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653B1 - 모자 부착용 안경 - Google Patents

모자 부착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653B1
KR100503653B1 KR10-2002-0045533A KR20020045533A KR100503653B1 KR 100503653 B1 KR100503653 B1 KR 100503653B1 KR 20020045533 A KR20020045533 A KR 20020045533A KR 100503653 B1 KR100503653 B1 KR 10050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flow
fastening
hat
rea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141A (ko
Inventor
백상현
Original Assignee
백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현 filed Critical 백상현
Priority to KR10-2002-004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6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 부착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을 갖는 모자와 차양이 아주 작거나 없는 안전모 등에 장착하여 안경을 접철하고, 안경의 거리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경의 위치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위치에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자 부착용 안경{Glasses for Use with Cap}
본 발명은 모자 부착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을 갖는 모자와 차양이 아주 작거나 없는 안전모 등에 장착하여 안경을 접철하고, 안경의 거리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경의 위치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위치에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햇빛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모자는 대부분이 모자의 전방에 차양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차양은 태양광선이 안면에 직접 비추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있고, 상기 차양과는 별도로 시력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선글라스나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
또한, 용접 등을 하기 위하여 모자형의 캡을 착용하고 이 캡에는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경을 고정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며, 상기 보안경은 단순히 캡의 전방에서 젖혀짐과 내려짐 2가지 기능만을 하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모자와 안경을 착용할 경우에는 이들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휴대하거나 착용해야 하므로 착용과 보관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자에 안경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자의 차양에 안경을 고정시킨 형태로 사용하고 있으며, 좀더 개량된 형태로 안경 상단에 회전부를 설치하여 안경을 접고 펼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모자 부착용 안경은 안경이 모자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눈 높이에 맞추어 안경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눈과 안경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어 안경과 눈의 거리 및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어 안경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눈과 안경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자의 착용상태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모자를 편한 상태로 착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현장의 안전모나 놀이용 안전모와 같이 차양이 없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차양만 구비한 안전모에는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안경을 결합할 수 없어 별도로 안경을 착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미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교정렌즈가 장착된 안경을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모자의 차양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양단에 클립을 갖는 차양 체결수단의 중앙에 안경을 부착하고, 부착된 안경을 상하 및 전후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접철되도록 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안경을 모자의 차양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자의 차양에 부착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상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안경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안경 상하유동편과; 상기 안경 상하유동편을 체결하여 안경이 접철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를 체결하고 안경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내부에 안경의 회전과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전후유동구와; 상기 전후유동구를 체결하여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양측면에 형성되며 양단에 상호 거리 조정이 가능한 각각 하나의 클립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전후 및 상하 유동과 접철기능을 동시에 갖는 모자 부착용 안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눈을 보호하기 위한 안경(10)과, 상기 안경(10)의 상단 중앙에 안경과 일체로 형성된 안경 상하유동편(20)과, 상기 안경 상하유동편(20)를 체결하여 안경이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상하유동편(10)에 의해 체결된 안경이 접고 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30)와, 상기 회전구(30)를 체결하고 안경의 회전과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는 전후유동구(40)와, 상기 전후유동구(40)를 체결하여 그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부(50)와, 상기 레일부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 모자의 차양에 체결하기 위한 두개의 클립(72)을 갖는 차양체결구(70)로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경(10)은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색상이 첨가된 투명한 물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10) 상단 중앙에는 안경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상하유동편(20)이 얇은 편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유동편(20)의 양측면에는 반구형의 표면을 갖는 다수개의 상하유동 제어돌기(21)들을 형성한다.
