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675B1 -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675B1
KR100457675B1 KR10-2002-0054457A KR20020054457A KR100457675B1 KR 100457675 B1 KR100457675 B1 KR 100457675B1 KR 20020054457 A KR20020054457 A KR 20020054457A KR 100457675 B1 KR100457675 B1 KR 10045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otor
mosfet
drive system
speed control
moto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872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6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2Foil-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responsive to rate of change of current, couple or speed, e.g. anti-kickback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over-voltage; against reduction of voltage; against phase interru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온도조절장치(ATC,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와, 자동차 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온도조절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가 전류의 증폭률을 제어하여 블로워모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블로워모터 컨트롤러와 전류구동장치(MOSF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자동차 내에 마련된 공기조화기의 송풍기, 즉 블로워모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Drive System for controlling speed of blower motor}
본 발명은, 송풍기 즉,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에 마련된 공기조화기의 송풍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자동온도조절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블로워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증폭된 전류를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해볼 때, 종래의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은, 자동온도조절장치(110, ATC,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와, 블로워모터(116)와, 자동온도조절장치(11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블로워모터(116)의 전류를 증폭, 구동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 Bipolar T/R )를 포함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와 블로워모터(116)는 각각 배터리(112)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와 배터리(112) 사이에는 온도퓨즈(14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자동온도조절장치로부터(110)의 소정의 입력신호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에 전달되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에 의해 블로워모터(116)에 공급되는 전류가 제어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동차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는, 블로워모터 구동을 위하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를 채용하고 있는 바, 그 외형이 크다는 단점과 아울러 열방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와 배터리 사이에 마련된 온도퓨즈가 히트싱크면에 부착되어 과열시 히트싱크의 온도에 의해 온도퓨즈가 오픈(Open)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오픈된 온도퓨즈는 재생이 불가능한 1회성 기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는 빈번하게 온도퓨즈의 오픈(Open)만으로도 제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 및 비용손실이 따른다.
그리고, 종래의 시스템에 채용된 히트싱크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된 거의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작업성이 좋지 않아 제조비용이 높은데 반해 열방출 효과는 오히려 감소되는 결점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시스템에 장착된 PCB기판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의 구동외에는 아무런 전기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전압의 변화에 따라 출력값이 상이할 수밖에 없어 블로워모터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종래의 시스템에는 별도의 전기적인 보호회로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외부의 전기적인 충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 대신에 모스 에프이티(MOSFET)를 채용함으로써 외형 크기를 줄이고 열방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각종 보호회로를 부가하여 고장의 원인을 자체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빈번하게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 및 비용손실을 감소시켜 차량의 전체 공조시스템의 신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압출성형에 의해 히트싱크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좋아 제조비용을 줄이고 열방출 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도 일정한 출력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PCB기판에 소정의 전기장치를 부여함으로써 자동온도조절장치(ATC)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되는 블로워모터의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동시에 본제품뿐만 아니라 본제품에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에 해당되는 주변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이 여러 방식의 보호회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 적된 구동 시스템의 전체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의 분리상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온도조절장치 16 : 블로워모터
20 : 컨트롤러 30 : 정전원공급부
32 : 과전압/저전압보호부 34 : 과열방지부
36 : 과전류보호부 38 : 전압감지부
40 : 모스에프이티(MOSFET) 50 : 히트싱크
51 : 터미널 52 : PCB기판
60 : 커버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온도조절장치(ATC,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와, 자동차 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온도조절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가 전류의 증폭률을 제어하여 블로워모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블로워모터 컨트롤러와 전류구동장치(MOSF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는 그 하부에 절연재가 마련된 채로 히트싱크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히트싱크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시스템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급하는 정전원공급부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정전원공급부 사이의 전원회로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블로워모터에 전압변동이 발생하더라도 블로워모터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며, 이상전압이 발생할 경우,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전압/저전압보호부와;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에 연결되어 과열을 방지시키는 과열방지부와; 구속시 상기 블로워모터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블로워모터를 보호하는 과전류보호부와; 상기 블로워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블로워모터에 이상 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블로워모터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압감지부들 중 일부 혹은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양단이 상기 과열방지부에 각각 접속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는 제1단(DRAIN)이 상기 블로워모터와 상기 전압감지부 사이의 배터리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제2단(GATE)이 상기 자동온도조절장치 및 보호회로의 출력신호를 받을 수 있게 연결되며, 제3단(SOURCE)이 전류센서 및 온도퓨즈를 거쳐서 접지된다.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제3단(SOURCE)으로부터 신호라인에는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발열상태를 직접 측정하는 온도퓨즈와 구속시 상기 블로워모터를 보호하는 전류센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온도퓨즈는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로부터 연장된 모스에프이티단자의 일측에는 복수의 터미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스에프이티단자와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단자에는 PCB기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스에프이티단자,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PCB기판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온도퓨즈를 보호하는 퓨즈보호커버와; 상기 PCB기판이 삽입되는 기판수용부와; 상기 터미널이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터미널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히트싱크를 향해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의 상기 히트싱크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은, 자동온도조절장치(10, ATC,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및 자동차 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 즉, 블로워모터(16)와 연결되고 자동온도조절장치(1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블로워모터(16)에 필요한 전류와 상기 두 장치를 전기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의 일측에는 배터리(12)가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에는 별도의 전기적인 보호회로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단점을 보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내에 다음과 같은 여러 보호회로들을 일부 혹은 모두 마련하고 있다.
