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12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125)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형성된 요철(111a)과 부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요철(125a)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편(120)의 타측에는 원통형의 힌지축(121)이 일체로 형성되고,상기 힌지축(121)의 외주연에는 걸림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121) 둘레 즉, 상기 이동편(120)의 소정 부위에는 다수의 홈(123)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편(130)에는 상기 차양(2)이 상하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131)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다수의 탄발편(132)이 형성되며, 상기 탄발편(132)의 소정 부위에는 돌기(133)가 형성되어 상기이동편(120)의 홈(123)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편(130)의 끼움홀(131)에 상기 이동편(120)의 힌지축(121)이 삽설되면, 상기 이동편(12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힌지축(121)에 형성된 걸림홈(1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131)의 내측에 걸림돌기(131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편(130)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홀(131)에 끼워진 힌지축(121)이 외부로 나타나지 않도록 마감부재(134)가 설치되어 미관을 수려하게 한다.
그리고, 도7 또는 도8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7은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취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7 또는 도8에 되시된 바와 같이 지지밴드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구(110)의 가이드홈(111)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255))이 일측에 형성된 이동편(25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편(250)은 상기 슬라이딩편(255)이 형성된 타측 중앙에는 끼움홀(25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51)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탄발편(252)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발편(252)에는 돌기(253)가 소정 부위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차양(2)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그 차양(2)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편(250)에 결합되는 회전편(24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편(240)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홀(251)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2)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힌지축(24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41)의 둘레에는 상기 차양(2)이 상하로 각도 조절을 할 시에 탄발적을 조절되면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53)와 결합되는 홈(24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도9 또는 도10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9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결합단면도이다.
도9 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밴드(300)와 동일한 크기로 지지구(1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110)의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의 지지홈(112)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지지구(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이동편(120)에 형성된 슬라이딩편(124)이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10)의 양측단에는 고정돌기(11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13)에 뚜껑(114)을 압설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시에 두피에 상처를 입히거나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110)에 형성된 지지홈(112)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밴드(300)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10)가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지지구(110)에는 소프한 재질의 섬유가 씌워져 사용자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도11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모자(1)는 상기 지지밴드(500)에는 지지구(4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부재(5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410)에는 이동편(430)이 가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으로 돌설되는 슬라이딩돌기(411)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수단(100)은 상기 지지구(410)의 슬라이딩돌기(411)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2)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424)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중심에 일체로 힌지축(42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421)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3개의 돌기(422)를 갖는 이동편(420)이 상기 지지구(410)의 슬라이딩돌기(411)에 설치된다.
상기 차양(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연 일측에 결합공(41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420)의 돌기(422)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2)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4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부재(440)가 착설된 회전편(430)이 상기 이동편(420)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구(410)의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목에 모자(1)를 목에 걸을 수 있도록 끈이 끼워지는 설치공(414)을 갖는 설치돌기(4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외선 차단용 모자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모자(1)를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지지밴드(3)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양측으로 약간 벌린 상태에서 머리 둘레에 위치시킨다. 상기 모자(1)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차양(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사용자가 차양(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중 어느 한방향을 선택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차양(2)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편(1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편(130)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끼움홀(131)에 삽설되어 있는 힌지축(121)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편(130)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편(130)이 회전될 시에 상기 끼움홀(13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탄발편(132)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돌기(133)가 상기 이동편(120)에 형성된 홈(123)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는 탄발편(132)은 상기 홈(123)에서 상기 돌기(133)가 이동될 때마다 상기 회전편(130)의 내측으로 약간씩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회전편(130)이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편(130)이 상기 이동편(120)에 형성된 홈(123)을 따라 회전하면, 이를 사용자가 잡고 있는 차양(2)으로 그 느낌이 전달되어 사용자는 차양(2)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차양(2)이 상기 이동편(120)의 홈(12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향 내려지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스포츠관람 또는 그 외의 운동경기 또는 낚시 등을 할 시에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2)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해의 방향이 바뀌어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에서 해가 비출 때에는 차양(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해가 비추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밴드(3)의 외주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10)를 따라 상기 차양(2)이 이동된다.
