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48B1 -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48B1
KR100459548B1 KR10-2002-0009977A KR20020009977A KR100459548B1 KR 100459548 B1 KR100459548 B1 KR 100459548B1 KR 20020009977 A KR20020009977 A KR 20020009977A KR 100459548 B1 KR100459548 B1 KR 10045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preview
path
nod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682A (ko
Inventor
박인호
김정수
천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139,693 priority Critical patent/US6735518B2/en
Publication of KR2002008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적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텍스트 정보와 이동체의 주행중 주행하지 않은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안내하는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REROUTE GUIDANCE METHOD OF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경로 정보를 이동체의 주행과 상관없이 미리 제공하는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센터 100, 무선망 200, 이동 통신 단말(이하 "이동 단말"이라 함.) 300,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단말기 400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ITS단말 400과 연결된 이동 단말 100이 이동망 200을 통해 현재지점과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최적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 정보센터 100은 수신한 현재 지점과 목적지간의 최적 경로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다수의 노드점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는 경로 유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동망 200을 통해 이동 단말 300으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 300은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동 단말 300과 ITS단말 400이 장착된 이동체가 주행을 시작하면 ITS단말 400과 연동하여 저장된 경로 유도 데이터에 따라 주행할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 300은 작은 액정 화면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체 지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노드점에 있어서의 교차로 이미지, 남은 거리, 도착 예정시간, 주행 도로명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적 경로에 대한 전체 적인 정보보다는 국소적인 정보를 주행시 제공받기 때문에 전반적인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주행하지 않은 경로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내 받고 있는 경로에 대해 정확히 인지할 수 없으며, 최적 경로의 전반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 경로 파악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정보센터와, 이동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망과의 무선 접속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장치(GPS)를 구비하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이 정보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상의 다수의 노드점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적의 주행 경로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 보기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있으면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를 요구하는지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를 요구하는지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경로에 대한 전체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과 대응하며, 상기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로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센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해 정보센터측으로 전송되는 경로 안내 요청 데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시 사용되는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집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의 도엽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형식의 미리보기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정보센터 100과, 무선망 200과, 이동 단말기 300과,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단말기 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센터 100은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부터 네비게이션 기능이 요청될 시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안내가 요청될 시 상기 정보센터 100은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망 200은 상기 정보센터 100과 상기 이동 단말기 300간 정보 전달의 경로이다. 상기 무선망 200으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의 통신시스템이나 IS-95A,95B,95C 방식의 디지털 셀룰라(digital cellular)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망 200으로는 최근에 널리 연구되고 있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이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와 같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사용자에게 전형적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모드로도 동작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상기 무선망 200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TS 단말기 400과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상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설정하여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최적 주행 경로 안내를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기능인 상기 현재 위치와 목적지간 최적의 주행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목적지를 나타내는 시설물 명칭, 지역 카테고리, 행정 명칭, 전화번호, 경도 및 위도를 음성 또는 문자 입력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교통 정보(예: 주행 전방정보, 시내 정보, 국도 정보, 고속도로 정보, 즐겨찾기 지점 정보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을 통해 상기 정보센터 100에 접속하여 주변 시설물(예: 주유소, 휴게소, 정비센터, 은행, 병원/약국, 숙박업소, 관광명소, 음식점/카페, 극장/공연장 등)을 검색할 수 있고, 긴급(emergency) 상황 발생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생활정보(뉴스, 날씨, 여행, 방송/영화/연극/공연, 운세, 유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로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센터 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센터 100은 송수신부 1010, 포맷(format) 처리부 1020, 경로 계산부 1030, 지도 독출/기록(map read/write)부 1040, 경로 유도부 1050, 지도 정합(map matching)부 1060, 지도 데이터베이스(map database)부 1070, 기타부 10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부 1010은 송신을 위한 신호를 무선망 200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망 200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망 2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포맷 처리부 1020은 상기 무선망 200 및 상기 정보센터 100과 사전에 약속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송수신부 1010에 수신된 신호를 상기 약속된 포맷에 따라 해석하여 데이터화한다. 