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951B1 -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 Google Patents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951B1
KR100457951B1 KR10-2001-0070368A KR20010070368A KR100457951B1 KR 100457951 B1 KR100457951 B1 KR 100457951B1 KR 20010070368 A KR20010070368 A KR 20010070368A KR 100457951 B1 KR100457951 B1 KR 10045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trings
gayageum
scale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440A (ko
Inventor
이연정
Original Assignee
정아트스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아트스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아트스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9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는 악보와 이 악보에 연계된 어린이용 가야금을 통해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교습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야금은 상부의 울림통 및 하부의 울림공이 형성되는 본체에 12줄의 현과, 상기 현을 감아 고정시키는 양이두, 현침, 안족, 조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가야금에 있어서, 상기 현은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되, 중성을 이루는 제4현부터 제8현은 순서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의 레), 파란색(기본 7음계의 미), 초록색(기본 7음계의 솔), 빨간색(기본 7음계의 라), 흰색(기본 7음계의 시)의 현으로 구성되고, 배성을 이루는 제1현부터 제3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구성되며, 청성을 이루는 제9현부터 12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파란색(미),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Kayagum presented the tone by color and thereof training note }
본 발명은 가야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는 악보와 이 악보에 연계된 어린이용 가야금을 통해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교습할 수 있도록 한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야금은 거문고와 함께 3현3죽 중 3현에 속하는 현악기의 하나로, 오동나무로 만든 울림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12현을 길이 방향으로 매어 각 현마다 기러기발 모양의 안족(雁足)을 받쳐 놓은 악기입니다. 이때, 가야금의 머리쪽에는 담괘(현침)라고 하는 것을 두어 현을 버티게 하고, 꼬리에는 양이두를 꽂아 현을 감아 두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야금은 맨 손가락으로 현을 타게 되는데 왼손은 안족(나무괘) 뒷편의 현 위에 올려 놓고 현을 흔들고 누르며, 오른손으로는 현을 뜯거나 퉁겨서 소리를 낸다. 이때, 왼손은 오른손에 의해 뜯기고 퉁겨지는 현을 안족의 뒷편에서 흔들고 누르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가야금은 12현이 명주실로 이루어져 있어 현의 장력이 쉽게 변하므로 음정이 잘 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연주시에 가야금의 돌괘를 통해 현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안족을 이동시켜 가면서 음의 특색을 살리는 연주법을 활용하므로 연주가 끝날 때마다 조율을 다시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야금은 어린이들이 연주하기에는 크기가 크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현이 명주실로 이루어져 있어 줄이 잘 끊어지며, 명주실로 이루어진 현은 연주하는 사람의 손에 공력이 쌓이기 전에는 좋은 음색을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명주실의 현을 연주하기에는 손이 아프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야금은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들에게 있어 음을 맞출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종래의 가야금으로 연주할 때마다 돌괘를 통해 현의 장력을 수시로 조절하거나 안족을 이동시켜 조율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장력이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는 현의 장력을 조율하기 위해 돌괘를 조이거나 풀어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에 있어서 어린이들은 손가락의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에 있어 현의 장력 조절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또다른 문제점으로, 종래의 가야금은 12현의 하얀색 명주실로 이루어져 있어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들이 연주하고자 할 때 음과 현이 쉽게 구분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들에게 가야금을 교습하는데 있어 음을 이해시키고 숙지시키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편,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종래의 악보로는 우물정(井)자 모양의 안에 여러 개의 율명(律名:음정)을 적어 넣어 음의 고저(高低)와 박자(拍子)를 표시하는 정간보를 사용하게 된다. 