상기 차양(2)이 이동되는 것을 상세히 언급하면, 상기 지지구(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을 따라 상기 회전편(130)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120)이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편(1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편(124)이 상기 지지구(1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딩편(124)은 상기 가이드홈(111)에 형성된 파도무늬 모양의 요철(111a)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편(123)의 내측으로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25)가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차양의 회전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차양(2)을 하방향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차양(2)을 잡고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차양(2)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편(240)이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회전편(24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241)이 상기 지지구(110)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250)의 끼움홀(251)에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편(240)이 상기 차양(2)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그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홈(243)에 상기 이동편(250)의 탄발편(252)에 형성된 돌기(253)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편(240)이 회전한다.
상기 돌기(253)가 단계적으로 상기 홈(243)을 타고 회전하게 되고, 이때 그 홈(243)을 따라서 이동되는 느낌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자주 작은 각도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편(250)에 형성된 돌기(253)가 상기 회전편(240)에 형성된 홈(243)을 따라 이동될 시에 상기 돌기(253)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252)은 상기 이동편(250)의 내측으로 약간씩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홈(243)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차양(2)을 각도가 조절이 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고자할 때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던 차양(2)에 힘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상기 탄성편(252)에 형성된 돌기(253)가 상기 홈(243)에 끼워져 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차양(2)은 사용자가 위치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양(2)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가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시에는 상기 차양(2)을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편(2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편(255)이 지지밴드(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구(1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이동시키던 차양(2)의 회전을 멈추면, 상기 가이드홈(111)의 내측에 형성된 요철(111a)과 상기 슬라이딩편(255)의 가이드돌기(256) 일측단에 형성된 요철(125a)이 서로 맞물고 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차양(2)은 더 이상의 이동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9와 도10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차양(2)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차양(2)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편(130)이 이동편(120)에서 회전하므로 상기 차양(2)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차양(2)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는 것은 상기 이동편(1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편(124)이상기 지지구(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을 다라서 이동되므로 차양(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모자(1)를 사용하는 것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더운 여름철과 같이 땀이 많이 나는 계절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밴드(300)를 상기 지지구(110)에 형성된 지지홈(112)에서 이탈시켜 지지밴드(300)만을 세탁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모자(1)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밴드(300)를 세탁하고 난 후에는 다시 지지구(1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밴드(300)의 소정 부위에 다수개 형성된 지지돌기(310)를 상기 지지구(110)의 내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112)에 압입하면 상기 지지밴드(300)는 상기 지지구(110)에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청결하게 모자(1)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밴드(500)의 소정부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재(510)를 지지구(410)의 적소에 형성된 결합공(412)에 끼워 상기 지지밴드(500)와 상기 지지구(41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편(420)에 형성된 슬라이딩편(423)을 상기 지지구(410)의 슬라이딩돌기(411)에 끼워 상기 이동편(420)이 그 슬라이딩돌기(4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양(2)의 양측단에는 회전편(430)을 결합시킨 후 상기 이동편(420)의 힌지축(421)에 회전편(430)의 끼움홀(431)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자외선 차단용 모자(1)는 사용자가 해의 방향에 따라 좌우측 