상기 경로 계산부 1030은 지정된 두 지점간의 최적 경로를 찾아주는 기능, 즉 선택된 현재지와 목적지간에 가장 최적한 경로를 찾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map database)부 1070은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또는 메모리와 같은 지도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도 독출/기록(map read/write)부 1040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1070에 저장된 지도중 필요한 지도를 독출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1070에 지도를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도 독출/기록부 1040은 실시간으로 지도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경로 유도부 1050은 상기 경로 계산부 1030에 의해 계산된 최적 경로를 따라 갈 수 있도록 회전 지점, 회전 방향, 참조 정보 등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경로 유도부 1050은 후술될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유도부 115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 정합(map matching)부 1060은 수신된 좌표에 해당하는 지도상의 지점을 찾는 기능, 즉 설정된 지점의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1070에서 바르게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타부 1080은 상기 정보센터 100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모든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센터 100은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위치하는 차량이 주행할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 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망 200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접속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전송할 시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상기 전송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200은 상기 정보 센터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최적 경로 유도를 위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다운로드 요청할 시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망 200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을 무선 접속하고 무선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CDMA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이나 PCS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망 200은 최근에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IMT-2000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로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ITS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상기 ITS단말기 4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하나의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기능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상기 ITS 단말기 400이 연동하여 수행하므로, 도 3에서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되는 관점에서 단말기들의 구성을 단지 하나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상기 ITS 단말기 400을 "네비게이션 단말기"라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부 1110과, 송수신부 1120과, 표시(display)부 1130과, 포맷(format) 처리부 1140과, 경로 유도부 1150과, 지도 정합(map matching)부 1160과, 센서(sensor)부 1170과, 메모리부 1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은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받기 위해 네비게이션 기능 모드를 선택하고, 네비게이션 기능 모드시 현재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는 등의 사용자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부이다. 즉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은 사용자와 정보센터 100간 의사 소통을 위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 1130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와 정보센터 100간의 의사 소통을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에 따른 지도, 목적지, 경로 등을 표시한다. 상기 송수신부 1120은 무선망 200에 적합한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망 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포맷 처리부 1140은 상기 무선망 200 및 상기 정보센터 100과 사전에 약속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송수신부 1120에 수신된 신호를 상기 약속된 포맷에 따라 해석하여 데이터화한다. 상기 경로 유도부 1150은경로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경로 안내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센서부 1170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해 필요한 차량의 현재 위치 파악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 정합부 1160은 변화하는 차량의 현재의 위치를 지도상의 일치하는 지점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도 정합부 1160은 상기 정보센터 100에서 제공받은 경로 안내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 1170에서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지점의 이동 상태를 파악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은 이동 단말기 300의 키입력부 또는 고급형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는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 1130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표시부 또는 고급형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가 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 1120은 이동 단말기 300의 송수신부에 해당한다.
상기 센서부 1170은 GPS 안테나, 자이로 센서 1171, 속도 센서 1173, GPS 엔진 1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이로 센서 1171은 차량의 회전각을 감지한다. 상기 속도 센서 1173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GPS 안테나는 GPS에 속하는 복수개의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 GPS 엔진 1175는 상기 GPS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의 의사좌표값을 계산한다. 상기 경로 유도부1150과 상기 지도 정합부 1160은 상기 센서들 1171,1173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회전각 및 속도를 근거로 하여 차량의 현재 의사위치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의사위치와 상기 GPS 엔진 1175에 의해 계산된 의사좌표값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의 기준은 상기 센서들 1171,1173으로부터 누적오차가 작을 때에는 계산된 값을 따르고, 누적오차가 커지면 상기 GPS 엔진 1175에서 전달되는 값으로 누적오차를 보정한다.
