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232B1 -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232B1
KR100457232B1 KR10-2002-0006538A KR20020006538A KR100457232B1 KR 100457232 B1 KR100457232 B1 KR 100457232B1 KR 20020006538 A KR20020006538 A KR 20020006538A KR 100457232 B1 KR100457232 B1 KR 10045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bark
bamboo
wood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202A (ko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이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호 filed Critical 이남호
Priority to KR10-2002-000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2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9/00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
    • B27K9/002Cane, bambo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을 방지하기 위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대나무의 마구리면을 통한 수분 증발이 완전차단 또는 부분차단이 되도록 통대나무의 마구리면을 적절한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한 후 가열장치내에서 소정의 온도범위로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통대나무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筒狀)의 대나무를 쪼개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건조생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의 단축,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의 인공건조, 변색(變色)과 부후(腐朽) 예방, 잔류응력의 완화효과 및 증습 조절이 불필요한 건조가 가능하므로써 건조생산비 절감과 사용 중의 서비스성을 개선할 수 있어 통대나무를 이용한 죽제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죽공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METHOD FOR DRYING A BAMBOO TUBE WITHOUT FORMATION OF SPLITS AND CHECKS}
본 발명은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대나무의 마구리면을 통한 수분 증발이 완전차단 또는 부분차단이 되도록 통대나무의 마구리면을 적절한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한 후 가열장치내에서 소정의 온도범위로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통대나무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竹)는 성장이 매우 빠르고, 생명력과 번식력이 강하여 그 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특히 다른 목재와 달리 내부에 적정한 공간이 형성된 통상(筒狀)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부후균(腐朽)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점 때문에 통대나무(筒竹)를 대금, 피리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관악기재, 조미료통, 연필통, 고급차(茶)통 및 주류통 등과 같은 용기류 용재 또는 의자나 조명기구 등과 같은 소품가구의 부재 등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다. 특히 대나무 서식지는 태양광선의 지표면 투입이 불량하여 지하림(地下林)이나 지표식물의 생육이 곤란한 점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을 주장하는 환경론자들에 의해서 대나무 벌채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통대나무의 이용도를 제고하는 것은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통대나무의 경우 건조 중 외피(外皮)면이 내피(內皮)면보다 먼저 섬유포화점(함수율 약 30%)에 도달하면서 건조 초기에 외피면에 미세한 쪼개짐이 발생하고, 건조후기에는 통대나무의 접선방향과 방사방향간의 수축율 차에 의해서 형성되는 이방성수축응력이 미세 쪼개짐 부위에 집중되면서 쪼개짐은 통대나무의 전 부위로 더욱 크게 확장되어 대나무를 통상(筒狀)으로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2∼3개월에 걸쳐 실내에서 서서히 음건(陰乾)하거나, 일부에서는 통대나무에 약제를 주입한 후 인공건조하여 사용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실내 음건의 경우 일차적으로 무결점의 통대나무를 얻는 것 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건조에 매우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무결점의 통대나무라 할지라도 죽제품이 사용되어질 실내의 함수율까지 건조되지 않으므로써 실제 사용 중에 쪼개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등 산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약제를 주입하여 인공건조하는 경우는 대나무의 표층에 형성되어 있는 왁스층 때문에 약제주입이 곤란하므로써 약제주입에 소요되는 시간과 장치비용의 문제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음식물 용기나 신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죽제품에 사용할 수 없는 용도제약이 있으며, 쪼개짐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목재 건조에 관한 전문지식과 십 수년간에 걸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통대나무의 경우 다음과 같은 독특한 건조특성에 의해서 지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상(筒狀)의 대나무의 경우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마디에 의해서 마디와 마디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만들어져 있고, 건조시 대나무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은 대기중으로 방출되지만 내피면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이 밀폐된 공간 내에 머무르게 된다. 특히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을 적절한 물질로 차폐막처리하여 마구리면을 통한 수분증발을 차단할 경우 내피면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대나무 마디 사이의 공간 내에 축적되면서 이곳에 높은 수증기압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통대나무의 외피면과 내피면 사이에는 압력경사가 형성되고, 이것은 내피면에서 외피면 측으로의 수분유동을 급속하게 유도하는 기동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외피면과 내피면사이에 수분경사가 완만해지고, 따라서 건조초기 외피면에서의 미세 쪼개짐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또한 건조가 진행되어 섬유포화점 이하에 도달하여 통대나무의 수축이 시작되더라도 대나무 마디사이의 밀폐공간 내에 축적되어 있는 수증기에 의해 급속한 수축이 억제되고, 이러한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이방성수축응력이 경감 내지는 소멸되므로써 통대나무의 쪼개짐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통대나무의 독특한 건조특성을 연구하여,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을 적절한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한 후 건조한 통대나무가 쪼개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 실내에서의 음건에 비해 건조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인공건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대나무 건조 중 쪼개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따른 통대나무의 함수율 감소경과와 쪼개짐의 발생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처리조건에 따른 통대나무의 함수율 감소경과와 쪼개짐의 발생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스케쥴에 따른 통대나무의 건조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따른 통대나무의 건조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대나무 건조 중 쪼개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에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차폐막처리된 통대나무를 가열장치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2)로 이루어진 통대나무의 건조방법을 포함한다.
