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43B1 - 필터및발진기용의상보형트랜스컨덕터를포함하는전자회로 - Google Patents

필터및발진기용의상보형트랜스컨덕터를포함하는전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43B1
KR100458143B1 KR10-1998-0702148A KR19980702148A KR100458143B1 KR 100458143 B1 KR100458143 B1 KR 100458143B1 KR 19980702148 A KR19980702148 A KR 19980702148A KR 100458143 B1 KR100458143 B1 KR 10045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onductor
transistor
node
diode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269A (ko
Inventor
요한네스 오토 부어만
휴고 베엔스트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6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11/0422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using transconductance amplifiers, e.g. gmC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03F3/343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39Complementary long tailed pairs having parallel inputs and being suppli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4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 H03F3/45484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48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by using feedback means
    • H03F3/45533Measuring at the common emitter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542Controlling the common emitter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3Controlling being realised by adding a replica circuit or by using one among multiple identical circuits as a replica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62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IC comprising a cross coupling circuit, e.g. comprising two cross-coupled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전자회로는 접속된 트랜스컨덕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컨덕터들은 그 출력이 두 출력 단자들(OA 및 OB)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두 상보형의 차동 쌍(P1/P2; N1/N2)을 포함한다. 두 다이오드들(P3, N3)은 차동 쌍들의 공통 단자들(BA 및 BB) 사이에서 직렬로 배열된다. 차동 쌍들의 공통-모드 전압은 두 다이오드들(P3, N3) 사이의 노드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한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전압은 다른 트랜스컨덕터(TR1)의 바이어스 전류원들(P4)의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필요하다면, 트랜스컨덕터(TR2)의 바이어스 전류원중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들(OA 및 OB) 상의 공통-모드 전압은 고정된다.

Description

필터 및 발진기용의 상보형 트랜스컨덕터를 포함하는 전자회로
본 발명은 복수의 적어도 제 1 트랜스컨덕터 및 제 2 트랜스컨덕터를 포함하는 전자회로에 관한 것으로, 각각은 차동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와 차동 전압에 응답하여 차동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를 갖는다.
이러한 전자회로는 『"A Micropower CMOS Continuous-Time Low-Pas filter",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24, No. 3, June 1989, pp.736-734』에 공지되어 있다. 트랜스컨덕터들은 소위 트랜스컨덕터-C 필터들에서 사용되는 전압 제어 전류원들(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s)인데, 전자회로가 일반적으로 평형 장치들(balanced device)로 구성되기 때문에, 트랜스컨덕터는 평형 적분기 필터(Balanced Integrator Filters)로도 칭해진다. 이러한 형태의 필터들에 대한 배경 기술은 Y.P. Tsividis 및 J.O. Voorman에 의해 발행된 책 "Integrated Continuous-Time Filters"(IEEE Press, Now York)에 포괄적으로 상술되어 있는데, 상기 책 안에 상기 IEEE 논문은 Paper 3-B.4로 나타난다. 가장 간단한 트랜스컨덕터는 차동 트랜지스터 쌍이다. 동작중인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OTA)는 복잡한 트랜스컨덕터로 간주된다. 트랜스컨덕터-C 필터들은 한편으로는 최소의 칩영역을 사용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고품질의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종 집적된다. 상기 책은 선형성, 대역폭 및 출력 전압 스윙(swing)과 같은 특정 특성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동 쌍에 기초한 많은 변형들 및 향상들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트랜스컨덕터-C 필터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형의 트랜스컨덕터, 즉 작은 칩 영역을 차지하는 트랜스컨덕터에 대한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컨덕터들을 갖는 전자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트랜스컨덕터들이 부호들로 도시된 도 1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적으로 도시된 트랜스컨덕터들을 갖는 전자회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 1 트랜스컨덕터-C 필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적으로 도시된 트랜스컨덕터들을 갖는 전자회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 2 트랜스컨덕터-C 필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적으로 도시된 트랜스컨덕터들을 갖는 전자회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 3의 트랜스컨덕터-C 필터.