이 정간보는 한 칸(一井間)을 한 박으로 쳐서 음의 시가(時價)를 나타내는 동양 최초의 유량(有量)악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정간보를 사용하는 가야금은 황종(黃鐘), 대려(大呂), 태주(太檗), 협종(夾鐘), 고선(姑洗), 중려(仲呂), 유빈(萊賓), 임종(林鐘),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 응종(應鐘)의 12율명 중 황종(黃鐘), 태주(太檗), 중려(仲呂), 임종(林鐘), 남려(南呂)의 기본 5음계를 주로 사용하며, 악보(井間譜)에 옮겨 적을 때는 앞자 한 자씩의 황(黃), 태(太), 중(仲), 임(林), 남(南)만을 떼어서 표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12율명 중 황(黃), 태(太), 중(仲), 임(林), 남(南)의 기본 5음계를 가야금에서는 중성이라 하여 그대로 쓰고, 중성보다 한 옥타브 높으면 율명 왼쪽에 청(淸)자의 삼수변을 붙이고 청성(淸聲)이라 하며, 두 옥타브 높으면 삼수변을 두 개 붙이고 중청성(重淸聲)이라 한다. 반면, 한 옥타브 낮으면 배(倍)자의 사람인변을 붙이고 배성(倍聲) 또는 탁성(濁聲)이라 하며, 두 옥타브 낮으면 사람인변을 두 개 붙이고 하배성(下倍聲) 또는 배탁성(倍濁聲)이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야금을 어린이들에게 교습시키기 위해서는 율명이 적힌 정간보라는 악보를 필요로 하는데 정간보 안에 음을 나타내는 한자로 이루어진 율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율명을 이해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교습용 악보로써 정간보 이외에 오선보를 사용하여 교습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오선보는 어린이들이 보고 하기에는 음역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보기 힘드는 문제가 있어 어린이들에게 음을 이해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야금 을 어린이의 신체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함은 물론, 가야금의 현을 색상이 표현된 나일론으로 구성하여 음에 따른 현을 찾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한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야금의 현을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들이라 하더라도 맑고 좋은 음색을 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야금의 현을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현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야금의 머리쪽 밑면에 현을 매는 돌괘 대신 기타줄을 조율하기 위한 기구와 같이 감기축과 핸들축으로 이루어진 조율기구를 설치하여 12현을 각각의 감기축에 감아 핸들을 통해 어린이들도 용이하게 조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간보 안에 율명 대신 색상이 표현된 현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12현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정간보 안에 표기한 무지개 정간보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악보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한 가야금 교습용 악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 이외에 색상이 표현된 12현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12현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정간보 안에 표기한 무지개 정간보와 이 무지개 정간보에 연계된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통해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교습할 수 있도록 한 가야금 교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음량조절기구를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를 보인 것으로 한 박자 위주의 음을 적은 정간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를 보인 것으로 반 박자 위주의 음을 적은 정간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에서 한 번에 두 개의 현을 연주할 때의 현과 손가락 번호를 표기한 정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가야금 110. 본체
112. 울림통 114. 울림공
120. 현 130. 양이두
140. 현침 150. 안족
160. 고정편 162. 감기축
162a. 웜휠 164. 핸들축
164a. 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야금은 상부에는 울림통이 구성되고 하부에는 울림공이 형성되는 본체의 울림통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메어지고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어 이루어지는 12줄의 현과, 상기 본체의 꼬리쪽에 상기 현을 감아 고정시키는 양이두, 상기 본체의 머리쪽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현을 버티게 하는 현침, 상기 울림통의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각각의 현을 지지하는 안족, 상기 본체의 머리쪽 하부면에 상기 각각의 현을 웜휠에 의해 감거나 풀어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가야금에 있어서, 상기 현은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되, 중성을 이루는 제4현부터 제8현은 순서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의 레), 파란색(기본 7음계의 미), 초록색(기본 7음계의 솔), 빨간색(기본 7음계의 라), 흰색(기본 7음계의 시)의 현으로 구성되고, 배성을 이루는 제1현부터 제3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구성되며, 청성을 이루는 제9현부터 12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파란색(미),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가야금과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는, 우물정(井)자 모양의 정간(井間)에 음을 적어 한박자동안의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에 있어서, 상기 음을 가야금의 제1현으로부터 제12현의 색상에 일치하는 색상으로 표현하되, 상기 제12현에서 중성·배성·청성을 간단한 기호로 구별하여 표시되어진다. 