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594B1 - 현악기의 축소모델 - Google Patents

현악기의 축소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594B1
KR101420594B1 KR1020130024007A KR20130024007A KR101420594B1 KR 101420594 B1 KR101420594 B1 KR 101420594B1 KR 1020130024007 A KR1020130024007 A KR 1020130024007A KR 20130024007 A KR20130024007 A KR 20130024007A KR 101420594 B1 KR101420594 B1 KR 10142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range
standard
string
length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룡
조영진
민승남
윤미영
최다솜
최준혁
박용덕
Original Assignee
김정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룡 filed Critical 김정룡
Priority to KR102013002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594B1/ko
Priority to JP2013247414A priority patent/JP5982352B2/ja
Priority to CN201310662198.5A priority patent/CN10403610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0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조가야금과 같이 여러 현을 구비하는 현악기를 연주가의 연령별 신체치수에 따른 비율로 축소한 모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를 구성하는 가로 부분과,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세로 부분,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높이 부분,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부를 포함하되, 현악기의 표준규격에 따른 상기 가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세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높이 부분의 길이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조율부까지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주가의 신체치수에 기반하여 정해진 축소비율로 축소시켜 상기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을 모델링하는 것이 특징인 현악기 축소모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악기의 축소모델{scale-down model for st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산조가야금과 같이 여러 현을 구비하는 현악기를 연주가의 연령별 신체치수에 따른 비율로 축소한 모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통신수단과 인터넷의 발달로 전 세계의 문화를 빠른 속도로 공유하게 되면서 각 나라 간의 이해도가 높아지고, 국가 간의 문화적 차이가 감소함에 따라, 인류라는 하나의 공동체적인 세계관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각 민족 고유의 문화적 차이가 점점 사라지게 되었고 그 어느 시대보다도 문화적 사회적 다양성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각 나라들은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계와 호흡하면서 고유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나가야만 할 것이다.
최근에는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 중 하나인 국악에서 사용되는 국악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아동들의 국악기 연주 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국악기는 성인 연주가에 맞추어져 있어, 아동이 산조가야금 연주 시 엉덩이가 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산조대금 연주 시에는 산조대금의 지공을 막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성인보다 신체가 작은 아동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을 가질 수 있으므로, 아동이 사용하기 편안한 크기의 국악기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연주가의 다양한 신체치수를 고려하여 국악기의 축소규격을 모델링한 현악기의 축소모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조가야금과 같이 여러 현을 구비하는 현악기의 규격을 아동 연령층에 적합하게 축소규격을 일반화시킨 현악기의 축소모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축소모델의 특징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가로 부분과,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세로 부분,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높이 부분,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부를 포함하되, 현악기의 표준규격에 따른 상기 가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세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높이 부분의 길이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조율부까지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주가의 신체치수에 기반하여 정해진 축소비율로 축소시켜 상기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소비율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하는 다수 연주가의 특정 신체 부위별 치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에 기반하여 상기 현악기의 표준규격이 적용되는 제1연령대 그룹과 상기 현악기의 축소규격이 적용될 제2연령대 그룹을 분류하고,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와 상기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1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2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2동적범위를 산출하고, 상기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동적범위의 비율을 상기 축소비율로 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신체 부위별 치수는 상기 다수 연주가의 앉은 상태에서의 어깨높이와 손의 직선길이와 손을 제외한 팔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동적범위는 상기 제1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1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적범위는 상기 제2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2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동적범위의 값은 상기 제2동적범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되, 상기 비율은 1 미만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규격을 기준으로 상기 축소비율에 비례하게 상기 축소규격을 모델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치수를 고려한 국악기의 축소규격을 모델링하여 축소모델을 완성하므로, 작은 신체의 연주가가 보다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다. 