도 6은 두 트랜스컨덕터들 및 두 커패시터들을 갖는 발진기의 바이어스 회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진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컨덕터를 구비하는 전자회로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서 정의된 형태의 전자회로는 적어도 제 1 트랜스컨덕터 및 제 2의 트랜스컨덕터의 각 트랜스컨덕터가,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1 차동쌍으로서, 제 1 노드에서 서로 접속 되는 그들 각각의 제 1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2 주 전극들을 갖고, 제 1 입력 단자 및 제 2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어 전극들을 갖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1 차동쌍과;
상기 제 1 차동 쌍의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2 차동쌍으로서, 제 2 노드에서 서로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1 주 전극들을 갖고,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2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2 입력단자에 접속된 각각의 제어 전극들을 갖는,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제 2 차동쌍과;
상기 제 1 노드에 접속되어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1 차동 쌍으로 공급하는 제 1 전류원과;
상기 제 2 노드에 접속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2 차동 쌍으로 공급하는 제 2 전류원과;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서 직렬로 접속된 상기 제 1 도전형의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에 응답하여 적어도 제 1 트랜스컨덕터의 제 1 전류원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랜스컨덕터들 각각은, 트랜지스터 형태에 따라, 입력 단자들에 접속된 그들의 베이스들 또는 게이트들 및 출력 단자들에 접속된 그들의 컬렉터들 또는 드레인들을 갖는 2 개의 상보형 트랜지스터 쌍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쌍의 에미터 또는 소스 노드들은 바이어스 전류원에 접속된다. 2 개의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들, 즉 베이스가 컬렉터에 접속되거나 또는 게이트가 드레인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는 두 쌍들의 각각의 노드들 사이에서 직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트랜스컨덕터는 미국 특허원 3,991,380호로부터 공지된다. 상보형 트랜지스터 쌍들의 트랜지스터들의 바이어스 전류들은 서로 정확하게 동일해야만 한다. 가능한 차이점으로는, 부하가 직류 통과를 허용한다면, 이 부하를 통한 그들의 경로만이 있을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출력 단자들 상의 직류 전압(direct voltage)은 막연한 값으로 표류할 것이고 출력 단자들에 연결된 다른 트랜스컨덕터들의 동작을 방해할 것이다. 이것은 낮은 공통-모드 이득 및 높은 차동 이득을 갖는 특정 부하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은 부가적인 저항기들 및/또는 트랜지스터들을 요구 하는데, 필터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거나 부가적인 칩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미국 특허원 3,991,380호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은 출력 단자들 상의 공통-모드 전압을 측정하여 두 상보형 트랜지스터 쌍들의 바이어스 전류원들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해결된다. 각각의 개별적인 트랜스컨덕터에 대해서, 이것은 복수의 부가적인 트랜지스터들을 요구하고, 따라서, 부가적인 칩 영역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각 개별적인 트랜스컨덕터에 대한 공통-모드 문제들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되면, 선회기 회로들(gyrator circuits)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트랜스컨덕터가 교차 결합된 트랜스컨덕터와 함께 사용될 때 불안정성을 나타나게 될 것이다.
트랜스컨덕터-C 필터들에 있어서 한 트랜스컨덕터의 출력들은 다른 트랜스컨덕터의 입들력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미국 특허원 3,991,3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단자 상의 공통-모드 전압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각 개별적인 트랜스컨덕터 내에서 어떠한 개별적인 단계도 취해지지 않지만, 이러한 단계는 그룹으로 적용된다. 이때 한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은 하나 이상의 다른 트랜스컨덕터들, 요구된다면 이 하나의 트랜스컨덕터의 두 바이어스 전류원들 중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특히 복잡한 필터 배열들에서 많은 소자들를 절약하고 불안정성을 방지한다.
상기 IEEE 문헌에서 제 1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이 제 2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에 영향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룹이 아닌, 두 트랜스컨덕터들 사이에서만 매번 유효하게 된다. 또한, 상기 IEEE 문헌의 트랜스컨덕터들은 전체적으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며, 두 입력 차동 쌍들의 한 입력 차동 쌍의 바이어스 전류원은 제어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한 트랜스컨덕터의 두 바이어스 전류원들의 하나는 공통-모드 전압에 응답하여 여러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소형 회로는 제어용 수단은,
제 2 트랜스컨덕터의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와 제 2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사이의 노드에 연결된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측정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상기 제 1 노드에 접속되는 입력 브랜치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터의 각각의 제 1 노드에 접속되는 출력 브랜치들을 갖는 전류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상기 전류 미러의 입력 브랜치는,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상기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사이의 노드에 접속된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측정 트랜지스터와;
상기 측정 트랜지스터의 제 1 주 전극과 직렬로 배치된 제 1 도전형의 또 다른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및
상기 또 다른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의 대응하는 전극들과 병렬로 배열된 제어 전극 및 제 1 주 전극을 갖고,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상기 제 1 노드에 접속된 제 2 주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여전히 또 다른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은 두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들 사이의 노드 상에 나타난다. 측정 트랜지스터는 이 전압을 상기 전류 미러의 입력 브랜치로 다시 공급한다. 입력 브랜치를 통과하는 전류는 트랜스컨덕터들 그룹의 제 1 노드들, 즉 2 개의 에미터 또는 소스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에 미러링된다.