이때, 상기 12현 중 두개의 현을 동시에 연주할 경우의 음의 표기는 정간을 세로로 2등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음의 색을 표현하고, 상기 음이 반박자인 경우의 표기는 한박자의 정간을 가로로 2등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 및 이를 이용한 가야금 교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교습용 가야금을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음량조절기구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은 기존의 가야금과 마찬가지로 상부에는 울림통(112)이 구성되고 하부에는 울림공(114)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울림통(112)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매어진 다수의 현(120), 본체(110)의 꼬리쪽에 현을 감아 고정시키는 양이두(130), 본체(110)의 머리쪽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현을 버티게 하는 현침(140), 울림통(112)의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각각의 현(120)을 지지하는 안족(雁足, 150)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은 어린이들의 평균 신체에 관계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현(120)은 색상이 표현된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10)의 머리쪽 하부면에 각각의 현(120)을 감거나 풀어 현(120)의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이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야금(100)은 우리 나라 어린이의 평균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축소하여 제작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어린이들에게 가야금을 교습시키는데 있어 기존의 가야금이 너무 크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야금(100)에 매어 있는 현(120) 또한 기존의 명주실을 대체하여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120)으로 구성하여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도 맑고 좋은 음색을 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120)으로가야금(100)을 구성함으로써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120)으로 가야금(100)을 구성함으로써 퉁기거나 뜯을 때 손가락에 공력이 쌓이지 않은 어린이들이라 하더라도 현(120)을 용이하게 퉁기거나 뜯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손가락의 아픔을 명주실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이 표현된 현(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바깥쪽의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현(120)으로 구성하여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배성(倍聲)의 아빠현을 이룬다. 이때, 제 1 현의 노란색은 현대의 음계인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레 음을 이루고, 제 2 현의 초록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솔 음을 이루며, 제 3 현의 빨간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라 음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현, 제 2 현 및 제 3 현으로 이루어진 3개의 현(120)은 기본 옥타브인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탁음의 배성(倍聲)이기 때문에 탁음의 배성(倍聲)을 내는 아빠에 비유하여 이를 아빠현 또는 아빠줄이라 하였다.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흰색의 현(120)으로 구성되어 중성(重聲)의 내현을 이룬다. 이때, 제 4 현의 노란색은 현대의 음계인 기본 7음계의 레 음을 이루고, 제 5 현의 파란색은 기본 7음계의 미 음을 이루고, 제 6 현의 초록색은 기본 7음계의 솔 음을 이루고, 제 7 현의 빨간색은 기본 7음계의 라 음을 이루며, 제 8 현의 흰색은 기본 7음계의 시 음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기본 7음계의 도 음에 해당하는 음은 내현 중 지본 7음계의 시 음을 이루고 있는 제 8 현을 누르면서 퉁기거나 뜯음으로써 낼 수 있으며, 기본 7음계의 파 음에 해당하는 음은 내현 중 지본 7음계의 미 음을 이루고 있는 제 5 현을 누르면서 퉁기거나 뜯음으로써 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현, 제 2 현 및 제 3 현으로 이루어진 3개의 현(120)은 기본 옥타브인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탁음의 배성(倍聲)이기 때문에 탁음의 배성(倍聲)을 내는 아빠에 비유하여 이를 아빠현 또는 아빠줄이라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4 현, 제 5 현, 제 6 현, 제 7 현 및 제 8 현으로 이루어진 5개의 현(120)은 기본 옥타브인 중성(重聲)으로, 탁음의 배성(倍聲)을 내는 아빠도 아니고, 또한 청음의 청성(淸聲)을 내는 엄마도 아닌 나에 비유하여 내현 또는 내줄이라 하였다.