즉, 배터리(12)로부터의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급하는 정전원공급부(30)와, 배터리(12)와 정전원공급부(30) 사이의 전원회로라인에 연결되어 블로워모터(16)에 이상전압이 발생할 경우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전압/저전압보호부(32)와, 온도센서(45)에 연결되어 과열을 방지시키는 과열방지부(34)와, 구속시 블로워모터(16)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여 블로워모터(16)를 보호하는 과전류보호부(36)와, 블로워모터(16)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블로워모터(16)에 이상 전압이 발생되면 블로워모터(16)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압감지부(38)를 일부 혹은 모두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모스에프이티(40, MOSFET) 그 제1단(41, DRAIN)이 블로워모터(16)와 전압감지부(38) 사이의 배터리 전원회로라인에 연결되고 제2단(42, GATE)이 컨트롤러(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제3단(43, SOURSE)은 전류센서 및 온도퓨즈를 거쳐서 접지된다. 이 때, 제3단(43, SOURCE)으로부터 연장된 전원라인에는 모스에프이티(40, MOSFET)의 과열시 즉시 단락되는 온도퓨즈(44)와 구속시 블로워모터(16)를 보호하는 전류센서(46)가 개재되어 있다.
온도퓨즈(44)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스에프이티(40, MOSFET) 상에 직접 고정시킴으로써 발열상태를 직접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동작을 가능케 하여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한편, 과열방지부(36)에는 양단이 과열방지부(36)에 각각 접속되어 히트싱크(50)의 발열상태를 감지하여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블로워모터의 속도를 정밀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온도센서(4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정전원공급부(30)로 인해 외부 입력전압의 변화에도 일정한 보호회로 내의 전원 및 일정한 모터전류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블로워모터(16)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과전압/저전압보호부(32)는 블로워모터(16)에 이상전압(과전압 혹은 저전압)이 발생될 때, 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블로워모터(16)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블로워모터(16)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이상전압(과전압 혹은 저전압)의 상태가 해소되면 별도의 조작없이 원상회복되는 기능을 갖추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과열방지부(34)는 시스템 내에서 회로적으로 모스에프이티(40, MOSFET)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히트싱크(50)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모스에프이티(40, MOSFET)의 과열여부를 판단하여 전류공급을 제어하여 시스템 내에 장착된 각 부품들을 보호하고 이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그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모스에프이티(4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과열방지부(34) 외에도 온도퓨즈(44)가 그 역할을 병행한다. 이 때, 온도퓨즈(44)에 의한 과열방지는 물리적인 과열방지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대부분의 과열방지는 회로적으로 제어가 가능하지만 회로적으로도 제어하지 못하는 최악의 상태가되었을 때에만 온도퓨즈(44)가 끊어지므로 온도퓨즈(44)가 끊어지지 않는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과전류보호부(36)는 블로워모터(16)의 구속상태, 즉 과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는 블로워모터(16)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블로워모터(16)를 보호한다. 이 때, 블로워모터(16)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과전류보호부(36)의 입력신호로 사용하게 된다. 과전류보호부(36)는 과전류의 원인이 제거될 경우, 별도의 리셋과정 없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압감지부(38)는 블로워모터(16)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블로워모터(16)에 이상 전압이 발생되면 블로워모터(16)로 향하는 전류를 차단한다. 따라서, 블로워모터(16)가 이상 전압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정전원공급부(30)와, 과전압/저전압보호부(32)와, 과열방지부(34)와, 과전류보호부(36) 및 전압감지부(38) 등을 일부 혹은 모두 마련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내에 장착된 모스에프이티(40) 및 온도퓨즈(44) 등이 구조적으로 배치되는 상태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 적용된 구동시스템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의 분리상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스에프이티(40)는 그 하부에 절연재(54)가마련된 채로 히트싱크(50)의 상부에 볼트(S, 도 6 참조)에 결합된다. 모스에프이티(40)를 적용함으로써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20, Bipolar T/R, 도 1 참조)를 채용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발열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다 간단한 구조의 제품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성 및 수율이 향상되고 다양한 보호기능의 선택이 제어장치가 장착된 PCB기판(52) 하나만 교체하는 것으로만 그 선택이 가능하여 PBC기판(52) 이외의 소자의 범용성이 확대된다. 그리고, 각종 보호회로 채용이 보다 용이해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대응성이 좋아지는 장점을 갖는다.