특히 산조가야금이나 거문고 등과 같은 현악기에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산조가야금과 같이 여러 현을 구비하는 현악기의 규격을 아동 연령층에 적합하게 축소규격을 일반화시킨 축소모델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국악기를 연주할 시에 그 국악기의 규격(크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해 준다. 특히, 신체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아동들의 국악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뿐만 아니라 타악기와 관악기의 축소모델을 제작하는데 용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모델링된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과 기존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에 따른 표준모델을 비교한 도면;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을 선정하는데 적용되는 신체 치수 측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인 연주가의 최대 동적범위(θ1)와 아동 연주가의 최대 동적범위(θ2)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축소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의 축소모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조가야금을 일 예로 설명하나 그를 산조가야금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연주 시에 연주가의 자세 변형에 따른 동적범위가 연령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는 다양한 현악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기존의 일반적인 산조가야금의 규격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산조가야금은 표준규격에 따른 표준모델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표준모델의 규격을 기준으로 축소규격을 모델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표준규격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최종 축소모델을 선정하고 제작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은 가로 1465㎜, 세로 190㎜, 그리고 높이 65㎜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모델링된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과 기존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에 따른 표준모델을 비교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은 표준규격에 따른 산조가야금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후에서 설명되는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에 비례하게 각각 축소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델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가로 부분,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세로 부분,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높이 부분,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과 높이 부분과 고정부와 조율부는 일반적인 현악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조 모델이며, 가로 부분은 현악기의 베이스 길이를 정의할 시에 상대적으로 긴 방향이며, 세로 부분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나열된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델은 현악기의 표준규격에 따른 상기 가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세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높이 부분의 길이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조율부까지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주가의 신체치수에 기반하여 정해진 축소비율로 축소시켜 상기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을 모델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모델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을 선정하는데 적용되는 신체 치수 측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조가야금을 연주하는 다수 연주가의 특정 신체 부위별 치수를 측정한다.
일 예로,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은 선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은 다수 연주가의 앉은 상태에서의 어깨높이와 손의 직선길이와 손을 제외한 팔 길이를 포함한다.
다수 연주가는 5세부터 30세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도 5는 각 연주가의 앉은 상태에서의 어깨높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손의 직선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손을 제외한 팔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연주가의 신체 중 상기 측정 대상 부위는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도 5 내지 7은 산조가야금의 산조(연주) 시에 움직임이 요구되는 부위가 선정되어 측정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앉은 상태에서의 어깨높이의 측정은 연주가가 앉은 면에서 어깨 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것이고, 앉은 상태는 인체측정학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한다.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피측정자(연주가)의 뒤에 서서 수직자를 피측정자의 오른쪽 측정대 위에 놓은 후에 한 손으로 수직자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수직자의 가로자 끝을 가볍게 잡아 어깨 점에 닿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앉은 면에서 어깨 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손의 직선거리 측정은 연주가가 앉은 자세일 때 손목 가쪽점 수준의 접힘 선에서 손 끝점까지의 직선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 방법은, 손을 펴서 탁자 위에 올려놓은 다음 손목 선에서부터 손 끝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팔 길이 측정은 어깨 가쪽점에서 노뼈 위의 점을 지나 손목 안쪽 점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고, 인체측정학적 선 자세에서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오른쪽 옆에 서서 줄자로 어깨 가쪽점에서 노뼈 위의 점까지 측정한 후에 손을 바꿔 손목 안쪽 점까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후에,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에 기반하여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이 적용되는 제1연령대 그룹과 산조가야금의 축소규격이 적용될 제2연령대 그룹을 분류한다. 즉, 축소규격의 산조가야금을 사용할 대상을 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5세부터 30세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표 1 내지 3과 같이 각 연령대 별로 서로 다른 신체 부위를 측정한 치수에 근거하여 마련되는 백분위수를 사용한다. 표 1은 모든 연령에 대한 앉은 상태 어깨높이의 백분위수이고, 표 2는 모든 연령에 대한 손 직선길이의 백분위수이고, 표 3은 모든 연령에 대한 팔 길이의 백분위수이다.
