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601B1 -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601B1
KR100457601B1 KR10-2001-0040140A KR20010040140A KR100457601B1 KR 100457601 B1 KR100457601 B1 KR 100457601B1 KR 20010040140 A KR20010040140 A KR 20010040140A KR 100457601 B1 KR100457601 B1 KR 10045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deposit
information
member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603A (ko
Inventor
김창권
Original Assignee
김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권 filed Critical 김창권
Priority to KR10-2001-004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6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01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넷(Internet)상에서 기존의 복권, 계 및 적금의 방법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회원이 운영자 시스템과 은행용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복권을 취득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시스템은 복권식 적금 또는 예금에 관한 정보, 회원에 관한 정보, 복권에 의해 당첨된 회원에 대한 정보, 탈퇴 회원에 대한 정보,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의 내역 및 관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의 저장수단, 제1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회원의 가입 및 탈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수단,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을 관리하는 자금 운영 관리수단, 당첨자를 선별하는 복권 추첨 수단을 포함하며, 은행용 시스템은 운영자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정보, 회원이 납입한 회비의 불입금에 관한 정보, 운영자 시스템에 의해 축적된 회비의 이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의 저장 수단 및 회원의 회비 입금 상황 및 불입금을 관리하는 회원 및 자금 관리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고객이 복권에 투자한 금액이 적금식으로 운영되어 안전하게 복권에 참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accumulation and deposit of money}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복권의 방법, 계의 방법, 적금 또는 예금의 방법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계는 전통적으로 친목도모와 서로간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실시되었다. 이러한 계가 우리 나라에서 복권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던 것은 조선시대 후기의 '작백계'나 '산통계' 등이 있었다.
작백계는 일정번호를 부여한 번호표를 100명 단위 또는 1,000명 단위로 팔고 이를 추첨하여 총매출액의 100분의 80으로 복채금을 돌려주는 방식이며, 산통계는 통이나 상자 속에 각 계원의 이름이 적힌 공을 넣고 이 통을 돌릴 때 나오는 공을 가지고 당첨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 복권의 개념으로서 정기적으로 발행된 복권은 1969년 한국주택은행에서 서민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택복권'이 발행되었다.
또한, 적금은 예금주가 일정 목표 금액을 정한 후, 납입 방법 및 납입 기간을 정해서 금융 기관에 주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납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사회에서 계는 친지간의 화목을 도모하기 위해 이루어질 뿐 그 다지 활용되지 않고 있다.
또, 복권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일정 기간을 정하여 공개 추첨을 하여 당첨자를 선별하며, 즉석 복권이라는 종류까지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즉석 복권은 즉석에서 당첨결과를 알 수 있도록 복권의 일면에 당첨 여부를 미리 기록한 후, 코팅하여 복권 구매자가 복권의 코팅을 긁어내어 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즉석 복권은 판매할 복권의 양을 예측하여 미리 복권을 발행하므로, 복권을 발행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통상의 복권은 판매량보다 많은 양을 제작하고, 판매되지 않은 복권은 일정기간이 지난 후, 폐기하므로 자원의 낭비로 된다. 또, 이러한 복권을 제작 판매하는 사업주의 수익률의 관점에서 보면, 제작되는 전체 복권 중에서 일정 비율로 당첨되도록 규정되므로, 복권이 많이 팔리지 않게 되면 그 수익률이 매우 낮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1980년대 말부터 각광을 받기 시작한 PC통신을 시작으로 오늘날 월드 와이드 웹(WWW : World Wide Web)과 온디맨드(on-demand)시스템의 보편화로 인해 컴퓨터와 통신망 사이에서의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품을 사고 파는 소위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 PCS, PDA등의 발달로 컴퓨터가 없어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용이하게 온라인쇼핑 등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구매할 수 있다는 편리성의 강점으로 더욱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을 이용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7394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상기 공보에는 별도의 발권 과정이 필요 없도록 인터넷을 이용한다. 즉, 고객이 즉석 복권을 추첨할 수 있도록 복권 사이트가 로딩된 인터넷 서버, 카드사나 은행 등과 같은 결제 기관에 구비되며 인터넷 서버에 연결되어 고객의 결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제서버,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고객 측의 인터넷 단말기를 포함하며, 복권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이 결제서버를 통해 결재한 후, 인터넷상에서 즉석복권을 추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히 발권식으로 판매되던 즉석 복권을 인터넷을 통해 고객이 구입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도 고객이 직접 판매점에서 복권을 구입하는 대신 인터넷을 통해 구입한다는 것만 다를 뿐, 종래의 복권 방식과 마찬가지로 한번의 추첨으로 당첨이 되지 않으면 투자한 금액이 없어지게 되며, 사무실 또는 거주지에서 용이하게 복권을 구입할 수 있어 고객에게 사행심만 조장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고객이 자신의 복권의 당첨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고, 당첨이 되었을 때 그 당첨금을 찾기 위한 번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원이 복권에 투자한 금액이 적금 또는 예금식으로 운영되어 안전하게 복권에 참여할 수 있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권의 판매 수 및 당첨금액과 상관없이 운영자의 수익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권에 투자한 고객이 추첨에 당첨되었는가 확인하고 또한 당첨금을 받으러 가야하는 번잡함이 없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권의 추첨을 매일 특정 시간에 실행하므로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은행, 회원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용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통신기기 120 : 유선통신기기
