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261B1 -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261B1
KR100459261B1 KR10-2001-0077097A KR20010077097A KR100459261B1 KR 100459261 B1 KR100459261 B1 KR 100459261B1 KR 20010077097 A KR20010077097 A KR 20010077097A KR 100459261 B1 KR100459261 B1 KR 10045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ignal
angle
equipm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617A (ko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이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한 filed Critical 이종한
Priority to KR10-2001-007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261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58Two-dimensional joints
    • B25J17/0266Two-dimensional joints comprising more than two actuating or connect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 B25J9/0075Tru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 즉, 고소작업대, 크레인, 펌프카 등의 프레임에 부설하여 프레임의 각도 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의 변화로써 출력하고 이를 장비 고유의 각도에 따른 높이 신호로써 출력하여 장비의 높이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정 높이에 따른 각각의 높이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장비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원하는 장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작동시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의 변화를 검출하여 장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장비의 프레임 일측에 부설되어 장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각도/높이 검출센서; 및 각도/높이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변형률을 전기신호로써 출력하여 이를 다시 높이신호로써 출력하고, 출력된 높이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신호로써 출력하며,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에 대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 발생하여 장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회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Angle/hight control apparatus of having winding type a joint}
본 발명은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 즉, 고소작업대, 크레인, 펌프카 등의 프레임의 일측 적소에 부설하여 프레임의 각도 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의 변화로써 출력하고 이를 장비 고유의 각도에 따른 높이 신호로써 출력하여 장비의 높이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의 특성에 따라서 작업장소가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높은 곳에 위치한 작업장소에서는 대체적으로 고소작업대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 대상물에 근접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나 크레인 및 펌프카 등은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로, 이 중 고소작업대는 통상 시저형 고소작업대와 붐(Boom)형의 고소작업대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시저형 및 붐(Boom)형의 고소작업대에 있어 일정 높이에서 안전을 고려하여 주행속도를 늦추거나 차단하는 등의 작동을 위하여 통상 센서로써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 혹은 근접 스위치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승시 최대 높이 근접시에 출렁거림을 없애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완전 하강시 부딪치는 충격을 없애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등을 각 높이별로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계식 및 근접식 리미트 스위치는 오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장비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또한 리미트 스위치의 경우 다수 개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계식 및 근접식 리미트 스위치의 경우에는 오작동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에 큰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 즉, 고소작업대, 크레인, 펌프카 등의 프레임에 부설하여 프레임의 각도 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의 변화로써 출력하고 이를 장비 고유의 각도에 따른 높이 신호로써 출력하여 장비의 높이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정 높이에 따른 각각의 높이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장비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원하는 장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높이 조절장치를 통해 장비의 높이에 비례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장비의 작업높이 측정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장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각도/높이 검출센서를 부설함으로써 오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통한 밀봉된 형태의 외관구조를 구성하는 한편, 기계적인 가동 부분이 없는 구성을 통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원리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설치를 보인 시저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인 붐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비 12. 프레임
100. 조절장치 110. 각도/높이 검출센서
112. 하우징 114. 탄성체
116. 무게추 118. 스트레인 게이지
200. 전자회로부 210. 신호처리회로
220.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 230.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
240. 지정높이 판단회로 250.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작동시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의 변화를 검출하여 장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장비의 프레임 일측에 부설되어 장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각도/높이 검출센서; 및 각도/높이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변형률을 전기신호로써 출력하여 이를 다시 높이신호로써 출력하고, 출력된 높이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신호로써 출력하며,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에 대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 발생하여 장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회로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각도/높이 검출센서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프레임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외팔보의 형태로 자유단을 이루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체; 탄성체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기울기에 따라 탄성체를 일정범위 탄성변형시키는 무게추; 및 탄성체의 일면에 부설되어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회로부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변형률을 하우징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회로;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기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를 통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지정높이 판단회로; 지정높이 판단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를 발생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 및 장치의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에 따라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는 운전자 임의로 장비에 따라 프로그램의 설정값을 바꿀 수 있도록 함이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원리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설치를 보인 시저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는 크게 장비(10)의 프레임(12) 일측 적소에 부설되어 장비(1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면 전기적 저항값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각도/높이 검출센서(110) 및 각도/높이 검출센서(110)에 의해 검출된 변형률을 전기신호로써 출력하여 이를 다시 높이신호로써 출력하고, 출력된 높이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신호로써 출력하며,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에 