상기 메모리부 1180은 경로 유도 데이터 저장부 1181과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 11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 1180은 상기 경로 유도부1150과 상기 지도 정합부 1160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동작 수행시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 보기 메뉴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미리 보기 메뉴란 이동체의 주행 상태와 상관없이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로부터 최적 주행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메뉴이다. 상기 미리 보기 메뉴는 "텍스트"와 "이미지"로 구성되는 하위메뉴를 갖는다. 상기 텍스트 메뉴는 상기 최적 주행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최적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도로명, 거리, 소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표시부 1130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 메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로 안내 시작, 고속도로 찾기, 일반 도로 찾기, 최단경로 찾기 등으로 구성된 경로 조건 메뉴를 하위메뉴로 가진다. 상기 경로 조건 메뉴는 경로의 상세한 안내를 요구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른 경로를 요구하기 위한 메뉴이다. 상기 부분 이미지 메뉴는 상기 최적 주행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이미지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분 이미지 메뉴가 선택되면 네비게이션 단말은 상기 최적 주행 경로상에 있는 각 노드점과 대응하는 미리보기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은 각 노드점에 대한 교차로 정보,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서 진행방향, 다음 노드점까지 거리, 다음 노드점 도착 소요시간, 다음 노드점 명칭, 다음 노드점 도로명 , 현재 이동체 방향, 목적지 방향, 위성 위치 확인(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상태, 메뉴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 저장부 1181은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무선망 200을 통해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 1183은 도 6에 도시된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시 사용되는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집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집합은 39개의 이미지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직진, 우회전, 좌회전, U턴, P턴, 고가 진입, 지하도 진입 등과 같은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이 있고, 12시 방향 로터리, 4시 방향 로터리, U턴 방향 로터리와 같이 로터리에서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이 있고, 시작지 및 목적지를 나타내는 각종 이미지 데이터들이 있다.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들은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 1183에 저장된 후 경로 유도시 표시부1130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단말기측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 포맷 처리부 1140, 경로유도부 1150, 지도 정합부 1160, 센서부 1170 등을 구비시키고, 정보센터 100측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최적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한 경로 안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는 무선망 200을 경유하여 정보센터 100에 전달되고, 상기 정보센터 100은 상기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인식 및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때 목적지의 설정과 같은 경로 안내 요청에 필요한 모든 관련 정보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부터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정보센터 100은 경로 안내에 필요한 데이터를 내부에서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달한다.
상기 경로 안내에 필요한 모든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0과 표시부 1130을 통해 정확하게 요청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안내 요청 정보는 포맷 처리부 1140에 의해 포맷화되고, 송수신부 1120을 거쳐 상기 무선망 200으로 전송된다.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전송된 경로 안내 요청 정보는 상기 정보센터 100의 송수신부 1010에 수신되고, 포맷 처리부 1020에 의해 해석되어지고, 이 해석된 데이터는 경로 계산부 1030과 경로 유도부 1050에 제공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 계산부 1030은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1070과 지도 독출/기록부 1040에 의해 구해진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적한 경로를 구하고, 상기 경로 유도부 1050은 지도 정합부 1060과, 지도 독출/기록부 1040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1070을 통하여 경로 계산부 1030에서 구한 경로 데이터에 관련되는 경로 유도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한다. 