130 : 회원 시스템 300 : 네트워크
400 : 운영자 시스템 500 : 은행용 시스템
41 : 데이터베이스부 42 :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43 : 회원 관리 수단 44 : 자금 운영 관리 수단
45 : 복권 추첨 수단 46 : 메일 관리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회원이 통신기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자 시스템과 은행용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복권을 취득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시스템은 복권식 적금 또는 예금에 관한 정보, 각각의 회원에 관한 정보, 복권에 의해 당첨된 회원에 대한 정보, 회원으로 가입한 후 소정 기간 내에 불입금을 납입하지 않거나 회원 자신이 탈퇴를 신청한 경우 그 탈퇴 회원에 대한 정보, 각 등록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의 내역 및 관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의 저장수단, 제1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회원의 가입 및 탈퇴 등을 관리하는 회원 관리수단, 각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을 관리 운영하는 자금 운영 관리수단, 상기 회원 중 복권이 당첨되지 않은 회원중에서 당첨자를 선별하기 위한 복권 추첨 수단 및 각 회원에게 복권의 당첨 및 미당첨을 통보하는 메일 관리수단을 포함하며, 은행용 시스템은 운영자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정보, 각 회원이 납입한 회비의 불입금에 관한 정보, 운영자 시스템에 의해 축적된 회비의 이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의 저장 수단 및 운영자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의 회비 입금 상황 및 불입금을 관리하는 회원 및 자금 관리수단을 포함하며, 회원은 소정의 기간 동안 일정한 회비를 납부하는 것에 의해서만 회원의 자격이 유지된다.
또,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기기는 일반 유선 전화기, 핸드폰, PCS, 인터넷 접속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시스템은 은행용 시스템으로 추첨에 의한 당첨자의 통보, 가입 회원 및 탈퇴 회원의 통보를 실행하고, 은행용 시스템은 운영자 시스템으로 당첨금 지급 내역의 통보, 회원별 회비 입금 내역의 통보를 실행한다.
또,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당첨자는 운영자 시스템의 수수료와 당첨자가 소정의 기간동안 납입할 회비를 제외한 당첨금을 지급 받는다.
또,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의 수는 고정되고, 탈퇴 회원에 대해서는 다른 회원이 승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을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복권이라는 것은 한 번의 추첨으로 당첨되지 않으면 투자한 금액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회원이 그룹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회원수의 책정된 하루하루의 투자금액을 추첨을 통해 지급하는 것으로서, 당첨되지 않았을 때에는 그 투자금액(돈)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그 권리가 계속 유지되며 최후의 사람에게도 당첨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적금의 개념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은 안전하게 지속적인 투자를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목적을 갖고 설립되어 운영되던 계의 방법을 확대해서, 당첨 시에는 적은 금액으로 많은 돈을 미리 타고, 나머지 기간에는 일정 금액을 은행에 적립하여 후 순위인 회원들의 당첨금을 보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의 적금의 경우에 의하면, 회원 1명당 1일 불입금인 1,000원씩을 A그룹(1그룹 당 회원 정족수는 10만명)에 납입하면, 1일에 1억원의 그룹 총납입금이 형성된다. 매일 매일 추첨 시간을 서로 통지하고 숙지하여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입회하에 형성된 1억원의 돈을 10명에게 1,000만원씩 추첨하여 은행에서 회원의 계좌로 즉시 지급하며, 당첨된 회원들은 나머지 회원들의 원리금 보장을 위해 10년치의 납입금 365만원(소정의 운영자 수수료는 별도)을 예치한 후 나머지 금액을 타가게 되고, 당첨되지 않은 회원들은 다음날 다시 1,000원씩을 납입하고 당첨 여부를 확인하며 계속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회원 모두에게 1,000만원의 돈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110)는 개인 회원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폰, PCS 등의 무선 통신 기기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 기기(110)는 상기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서버에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전용의 단말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120)은 일반 유선 전화기로서, 700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통신기기이고, (130)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원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300)은 무선 통신 기기(110), 유선 통신기기(120), 회원 시스템(130)과 본 발명의 시스템 사이의 정보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400)은 1이상의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웹(Web server)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센터로서, 운영자 시스템이며, (500)은 회원의 회비를 관리하는 은행용 시스템으로서, 운영자 시스템(400)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 도 2에 있어서 웹서버를 구비하는 운영자 시스템(400)은 복권 및 회원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1), 데이터베이스부(41)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42), 회원의 가입 및 탈퇴 등을 관리하는 회원 관리수단(43), 각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을 관리 운영하는 자금 운영관리수단(44), 본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대해 난수표 등의 방식으로 당첨자를 선별하기 위한 복권 추첨수단(45) 및 각 회원에게 복권의 당첨 및 미당첨을 통보하는 메일 관리수단(46)을 구비한다.