대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 발생하여 장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회로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각도/높이 검출센서(110)는 장비(10)의 프레임(12)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112), 하우징(112)의 내측에 외팔보의 형태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체(114), 탄성체(114)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기울기에 따라 탄성체(114)를 일정범위 탄성변형시키는 무게추(116) 및 탄성체(114)의 일면에 부설되어 탄성체(114)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18)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자회로부(200)는 스트레인 게이지(118)에 의해 측정된 변형률을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회로(210), 신호처리회로(210)에 의해 출력된 전기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에 의해 발생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를 통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지정높이 판단회로(240),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를 발생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 및 장치의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에 따라 장비(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프레임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112), 하우징(112)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외팔보의 형태로 자유단을 이루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체(114), 탄성체(114)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따라 탄성체(114)를 일정범위 탄성변형시키는 무게추(116), 탄성체(114)의 일면에 부설되어 탄성체(114)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18), 스트레인 게이지(118)에 의해 측정된 값을 하우징(112)의 기울기에비례한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회로(210), 신호처리회로(210)에 의해 출력된 전기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에 의해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를 통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지정높이 판단회로(240),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를 발생시켜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 및 장치의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에 따라 장비(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는 고정된 탄성체(114)에 무게추(116)를 장착하고, 탄성체(114)에 스트레인 게이지(118)를 부착함으로써 장비(1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이 기울어지면 이에 따른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따라 무게추(3)가 중력에 의해 탄성체(114)를 변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따라 무게추(3)가 중력에 의해 탄성체(114)를 변형시키면 이 변형값을 스트레인 게이지(118)의 저항값의 변화로써 출력하고, 저항값을 통해 신호처리회로(210)는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신호처리회로(210)에 의한 전기신호는 출력을 장비(10)에 따라 설정값을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를 통해 높이신호로 출력된다. 즉,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인 각도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하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를 통해 전기신호(각도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는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써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에 의해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된다.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는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에 의해 기울기 즉, 변화된 프레임(12)의 각도가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 판단되어져 신호로써 출력되고,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에 의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온/오프(On/Off)신호로써 발생되어진다.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를 통해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는 장비(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와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는 다수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12)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 내부에 설치하여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이 하우징(112)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구조로 이루어져 장비(10)의 프레임(12) 일측에 부설된다.
탄성체(114)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이 탄성체(114)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단은 하우징(112)의 공간부 내측면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이다.
무게추(116)는 장비(1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이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지면 중력에 의해 탄성체(114)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으로, 이 무게추(116)는 탄성체(114)의 자유단에 설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118)는 탄성체(114)의 탄성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변화된 값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스트레인 게이지(118)는 탄성체(114)의 일면에 부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114)의 일면에 부설된 스트레인 게이지(118)는 장비(1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이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져 무게추(116)의 중력에 의해 탄성체(114)가 탄성변형되면 탄성체(114)의 탄성변형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변화된 값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게 된다.
전술한 스트레인 게이지에 대한 설명으로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스트레인을 설명하기로 하면, 스트레인은 변형도(變形度) 또는 변형률(變形率)을 나타내며, 어느 물체가 인장 또는 압축을 받을 때 원래의 길이에 대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길이를 비율로 표시한 값을 일컫는다. 따라서 스트레인은 단위를 갖지 않으며 굳이 단위를 표시하려면 cm/cm, mm/mm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인은 주로 토목공학 ·기계공학 ·건축공학 ·항공공학 ·조선공학 등 구조물이나 기계요소의 해석과 설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이들 구조요소가 외부의 힘을 받아 변형이 발생할 때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는 전기식으로 측정하는 전기식 스트레인 게이지(electrical strain gage)와 기계식으로 측정하는 기계식 스트레 인게이지(mechanical strain gage)의 2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식 스트레인 게이지는 탄성체가 변형을 일으킬 때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적 저항이 변하여 이로부터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며, 기계식 스트레인 게이지는 두 점 사이의 미소한 거리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하여 탄성체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발로 인하여 탄성체의 변형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변형률에 의하여 응력을 측정할 수가 있게 되었다.
전술한 스트레인 게이지는 탄성체의 재질에 따라 그 모양과 길이가 다른 것이 사용된다. 금속이나 강재에는 주로 5mm 게이지가, 콘크리트에는 30~100mm 게이지가 자주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스트레 인게이지는 표면에 부착하는 부착형 스트레인 게이지뿐만 아니라 물체나 탄성체를 만들 때에 그 내부에 매몰시켜 설치하는 매몰형 스트레인 게이지도 있다.
한편, 탄성체(114)의 탄성변형에 따라 검출된 전기적 저항값은 전자회로부(200)의 신호처리회로(210)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처리회로(210)는 스트레인 게이지(118)에 의해 측정된 변형률을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즉,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각도를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는 신호처리회로(210)에 의해 전기신호로 출력된 하우징(112)의 기울기에 비례한 각도를 높이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220)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한다.