상기 구해진 최적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경로 유도 데이터는 상기 포맷 처리부 1020에 의해 포맷화된 후 상기 송수신부 1010을 통해 상기 무선망 200을 거쳐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송수신부 1120으로 전달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송수신부 1120에 의해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는 포맷 처리부 1140에 의해 해석되고, 해석된 데이터는 경로 유도부 1150으로 전달된다. 상기 경로 유도부 1150은 상기 센서부 1170과 상기 지도 정합부 1160에 의해 구해진 현재 위치 데이터와 상기 포맷 처리부 1140으로부터 받은 경로 유도 데이터로 회전 지점과의 거리, 회전 방향, 경로 이탈 여부, 목적지까지 도착 예정시간, 남은 거리 등의 경로 안내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 1130상에 표시하고, 또한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정한 목적지로 최적의 경로를 안내 받으면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무선망 200을 통해 정보센터 100측으로 전송되는 경로 안내 요청 데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포맷 처리부 1140은 헤더(Header), 사용자 식별자(User ID(Identification)), 현재지 좌표, 버전 번호(Version Number), 단말기 종류 구분, 목적지 설정 데이터(Data), 기능 설정 데이터(Data), 에러 데이터(Error Data) 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포맷화한다. 이렇게 포맷화된 데이터는 송수신부 1120을 거쳐 송신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된 후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된다. 이렇게 송신된 신호는 무선망 200을 거쳐 정보센터 100에 수신된다. 상기 헤더는 경로 안내 요청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가입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현재지 좌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GPS 시스템에 의해 구해지는 경도 및 위도 좌표 정보이고, 상기 목적지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상에서 문자(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입력하게 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단말기 종류 구분 정보는 경로 안내를 요청하고 결과적으로 경로 유도 데이터가 표시될 단말기의 표시부 크기 및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는 헤더(Header) 정보와, 노드점(노드점)에 대한 정보와, 보간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드점 정보는 교차로 명칭, 도로 종별, 링크(Link) 종별, 교차로 인접 도로와의 각도, 도엽내 X,Y 좌표로 구성된다. 상기 교차로 명칭은 텍스트 데이터로서, 일 예로 "삼성사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도로 종별은 도로 등급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종별은 링크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유턴(U-Turn), 로터리(Rotary), 고가도로 진입(Over Pass), 지하도 진입(Under Pass), 교량(Bridge)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교차로 인접 도로와의 각도는 교차로 진입 각도(in), 교차로 진출 각도(out), 정북기준 진출도로 왼쪽 도로 각도(left), 정북기준 진출도로 오른쪽 도로 각도(right)가 될 수 있다.
경로 유도 데이터는 현재지 A와 목적지 B간의 최적 경로에 해당하는 링크(Link), 노드(Node) 등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생성한다. 현재지 A와 목적지 B간의 최적 경로중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내에 존재하는 링크, 노드 등의 관련 정보(a',a")를 모두 경로 유도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의 도엽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 도엽 코드(Mesh Code)란 일정한 경위도마다 부호화(encoding)된 특정 코드를 부여한 것으로, 지도의 단위가 된다. 왜냐하면, 디지털 지도는 '도엽'이라는 단위로 데이터가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다. 노드점(●)(Node Point)은 경로 유도의 대상이 되는 점, 즉 경로 유도의 대상이 되는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점이다. 보간점(■)(Shape Point)은 도로와 도로가 교차하지는 않지만 도로의 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로 중간에 넣어주는 점이다. 이러한 보간점은 디지털 지도상에서 실제 도로의 선형을 이루는 모든 점들을 말하며, 각 보간점의 좌표로 실제 도로의 선형을 알 수 있고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GPS시스템에서 얻은 경도/위도 좌표와 비교의 대상이 된다. 보간점중에서 도로의 선형이 교차하는 점, 즉 두 개 이상의 도로 선형이 공유하는 점이 노드점이다.
유도 코드는 도로와 도로가 만나는 노드점(유도점)마다 교차로에서의 경로 안내 및 음성 안내를 위해 존재하는 각종 정보이다. 즉 유도 코드는 좌회전, 우회전, 유턴, 지하도진입, 고가도로 진입 등 교차로에서 직진을 제외한 차량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조치(action)를 의미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도로의 종별, 링크의 종별, 교차로의 구성 각도 등이 될 수 있다. 도로의 종별(Road Code)은 도로의 종류(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자동차 전용도로, 일반도로, ···)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경위도 좌표는 『 도엽 코드 + 도엽내 좌표 』로서 환산이 가능하다.