분류 측정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5세 523 376.92 21.82 285 320 344 362 377 390 412 429 464
6세 229 394.75 22.85 299 335 360 379.5 394.5 408.5 431 449.5 486
7세 506 409.49 23 340 355 372.5 393.5 408.5 423.5 447.5 465 487
8세 561 426.35 24.77 359 369.5 385.5 409.5 425.5 443 467.5 487 497
9세 474 445.96 25.65 384 387 405.5 426.5 444.5 462.5 488.5 506.5 544
10세 528 464.91 29.36 350 400.5 420.5 445.5 463.5 480.5 516 537 565
11세 519 486.1 29.4 401 421 438 465.5 483.5 505.5 536 555 592
12세 528 506.67 29.91 430 436.5 459.5 486 504.5 525.5 552.5 582 598
20~30세 1428 580.42 30.35 501 517 531.5 557.5 579.5 600.5 631 649.5 677
측정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5세 523 125.34 7.49 107 109 112.5 120.5 124.5 129.5 136.5 142 178
6세 499 131.27 7.27 112 114.5 118.5 125.5 130.5 135.5 142 150 163
7세 504 138.49 7.68 110 119 125.5 132.5 137.5 143.5 151.5 155.5 160
8세 561 144.45 7.82 120 129.5 131.5 138.5 143.5 148.5 157.5 164 174
9세 475 150.12 7.71 130 133.5 137.5 144.5 149.5 154.5 162.5 168.5 185
10세 527 157.53 9.54 133 136.5 141.5 150.5 156.5 163.5 174.5 177.5 188
11세 518 164.18 9.4 139 142 149.5 156.5 163.5 170.5 178.5 187.5 195
12세 526 169.89 9.89 138 145.5 152.5 163.5 169.5 175.5 185.5 195 204
20~30세 1428 180.41 9.77 150 158.5 164.5 172.5 180.5 186.5 196.5 201 211
측정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5세 523 0.00 0.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6세 228 391.85 21.63 330 336 357 377.5 392.5 403.5 426 441 463
7세 506 409.96 22.23 338 350 372.5 395.5 409.5 423.5 444.5 463.5 480
8세 561 430.85 24.21 365 376.5 393.5 412 429.5 446 472 492 520
9세 475 451.79 24.46 384 395 410.5 435.5 451.5 467.5 491.5 511.5 558
10세 527 475.72 29.06 352 409.5 429.5 454.5 474.5 492.5 526 538 570
11세 519 499.32 28.3 406 434.5 453.5 479.5 499.5 518.5 543 568 595
12세 529 520.39 30.76 432 449 469 499.5 519.5 539.5 569 589.5 607
20~30세 1429 555.98 34.82 465 487.5 501 528 553.5 581.5 614.5 631 644
그리고, 각 연령대의 신체 치수 즉, 몸통과 팔 길이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다음의 표 4는 5세부터 30세까지를 대상으로 신체 치수의 유사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 연령별 신체 치수 중복률이다.