모스에프이티(40)가 접착되는 히트싱크(50)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종래보다 심플한 제품도안이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그 작업성이 우수해짐을 물론이거니와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히트싱크(50)는 열방출효과가 종래에 비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모스에프이티(40)로부터 연장된 모스에프이티단자(40a)의 일측에는 복수의 터미널(51)이 형성되어 있고, 모스에프이티단자(40a)와 터미널(51)의 터미널단자(51a)에는 PCB기판(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들 모스에프이티단자(40a), 터미널단자(51a) 및 PCB기판(52)은 통상의 방법으로(납땜 혹은 전기용접 등) 상호 연결된다. 이 때 PCB기판(52)은 손쉬운 교체를 위하여 소켓을 사용하여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PCB기판(52)의 교체만으로도 다양한 보호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보호회로만을 선별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요구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단가를 줄이고 신속한 납기를 맞출 수 있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히트싱크(50)의 상부에는 커버부재(60)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60)는 히트싱크(50)를 향해 결합돌기(60a)가 돌출되어 있으며 히트싱크(50)의 홈(50a, 도 7 참조)에 결합되어진다. 히트싱크(50)의 상부에 결합된 모스에프이티(40)는 볼트로 고정된다.
이러한 커버부재(60)에는 그 중앙판면에 온도퓨즈(44)를 보호하는 퓨즈보호커버(60b)가 마련되어 있으며, 퓨즈보호커버(60b)의 일측에는 PCB기판(52)이 삽입되는 기판수용부(6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수용부(60c)의 주변에는 터미널(51)이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터미널배치부(60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퓨즈보호커버(60b), 기판수용부(60c) 및 터미널배치부(60d)는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동온도조절장치(10)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신호가 컨트롤러(20)에 전달되면 컨트롤러(20)가 모스에프이티(40)를 구동시켜 블로워모터(16)의 전류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동차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시스템이 가동되는 상태에서 블로워모터(16)에 이상전압이 발생하거나, 혹은 컨트롤러(20) 또는 모스에프이티(40)에 과열이 발생되는 등, 정상적으로 시스템이 작동하기 어려운 조건이 감지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내에 구비된 정전원공급부(30), 과전압/저전압보호부(32), 과열방지부(34), 과전류보호부(36) 및 전압감지부(38) 등에 의해 시스템의 작동이 일단 멈춘 후, 안정화되면 다시 재가동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블로워모터(16)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시스템의 외형 크기를 줄이고 열방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빈번하게 온도퓨즈(44)의 오픈(OPEN)만으로 제품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 및 비용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출성형에 의해 히트싱크(50)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좋아 제조비용을 줄이고 열방출 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시스템에서는 외부 공급전압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출력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PCB기판(52)에 소정의 전기장치를 부여함과 아울러, 시스템이 여러 방식의 보호회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시스템의 외형 크기를 줄이고 열방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빈번하게 온도퓨즈의 오픈(open)만으로 제품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 및 비용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출성형에 의해 히트싱크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좋아 제조비용을 줄이고 열방출 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시스템에서는 외부 공급전압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출력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PCB기판에 소정의 전기장치를 부여함과 아울러, 시스템이 여러 방식의 보호회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온도조절장치(ATC,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와, 자동차 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워모터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온도조절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가 전류의 증폭률을 제어하여 블로워모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블로워모터 컨트롤러와 전류구동장치(MOSF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는 그 하부에 절연재가 마련된 채로 히트싱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급하는 정전원공급부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정전원공급부 사이의 전원회로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블로워모터에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키고 이상전압이 발생할 경우,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전압/저전압보호부와;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에 연결되어 과열을 방지시키는 과열방지부와;
    구속시 상기 블로워모터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블로워모터를 보호하는 과전류보호부와;
    상기 블로워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블로워모터에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 이상 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블로워모터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압감지부들 중 일부 혹은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과열방지부에 각각 접속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는 제1단(DRAIN)이 상기 블로워모터와 상기 전압감지부 사이의 배터리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제2단(GATE)이 상기 자동온도조절장치 및 보호회로의 출력신호를 받을 수 있게 연결되며, 제3단(SOURCE)이 전류센서 및 온도퓨즈를 거쳐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제3단(SOURCE)으로부터 신호라인에는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발열상태를 직접 측정하는 온도퓨즈와 구속시 상기 블로워모터를 보호하는 전류센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는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로부터 연장된 모스에프이티단자의 일측에는 복수의 터미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스에프이티단자와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단자에는 PCB기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스에프이티단자,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PCB기판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온도퓨즈 및 상기 모스에프이티(MOSFET)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와; 상기 PCB기판이 삽입되는 기판수용부와; 상기 터미널이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터미널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히트싱크를 향해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의 상기 히트싱크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시스템.