도엽 원점의 경위도 좌표는 도엽 코드로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디지털 지도마다 포맷이 다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각 보간점 #1∼#3의 경위도 좌표들은 도엽 원점과 도엽 최대점의 경위도 좌표를 알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경위도 좌표도 도엽 체계의 좌표로 환산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의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한 네비게이션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를 경로 유도 데이터 저장부 1101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리 보기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 또는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8a와 도 8b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여, 이미지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네비게이션 단말은 2001단계에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후 2003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의 경로 유도부 1150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보기 메뉴 선택을 통한 미리 보기 실행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 보기 실행요구가 있으면 2005단계로 진행한다. 2005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가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 요구인지 확인하여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요구이면 2007단계로 진행하고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요구가 아니면 도 8b의 20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07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이동체가 주행중인지, 주행중이 아닌지를 판단하여 주행중이면 2009단계로 진행하고 주행중이 아니면 2011단계로 진행한다. 2009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이동체가 통과하지 않은 첫 번째 노드점부터 n개의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n개의 노드점 각각에 대응되는 안내 화면을 구성하여 저장하고 2013단계로 진행한다. n개의 노드점은 둘 이상 다수개의 노드점이다. 2011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경로 유도 데이터에서 안내할 첫 번째 노드점부터 n개의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안내화면을 구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20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13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저장된 n개의 안내화면 중 첫 번째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안내 화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은 미리 보기 순서 표시부분 2201과,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서 진행방향 표시부분 2203과, 상기 다음 노드점까지 거리 표시부분 2205, 상기 다음 노드점 도착 소요시간 표시부분 2207, 상기 다음 노드점 명칭 표시부분 2209, 상기 다음 노드점 도로명 표시부분 2211, 현재 이동체 방향 표시부분 2213, 목적지 방향 표시부분2215, GPS 신호 수신 상태 표시부분 2217, 메뉴 표시부분 22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 중 목적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만으로 구성된다. 목적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란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로서 상기 이동체가 실제 주행해야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최적의 경로에 고속도로가 포함된다면, 목적지까지 가는데 필요한 고속도로 입출구에 대한 정보 등 실제 주행 경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이며, 상기 고속도로 상에 존재하는 목적지 외에 다른 지점과 연결되는 인터체인지에 대한 정보 등의 보조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 구성을 위한 계산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8a로 돌아와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상기 2013단계 이후 201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내에 다음 순서의 노드점에 대한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 요구가 있으면 2017단계로 진행하고,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 요구가 없으면 미리 보기 모드를 종료한다. 2017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저장된 안내화면이 있는지 판단하여 저장된 안내화면이 있으면 2019단계로 진행하고 저장된 안내화면이 없으면 2021단계로 진행한다. 2019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저장된 안내화면 중 순서상 다음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015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2017단계에서 저장된 안내 화면이 없는 경우 경로 유도부는 2021단계로 진행하여, 안내할 노드점이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안내할 노드점이 남아 있으면 2023단계로 진행하고, 안내할 노드점이 없으면 미리 보기 모드를 종료한다. 2023단계에서 경로 유도부는 다음 안내할 n개의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n개의 노드점에 대응되는 안내화면을 구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20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13단계 내지 상기 2023단계를 반복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2005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가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요구가 아니면 도 8b의 2025단계로 진행한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8b를 참조하여, 경로 유도부 1150은 2025단계에서 이동체가 주행중인지 판단하여, 주행중이면 2027단계로 진행하고 주행중이 아니면 2029단계로 진행한다. 2027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이동체가 통과하지 않은 첫 번째 노드점부터 n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n개의 노드점은 둘 이상 다수개의 노드점이다. 2029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경로 유도 데이터에서 안내할 첫 번째 노드점부터 n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경로 유도부 1150은 경로 조건 메뉴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텍스트 형식의 경로 정보는 n노드점 까지의 경로의 거리, 소요시간, 방향과 경로상에 포함되는 교차로, 입출구 IC(Inter Change), 경유IC, JC(Joint Change), 국도, 도로 등에 대한 텍스트(text)정보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체 경로 정보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의 구성과 경로 조건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경로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9와 같이 거리, 소요시간, 방향, 교차로, 입출구IC, 경유IC, JC, 국도, 도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리는 수신된 경로가 포함하고 있는 n번째 노드점까지의 거리 정보를 합산하여 전체 주행할 거리를 표시한다. 상기 소요시간은 현 교통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된 경우에는 각 지점간의 현재 차속을 합산하여 표시하고, 교통정보가 실시간으로반영되지 않을 경우에는 각 지점간의 평균 차속을 합산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방향은 현 위치 정보에서 목적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정북 방향을 중심으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 등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실제 목적지의 위치가 어느 방향인지를 예상 할 수 있게 표시한다. 