복수의 트랜스컨덕터들, 특히 입력 단자들이 서로 접속된 트랜스컨덕터들의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들의 각 노드들을 상호 접속함으로써 복잡한 트랜스컨덕터-C 필터에서 다른 소자들이 절약될 수 있다.
한 트랜스컨덕터의 출력들을 다른 트랜스컨덕터의 입력에 접속하고 상기 한 트랜스컨덕터의 입력을 상기 다른 트랜스컨덕터의 출력에 연결함으로써, 두 트랜스컨덕터들 및 두 커패시터들에 의해 발진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적합한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트랜스컨덕터 각각이,
다른 노드에서 서로 접속되는 제 1 주 전극들을 각각 갖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주 전극들을 각각 갖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제어 전극을 각각 갖는,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또 다른 차동 쌍; 및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터의 상기 또 다른 노드에 접속되는 입력 브랜치를 갖고,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의 제 1 노드에 접속된 출력 브랜치를 갖는 전류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차동 쌍은 작은 신호들에 대해 감쇠 등화(attenuation equalization)를 제공하여, 발진기가 정확하게 기동하도록 하고, 또한 관련 트랜스컨덕터의 공통-모드 전압의 공급기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는 제 1 및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 각각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트랜스컨덕터 각각은,
제 3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전류원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3 전류원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3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3 전류원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4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와;
제 4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4 전류원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4 전류원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5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입력 단자 및 상기 제 4 전류원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6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내지 제 6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들 및 제 3 및 제 4 전류원은 발진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도록 큰 신호 감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고 명백해 질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 기능 및 목적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컨덕터들을 갖는 전자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로는 2 개의 트랜스컨덕터들(TR1 및 TR2)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랜스컨덕터 는 차동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들(IA 및 IB)과, 차동 출력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단자들(OA 및 OB) 및,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노드(BA)와,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노드(BB), 및 공통-모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드 단자(CM)를 구비한다. 각각의 트랜스컨덕터는, 제 1 노드(BA)에 접속된 제 1 주 전극들 또는 에미터들을 갖고, 입력 단자(IA) 및 입력 단자(IB)에 각각 접속된 그들의 제어 전극들 또는 베이스들을 갖고, 입력 단자(OA) 및 출력 단자(OB)에 각각 접속된 그들의 제 2 주 전극들 또는 컬렉터들을 갖는 트랜지스터들(P1 및 P2)를 포함하는 PNP 트랜지스터 쌍과; 제 2 노드(BB)에 접속되는 그들의 에미터를 갖고, 입력 단자(IA) 및 입력 단자(IB)에 각각 접속되는 그들의 베이스를 갖고, 출력 단자(OA) 및 출력 단자(OB)에 각각 접속된 그들의 컬렉터 들을 갖는 트랜지스터들(N1 및 N2)을 포함하는 NPN 트랜지스터 쌍과; 제 1 노드(BA)와 공통-모드 단자(CM) 사이의 다이오드 접속 PNP 트랜지스터(P3); 및 공통-모드 단자(CM)와 제 2 노드(BB) 사이의 제 2 다이오드 접속 NPN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P3)의 에미터 면적은 괄호 안의 숫자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P1 및 P2)의 에미터 면적보다 되도록 4배 크다. 또한, 트랜지스터(N3)의 에미터 면적은 트랜지스터(N1 및 N2)의 에미터 면적보다 되도록 4배 크게 선택된다.
트랜스컨덕터(TR1)의 NPN 트랜지스터 쌍(N1, N2)은 NPN 전류원 트랜지스터(N4)로부터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하는데, 상기 NPN 전류원 트랜지스터(N4)는 제 2 노드(BB)와 음의 공급 전압 사이에 접속된다. NPN 트랜지스터(N5)는 다른 트랜스컨덕터(TR2)에 대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전류원 트랜지스터(N4 및 N5)의 베이스는 전압원(VB)에 접속되는데,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N4 및 N5)의 바이어스 전류는 고정된다.
트랜스컨덕터(TR1)의 PNP 트랜지스터(P1, P2)는 PNP 전류원 트랜지스터(P4)로부터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하며, 상기 PNP 전류원 트랜지스터(P4)는 제 1 노드(BA)와 양의 공급 전압 사이에 접속된다. 유사하게 배치된 PNP 트랜지스터(P5)는 바이어스 전류를 트랜스컨덕터(TR2)의 제 1 노드(BA)로 공급한다.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에미터-폴로워(emitter-follower)로서 배치된 PNP 트랜지스터(P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통해 다이오드 접속 PNP 트랜지스터(P7)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P7)는 그 베이스-에미터 접합이 트랜지스터(P4 및 P5)의 에미터-베이스 접합과 병렬로 배치된다. 트랜지스터(P4 및 P5/P6/P7)는 입력 브랜치, 즉 트랜지스터(P5/P6/P7)와 출력 브랜치, 즉 트랜지스터(P4)를 구비하는 간단한 전류 미러를 형성한다.