다음에, 회전구(30)는 상기 상하유동편(20)을 삽입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하유동편 체결부(31)와, 원기둥 형태를 갖도록 상기 상하유동편 체결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어(33)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유동편 체결부(31)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상하유동편(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하유동 제어돌기(21)들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유동 제어돌기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유동 돌기 삽입홈(32)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33)는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톱니를 형성하고, 양측 단면의 중앙에는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회전기어 축(42) 삽입홈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전후유동구(40)는 상기 회전구(30)의 회전기어(33)가 삽입 체결되는 회전기어 체결부(41)와, 상기 체결된 회전기어(3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양단에 스토퍼가 형성된 스프링(60)이 삽입 체결되는 스프링 설치부(43)와,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유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더(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 체결부(41)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기어(33)의 양측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에 체결되는 회전축(4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설치부(43)의 상단은 스토퍼 노출부(44)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60) 설치시 그 상단의 스토퍼(61)가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후유동구(40)의 스프링 설치부(43)에 설치되는 스프링(60)은 양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ㄹ"자 형태로 형성하며, 상단과 하단에는 스토퍼(61,62)가 형성되어 하단 스토퍼(62)는 회전기어(33)의 회전각을 제어하고, 상단 스토퍼(61)는 전후유동구(40)의 전후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레일부(50)는 상기 전후유동구(40)의 슬라이더(45)가 체결되는 두개의 슬라이딩 로드(52)와, 상기 슬라이딩 로드(5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상단의 스토퍼(61)가 걸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걸림돌기(51)들을 갖는 전후유동구 제어판(5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체결구(70)는 상기 레일부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일반적인 모자 차양의 길이를 감안하여 양단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차양체결구 몸체(71)와, 상기 차양체결구 몸체(71)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입출되는 슬라이더(73)를 갖는 클립(72)으로 구성되어, 모자 차양의 폭에 따라 두 클립의 거리를 조절하여 모자 차양에 클립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양 체결구 몸체(71)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거나, 레일부(5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곡면을 갖도록 하여 모자의 차양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73)상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차얄체결구 몸체(71)의 삽입홈 내부에 상기 슬라이더(73)의 돌기가 걸리는 홈들을 형성하여 클립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모자 부착용 안경은 모자의 차양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상하 유동편을 삽입하거나 잡아 당김으로써 안경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눈 높이와 안경의 중심 높이를 맞출 수 있고, 회전구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안경의 사용여부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또한 전후유동구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경과 눈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람들도 착용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하유동편과 회전구 및 전후유동구를 동시에 조절하여 눈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안경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양체결구(70) 대신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클립(80)을 레일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현장에서 착용하는 안전모와 레저 및 스포츠용 안전모의 차양이나 앞부분에 체결하여 눈을 보호하기 위한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과 일체로 레일부 상단에 모자의 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라스틱으로 차양골격부(90)를 형성하고, 천으로 제조되는 캡과 함께 차양 골격부를 천으로 감침한 후 박음질에 의해 안경을 갖는 모자를 형성함으로써, 모자 일체형의 모자 부착용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 부착용 안경은 두 개 또는 하나의 클립을 갖도록 형성하여 모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으며, 모자의 차양 골격부와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모자에 고정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자 부착용 안경의 전후유동구는 클립을 갖는 레일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모자에 고정 부착된 레일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전후유동구와 회전구에 체결된 하나의 안경을 레일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자 부착용 안경은 사용자의 눈에 맞추어 안경의 상하높이와 전후거리를 동시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도 안경 앞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클립을 구비한 차양체결부를 가지므로 모든 모자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하여 놓거나 안경을 접을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다.
또한, 시공현장이나 레포츠에 사용되는 안전모 등에는 레일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부착된 안경의 높낮이와 눈으로부터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형태의 레일부를 구비하여 전후유동구에 결합된 안경을 여러형태의 모자에 부착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b는 도1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1c는 도1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안경 20 : 상하유동편
21 : 상하유동 제어돌기 30 : 회전구
31 : 상하유동편 체결부 32 : 상하유동 제어돌기 삽입홈
33 : 회전기어 40 : 전후유동구
41 : 회전기어 체결부 42 : 회전축
43 : 스프링 설치부 44 : 스토퍼 노출부
45 : 슬라이더 50 : 레일부
51 : 스프링 걸림돌기 52 : 슬라이딩 로드
53 : 전후유동구 제어부 60 : 스프링
61 : 상부 스토퍼 62 : 하부 스토퍼
70 : 차양체결구 71 : 차양체결구 몸체
72,80 : 클립 73 : 클립 슬라이더
90 : 차양 골격부