제 9 현으로부터 안쪽의 제 12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현으로 구성되어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성(淸聲)의 엄마현을 이룬다. 이때, 제 9 현의 노란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레 음을 이루고, 제 10 현의 파란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미 음을 이루고, 제 11 현의 초록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솔 음을 이루며, 제 12 현의 빨간색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라 음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9 현, 제 10 현, 제 11 현 및 제 12 현으로 이루어진 4개의 현(120)은 기본 옥타브인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음의 청성(淸聲)이기 때문에 청음의 청성(淸聲)을 내는 엄마에 비유하여 이를 엄마현 또는 엄마줄이라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빠깥쪽의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까지 3개의 현(120)을 차례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레), 초록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솔), 빨간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라)으로 구성하여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배성(倍聲)의 아빠현이라 하고,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까지 5개의 현(120)을 차례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의 레), 파란색(기본 7음계의 미), 초록색(기본 7음계의 솔), 빨간색(기본 7음계의 라), 흰색(기본 7음계의 시)으로 구성하여 중성(重聲)의 내현이라 하며, 제 9 현으로부터 안쪽의 제 12 현까지 4개의 현(120)을 차례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레), 파란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미), 초록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솔), 빨간색(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라)으로 구성하여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성(淸聲)의 엄마현이라 함으로써 3개의 아빠현, 5개의 내현 및 4개의 엄마현을 각각 한 옥타브 낮은 음계, 기본 옥타브의 음계 및 한 옥타브 높은 음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배성(倍聲)의 음을 내는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까지 3개의 현, 중성(重聲)의 음을 내는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까지 5개의 현 및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성(淸聲)의 음을 내는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까지 4개의 현으로 구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의현(120) 장력 조절수단은 본체(110)의 머리쪽 하부면에 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설치되는 고정편(160), 일단에 웜휠(162a)이 형성된 상태로 두 고정편(16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지되 현(120)의 수만큼 설치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각각에 관계하는 현(120)을 감거나 풀어 장력을 조절하는 감기축(162) 및 웜휠(162a)에 치결합되는 웜(164a)이 하단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회전을 통해 감기축(162)을 회전시키는 핸들축(16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120) 장력 조절수단은 가야금 연주자가 핸들축(164)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핸들축(164)의 웜(164a)에 치결합된 웜휠(162a)과의 작용을 통해 감기축(162)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감기축(162)에 각각의 현(120)을 감기거나 풀리게 하여 현(12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현(120) 장력 조절수단에서 고정편(160)은 감기축(162)과 핸들축(164)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정편(160)은 본체(110)의 머리쪽 하부면에 횡방향으로 감기축(162)의 길이에 관계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대향·설치된다. 이때, 고정편(16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된다.
감기축(162)은 정/역회전을 통해 현을 감거나 풀어 현(1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감기축(162)은 일단에 웜휠(162a)이 형성되어 현(120)의 숫자에 해당하는 만큼 설치된다. 이때, 웜휠(162a)이 형성된 감기축(162)은 웜휠(162a)이 형성된 일단이 좌우 교대로 배열되도록 두 고정편(1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기축(162)을 좌우 교대로 배열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웜휠(162a)로 인한 공간의 제약을 피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부호 162b는 현(12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다.