트랜스컨덕터(TR1 및 TR2)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되며, 여기에서 각 트랜스컨덕터는 입력 단자(IA 및 IB), 출력 단자(OA 및 OB), 공통-모드 단자(CM) 및 제 1 노드(BA)로 나타내어지는 부호로 표현된다. 저항기(P4, P5, P6 및 P7)를 구비하는 트랜스컨덕터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는 명확하게 도시된다. 전류원 트랜지스터(N4 및 N5)를 구비하는 각 노드(BB)의 바이어스는 도시되지 않았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상호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입력 단자(IA 및 IB)에 상호 접속되고, 그 결과 트랜스컨덕터(TR2)는 트랜스컨덕터(TR1)를 부하하는(loads) 저항기로서 작용한다.
트랜지스터(P1)를 통과하는 영입력 전류(quiescent current)는 또한 트랜지스터(N1)를 통과해서 흐른다. 트랜지스터(P2 및 N2)를 통해 흐르는 영입력 전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노드(BA 및BB)가 고정된 전류 세기를 갖는 전류원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이들 전류원이 동일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및/또는 트랜지스터(P1/N1) 및 트랜지스터(P2/N2)가 동일한 베이스 전압에 대해 동일하게 전도하지 못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 결과,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 사이의 전압의 공통-모드 전압 성분은 불확정 상태로 되고, 결과적으로,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트랜스컨덕터(TR2)는 바람직하지 않은 DC 동작 범위에 있을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노드(BA 및 BB)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류원 중 한 전류원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방지된다. 실시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BA)로의 전류를 제어하고 노드(BB)로의 전류를 고정하는 것으로 선택되었다.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전압은 에미터-폴로워(P6)에 의해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단자(CM) 상에서 측정되고 트랜지스터(P5)의 베이스로 다시 공급되어, 트랜지스터(P5 및 P4)로 구성된 전류 미러의 입력 브랜치를 형성한다. 두 트랜스컨덕터는 이제 그들의 각 노드(BA) 상에서 전류를 수신하며, 이 전류는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단자 상의 공통-모드 전압에 의존한다. 이 공통-모드 전압은 양의 공급 전압에서 두 다이오드 전압을 감산한 것과 동일하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 상의 공통-모드 전압의 증가는 다른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 상의 공통-모드 전압의 증가로 나타난다. 따라서, 노드(BA 및 BB) 상의 전압, 따라서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단자(CM) 상의 전압도 또한 증가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P6)는 덜 전도적으로 되고 트랜스컨덕터(TR1)의 노드(BA)는 전류원 트랜지스터(P4)로부터 더 적은 전류를 수신할 것이고, 그로인해 트랜스컨덕터(TR1)의 공통-모드 전압의 초기 증가를 상쇄할 것이다. 따라서,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전압은 고정되고 노드(BA)를 통과하는 관련된 영입력 전류는 전류 미러에 의해 트랜스컨덕터(TR1)의 노드(BA)로 복사된다.