또, 데이터베이스부(41)는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복권정보 데이터 베이스(411), 각각의 회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12), 복권 추첨수단에 의해 당첨된 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당첨자 데이터베이스(413), 회원으로 가입한 후 소정 기간 내에 불입금을 납입하지 않거나 회원 자신이 탈퇴를 신청한 경우 그 탈퇴 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탈퇴회원 데이터베이스(414), 각 등록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의 내역 및 관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원리금 관리 데이터 베이스(415)를 구비한다.
또한, 은행용 시스템(500)은 운영자 시스템(40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데이터 및 불입금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51)와 가입 회원의 회비 입금 상황 및 불입금을 관리하는 회원 및 자금 관리수단(52)을 구비한다.
은행용 시스템(500)의 데이터베이스부(51)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회원 데이터 베이스(511), 각 회원이 납입한 회비의 불입금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원금 데이터 베이스(512) 및 본 발명의 운영자 시스템(400)에 의해 축적된 회비의 이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이윤 데이터 베이스(513)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대해서 도 3 및 도 4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따른 운영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은 유무선 통신기기에 의해 본 시스템에 접속할 수도 있지만, 회원의 초기 가입 시부터 설명하기 위해서 회원 자신이 시스템(13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검색 도구인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부터 설명한다. 회원이 본 발명의 운영자 시스템(400)에 접속하면, 시스템(400)의 웹서버에 연결되어 웹페이지가 표시된다(S10).
웹서버는 복권식 적금 또는 예금에 관한 웹페이지에 나타난 회원 ID 입력영역과 비밀번호 입력영역을 통해 회원의 로그인 단계를 거친다(S11). 이 때, 로그인 단계는 회원이 본 시스템의 복권식 적금 또는 예금에 참여할 수 있는 기존 회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S12), 회원이 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즉 비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으로 등록하도록 유도한다.
즉, 회원 시스템(130)을 통해 회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당첨금을 입금하기 위한 입금 계좌 은행 및 계좌 번호, 예금주, 본인인 회원 ID, 비밀 번호, e메일 주소 등을 운영자 시스템(400)의 웹서버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것이다.(S13).
상기와 같이 등록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41)의 회원 데이터 베이스(412)에 저장된다.
또한,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 대해서는 은행용 시스템(500)으로 가입회원을 통보하여 회원 데이터 베이스(511)에 저장되도록 한다.
다음에 운영자 시스템(400)은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이 소정의 회비를 납부하였는가를 회원관리수단(43)을 통해 확인하고(S14), 회원이 회비를 납부하지 않았으면, 메일관리수단(46)을 통해 회비 미납 회원에게 회비납부를 통보한다(S15).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의 경우에 있어서, 회원의 하루 불입금은 1,000원으로 하며 은행용 시스템(500)이 마련된 은행에 납부하도록 한다. 또, 이 회비를 매일 납부하는 것이 번잡한 경우, 일정 기간 단위 예를 들어 30일 단위로 30,000원을 일시에 납부하도록 한다.
또한, 회원으로 등록된 회원이 회비를 연체하고, 스텝S15에서의 회비 납부 통보에 불구하고 회비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탈퇴 회원으로 처리하고 은행용 시스템(500)에 탈퇴 회원을 통보한다.
다음에 스텝S16에서 본 시스템의 복권을 추첨하여 당첨금을 지불할 수 있는 일정 회원의 모집되었는가 판단한다. 일정 회원이 모집되지 않았을 경우, 회원 모집 현황을 각 회원이 알 수 있도록 운영자 시스템(400)의 홈페이지에 고시하고, 각 회원이 다른 회원을 유지하여 일정 회원이 모집되도록 독촉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한 그룹 당 10만명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한 그룹에서 매일 입금되는 금액은
1,000원 × 10만명 = 1억원
이 입금된다.