핸들축(164)은 웜기어를 통해 감기축(162)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핸들축(164)은 하단에 형성된 웜(164a)이 감기축(162)의 웜휠(162a)에 치결합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핸들축(164)에서 하부의 웜(164a)은 감기축(162)의 웜휠(162a)과 치결합되어 웜기어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120) 장력 조절수단은 수직방향의 핸들축(164)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웜기어를 통해 횡방향의 감기축(162)을 정/역 회전시켜 각각의 현(120)을 감거나 풀어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를 보인 것으로 한 박자 위주의 음을 적은 정간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를 보인 것으로 반 박자 위주의 음을 적은 정간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한 무지개 정간보에서 한 번에 두 개의 현을 연주할 때의 현과 손가락 번호를 표기한 정간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을 연주하기 위한 악보로는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흰색의 현으로 구성되어 중성(重聲)의 내현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의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현으로 구성되어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낮은 배성(倍聲)의 아빠현으로 구성되며, 제 9 현으로부터 안쪽의 제 12 현은 순서대로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현으로 구성되어 중성(重聲)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성(淸聲)의 엄마현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의 현(120)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정간에 표현한 무지개 정간보가 이용된다.
도 5 는 고명 새야새야의 무지개 정간보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간에 제 1 현으로부터 제 12 현의 색상에 일치하는 색상으로 음을 표현하되 먼저,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에 해당하는 음은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과 일치하는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색상을 정간에 표현하고,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과 일치하는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 색상이 표현된 정간 옆에 ""를 표기하여 아빠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바깥쪽의 제 1 현, 제 2 현 및 제 3 현의 3개 현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인 탁성의 배성(倍聲)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한 정간에 노란색, 초록색, 빨간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 표현되고 그 옆에 ""이 표현된다는 것은 제 1 현, 제 2 현 및 제 3 현 중 어느 하나의 현을 탄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에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의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흰색과 일치하는 색상만 표현하여 내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4 현, 제 5 현, 제 6 현, 제 7 현 및 제 8 현의 5개 현은 기본 7음계에 해당하는 음인 중성(重聲)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한 정간에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흰색 중 어느 하나의색이 표현되고 그 옆에 아무것도 표현되어 있지 않으면 제 4 현, 제 5 현, 제 6 현, 제 7 현 및 제 8 현 중 어느 하나의 현을 탄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 은 곡명 나비야의 무지개 정간보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에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과 일치하는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색상을 표현하고,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과 일치하는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색상이 표현된 정간 옆에 ""를 표기하여 엄마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9 현, 제 10 현, 제 11 현 및 제 12 현의 4개 현은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인 청음의 청성(淸聲)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한 정간에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 표현되고 그 옆에 ""이 표현된다는 것은 청성(淸聲)인 제 9 현, 제 10 현, 제 11 현 및 제 12 현 중 어느 하나의 현을 탄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100)을 이용한 가야금 교습방법은 정간에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제 1 현으로부터 제 12 현의 색상에 일치하는 색상으로 음을 표현하되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에 해당하는 음은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의 색상 옆에 ""를 표기하여 아빠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제 4 현으로부터 제 8 현에 해당하는 음은 색상만 표현하여 내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에 해당하는 음은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의 색상 옆에 ""를 표기하여 엄마현임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기본 7음계의 도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에 검정색으로 표현하여 시에 해당하는 현을 누르고 연주하면 도에 해당하는 음이 연주될 수 있도록 하며, 기본 7음계의 파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에 남색으로 표현하여 미에 해당하는 현을 누르고 연주하면 파에 해당하는 음이 연주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지개 정간보를 통해 정간보의 색상에 해당하는 가야금의 현을 탄주함으로써 교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본 7음계의 도에 해당하는 현은 없으나, 이러한 기본 7음계의 도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보 상에 검정색으로 표현된다. 이때, 기본 7음계의 도에 해당하는 음은 기본 7음계의 시에 해당하는 제 8 현을 누르고 연주하면 도에 해당하는 음이 연주된다.