상기 교차로는 경로 상에 있는 경로 안내 데이터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 중 교차로 명칭을 추출하여 나타냄으로서 사용자가 지도 데이터를 보지 않고도 어떤 경로로 안내가 될지를 예상 할 수 있으며, 경로 안내를 받으면서 실제 도로상의 표지판과 확인하며 진행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입출구 IC와 경로상의 IC, JC등은 고속도로의 입구와 출구 및 경로 안내 상에 있는 IC, JC등의 정보를 나타내며, 이로써 사용자는 고속도로에서 어떻게 경로가 진행되는 지를 확인 할 수 있다. 국도 번호는 경로 상에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어떠한 국도를 거쳐서 가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도 8b로 돌아와서, 상기 2027단계 또는 상기 2029단계 이후 2031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내에 다음 순서의 노드점들에 대한 텍스트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미리보기 정보 요구가 있으면 2033단계로 진행하고, 미리보기 정보 요구가 없으면 2037단계로 진행한다. 2033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안내할 노드점들이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남아있으면 2035단계로 진행하고, 남아있지 않으면 미리보기 모드를 종료한다. 2035단계에서 다음 안내할 n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203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2037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경로 조건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경로 조건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2039단계로 진행하고, 경로 조건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없으면 미리 보기 모드를 종료한다. 2039 단계에서 경로 유도부 1150은 선택된 경로 조건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텍스트 메뉴의 하위메뉴인 경로 조건 메뉴는 경로 안내 시작 메뉴, 고속 도로 찾기 메뉴, 일반 도로 찾기 메뉴, 최단 경로 찾기 메뉴로 구성된다. 텍스트 형식의 전체 경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메뉴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된 경로의 상세한 안내를 요구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른 경로를 요구하기 위한 메뉴이다. 경로 안내 시작 메뉴는 경로 유도 데이터를 이용한 경로의 상세한 안내를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경로 안내 시작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경로 유도부 1150은 정보 센터 100으로부터 제공받은 경로 유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세한 경로를 디스플레이 한다. 고속 도로 찾기 메뉴는 경로 유도 데이터에 고속도로를 제외한 일반도로로 되어 있는 경우 고속 도로 정보를 포함한 경로 정보를 정보 센터 100으로 요구하기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속 도로 찾기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 400은 정보 센터 100으로 고속 도로 정보 요구 데이터 및 현재좌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반 도로 찾기 메뉴는 경로 유도 데이터가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일반 도로 정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로 정보를 정보 센터100으로 요구하기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반 도로 찾기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 400은 정보 센터 100으로 일반 도로정보 요구 데이터 및 현재좌표 데이터를 전송한다. 최단 경로 찾기 메뉴는 경로 유도 데이터가 현재 교통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 경우 현재 교통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최단경로 정보를 정보 센터 100으로 요구하기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단 경로 찾기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은 정보 센터 100으로 최단경로 정보 요구 데이터 및 현재좌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보 센터 100은 상기와 같은 하위 메뉴들에 의한 요구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적정 경로 유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비게이션 단말 400으로 전송한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의 전체 경로 정보와 전체 텍스트 메뉴의 하위메뉴는 스크롤키의 입력에 따라 스크롤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최적 경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이동체의 주행 상태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된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안내하는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 경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정보센터와, 이동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망과의 무선 접속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장치(GPS)를 구비하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이 정보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상의 다수의 노드점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적의 주행 경로의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 보기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있으면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를 요구하는지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를 요구하는지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경로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과 대응하며, 상기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이미지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과 대응하며, 상기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최적의 경로를 주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최적의 경로를 주행 중이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점들 중 상기 이동체가 통과하지 않은 첫 번째 노드점부터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해 각 노드점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저장한 후, 순서상 첫 번째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 대한 안내를 요구하는 입력이 있으면 저장된 미리 보기 안내 화면 중 해당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최적의 경로를 주행하는 중이 아니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점들 중 안내할 첫 번째 노드점부터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해 각 노드점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저장한 후, 순서상 첫 번째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 대한 안내를 요구하는 입력이 있으면 저장된 미리 보기 안내 화면 중 해당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 대한 안내 요구시 저장된 미리 보기 안내 화면이 없는 경우 안내할 노드점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여 안내할 노드점이 남아 있으면 남은 노드점 