다음에 운영자 시스템(400)의 복권 추첨 수단(45)에 의해 그 그룹에 속하는 회원에 대해 복권을 추첨한다(S18).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매일 10명씩 추첨하고 당첨금을 1,000만원으로 설정한다. 즉, 단순 논리적으로는 매일 1억원이 입금되어 10명의 당첨자에게 1,000만원씩 1억원이 지불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스텝S19에서 복권의 당첨 여부를 확인하고, 미당첨 회원에게는 그 사실을 통보하고(S20), 또한 은행용 시스템(500)에게 당첨자를 통보한다.
다음에 당첨자에게 실제로 지급한 당첨금의 지급 금액을 산정한다(S21).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당첨금에서 운영자 수수료와 당첨 회원이 나머지 기간동안 납부할 회비를 제외하고 지급한다.
즉, 당첨자가 첫 회에 당첨된 경우,
1,000만원 - 365만원(10년간 회비) - 20만원 (수수료 2%) = 615만원
로서, 실 수령액은 615만원이 된다.
따라서, 10만명의 회원이 매일 입금하는 금액을 1억원, 10명의 당첨자의 총지불금은 6,150만원, 수수료는 200만원으로서, 매일 3,650만원을 은행에 예치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월 30일을 기준으로 한 경우, 각 그룹 당 약 11억원을 예치하고, 1년 기준으로 132억을 예치할 수 있으므로, 그 예치금에 대한 이자 등의 운영으로 더욱 수익을 높여 당첨이 되지 않은 회원에게도 동일한 당첨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된다.
스텝S21에서 지급 금액 산정이 완료되며, 당첨 사실을 메일 관리 수단(46)을 통해 당첨된 회원과 은행용 시스템(500)으로 통보한다.
또,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 회원 수를 유지해야 하므로, 탈퇴 회원에 대해서는 기존의 다른 회원이 승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런 경우 승계한 회원에게 기존 불입금 중 일부를 지급하여 회원이 복수의 회원 자격을 갖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홈페이지에 회원관리 상황 및 자료운영 현황을 공지하여 복권식 적금 및 예금의 관리에 있어서 투명성을 높게 한다.
다음에 도 4에 따라 은행용 시스템(5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은행용 시스템(500)은 운영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운영자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통보 받고, 그 회원에 관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511)에 저장한다(S41).
다음에 회원 및 자료관리수단(52)에서 통보된 회원이 정식 회원인가 아닌가 판단하고(S42), 정식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통보한다(S43).
다음에 스텝S44에서는 회원 현황, 원금 및 이윤 즉, 회원의 회비 납부 상태, 원금의 축적 상황 및 그에 따른 이윤의 발생 상황 등 운영 현황을 운영자 시스템(400)으로 통보하고(S44), 운영자 시스템(400)은 그 상황 그대로 시스템의 홈페이지에 고시한다.
다음에 운영자 시스템(400)으로부터 당첨자를 통보 받으면(S45), 지급 금액 산정 단계(S21)에서 결정된 지급액을 당첨자의 계좌로 지불한다(S46).