단계 1은 통나무의 마구리면을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수분차단막"이라함은 수증기 통과를 완전차단 또는 부분차단할 수 있는 재질을 지닌 모든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식품포장용 랩, 비닐, 알루미늄호일, 종이, 플라스틱 또는 방수페인트를 의미한다.
통상(筒狀)의 대나무는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마디에 의해서 마디와 마디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만들어져 있고, 건조시 대나무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은 대기중으로 방출되지만 내피면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이 밀폐된 공간 내에 머무르게 된다. 특히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을 적절한 물질로 차폐막처리하여 마구리면을 통한 수분증발을 차단할 경우 내피면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대나무 마디 사이의 공간 내에 축적되면서 이곳에 높은 수증기압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통대나무의 외피면과 내피면 사이에는 압력경사가 형성되고, 이것은 내피면에서 외피면 측으로의 수분유동을 급속하게 유도하는 기동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외피면과 내피면사이에 수분경사가 완만해지고, 따라서 건조초기 외피면에서의 미세 쪼개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건조가 진행되어 섬유포화점 이하에 도달하여 통대나무의 수축이 시작되더라도 대나무 마디사이의 밀폐공간 내에 축적되어 있는 수증기에 의해 급속한 수축이 억제되고, 이러한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이방성수축응력이 경감 내지는 소멸되므로써 통대나무의 쪼개짐을 예방할 수 있다.
단계 2는 상기 차폐막처리된 통대나무를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으로, 상기 가열장치는 특정한 건조가열장치에 국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건조용 송풍가열장치 또는 진공가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용 송풍가열장치는 가열과 동시에 통대나무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송풍장치가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가열장치는 가열과 동시에 통대나무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있어 대기압이하의 감압상태하에서 가열건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60 Torr에서 가열건조한다.
상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통대나무를 건조시 건조온도는 국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45∼90℃에서 수행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송풍가열장치에서 건조초기 45℃부터 건조말기 90℃에서 수행하며, 진공가열장치에서 건조초기 50℃부터 건조말기 65℃에서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통대나무의 특정한 산지, 직경, 길이 또는 초기함수율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건조시간경과별 가열온도 상승방법 또는 진공도 등은 통대나무의 재질 특성이나 생산자의 생산계획 등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방법에 의한 통대나무는 통대나무 건조 중 쪼개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건조중 건조장치내의 습도조절이 불필요하므로써 건조장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므로써 통대나무가 죽제품으로 제작되어 사용하는 도중에 쪼개짐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품포장용 랩을 이용하여 차폐처리하여(이하 "EW처리한 통대나무"라 칭한다.) 송풍가열장치로 건조한 통대나무는 쪼개짐이 없이 341 시간만에 초기함수율 72.0 %에서 6.5 %까지 건조되었다. 상기 결과는 종래 실내음건시 소요되는 2∼3개월과 비교할 때 상당한 건조시간 단축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도 1참조). 또한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EW처리한 통대나무를 급속한속도로 건조하면(S-EW), 평균 시간당 함수율이 더욱 감소하여 건조속도 증진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쪼개짐이 없이 안전하게 건조할 수 있었다.