  5세 6세 7세 8세 9세 10세 11세 12세 평균 20~30세
5세 100% 88% 73% 58% 40% 39% 21% 0% 66% 0%
6세 98% 100% 86% 74% 55% 52% 34% 10% 78% 8%
7세 77% 81% 100% 91% 70% 66% 48% 22% 81% 16%
8세 49% 56% 74% 100% 78% 73% 56% 28% 72% 21%
9세 38% 46% 63% 87% 100% 91% 77% 46% 71% 33%
10세 41% 49% 66% 90% 100% 100% 83% 51% 74% 37%
11세 21% 31% 47% 67% 82% 81% 100% 66% 55% 47%
12세 0% 10% 24% 39% 57% 58% 77% 100% 31% 70%
20~30세 0% 12% 27% 42% 60% 61% 79% 100% 34% 100%
상기한 표 4를 보면, 11세는 20~30세와 47%, 12세는 20~30세와 70% 신체 치수의 중복률을 보이므로 20~30대와 신체 치수의 유사도가 높은 값을 가진다. 그러나 어린 나이인 5세~10세와 20~30대는 신체 치수의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한 표 4에 근거하는 경우에는 11세부터 30세까지의 연주가가 제1연령대 그룹에 속하고, 5세부터 10세까지의 연주가가 제2연령대 그룹에 속하게 분류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다른 규격의 산조가야금을 사용할 연령대 그룹을 분류한 후에는,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를 사용하여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와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각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1연주가와 상기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2연주가를 선정한다. 제1연주가가 성인 연주가며 제2연주가가 아동 연주가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제1연주가가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시에 그 제1연주가의 신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1동적범위를 산출하고, 또한 제2연주가가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시에 그 제2연주가의 신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2동적범위를 산출한다.
일 예로, 상기 제1연주가의 신체 중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연주가의 신체 중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2동적범위를 산출한다.
또다른 일 예로, 상기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동적범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연주가가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시에 그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1각도(θ1)를 산출하고, 또한 제2연주가가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시에 그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2각도(θ2)를 산출한다. 여기에, 적용되는 산조가야금은 표준규격이며, 상기 제1동적범위는 상기 산출되는 제1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적범위는 상기 산출되는 제2각도를 포함한다.
도 8과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인 연주가의 최대 동적범위와 아동 연주가의 최대 동적범위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그 동적범위는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각도(θ1, θ2)일 수 있고,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질 때 도달하는 거리(d1,d2)일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을 산출하여, 그 비율을 축소비율로 정한다. 일 예로,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1각도(θ1)와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2각도(θ2)의 비율을 산출한다. 다른 예로,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질 때 도달하는 제1거리(d1)와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질 때 도달하는 제2거리(d2)의 비율을 산출한다.
한편, 제1연주가와 제2연주가의 신체 치수의 차이로 인해 제1동적범위의 값은 제2동적범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며, 그에 따라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은 1 미만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적범위로는 각 연주가들이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시에 그들의 허리 굽힘 정도일 수 있다.
제1연주가에 비해 신체 치수가 작은 제2연주가가 표준규격의 산조가야금을 연주할 경우에는 연주 자세의 동적범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그 동적범위에 비례하게 가해지는 모멘트가 크게 작용한다. 이러한 점도 신체 치수에 적합한 축소모델을 선정해야 하는 이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축소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산출된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에 기준하여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을 산출한다. 즉,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을 기준으로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에 비례하게 축소규격을 산출한다.
축소규격의 산출에는 닮은비 산출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두 삼각형의 닮은 도형임에 따라,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을 그러한 닮은 비율에 상응하게 적용하여 비례한 축소규격을 산출한다.
그 축소규격은 산조가야금의 표준규격에 해당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에 비례하게 각각 축소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산출된 축소규격에 해당하는 산조가야금의 축소모델이 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여러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제1동적범위와 제2동적범위의 비율이 0.76으로 산출되며, 그에 따라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이 다음의 표 5와 같이 결정된다.