KR10-2002-0054457A 2002-09-10 2002-09-10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KR10045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57A KR100457675B1 (ko) 2002-09-10 2002-09-10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457A KR100457675B1 (ko) 2002-09-10 2002-09-10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63U Division KR200300276Y1 (ko) 2002-09-10 2002-09-10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72A KR20040022872A (ko) 2004-03-18
KR100457675B1 true KR100457675B1 (ko) 2004-11-18

Family

ID=3732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457A KR100457675B1 (ko) 2002-09-10 2002-09-10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56B1 (ko) * 2002-11-27 2005-04-14 주식회사 두원전자 차량의 블로어 팬모타 구동 회로
KR100625683B1 (ko) * 2004-07-06 2006-09-20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터 구속에 대해 자율 보호 특성을 갖는 자동차 블로워모터 구동 회로
KR100684957B1 (ko) * 2005-12-01 2007-02-22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로워 모터의 과전류 보호장치
KR101987015B1 (ko) * 2012-12-03 2019-06-10 주식회사 두원공조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3356B1 (ko) * 2016-09-21 2023-1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블로어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414A (ja) * 1993-02-22 1994-09-02 Hitachi Ltd 半導体素子の保護回路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H08192615A (ja) * 1995-01-18 1996-07-30 Calsonic Corp ファ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H1148741A (ja) * 1997-08-06 1999-02-23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JP2002118212A (ja) * 2000-10-05 2002-04-19 Nec Corp ヒートシ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電源ユニット
JP2002280514A (ja) * 2001-03-16 2002-09-27 Denso Corp 電子部品ユニット
KR200293253Y1 (ko) * 2002-06-22 2002-10-30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모스팻을 이용한 브로워 팬 모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414A (ja) * 1993-02-22 1994-09-02 Hitachi Ltd 半導体素子の保護回路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H08192615A (ja) * 1995-01-18 1996-07-30 Calsonic Corp ファ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H1148741A (ja) * 1997-08-06 1999-02-23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JP2002118212A (ja) * 2000-10-05 2002-04-19 Nec Corp ヒートシ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電源ユニット
JP2002280514A (ja) * 2001-03-16 2002-09-27 Denso Corp 電子部品ユニット
KR200293253Y1 (ko) * 2002-06-22 2002-10-30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모스팻을 이용한 브로워 팬 모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72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9976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US20110018621A1 (en) Current mirror circuit
US7542251B2 (en) Auto-protected power modules and methods
US7265566B2 (en) Semiconductor component arrangement having a temperature-based defect identification
KR100457675B1 (ko)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KR200300276Y1 (ko) 블로워모터 속도조절용 구동 시스템
JP2004248093A (ja) 負荷駆動回路
US7064940B2 (en) Over heat protection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7265955B2 (en) Protective circuit for analog sensors
US20050207074A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overload of an electric motor
KR100608215B1 (ko)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블로워모터 구동 제어장치
KR200427610Y1 (ko) 팬이 구비된 정션박스
JP2823560B2 (ja) 圧縮機の保護装置
JP2002353404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パワースイッチ装置
KR101804167B1 (ko) 팬 레지스터 제어기의 보호 장치
JP414932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パワースイッチ装置
KR102142527B1 (ko) 쿨링팬 제어 장치
KR101950673B1 (ko) 차량용 리셋터블 레지스터 장치
JPH09175145A (ja) 駆動装置
KR20030030452A (ko) 차량용 팬 모터 구동 제어 장치
KR101804165B1 (ko) 팬 레지스터 제어기의 모듈형 보호 장치
JPH1155847A (ja) 車両負荷制御装置
KR101784791B1 (ko) 팬 레지스터 제어기의 보호 장치
JP2002159136A (ja) 自動車用制御装置
KR200152769Y1 (ko) 온도차에 의한 램프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