상기 EW처리한 통대나무의 외피면에서 내피면을 향하는 관통구멍을 가공한 통대나무(이하 "EW-H처리한 통대나무"라 칭한다.)를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건조한 결과, 본 발명의 EW처리한 통대나무에 비해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으나, 쪼개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통대나무의 내피면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마디 공간내에 축적시키지 않는다면 쪼개짐이 예방되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 2참조).
또한,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EW처리한 통대나무를 진공가열건조를 수행한 경우, 84 시간만에 죽제품의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가 가능하였으며, 평균 건조속도도 0.92 %/시간으로 송풍가열건조의 경우보다 매우 빠른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통대나무가 잔적된 진공가열장치내를 대기압 이하로 유지하면서 건조하여 통대나무 마디 공간내의 수증기압과의 압력경사가 가열송풍건조의 경우보다 월등히 크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통대나무 건조 1
송풍가열장치는 최대 200℃까지 가열 할 수 있고, 가열과 동시에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대 풍속 7.0 m/초의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증발된 수분을 대기중으로 배출할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무처리, EH처리(End hole;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에 직경 10mm의 관통구멍을 가공한 것), EW처리(End wrapping;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을 식품포장용 랩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 한 것)한 통대나무들을 송풍가열장치 내에 잔적하여 45℃(건조초기)∼80℃(건조말기)에서 가열하면서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하였다. 상기 통대나무의 직경, 길이, 초기함수율 및 반복수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통대나무 건조 2
상기 실시예 1의 EW처리한 통대나무와 EW-H 처리(End wrapping & hole; EW처리한 통대나무의 외피면상에서 내피면을 향하여 직경 5mm의 관통구멍을 각 마디에 한 개씩 가공한 것)한 통대나무를 송풍가열장치내에 잔적하여 45℃(건조초기)∼80℃(건조말기)에서 가열하면서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하였다. 상기 통대나무의 직경, 길이, 초기함수율 및 반복수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통대나무 건조 3
상기 실시예 1의 EW처리한 통대나무를 완만한 건조스케쥴(M-EW; 건조초기 60℃에서 가열하여 건조말기 9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건조스케쥴)과 급속한 건조스케쥴(S-EW; 건조초기 65℃에서 가열하여 M-EW보다 급속한 속도로 건조말기 90℃까지 가열온도를 상승시킨 건조스케쥴)로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하였다. 상기 통대나무의 직경, 길이, 초기함수율 및 반복수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통대나무 건조 4
진공가열장치는 최대 100℃까지 가열할 수 있고, 가열과 동시에 외피면에서 증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진공펌프는 진공도를 30 torr까지 유지할 수 있다.
무처리와 상기 실시예 1의 EW처리한 통대나무를 진공가열장치 내에 잔적하여 진공도 40∼60 torr를 유지하면서 50℃(건조초기)∼65℃(건조말기)의 저온범위에서 가열하여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하였다. 상기 통대나무의 직경, 길이, 초기함수율 및 반복수는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통대나무의 직경, 길이, 초기함수율 및 반복수
실시예 가열방법 처리 통대나무
직경(cm) 길이(cm) 초기함수율(%) 반복수(본)
1 송풍가열건조 무처리EHEW 13.512.913.4 42.539.038.5 72.071.972.8 151515
2 송풍가열건조 EWEW-H 12.513.2 70.070.0 78.272.6 1515
3 송풍가열건조 M-EWS-EW 13.514.0 70.070.0 58.4103.4 1010
4 진공가열건조 무처리EW 12.512.5 35.035.0 94.571.6 1010
<실험예 1> 실시예에 따른 함수율 측정
상기의 실시예별 함수율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건조전 미리 준비된 각 통대나무의 한쪽 마구리면으로부터 30 ㎝이상 떨어진 부위에서 길이 15 ㎜의 함수율 시험편을 채취하고, 동시에 건조시험할 통대나무를소정의 조건에 맞추어 준비하였다. 채취 직후 함수율시험편과 건조시험할 통대나무의 무게를 각각 전자저울로 평량하였다(이하 각각 "SWg"와 "DWg"라 칭한다.). 이후 함수율시험편은 103 ±2℃의 오븐에서 더 이상 무게 감소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전건(全乾)시킨 뒤, 함수율시험편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였으며(이하 "SWo"라 칭한다.), 건조시험할 통대나무는 비닐에 밀봉하여 상기 실시예별 시험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4℃의 저온고에 보관하였다. 상기 SWg와 SWo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부터 각 함수율시험편의 함수율(이하 "Smc"라 칭한다.)을 산출하였다.