공통-모드 전압은 도 1에 도시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트랜지스터(P5)의 베이스에서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단자(CM)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P6)는 에미터가 트랜지스터(P5)의 베이스에 연결된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트랜지스터(P7)는 불필요하다. 이것은 다시 트랜지스터(P5)의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의 일정한 전압 차이로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는 이때 다시 전류 미러의 입력 브랜치로서 작용한다.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7)의 사용은 공통-모드 제어의 안정 시간(settling time)을 감소시킨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입력 브랜치(IA 및 IB) 상의 D.C. 레벨은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트랜스컨덕터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수 백 ㎒의 신호 주파수까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대신, 유니폴라(MOS)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베이스, 에미터 및 컬렉터는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으로 칭해지고,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및 드레인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전류원 트랜지스터용으로 선택되는 트랜지스터는 트랜스컨덕터에서의 트랜지스터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전류원 트랜지스터에 MOS 트랜지스터 트랜스컨덕터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반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술된 기술은 평형 트랜스컨덕터-C 필터용으로 아주 적합한데, 그 제 1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표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PNP 전류원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트랜스컨덕터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는 명확하게 도시된다. 도 2와 동일한 방식으로, NPN 전류원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노드(BB)의 바이어스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3은 1차 저역 필터(low-pass filter) 다음에 1차 전역 필터(all-pass filter)를 도시한다. 5 개의 트랜스컨덕터(TR1… TR5)가 존재하는데, 트랜스컨덕터(TR1)는 트랜스컨덕턴스(2G)를 가지며 나머지 트랜스컨덕터는 트랜스컨덕터(G)를 갖는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필터 입력 단자(FIA 및 F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5)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필터 출력 단자(FOA 및 FOB)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5)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 및 입력 단자(IA 및 IB)는 서로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5)의 출력 단자(OA 및 OB) 및 입력 단자(IA 및 IB)는 서로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3)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반대로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2Ca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1)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의 사이에 접속된다. 2Cb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3)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와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사이에 접속되고; 역시 2Cb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2)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B)와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B) 사이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수학식 1과 같은 전송 함수를 갖는다:
[수학식 1]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상호 접속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8, P11 및 P12)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1, TR2 및 TR4)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는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8, P11 및 P12)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9)와 함께 전류원을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9)는 트랜지스터(P10)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는 서로 접속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13 및 P14)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3 및 TR5)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 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13 및 P14)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15)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15)는 트랜지스터(P16)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와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CM)의 상호 접속은 이들 트랜스컨덕터의 입력이 동일한 전압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류원 트랜지스터(P8)의 면적은 트랜스컨덕터(TR1)에 두 배만큼 큰 영입력 전류를 공급하도록 다른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면적보다 두 배만큼 크고, 그 결과 이 트랜스컨덕터는 다른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transconductance)보다 두 배 높은 트랜스컨덕턴스가 주어진다.
도 4는 트랜스컨덕터-C 필터 응용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1차의 저역 필터 및 2차의 전역 필터의 조합에 관련한다. 7 개의 트랜스컨덕터(TR1 … TR7)가 존재하는데, 그 중 트랜스컨덕터(TR1)는 2G의 트랜스컨덕턴스를 가지며 다른 트랜스컨덕터는 G의 트랜스컨덕턴스를 갖는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필터 입력 단자(FIA 및 F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7)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필터 출력 단자(FOA 및 FOB)에 연결된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5)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7)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와 입력 단자(IA 및 IB)는 서로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7)의 출력 단자(OA 및 OB)와 입력 단자(IA 및 IB)는 서로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3)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반대로 트랜스컨덕터(TR4)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5)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반대로 트랜스컨덕터(TR6)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5)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2Cc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1)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2Cd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3)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와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사이에 접속되고; 역시 2Cd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2)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B)와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B) 사이에 접속되고; 2Ce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5)는 트랜스컨덕터(TR5)의 입력 단자(IA)와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A) 사이에 접속되고; 역시 2Ce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4)는 트랜스컨덕터(TR5)의 입력 단자(IB)와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B) 사이에 접속되고; 2Cf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7)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와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A) 사이에 접속되며; 역시 2Cf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6)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B)와 트랜스컨덕터(TR6)의 입력 단자(IB) 사이에 접속된다. 이 결과, 이러한 구성은 수학식 2와 같은 전송 함수를 갖는다:
[수학식 2]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상호 접속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20, P23 및 P24)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1, TR2 및 TR4)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20, P23 및 P24)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21)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21)는 트랜지스터(P22)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서로 연결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27 및 P28)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3 및 TR6)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27 및 P28)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25)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25)는 트랜지스터(26)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6 및 TR7)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서로 접속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29 및 P30)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5 및 TR7)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29 및 P30)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1)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1)는 트랜지스터(P32)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6 및 TR7)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와, 트랜스컨덕터(TR4 및 TR5)의 공통-모드 단자(CM) 및 트랜스컨덕터(TR6 및 TR7)의 공통-모드 단자(CM)의 상호 접속은 이들 트랜스컨덕터의 입력이 동일한 전압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류원 트랜지스터(P20)의 면적은 트랜스컨덕터(TR1)에 두 배의 영입력 전류를 공급하도록 다른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면적보다 2 배 크고, 그 결과 이 트랜스컨덕터는 다른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보다 2 배 높은 트랜스컨덕턴스가 주어진다.