그리고, 기본 7음계의 파에 해당하는 현 역시 없으나, 이러한 기본 7음계의 파에 해당하는 음은 정간보 상에 남색으로 표현된다. 이때, 기본 7음계의 파에 해당하는 음은 기본 7음계의 미에 해당하는 제 5 현을 누르고 연주하면 파에 해당하는 음이 연주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정간보의 정간에 표기되는 음이 반박자일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박자의 정간을 가로로 나누어 표현한다. 이때, 반박자를 표현할 때는 한 박자의 정간을 1/2등분하는 선을 점선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서 다수의 현 중 두 개의 현을 동시에 연주할 경우의 음 표기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간을 세로로 나누어 각각에 두 개의 현에 해당하는 음의 색을 표현한다. 이때도 역시 정간을 세로로 1/2등분하는 선을 점선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연주자의 오른손 첫 번째 손가락의 엄지는 1, 두 번째 손가락의 식지는 2, 가운데 손가락의 장지는 3, 네 번째 손가락의 무명지는 4, 다섯 번째 손가락의 소지는 5라 하고, 정간보의 색상이 표현된 정간 옆에 손가락 번호를 표기하여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간보의 정간에 표현된 색상, 기호 및 손가락 번호를 통해 해당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의 현을 해당 손가락으로 탄주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야금(100)의 현은 현대 음악의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낮은 탁성의 배성(倍聲)인 제 1 현으로부터 제 3 현 까지의 3개 현, 기본 7음계에 해당하는 중성(重聲)인 제 5 현으로부터 제 8 현 까지의 5개 현 그리고, 기본 7음계보다 한 옥타브 높은 청성(淸聲)인 제 9 현으로부터 제 12 현 까지의 4개 현을 아빠현, 내현 및 엄마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현을 색상이 표현된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처음 가야금에 입문하는 어린이라 하더라도 해당하는 음에 따른 현을 찾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이기 때문에 맑고 좋은 음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간에 현의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표현하고 그 현을 지칭하는 기호인 ""와 ""를 해당 색상이 표현된 정간 옆에 표기하고, 해당 현을 탄주할 손가락 번호를 정간 옆에 표기함으로써 정간보의 정간에 표현된 색상, 기호 및 손가락 번호를 통해 해당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의 현을 해당 손가락으로 탄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야금을 어린이의 신체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함은 물론, 가야금의 현을 색상이 표현된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에 따른 현을 찾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이해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가야금의 현을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처음 입문하는 어린이들이라 하더라도 맑고 좋은 음색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가야금의 현을 나일론으로 구성함으로써 현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가야금의 머리쪽 밑면에 현을 매는 돌괘 대신 기타줄을 조율하기 위한 기구와 같이 감기축과 핸들축으로 이루어진 조율기구를 설치하여 12현을 각각의 감기축에 감아 핸들을 통해 어린이들도 용이하게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정간보 안에 율명 대신 색상이 표현된 현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12현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정간보 안에 표기한 무지개 정간보를 이용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악보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들 이외에 색상이 표현된 12현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의 12현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을 정간보 안에 표기한 무지개 정간보와 이 무지개 정간보에 연계된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을 통해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교습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부에는 울림통이 구성되고 하부에는 울림공이 형성되는 본체의 울림통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메어지고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어 이루어지는 12줄의 현과, 상기 본체의 꼬리쪽에 상기 현을 감아 고정시키는 양이두, 상기 본체의 머리쪽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현을 버티게 하는 현침, 상기 울림통의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각각의 현을 지지하는 안족, 상기 본체의 머리쪽 하부면에 상기 각각의 현을 웜휠에 의해 감거나 풀어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가야금에 있어서,
    상기 현은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되, 중성을 이루는 제4현부터 제8현은 순서대로 노란색(기본 7음계의 레), 파란색(기본 7음계의 미), 초록색(기본 7음계의 솔), 빨간색(기본 7음계의 라), 흰색(기본 7음계의 시)의 현으로 구성되고, 배성을 이루는 제1현부터 제3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구성되며, 청성을 이루는 제9현부터 12현은 순서대로 노란색(레), 파란색(미), 초록색(솔), 빨간색(라)의 현으로 구성되어 특정 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야금.