상기 DWg와 Smc를 이용하여 각 건조시험할 통대나무의 전건무게를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이하 "DWo"라 칭한다.).
각 건조시험할 통대나무는 상기 실시예별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 소정의 가열장치내에서 소정의 조건으로 건조하면서 적정한 시간간격(대부분 매 12시간 마다)으로 각 건조시험중인 통대나무의 건조중무게(이하 "DWc"라 칭한다.)를 전자저울로 평량하고, 상기 DWo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으로부터 각 통대나무의 건조중 함수율(이하 "DWmc"라 칭한다.)을 계산하였고, 동일 건조시간에 측정한 각 통대나무의 건조중 함수율의 평균값을 건조시간의 함수로써 표기하여도 1도 2를 얻었다.
각 통대나무의 건조중 무게를 측정할 때마다 쪼개짐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조사하여 상기 처리별 쪼개짐 발생시점을 평가하였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각 통대나무가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약 10% 이하)까지 건조되었음을 확인한 후 건조시험을 종료하였다.(상기한 함수율 측정 등의 방법은 목재건조분야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무처리, EH처리, EW처리한 통대나무를 대상으로 송풍가열건조실시 결과는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W처리 통대나무는 쪼개짐이 없이 341시간만에 초기함수율 72.0%에서 6.5%까지 건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내음건시 소요되는 2∼3개월과 비교할 때 상당한 건조시간 단축효과가 있는 것이다.
무처리한 통대나무나 EH처리한 통대나무의 경우 EW처리보다 건조시간 단축효과는 뚜렷하였으나, 모두 건조 개시 48시간만에 쪼개짐이 발생하므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 2에서 EW처리와 EW-H처리한 통대나무를 대상으로 송풍가열건조실시 결과는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EW처리한 통대나무는도 1에 나타낸 결과와 마찬가지로 쪼개짐이 없이 건조 개시후 364 시간만에 7.7%까지 건조되었으나, EW-H처리는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하였으나 건조 중 쪼개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통대나무의 내피면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마디 공간내에 축적시키지 않는다면 쪼개짐은 예방되어 질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에 따른 건조속도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 건조시간경과별 DWmc의 감소값을 건조소요시간으로 나누어서 각 건조단계별 건조속도를 산출하였으며, 이것을 건조시간의 함수로써 나타내어도 3도 4를 얻었다(상기 건조속도산출 방법은 목재건조분야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이다.).