도 5는 2차 저역 필터를 도시한다. 4 개의 트랜스컨덕터가 존재하는데, 모두 G의 트랜스컨덕턴스를 갖는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필터 입력 단자(FIA 및 F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필터 출력 단자(FOA 및 FOB)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1)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는 트랜스컨덕터(TR3)의 출력 단자(OA 및 OB)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스컨덕터(TR2)의 출력 단자(OA 및 OB)와 입력 단자(IA 및 IB)는 서로 접속된다. 반대로 트랜스컨덕터(TR4)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 컨덕터(TR3)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Cg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8)는 트랜스컨덕터(TR2)의 입력 단자(IA 및 IB) 사이에 연결되고; Ch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C9)는 트랜스컨덕터(TR4)의 입력 단자(IA 및 IB) 사이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수학식 3과 같은 전송 함수를 갖는다:
[수학식 3]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상호 접속되고 전류원 트랜지스터(P33 및 P36)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1 및 TR2)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33 및 P36)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4)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4)는 트랜지스터(P35)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연결된다. 트랜스컨덕터(TR4)의 공통-모드 단자(CM)는 전류원 트랜지스터(P37 및 P40)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3 및 TR4)의 각 노드(BA)의 바이어스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P37 및 P40)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8)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8)는 트랜지스터(P39)를 통해 트랜스컨덕터(TR4)의 공통-모드 단자(CM)에 접속된다. 트랜스컨덕터(TR2 및 TR3)의 공통-모드 단자(CM)의 상호 연결은 이들 트랜스컨덕터의 입력이 동일한 전압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상술된 기술은 트랜스컨덕터를 포함하는 다른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2 개의 트랜스컨덕터(TRA 및 TRB)를 구비하는 발진기를 도시하는데, 상기 트랜스컨덕터(TRA 및 TRB)는 역시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트랜스컨덕터(TRA)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B)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되고 반대로 트랜스컨덕터(TRB)의 출력 단자(OA 및 OB)는 트랜스컨덕터(TRA)의 입력 단자(IA 및 IB)에 접속된다. 또한, 커패시터(C10)는 트랜스컨덕터(TRA)의 입력 단자(IA 및 IB) 사이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11)는 트랜스컨덕터(TRB)의 입력 단자(IA 및 IB) 사이에 접속된다. 발진기 주파수는 G/Go와 동일한데, Co는 커패시터(C10 및 C11)의 커패시턴스이다.
도 7은 도 6의 트랜스컨덕터(TRA)를 도시한다. PNP 트랜지스터(P43)의 에미터, 컬렉터 및 베이스는 각각 다른 노드(BC), 입력 단자(IA) 및 입력 단자(IB)에 접속된다. PNP 트랜지스터(P43)의 에미터, 컬렉터 및 베이스는 각각 상기 노드(BC), 입력 단자(IB) 및 입력 단자(IA)에 접속된다. 노드(BC)는 다이오드 접속 PNP 트랜지스터(P41)를 통해 양의 공급 단자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P41)는 PNP 트랜지스터(P42)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상기 트랜지스터(P42)의 컬렉터는 다른 트랜스컨덕터(TRB)의 노드(BA)에 접속되는데, 상기 트랜스컨덕터(TRB)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컨덕터(TRA)와 동일하다. 트랜스컨덕터(TRB)는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P42)와 유사한 트랜지스터를 또한 포함하며, 그 컬렉터는 트랜스컨덕터(TRA)의 노드(BA)에 접속된다. 예를들면, 트랜지스터(P42)의 에미터 면적은 트랜지스터(P41)의 면적보다 3 배 크다. 입력 단자(IA)는 다이오드 접속 NPN 트랜지스터(N6)를 통해 전류원(CS1)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IB)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8)를 통해 이 전류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N6 및 N8)의 에미터 면적 사이의 비율은, 예를들면, 3:1이다. 또한, 입력 단자(IA)는 다이오드 접속 NPN 트랜지스터(N7)를 통해 전류원(CS3)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IB)는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9)를 통해 이 전류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N7 및 N9)의 에미터 면적 사이의 비율은, 예를들면, 1:3이다. 노드(BB)는 전류원(CS2)에 접속되고, 상기 전류원(CS2)은, 예를들면, 전류원(CS1 및 CS3)의 바이어스 전류보다 두 배 큰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P43 및 P44)는 작은 신호에 대한 감쇠 등화(attenuation equalization)를 제공하여, 발진기가 정확하게 기동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N6, N7, N8 및 N9) 및 전류원(CS1 및 CS2)은 저항기로서 배치된 트랜스컨덕터를 형성하여 큰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이러한 신호에 대한 감쇠를 제공한다.
현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공통-모드 전압은 단자(CM) 상에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노드(BC) 상에서 측정된다. 트랜지스터(P43 및 P44)는 감쇠 등화를 제공하고 공통-모드 전압을 버퍼하는 이중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감쇠 등화(attenuation equalization)를 달성하는데 여분의 전류가 필요 없게된다.