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차양(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4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자(1)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때도 지지밴드(500)의 천이 씌워져 있기 때문에 그 착용감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지지밴드(500)에 결합되는 지지구(4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관이 수려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라 하겠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에만 극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양(2)이 해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하겠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야외에서 스포츠관람, 해수욕, 낚시 등을 할 때 햇빌의 조사각도에 따라서 모자의 차양을 상하좌우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는 롤러스케이트, 롤러브레이드 등을 즐길 때 바라이나 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모자의 차양을 이동시킨 상태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차양을 상하로 들어 올렸을 경우 스르르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착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8)

  1. 탄성을 갖는 지지밴드 양측에 차양 끝단부에 연결핀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모자 차양을 상하로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차양모에 있어서,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으며 상기 지지밴드의 외주연 양측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는 사용자가 태양의 빛을 가릴 수 있도록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하는 차양수단과; 및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차양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다수의 홈을 갖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으며 상기 끼움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탄발편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딩편의 가이드 돌기 일측단에는 상기 차양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요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움홀을 중심으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기가 형성된 탄발편을 갖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끼움홀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부재가 착설되는 회전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지지밴드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내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장방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편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상기 지지구의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목에 모자를 목에 걸을 수 있도록 끈이 끼워지는 설치공을 갖는 설치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밴드에는 지지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이동편이 가이드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으로 돌설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지지구의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중심에 일체로 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3개의 돌기를 갖는 이동편과;
    상기 차양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연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의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차양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부재가 착설된 회전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목에 모자를 목에 걸을 수 있도록 끈이끼워지는 설치공을 갖는 설치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20010003938U 2001-02-16 2001-02-16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231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8U KR200231946Y1 (ko) 2001-02-16 2001-02-16 자외선 차단용 모자
JP2001001802U JP3080764U (ja) 2001-02-16 2001-04-02 紫外線遮断用サンバイザー
US09/888,974 US6457180B1 (en) 2001-02-16 2001-06-27 Headgear for shielding ultraviolet rays
PCT/KR2001/001192 WO2002065866A1 (en) 2001-02-16 2001-07-11 The headger for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CNB01822430XA CN1233285C (zh) 2001-02-16 2001-07-11 用来遮挡紫外线的帽子
CA002438538A CA2438538C (en) 2001-02-16 2001-07-11 The headgear for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HK04106492A HK1063714A1 (en) 2001-02-16 2004-08-30 The headgear for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38U KR200231946Y1 (ko) 2001-02-16 2001-02-16 자외선 차단용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946Y1 true KR200231946Y1 (ko) 2001-07-03

Family

ID=3692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38U KR200231946Y1 (ko) 2001-02-16 2001-02-16 자외선 차단용 모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57180B1 (ko)
JP (1) JP3080764U (ko)
KR (1) KR200231946Y1 (ko)
CN (1) CN1233285C (ko)
CA (1) CA2438538C (ko)
HK (1) HK1063714A1 (ko)
WO (1) WO20020658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12A (ko) * 2002-01-07 2002-03-29 김복규 차양모의 차양설치구