지정높이 판단회로(240)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230)에 의해 발생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를 통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는 지정높이 판단회로(2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를 발생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장비(10)의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제어회로는 장비(10)의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250)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에 따라 장비(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100)를 장비(10)에 응용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은 여러 개의 리미트 스위치가 필요없게 됨은 물론, 높이에 따른 장비(10)의 세밀한 작동이 가능하며, 기계적 가동 부분이 전혀 없는 밀봉구조로 이루어져 오염 및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다.
미설명 도면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인 붐형 고소작업대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은 시저형 고소작업대 이외에 도 3의 붐형 고소작업대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도면 부호나 조절장치(100)를 표기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 즉, 고소작업대, 크레인, 펌프카 등의 프레임에 부설하여 프레임의 각도 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의 변화로써 출력하고 이를 장비 고유의 각도에 따른 높이 신호로써 출력하여 장비의 높이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정 높이에 따른 각각의 높이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장비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원하는 장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각도/높이 조절장치를 통해 장비의 높이에 비례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장비의 작업높이 측정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장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오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각도/높이 검출센서를 부설함으로써 오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통한 밀봉된 형태의 외관구조를 구성하는 한편, 기계적인 가동 부분이 없는 구성을 통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효과들 이외에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작동시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각도/높이 검출센서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각도/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높이 검출센서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프레임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어지되 타단은 외팔보의 형태로 자유단을 이루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탄성체를 일정범위 탄성변형시키는 무게추; 및
    상기 탄성체의 일면에 부설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형률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변형률을 상기 하우징의 기울기에 비례한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회로;
    상기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기신호를 높이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
    상기 각도/높이신호 변환회로에 의해 변환 출력된 높이신호를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신호를 통해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지정높이 판단회로;
    상기 지정높이 판단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통해 온/오프(On/Off)신호를 발생하여 지정된 높이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 및
    상기 장치의 전반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온/오프(On/Off)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 온/오프(On/Off)신호에 따라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4. 삭제
KR10-2001-0077097A 2001-12-06 2001-12-06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KR10045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97A KR100459261B1 (ko) 2001-12-06 2001-12-06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97A KR100459261B1 (ko) 2001-12-06 2001-12-06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617A KR20010113617A (ko) 2001-12-28
KR100459261B1 true KR100459261B1 (ko) 2004-12-03

Family

ID=1971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097A KR100459261B1 (ko) 2001-12-06 2001-12-06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2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719A (ja) * 1982-09-16 1984-04-09 ザルトリウ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気秤
KR930021894A (ko) * 1992-04-23 1993-11-23 김형벽 전자유압식 굴삭기의 작업 자동화 제어방법과 장치
KR20020082663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피앤엠 로드셀을 이용하여 경사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에 의한 측정오차를 보상하는전자저울 및 보상된 하중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719A (ja) * 1982-09-16 1984-04-09 ザルトリウ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気秤
KR930021894A (ko) * 1992-04-23 1993-11-23 김형벽 전자유압식 굴삭기의 작업 자동화 제어방법과 장치
KR20020082663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피앤엠 로드셀을 이용하여 경사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에 의한 측정오차를 보상하는전자저울 및 보상된 하중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617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9997B1 (en) Load detecting device
KR101122794B1 (ko) 지지 연장 암을 갖는 이동식 작업장치
US6250863B1 (en) Washer having stressed and unstressed strain gauges
US20090020492A1 (en) Hoist Controls With Compensation For Dynamic Effects
CN108750946B (zh) 一种起重机负载识别、测量及调节的控制方法
CN107010576B (zh) 具有负载检测装置和集成倾角传感器的起重机构和工作台
CN206219164U (zh) 一种实时测量工作平台载荷的装置
EP1659378A2 (en) Load cell protection apparatus and load detec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20030036622A (ko) 차량 좌석용 하중 변환기
KR100459261B1 (ko) 굴절식 관절을 가진 장비의 각도/높이 조절장치
US4433586A (en) Electronic cable load gauge
JP3142579B2 (ja) 機械電動式移動装置の安全装置
EP3649071A1 (en) Link member for connection of a gripping assembly to a hydraulic crane arm with integrated dynamic weighing assembly
KR0160240B1 (ko) 엔진 동하중에 의한 3 축부하 측정장치
KR20080094522A (ko) 지지하중이 표시되는 레벨링장치
RU100245U1 (ru) Датчик усилия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й
KR960009188B1 (ko) 크레인의 과부하검출방법 및 과부하방지장치
EP1666853A2 (en) Device for weighing a load
RU179728U1 (ru) Датчик усилия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й
CN214149666U (zh) 电阻应变式两分力测力传感器
JP6967914B2 (ja) 荷重変換器
JPH0527433Y2 (ko)
KR101995204B1 (ko)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KR200176890Y1 (ko) 로드셀 조립체
CN207866403U (zh) 测量支吊架荷载的传感器及其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