Claims (7)

  1. 각각이 차동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제 1(IA) 및 제 2(IB)의 입력 단자들 및 상기 차동 전압에 응답하여 차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1(OA) 및 제 2(OB)의 출력 단자들을 갖는, 복수의 적어도 제 1 트랜스컨덕터(TR1) 및 제 2 트랜스컨덕터(TR2)를 포함하는 전자회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 1 트랜스컨덕터(TR1) 및 제 2 트랜스컨덕터(TR2)의 각각의 트랜스컨덕터는,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1 차동쌍(P1, P2)으로서, 제 1 노드(BA)에서 서로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1 주 전극들을 갖고, 제 1 출력 단자(OA) 및 제 2 출력 단자(OB)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2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IA) 및 제 2 입력 단자(IB)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어 전극들을 갖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1 차동쌍(P1, P2)과;
    상기 제 1 차동 쌍(P1, P2)의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2 차동쌍(NI, N2)으로서, 제 2 노드(BB)에서 서로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1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출력 단자(OA) 및 제 2 출력 단자(OB)에 접속되는 그들 각각의 제 2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IA) 및 상기 제 2 입력단자(IB)에 접속된 각각의 제어 전극들을 갖는, 상기 제 2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제 2 차동쌍(N1, N2)과;
    상기 제 1 노드(BA)에 접속되어 제 1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1 차동 쌍(P1, P2)에 공급하는 제 1 전류원(P4)과;
    상기 제 2 노드(BB)에 접속되어 제 2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2 차동 쌍(N1, N2)에 공급하는 제 2 전류원(N4)과;
    상기 제 1 노드(BA)와 제 2 노드(BB) 사이에서 직렬로 접속된, 상기 제 1 도전형의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 및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3)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TR2)의 공통-모드 전압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터(TR1)의 제 1 전류원(P4)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P6, P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TR2)의 상기 제 1 노드(BA)에 접속되는 입력 브랜치(P5)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터(TR1)의 각각의 제 1 노드들(BA)에 접속되는 출력 브랜치들(P4)을 갖는 전류 미러(P4, P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의 입력 브랜치는,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TR2)의 상기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3) 사이의 노드(CM)에 접속된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측정 트랜지스터(P6)와;
    상기 측정 트랜지스터(P6)의 제 1 주 전극과 직렬로 배열된 제 1 도전형의 또 다른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7); 및
    상기 또 다른 다이오드 접속트랜지스터(P7)의 대응하는 전극들과 병렬로 배열된 제어 전극 및 제 1 주 전극을 갖고,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TR2)의 상기 제 1 노드(BA)에 접속된 제 2 주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더욱 또 다른 트랜지스터(P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트랜스컨덕터들 중에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 1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P3)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접속 트랜지스터(N3)의 각각의 노드들(CM)은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TRA) 및 제 2(TRB)의 트랜스컨덕터 각각은,
    또 다른 노드(BC)에서 서로 접속되는 각각의 제 1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IA) 및 상기 제 2 입력 단자(IB)에 접속되는 각각의 제 2 주 전극들을 갖고, 상기 제 2 입력단자(IB) 및 상기 제 1 입력 단자(IA)에 접속된 각각의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들의 또 다른 차동 쌍(P43, P44); 및
    상기 제 1 트랜스컨덕터(TRA)의 상기 또 다른 노드(BC)에 접속되는 입력 브 랜치(P41)를 갖고, 상기 제 2 트랜스컨덕터(TRB)의 제 1의 노드(BA)에 접속된 출력브랜치(P42)를 갖는 전류 미러(P41, P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TRA) 및 제 2(TRB)의 트랜스컨덕터 각각은,
    제 3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전류원(CS1)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IA) 및 상기 제 3 전류원(CS1)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3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6)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IB) 및 상기 제 3 전류원(CS1)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4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8)와;
    제 4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4 전류원(CS3)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IA) 및 상기 제 4 전류원(CS3)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5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7); 및
    상기 제 2 입력 단자(IB) 및 상기 제 4 전류원(CS3) 사이에 접속된, 제 2 도전형의 제 6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N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P3) 및 제 2(N3)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의 크기(dimensions)는 상기 제 1(P1, P2) 및 제 2(N1, N2) 차동 쌍의 트랜지스터들의 크기보다 4 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KR10-1998-0702148A 1996-07-24 1997-06-17 필터및발진기용의상보형트랜스컨덕터를포함하는전자회로 KR100458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2091 1996-07-24
EP96202091.3 1996-07-24