중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저장한 후 첫 번째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안내화면은 미리 보기 순서 표시부분과, 순서상 다음 노드점에서 진행방향 표시부분과, 상기 다음 노드점까지 거리 표시부분, 상기 다음 노드점 도착 소요시간 표시부분, 상기 다음 노드점 명칭 표시부분, 상기 다음 노드점 도로명 표시부분, 현재 이동체 방향 표시부분, 목적지 방향 표시부분, 위성 위치 확인(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상태 표시부분, 메뉴 표시부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경로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수개의 노드점 다음 순서의 노드점들에 대한 텍스트 형식의 미리보기 정보요구가 있으면 안내할 노드점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할 노드점이 있으면 다수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보기 요구가 상기 텍스트 형식의 미리 보기 정보에 대한 요구이면 경로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주행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주행중이면 이동체가 통과하지 않은 첫 번째 노드점부터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가 주행중이 아니면 상기 경로 유도데이터에서 안내할 첫 번째 노드점부터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로에 대한 전체 정보는 경로의 총거리, 소요시간, 진행 방향, 경로상에 포함되는 교차로, 입출구 인터체인지, 경유 인터 체인지, 국도, 도로 등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에 대한 전체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시 경로의 상세한 안내를 요구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른 경로를 정보 센터로 요구하기 위한 경로 조건 메뉴를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특정 도로가 포함되는 최적 경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1.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정보센터와, 이동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망과의 무선 접속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장치(GPS)를 구비하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이 정보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상의 다수의 노드점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최적의 주행 경로의 미리 보기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다수의 노드점 중 일부 다수개의 노드점에 대한 경로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2.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정보센터와, 이동체에 위치하고 상기 무선망과의 무선 접속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장치(GPS)를 구비하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이 정보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상의 다수의 노드점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적의 주행 경로의 미리 보기 요구가 있으면 상기 경로 유도 데이터에 포함된 각 노드점과 대응하며, 상기 각 노드점에 대한 상세 경로 정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미리 보기 안내 화면들을 구성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KR10-2002-0009977A 2001-05-03 2002-02-25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KR10045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39,693 US6735518B2 (en) 2001-05-03 2002-05-03 Route guiding method in a navig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4176 2001-05-03
KR1020010024176 2001-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2A KR20020084682A (ko) 2002-11-09
KR100459548B1 true KR100459548B1 (ko) 2004-12-04

Family

ID=2770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977A KR100459548B1 (ko) 2001-05-03 2002-02-25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5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38A (ko) * 1998-08-21 2000-03-15 김영환 무선모뎀을 이용한 행선지까지의 교차점간 방향전환 안내장치및 방법
WO2000022593A1 (en) * 1998-10-14 2000-04-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Driver infor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38A (ko) * 1998-08-21 2000-03-15 김영환 무선모뎀을 이용한 행선지까지의 교차점간 방향전환 안내장치및 방법
WO2000022593A1 (en) * 1998-10-14 2000-04-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Driver infor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2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649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에 의한 경로안내 방법
US6735518B2 (en) Route guiding method in a navig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US6950743B2 (en)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for navigation system setup
US7260473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oute guidance
CN100580380C (zh) 导航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导航系统
EP1340962B1 (en) Map ma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6505117B1 (en) Method for navigating an object
US20100305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ILTER AND DISPLAY ONLY POIs CLOSEST TO A ROUTE
US7650235B2 (en) Telematics system using image data and method for directing a route by using the same
EP1503180A1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WO2004036146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サーバ装置
KR20040104217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에 관련된 영상의다운로드 및 재생장치 및 방법
US20060149467A1 (en) Map drawing method, map drawing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input/output apparatus
JP396937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55475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454949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JP457247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30518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83228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0459548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JP393302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52656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의 도로상 위치 검색방법
EP1503357A1 (en) Device, system, method for notifying traffic conditions
JP459086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21482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