  2. 삭제
  3. 삭제
  4. 우물정(井)자 모양의 정간(井間)에 음을 적어 한박자동안의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에 있어서,
    상기 음을 가야금의 제1현으로부터 제12현의 색상에 일치하는 색상으로 표현하되, 상기 제12현에서 중성·배성·청성을 간단한 기호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을 표현하여 음을 표시하는 가야금과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2현 중 두개의 현을 동시에 연주할 경우 음의 표기는 정간을 세로로 2등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음의 색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 반박자인 경우의 표기는 한박자의 정간을 가로로 2등분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야금 교습용 악보.
  7. 삭제
KR10-2001-0070368A 2001-11-13 2001-11-13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KR10045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68A KR100457951B1 (ko) 2001-11-13 2001-11-13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68A KR100457951B1 (ko) 2001-11-13 2001-11-13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440A KR20030039440A (ko) 2003-05-22
KR100457951B1 true KR100457951B1 (ko) 2004-11-18

Family

ID=2956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368A KR100457951B1 (ko) 2001-11-13 2001-11-13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04B1 (ko) * 2004-09-23 2007-09-21 김정현 가야금줄 식별용 숫자가 새겨진 식별판
KR101420593B1 (ko) * 2013-03-06 2014-07-17 김정룡 현악기의 축소 방법
KR101420594B1 (ko) * 2013-03-06 2014-07-17 김정룡 현악기의 축소모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671U (ja) * 1983-12-08 1985-07-01 株式会社大日本絵画 音楽教習絵本
KR960006056U (ko) * 1994-07-07 1996-02-17 김미숙 연계색채로 표현시킨 음계건반
US5920023A (en) * 1996-12-10 1999-07-06 Ravagni; Steven F. Stringed instrument finger positioning guide and method for teaching students to read mus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671U (ja) * 1983-12-08 1985-07-01 株式会社大日本絵画 音楽教習絵本
KR960006056U (ko) * 1994-07-07 1996-02-17 김미숙 연계색채로 표현시킨 음계건반
US5920023A (en) * 1996-12-10 1999-07-06 Ravagni; Steven F. Stringed instrument finger positioning guide and method for teaching students to read mus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440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pohr Louis Spohr's grand violin school: from the original German
North Continuo Playing on the Lute, Archlute and Theorbo: A comprehensive guide for performers
Lewin Jamaica
KR100457951B1 (ko) 색상으로 음을 표현한 가야금 및 이와 연계되는 교습용 악보
Slawek Sitār technique in nibaddh forms
Zeltsman Four-mallet marimba playing: a musical approach for all levels
Bairstow Counterpoint and harmony
Tsuneko et al. The Shakuhachi and its music
CN204406965U (zh) 一种小提琴
JP3229152U (ja) カリンバ演奏用補助具
Parthun Tribal Music in North America
CN213691406U (zh) 一种把位标识装置
CN208157029U (zh) 弹拨乐器中新型音箱腔体结构的4/5大阮族
Liu Teaching Methods of Intonation Training in Clarinet Performance
JP3126164U (ja) 合奏補助具
Dyo ЮНЫЙ СКРИПАЧ [THE YOUNG VIOLINIST]: A RUSSIAN/SOVIET VIOLIN METHOD
Wagner Foundation to flute playing: an elementary method
Dyo The Young Violinist: A Russian/Soviet Violin Method
Simpson A Compendium: Or, Introduction to Practical Music. In Five Parts.... By Christopher Sympson
Dickey Ornamentation in Sixteenth-Century Music
Mills TECHNICAL AND FUNDAMENTAL PROBLEMS IN THE PERFORMANCE OF CLARINET SOLO LITERATURE.
KR100717129B1 (ko) 가야금 교습용 악보
CN2287742Y (zh) 综合改良儿童二胡
CN203673808U (zh) 彩光吉他
Kim Selected piano music for children after 1940: An annotated catalogue of music* sc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