  기존 산조가야금 축소된 산조가야금
가로 1465 1114.4
세로 190 144.5
축소비율 1 0.76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베이스를 구성하는 가로 부분과;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세로 부분;
    상기 베이스를 구성하는 높이 부분;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율부를 포함하되,
    현악기의 표준규격에 따른 상기 가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세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높이 부분의 길이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조율부까지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주가의 신체치수에 기반하여 정해진 축소비율로 축소시켜 상기 표준규격 대비 축소규격을 모델링하며,
    상기 축소비율을 정함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를 연주하는 다수 연주가의 특정 신체 부위별 치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에 기반하여 상기 현악기의 표준규격이 적용되는 제1연령대 그룹과 상기 현악기의 축소규격이 적용될 제2연령대 그룹을 분류하고, 상기 측정된 신체 부위별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와 상기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1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1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연령대 그룹의 평균 신체치수를 갖는 제2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움직이는 제2동적범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상기 제1동적범위와 상기 제2동적범위의 비율을 상기 축소비율로 정하되,
    상기 특정 신체 부위별 치수는 상기 다수 연주가의 앉은 상태에서의 어깨높이와 손의 직선길이와 손을 제외한 팔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적범위는 상기 제1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1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1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적범위는 상기 제2연주가가 상기 현악기를 연주할 시에 상기 제2연주가의 상체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제2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축소모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적범위의 값은 상기 제2동적범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되, 상기 비율은 1 미만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축소모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규격을 기준으로 상기 축소비율에 비례하게 상기 축소규격을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축소모델.
KR1020130024007A 2013-03-06 2013-03-06 현악기의 축소모델 KR10142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07A KR101420594B1 (ko) 2013-03-06 2013-03-06 현악기의 축소모델
JP2013247414A JP5982352B2 (ja) 2013-03-06 2013-11-29 弦楽器の作製方法
CN201310662198.5A CN104036106B (zh) 2013-03-06 2013-12-09 弦乐器的缩小模型及缩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07A KR101420594B1 (ko) 2013-03-06 2013-03-06 현악기의 축소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594B1 true KR101420594B1 (ko) 2014-07-17

Family

ID=5174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07A KR101420594B1 (ko) 2013-03-06 2013-03-06 현악기의 축소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40A (ko) * 2001-11-13 2003-05-22 정아트스쿨 주식회사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 및 이를 이용한 가야금 교습방법
KR200326229Y1 (ko) * 2003-06-19 2003-09-13 김양이 가야금
KR200452251Y1 (ko) * 2010-08-31 2011-02-17 김다현 개량형 정악대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40A (ko) * 2001-11-13 2003-05-22 정아트스쿨 주식회사 어린이 교습용 가야금 및 이를 이용한 가야금 교습방법
KR200326229Y1 (ko) * 2003-06-19 2003-09-13 김양이 가야금
KR200452251Y1 (ko) * 2010-08-31 2011-02-17 김다현 개량형 정악대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nch Technology of the Guitar
Sandholm et al. The projection dynamic and the replicator dynamic
Jeon et al. Evaluation of stage acoustics in Seoul Arts Center Concert Hall by measuring stage support
KR101420594B1 (ko) 현악기의 축소모델
KR101420593B1 (ko) 현악기의 축소 방법
KR101480893B1 (ko) 현 조율기를 구비하는 가야금 축소모델
Davison Franz Liszt and the development of 19th-century pianism: a re-reading of the evidence
Connolly Quantifying target—realization differences. Part I: Segments
Witherell Louis Pecour's 1700" Recueil de Dances"
JP5982352B2 (ja) 弦楽器の作製方法
KR101480042B1 (ko) 관악기의 축소 방법 및 축소 모델
White Singing techniques and vocal pedagogy
Baker Gender Association with Stringed Instruments: A Four-Decade Analysis of Texas All-State Orchestras.
EP3022732B1 (en) Keyboard for musical instruments having improved ergonomics
Comstock A System of Elocu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Gesture, to the Treatment of Stammering, and Defective Articulation: Comprising Numerous Diagrams, and Engraved Figures, Illustrative of the Subject
CN219066411U (zh) 一种五弦尤克里里
CN209842947U (zh) 一种钢琴手型练习器
Barinque et al. Development of an Ergonomically–Designed Violin Chinrest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CN221378935U (zh) 合埙
Douthit Fixing Fussy Flute Faux Pas
Kim et al. 1G-26 Resizing of the Gayageum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nthropometric Data
Higginson Sydney Festival
CN205038952U (zh) 十孔口琴
Puu et al. Perfection in art
CN116259285A (zh) 一种五弦尤克里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