Claims (9)

  1. 모자의 차양에 부착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상단 중앙에 안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안경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안경 상하유동편과;
    상기 안경 상하유동편을 체결하고, 체결된 안경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를 체결하고 안경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내부에 안경의 회전과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전후유동구와;
    상기 전후유동구를 체결하여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호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클립들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 체결구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유동편은 안경과 일체형으로 안경상단 중앙에 얇은 편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반구형의 표면을 갖는 다수개의 상하유동 제어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용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상기 상하유동편을 삽입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상하유동편의 측면에 형성될 상하유동 제어돌기들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유동 제어돌기들의 유동을 제어하는 상하유동돌기 삽입홈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상하유동편 체결부와; 상기 상하유동편 체결부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톱니를 가지며 양측 단면 중앙에는 회전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용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유동구는 상기 회전기어가 삽입 체결되도록 내부 양측면에 회전축이 형성된 회전기어 체결부와, 상기 체결된 회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와, 상기 전후유동구가 유동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단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전후유동구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후유동부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설치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상단을 노출시키는 스토퍼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ㄹ"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하단 스토퍼는 회전기어의 회전각을 제어하고, 상단 스토퍼는 전후유동구의 전후유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전후유동구의 슬라이더가 체결도록 양측에 형성된 두개의 슬라이딩 로드와, 상기 슬라이딩 로드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 스토퍼가 걸릴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프링 걸림돌기들이 형성된 전후유동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체결부는 레일부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으로부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차양체결구 몸체와, 상기 차양체결구 몸체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유동되는 슬라이더를 갖는 클립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더의 입출에 의해 클립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8. 모자의 차양에 부착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상단 중앙에 안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안경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안경 상하유동편과;
    상기 안경 상하유동편을 체결하고, 체결된 안경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를 체결하고 안경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내부에 안경의 회전과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전후유동구와;
    상기 전후유동구를 체결하여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단일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9. 모자의 차양에 부착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상단 중앙에 안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안경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안경 상하유동편과;
    상기 안경 상하유동편을 체결하고, 체결된 안경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를 체결하고 안경을 전후로 유동시키며, 내부에 안경의 회전과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전후유동구와;
    상기 전후유동구를 체결하여 전후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차양골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KR10-2002-0045533A 2002-08-01 2002-08-01 모자 부착용 안경 KR10050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33A KR100503653B1 (ko) 2002-08-01 2002-08-01 모자 부착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33A KR100503653B1 (ko) 2002-08-01 2002-08-01 모자 부착용 안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058U Division KR200292607Y1 (ko) 2002-08-01 2002-08-01 모자 부착용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41A KR20040012141A (ko) 2004-02-11
KR100503653B1 true KR100503653B1 (ko) 2005-07-26

Family

ID=3732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33A KR100503653B1 (ko) 2002-08-01 2002-08-01 모자 부착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877B1 (ko) * 2017-05-02 2019-03-15 (주)그린광학 헬멧 장착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4424B1 (ko) * 2018-11-26 2020-05-26 태영산업 주식회사 헬멧용 안경
CN112255821A (zh) * 2020-11-12 2021-01-22 巨龙光学(福建)有限公司 一种嵌帽式太阳眼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5622U (ko) * 1987-02-16 1988-10-06 김상규 모자용 차광안경
KR19980068559U (ko) * 1998-06-23 1998-12-05 이동희 망원경이 부착된 모자
KR200248912Y1 (ko) * 2001-07-02 2001-11-16 김상현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
KR200266487Y1 (ko) * 2001-12-05 2002-02-28 백상현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268087Y1 (ko) * 2001-12-05 2002-03-15 허만수 모자부착 선글래스의 고정클립
KR20030086856A (ko) * 2002-05-07 2003-11-12 이남석 챙을 가진 모자의 선그라스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5622U (ko) * 1987-02-16 1988-10-06 김상규 모자용 차광안경
KR19980068559U (ko) * 1998-06-23 1998-12-05 이동희 망원경이 부착된 모자
KR200248912Y1 (ko) * 2001-07-02 2001-11-16 김상현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
KR200266487Y1 (ko) * 2001-12-05 2002-02-28 백상현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268087Y1 (ko) * 2001-12-05 2002-03-15 허만수 모자부착 선글래스의 고정클립
KR20030086856A (ko) * 2002-05-07 2003-11-12 이남석 챙을 가진 모자의 선그라스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41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4807A (en) Sunglasses having detachable absorber strip
US6647554B1 (en) Cap having versatile sunglass retainer and sunglass retaining method
US7703153B2 (en) Combination hat and sunglasses/goggles
US5533208A (en) Folding adjustable glasses on cap peak
US7340781B2 (en) Headwear
US10070673B2 (en) Protective skin shields system
US20070256214A1 (en) Headgear with Eyewear Attachment
US20040040067A1 (en) Cap with assemble rail for accessory
US20050132461A1 (en) Hat with shade panel
KR10050365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292607Y1 (ko) 모자 부착용 안경
US5835182A (en) Lens-free assembly for shading eyes from incoming light
US5704062A (en) Sun visor
US6389595B1 (en) Eye shade
KR200218881Y1 (ko) 차양모자
KR200168835Y1 (ko) 차광모자
KR200175897Y1 (ko) 골프용 헤드업 방지 모자 및 모자의 측면 시야 가리개
US10993495B2 (en) Headwear with transparent visor providing ultraviolet ray protection
KR200236686Y1 (ko) 차양에 투시창을 구비한 모자
KR200489223Y1 (ko) 일체형 선글라스 모자
KR200404180Y1 (ko) 다용도 고글
KR200266487Y1 (ko) 모자 부착용 안경
KR20040004341A (ko) 모자용 안면 커버
KR20050045975A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이 구비된 모자
US6052823A (en) Combination sun protector and sun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