WO2003063626A1 (en) * 2002-01-30 2003-08-07 Chung-Kyu Park A cap for shielding the light
WO2004021816A1 (en) * 2002-09-03 2004-03-18 Jubiland Co.,Ltd Light-shading h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679B1 (en) * 2003-04-09 2004-10-26 Chen Li Optical Co., Ltd. Mechanism for securing eye protector to helmet
CN100453828C (zh) * 2003-12-11 2009-01-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可携式计算机
US20060010550A1 (en) * 2004-07-19 2006-01-19 Chen-San Cheng Structure of a mask having a mask arc
US6996846B1 (en) * 2005-06-02 2006-02-14 Armen Karapetyan Visor-type face shield for dentist
JP2008190088A (ja) * 2007-02-07 2008-08-21 Toyo Denki Koji Kk ヘルメット装着用の防虫ネット
US20100257659A1 (en) * 2009-04-14 2010-10-14 Hush Hot Corporation Head apparel with flexible, ultraviolet whole face shield
CN102042237A (zh) * 2009-10-14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吹风机
US8291512B2 (en) * 2010-04-28 2012-10-23 Walter Stoll Face shield
US8434168B2 (en) * 2010-10-07 2013-05-07 Roy Paulson Weight balancing face shield
US8763163B1 (en) * 2011-12-01 2014-07-01 Foamula Products, Inc. Visor with plug in accessory sockets
WO2014023005A1 (zh) * 2012-08-09 2014-02-13 Chen Chin-Chu 帽体扣带调整结构
KR101375530B1 (ko) * 2013-08-06 2014-03-17 (주)피앤지코퍼레이션 각도조정기능을 하는 캡사이드 연결장치를 갖는 썬캡
KR101375532B1 (ko) * 2013-08-16 2014-03-17 (주)피앤지코퍼레이션 헤어밴드 겸용 자외선 보호 가리개 및 그 제조방법
CN105769439B (zh) 2016-03-01 2018-05-08 宁波吉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护面屏
CN106406361B (zh) 2016-08-30 2020-03-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智能帽子的方法、装置及智能帽子
CN107065167A (zh) * 2017-06-22 2017-08-18 朱德金 一种钓鱼用光学望远镜
FR3083429B1 (fr) * 2018-07-05 2021-07-16 Christophe Baptista Couvre-chef tel qu'une casquette
CN108669694A (zh) * 2018-08-15 2018-10-19 贵州大学 一种矿山爆破用降噪耳塞
KR20210109099A (ko) * 2020-02-26 2021-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림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선바이저
US20230085631A1 (en) * 2021-09-21 2023-03-23 Pierce Baptiste VISOR and HEADBAND and PROTECTIVE CONTAINER COMB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899Y2 (ko) * 1984-12-13 1990-07-20
US5052054A (en) * 1990-01-02 1991-10-01 Birum Donald A Cap structure with implement adapter
US5870772A (en) * 1997-04-21 1999-02-16 Sprouse; Charles B. Flexible tracking assembly for a sports cap having a rotatable visor or the like
KR100266995B1 (ko) * 1998-04-24 2000-09-15 장수영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227850Y1 (ko) * 1999-05-29 2001-06-15 박종화 차광모자의 차양각도조절장치
KR20000037084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일 챙이 회전하는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12A (ko) * 2002-01-07 2002-03-29 김복규 차양모의 차양설치구
WO2003063626A1 (en) * 2002-01-30 2003-08-07 Chung-Kyu Park A cap for shielding the light
WO2004021816A1 (en) * 2002-09-03 2004-03-18 Jubiland Co.,Ltd Light-shading 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7801A (zh) 2004-04-07
US6457180B1 (en) 2002-10-01
CN1233285C (zh) 2005-12-28
CA2438538C (en) 2005-05-24
HK1063714A1 (en) 2005-01-14
JP3080764U (ja) 2001-10-05
CA2438538A1 (en) 2002-08-29
WO2002065866A1 (en)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1946Y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164111Y1 (ko) 자외선차단용차양모
KR200363387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200243049Y1 (ko)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KR100429423B1 (ko) 선그라스가 부착된 모자
KR200360099Y1 (ko) 안경테에 고정되는 차광모자
KR101279141B1 (ko) 차양을 갖는 안경
KR200218881Y1 (ko) 차양모자
KR200299417Y1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모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KR200363370Y1 (ko)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KR200239194Y1 (ko) 다기능 모자
KR200363347Y1 (ko) 모자 장착용 선글라스의 이동구조
KR200231925Y1 (ko) 다방향 차양 조절 모자
KR200297339Y1 (ko) 차양모의 헤어밴드
KR200246436Y1 (ko) 차양모
KR100563643B1 (ko) 귀가림부를 구비한 썬캡
KR100538114B1 (ko) 지지대 착탈형 차광모자
KR200231986Y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KR200320517Y1 (ko) 차양모자
KR20050115785A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100454417B1 (ko) 차양 조절모자용 힌지 구조
KR200390370Y1 (ko) 이중 차양을 갖는 썬캡
KR200276233Y1 (ko) 차양모
KR100382099B1 (ko)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20525

Effective date: 200304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