상기 실시예 3에서 통대나무를 대상으로 M-EW 건조스케쥴과 S-EW 건조스케쥴로 송풍가열건조실시 결과는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M-EW스케쥴로 건조한 통대나무의 경우 평균 시간당 0.23%의 함수율 감소를 보인 반면에 S-EW스케쥴로 건조한 통대나무는 평균 시간당 0.47%의 함수율 감소를 보여 건조속도 증진효과가 뚜렷하였고, 특히 S-EW건조스케쥴하에서도 EW처리한 통대나무는 쪼개짐이 없이 안전하게 건조 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4에서 무처리와 EW처리한 통대나무를 대상으로 진공가열건조 실시한 결과는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처리와 EW처리 통대나무 모두 84시간만에 죽제품의 이용함수율 수준까지 건조가 가능하였고, 평균 건조속도도 무처리 1.08 %/시간, EW처리 0.92 %/시간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적용한 송풍가열건조의 경우보다 매우 빠른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통대나무가 잔적된 진공가열장치 내를 40∼60 torr상태로 유지하면서 건조하므로써 통대나무 마디 공간내의 수증기압과의 압력경사가 가열송풍건조의 경우보다 월등히 크게 형성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실험예 3> 통대나무의 건조실시 중 쪼개짐 발생 측정
상기 실시예 1∼4에 따라 건조된 모든 통대나무를 대상으로 쪼개짐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조사하여, 쪼개짐이 발생한 통대나무의 본수와 발생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에 따른 통대나무의 건조실시중 쪼개짐 발생본수 및 발생율(%)
실시예 가열방법 처리 반복수(본) 쪼개짐
발생본수(본) 발생율(%)
1 송풍가열건조 무처리EHEW 151515 15150 1001000
2 송풍가열건조 EWEW-H 1515 015 0100
3 송풍가열건조 M-EWS-EW 1010 00 00
4 진공가열건조 무처리EW 1010 63 6030
상기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EW처리한 통대나무의 경우 송풍가열건조에서는 쪼개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진공가열건조에서도 매우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을 차폐막처리하여 건조 중 대나무의 내피면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각 마디사이의 밀폐 공간내에 효과적으로 축적시키므로써 내피면으로부터 외피면을 향한 수분유동속도 증진과 이방성수축응력을 경감 내지는 소멸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얻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진공가열건조의 경우 무처리 통대나무라 할지라도 통대나무 마디 공간내의 수증기압과 통대나무를 둘러싼 주위 환경과의 절대 수증기압 차가 송풍가열건조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40%정도의 무결점 통대나무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대나무의 마구리면을 차폐처리한 후 가열장치내에서 건조시켜 통상(筒狀)의 대나무를 쪼개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건조생산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의 단축, 죽제품의 실내 이용함수율 수준까지의 인공건조, 변색과 부후 예방, 잔류응력의 완화효과 및 증습조절이 불필요한 건조가 가능함으로 건조생산비 절감과 사용 중의 서비스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대나무를 활용한 죽제품의 용도를 더욱 넓힐 수 있어 죽공예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통대나무의 양쪽 마구리면에 수분차단막으로 밀봉하여 차폐막처리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차폐막처리된 통대나무를 가열장치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2)로 이루어진 통대나무의 건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이 식품포장용 랩, 비닐류, 알루미늄호일, 종이, 직물, 플라스틱 또는 방수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대나무의 건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가 건조용 송풍가열장치 또는 진공가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대나무의 건조방법.
KR10-2002-0006538A 2002-02-05 2002-02-05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KR10045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8A KR100457232B1 (ko) 2002-02-05 2002-02-05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38A KR100457232B1 (ko) 2002-02-05 2002-02-05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02A KR20030066202A (ko) 2003-08-09
KR100457232B1 true KR100457232B1 (ko) 2004-11-12

Family

ID=3222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38A KR100457232B1 (ko) 2002-02-05 2002-02-05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2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602B1 (ko) * 2009-06-25 2011-12-15 박양님 균열이 방지된 대나무통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통
KR20220031182A (ko) 2020-09-04 2022-03-11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할렬과 곰팡이 발생을 억제한 대나무 통의 제조 방법
KR102644905B1 (ko) 2022-10-28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티 고열처리를 이용한 건조 죽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조 죽재
KR20240032240A (ko) 2022-09-01 2024-03-12 전라남도 왕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나무 통 건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289B1 (ko) * 2013-03-19 2013-09-30 송창호 대나무통을 활용한 육류 어패류 조리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23A (ko) * 1981-06-10 1984-02-22 스티번 커티스 동력 및 자유운반장치