상술한 동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복권씩 적금의 1일 관리가 종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인 복권식 예금인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설명은 적금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회원 가입시에 일정인원(예를 들어 10,000명)의 회원들이 일정액(예를 들어 1,000,000원)을 예금하고, 일정기간(예를 들어 1년간) 예치하면 그 예치된 회비에서 발생되는 수익금(연간 600,000,000 내지 800,000,000원 정도)을 추첨하여 당첨된 회원(60 내지 80명)에게 당첨금(10,000,000원)을 지급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적금을 첫 회에만 상기 일정액으로 납입하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추첨하는 것과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은 동일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지 1일 10명씩을 추첨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특정 시간 단위, 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1명씩 추첨하여 본 시스템의 회원이 최소한 하루에 10번씩은 본 시스템의 홈페이지에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그 시간대에 배너 광고 등을 유지하면, 그 광고 효과도 극대화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은 복권에 당첨이 되지 않아도 적금식으로 누적되므로 추후에는 언제든지 당첨금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한 마음으로 복권에 참여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자는 본 시스템의 상황의 변경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매일 고정 고객과 거래하며 매일 일정 금액을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 운영자 시스템에 매일 일정한 고객, 예를 들어 한 그룹 당 10만 명이 방문하므로, 배너 광고 등에 있어서 그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회원이 복권에 당첨된 경우, 당첨금이 본인의 계좌로 자동 이체되므로, 그 당첨 사실 및 본인임을 증명하기 위한 번잡함이 없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회원이 통신기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자 시스템과 은행용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복권을 취득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시스템은
    상기 복권식 적금 또는 예금에 관한 정보, 각각의 회원에 관한 정보, 복권에 의해 당첨된 회원에 대한 정보,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후 소정 기간 내에 불입금을 납입하지 않거나 회원 자신이 탈퇴를 신청한 경우 그 탈퇴 회원에 대한 정보, 각 등록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의 내역 및 관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의 저장수단,
    상기 제1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회원의 가입 및 탈퇴 등을 관리하는 회원 관리수단,
    상기 각 회원이 납입한 불입금을 관리 운영하는 자금 운영 관리수단,
    상기 회원 중 복권이 당첨되지 않은 회원중에서 당첨자를 선별하기 위한 복권 추첨 수단 및
    상기 각 회원에게 복권의 당첨 및 미당첨을 통보하는 메일 관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은행용 시스템은
    상기 운영자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정보, 상기 각 회원이 납입한 회비의 불입금에 관한 정보, 상기 운영자 시스템에 의해 축적된 회비의 이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의 저장 수단 및
    상기 운영자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의 회비 입금 상황 및 불입금을 관리하는 회원 및 자금 관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원은 소정의 기간 동안 일정한 회비를 납부하는 것에 의해서만 회원의 자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일반 유선 전화기, 핸드폰, PCS, 인터넷 접속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시스템은 상기 은행용 시스템으로 추첨에 의한 당첨자의 통보, 가입 회원 및 탈퇴 회원 정보의 통보를 실행하고,
    상기 은행용 시스템은 상기 운영자 시스템으로 당첨금 지급 내역의 통보, 회원별 회비 입금 내역의 통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자는 상기 운영자 시스템의 수수료와 상기 당첨자가 소정의 기간동안 납입할 회비를 제외한 당첨금을 지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의 수는 고정되고, 탈퇴 회원에 대해서는 다른 회원이 승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KR10-2001-0040140A 2001-07-05 2001-07-05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KR100457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140A KR100457601B1 (ko) 2001-07-05 2001-07-05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140A KR100457601B1 (ko) 2001-07-05 2001-07-05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03A KR20030004603A (ko) 2003-01-15
KR100457601B1 true KR100457601B1 (ko) 2004-11-18

Family

ID=2771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140A KR100457601B1 (ko) 2001-07-05 2001-07-05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82A (ko) * 2001-11-22 2001-12-12 한병수 복합기능처축계정의 실시간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국부창출메카니즘
KR100810085B1 (ko) * 2006-03-31 2008-03-05 문병수 인터넷을 이용한 낙찰계 운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05A (ko) * 2000-07-18 2000-12-05 박결희 인터넷 사이버 복권통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05A (ko) * 2000-07-18 2000-12-05 박결희 인터넷 사이버 복권통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03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607B1 (ko) 결제 고객 순번별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1324B1 (ko) 추첨식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2308A (ko) 배팅형 복권 시스템 및 배팅 방법
KR2001009388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적립 추첨식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57601B1 (ko) 복권식 적금 및 예금 관리 시스템
KR20000059231A (ko) 환급 당첨으로 무료쇼핑 기회를 제공하는 쇼핑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210103700A (ko) 캐쉬백 서비스에 기반한 추가 기부창업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30006726A (ko) 낙첨복권의 재추첨을 통한 복권서비스 방법
KR20000030587A (ko)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한 추첨식 상품 구매 방법
KR20090049827A (ko) 현금본위제도에 의한 마일리지 지급보장 시스템
AU774122B2 (en) E commerce system
KR100456498B1 (ko) 온라인상의 이벤트를 통한 상품 홍보/판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13189B1 (ko) 원금손실보전형 경매시스템 및 원금손실보전형 경매방법
AU2008100206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idual transaction amounts
AU780942B2 (en) A transaction system
KR20030053481A (ko) 네트워크상의 복권식 낙찰계 운영방법 및 장치
AU2008100208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idual transaction amounts
KR20030021437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U2008100204B4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idual transaction amounts
WO2023225729A2 (pt) Bandeira de recompensa de multimoedas sem fronteiras
AU2008100209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idual transaction amounts
JP2005018543A (ja) 配当・株主優待割当システム
AU2008100207B4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idual transaction amounts
WO2021173025A1 (ru) Продажа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в маркетплейсе, расположенном в крипто кошельке покупателя
KR20010008146A (ko) 온라인 즉석복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