PCT/IB1997/000708 WO1998004037A2 (en) 1996-07-24 1997-06-17 Electronic circuit comprising complementary transconductors for filters and oscill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269A KR20000064269A (ko) 2000-11-06
KR100458143B1 true KR100458143B1 (ko) 2005-06-13

Family

ID=822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148A KR100458143B1 (ko) 1996-07-24 1997-06-17 필터및발진기용의상보형트랜스컨덕터를포함하는전자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59566A (ko)
EP (1) EP0853839B1 (ko)
JP (1) JP3875726B2 (ko)
KR (1) KR100458143B1 (ko)
AT (1) ATE231305T1 (ko)
DE (1) DE69718433T2 (ko)
MY (1) MY132523A (ko)
WO (1) WO19980040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4949B1 (en) * 1998-03-04 2001-02-27 Nortel Networks Limited Driver circuit for high speed data
GB2379814B (en) * 2001-07-05 2003-10-29 Zarlink Semiconductor Ltd A mixer circuit arrangement and an image-reject mixer circuit arrangement
US6856197B1 (en) * 2003-07-28 2005-02-15 Electronic Topologies, Inc. Symmetrical current amplifier
US6963244B1 (en) * 2003-12-12 2005-11-08 Analog Devices, Inc. Common mode linearized input stage and amplifier topology
US7646244B1 (en) * 2008-07-24 2010-01-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ty gain buffer with high switching speed and low quiescent curr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966A (en) * 1973-06-01 1975-03-11 Rca Corp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ifferential amplifier
US3991380A (en) * 1976-02-09 1976-11-09 Rca Corporation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ifferential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10147A1 (de) * 1982-08-25 1984-05-30 Univ Magdeburg Tech Cmos-differenzverstaerker
CA1260080A (en) * 1986-09-10 1989-09-26 Akira Yukawa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having wide operating range
JPH023156A (ja) * 1988-06-10 1990-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差動増幅回路
US5412343A (en) * 1992-07-30 1995-05-02 U.S. Philips Corporation Common-mode signal sensor
US5550510A (en) * 1994-12-27 1996-08-27 Lucent Technologies Inc. Constant transconductance CMOS amplifier input stage with rail-to-rail input common mode voltage range
US5631607A (en) * 1995-09-06 1997-05-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mpact GM-control for CMOS rail-to-rail input stages by regulating the sum of the gate-source voltages const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966A (en) * 1973-06-01 1975-03-11 Rca Corp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ifferential amplifier
US3991380A (en) * 1976-02-09 1976-11-09 Rca Corporation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ifferential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9566A (en) 1999-01-12
WO1998004037A3 (en) 1998-03-05
EP0853839A2 (en) 1998-07-22
EP0853839B1 (en) 2003-01-15
MY132523A (en) 2007-10-31
JP3875726B2 (ja) 2007-01-31
ATE231305T1 (de) 2003-02-15
KR20000064269A (ko) 2000-11-06
DE69718433T2 (de) 2003-10-30
DE69718433D1 (de) 2003-02-20
JPH11513228A (ja) 1999-11-09
WO1998004037A2 (en) 199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ulberg A CMOS current-mode operational amplifier
US5182477A (en) Bipolar tunable transconductance element
US5392003A (en) Wide tuning range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s
KR100299740B1 (ko) 필터회로
US3370242A (en) Transistor amplifiers employing field effect transistors
KR890001892B1 (ko) 전압가산회로
KR100313985B1 (ko) 교차결합트랜지스터를가진차동증폭기를구성하는주파수보상회로
EP0286347B1 (en) Balanced output analog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US4720686A (en) Circuit for converting a fully differential amplifier to a single-ended output amplifier
KR0134178B1 (ko) 개량된 선형성을 갖는 트랜스콘덕턴스 셀
EP0142081B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4468628A (en) Differential amplifier with high common-mode rejection
EP0270156B1 (en) Filter arrangement
US4912427A (en) Power supply noise rejection technique for amplifiers
US6034568A (en) Broadband dc amplifier technique with very low offset voltage
US4068184A (en) Current mirror amplifier
EP0655831B1 (en) High performance transconductance operational amplifier, of the CMOS integrated type
KR100458143B1 (ko) 필터및발진기용의상보형트랜스컨덕터를포함하는전자회로
US20030038678A1 (en) Differential amplifier with gain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temperature
EP0759226A1 (en) Active resistor for stability compensation
US3501716A (en) Gyrator network using operational amplifiers
Lee Low-voltage op amp design and differential difference amplifier design using linear transconductor with resistor input
JPH07283660A (ja) 多入力トランジスタおよび多入力トランスコンダクタ回路
US7265609B2 (en) Transconductor circuits
JPH02398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