KR940002537A (ko) * 1992-07-16 1994-02-17 김무웅 밀봉식 복합판넬
KR950012442A (ko) * 1993-10-27 1995-05-16 배순훈 도트매트릭스 표시장치에서의 로고표시방법
KR960000728A (ko) * 1994-06-20 1996-01-25 노구치 미치오 스토리지컨베이어의 스토리지장치
KR960013741A (ko) * 1994-10-21 1996-05-22 한승준 차량용 도어트림의 제조공정
JPH08150604A (ja) * 1994-11-25 1996-06-11 Nichiha Corp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20266A (ko) * 1996-09-06 1998-06-25 성재갑 온돌용 멜라민 시트 적층 합판류 마루판재
KR0157036B1 (ko) * 1991-04-04 1999-02-18 사토시 후지키 목재가공제, 가공목재 및 그 가공방법
KR200230359Y1 (ko) * 2001-02-22 2001-07-03 김성규 합성 수지의 침투에 의해 강화된 목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23A (ko) * 1981-06-10 1984-02-22 스티번 커티스 동력 및 자유운반장치
KR0157036B1 (ko) * 1991-04-04 1999-02-18 사토시 후지키 목재가공제, 가공목재 및 그 가공방법
KR940002537A (ko) * 1992-07-16 1994-02-17 김무웅 밀봉식 복합판넬
KR950012442A (ko) * 1993-10-27 1995-05-16 배순훈 도트매트릭스 표시장치에서의 로고표시방법
KR960000728A (ko) * 1994-06-20 1996-01-25 노구치 미치오 스토리지컨베이어의 스토리지장치
KR960013741A (ko) * 1994-10-21 1996-05-22 한승준 차량용 도어트림의 제조공정
JPH08150604A (ja) * 1994-11-25 1996-06-11 Nichiha Corp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20266A (ko) * 1996-09-06 1998-06-25 성재갑 온돌용 멜라민 시트 적층 합판류 마루판재
KR200230359Y1 (ko) * 2001-02-22 2001-07-03 김성규 합성 수지의 침투에 의해 강화된 목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602B1 (ko) * 2009-06-25 2011-12-15 박양님 균열이 방지된 대나무통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통
KR20220031182A (ko) 2020-09-04 2022-03-11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할렬과 곰팡이 발생을 억제한 대나무 통의 제조 방법
KR20240032240A (ko) 2022-09-01 2024-03-12 전라남도 왕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나무 통 건조방법
KR102644905B1 (ko) 2022-10-28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티 고열처리를 이용한 건조 죽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조 죽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02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Structural analysis of heat-treated birch (Betule papyrifera) surface during artificial weathering
AU2019203769B2 (en) Process for the acetylation of wood
Zanuncio et al. Physical and colorimetric changes in Eucalyptus grandis wood after heat treatment
US201001157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Durable Products
KR100457232B1 (ko) 통대나무(筒竹)의 쪼개짐 방지를 위한 건조방법
Simpson Drying wood: a review-part I
Dashti et al. Effects of steaming and microwave pretreatments on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leppe oak (Quercus infectoria)
Chafe Effect of brief presteaming on shrinkage, collapse and other wood-water relationships in Eucalyptus regnans F. Muell
Oliveira et al. Wettability, shrinkage and color changes of Araucaria angustifolia after heating treatment
US4459100A (en) Process for expansion of tobacco
Carvalho et al. Effect of thermal modification in the natural resistance of Eucalyptus grandis and Pinus taeda woods
US1066523A (en) Process for the scientific curing of woods.
US3199211A (en) Method of preseasoning green or partially seasoned wood
CA1163520A (en) Process for expansion of tobacco
Ziblio et al. Wettability and surface free energy on heat-treated Pinus sp. and Erisma sp. woods
KR101057539B1 (ko) 원목의 건조방법
Eckelman Forestry & Natural Resources
JP6762565B2 (ja) 加工円盤材および加工円盤材の製造方法
Kamarudin et al.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durability of bamboo Gigantochloa scortechinii
JP2575767B2 (ja) 木材の材質改良方法
JP2001105409A (ja) 乾燥木材の製造方法
Thompson et al.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s on the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ood: a review of research at the Mississippi Forest Products Laboratory.
EP0078352A1 (en) Process for expanding cut tobacco
Ambrose et al. Effects of Incision, Forced-air Drying, and Pressure Pretreatments on Wet Pockets,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s of Acacia mangium Wood.
JPH011502A (ja) 木材の材質改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