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041B1 - 윤곽강조회로 - Google Patents

윤곽강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041B1
KR100457041B1 KR10-1999-7008662A KR19997008662A KR100457041B1 KR 100457041 B1 KR100457041 B1 KR 100457041B1 KR 19997008662 A KR19997008662 A KR 19997008662A KR 100457041 B1 KR100457041 B1 KR 10045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our
circuit
signal
signal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598A (ko
Inventor
스즈키스스무
쿠리타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ublication of KR2001000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와 이 디지털 R , G , B 신호에서 Y 신호를 생성하는 Y 신호생성회로 (36) 와 생성된 Y 신호에서 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윤곽추출회로 (38) 와 이 윤곽성분을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에서 출력된 R , G , B 신호에 가산하여 윤곽 강조된 신호 (R + Y e r) , (G + Y e g) , (B + T e b) 를 출력하는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를 구비하고,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에 서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에 윤곽성분을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아날로그의 R, G, B신호에 윤곽성분을 가산한 후에 A / D 변환하고 있던 종래의 예처럼 윤곽강조성분이 A / D 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 (dynamic range) 를 오버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에 입력하는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가 대진폭신호의 경우나 윤곽강조량이 「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의 영상신호로 구동하는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했을 때 밝은 색상 압축 (White Compression) 이나 어두운 색상 압축 (Black Compression) 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윤곽강조회로{CONTOUR EMPHASIZING CIRCUIT}
종래의 C R T (음극선관) 표시장치에서는 고화질화 및 고역특성보상을 목적으로 윤곽강조처리가 이루지고 있다. 이 윤곽강조처리를 하는 윤곽강조회로는 도 1 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Y / C 분리회로 (10) , 색복조회로 (12), 윤곽추출회로 (14), 위상조정회로 (16) , (18) , (20) , 가산회로 (22) 및 매트릭스회로 (24) 로 구성되어 있다.
Y / C 분리회로 (10) 는 입력단자 (26) 에 입력된 콤퍼짓비디오신호(예를 들면 복합컬러텔레비전신호) C V 로부터 Y (휘도) 신호와 C (색) 신호를 분리하고 색복조회로 (12) 는 Y 신호와 C 신호에 의거하여 Y 신호, R - Y (색차) 신호 및 B-Y(색차) 신호를 복조 한다.
윤곽추출회로 (14) 는 Y 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신호의 고역성분인 윤곽성분 (Ye) 을 추출한다. 가산회로 (22) 는 이 윤곽성분 (Ye) 을 Y 신호에 가산한다.
매트릭스회로 (24) 는 가산회로 (22) 에서 가산된 Y + Ye 신호와 위상조정회로 (18) , (20) 에서 위상 조정된 R - Y 신호, B - Y 신호에 의거하여 R (적) , G (록) , B (청) 신호가 각각 윤곽성분 (Ye) 을 가산한 신호를 작성한다. 즉 매트릭스회로 (24) 는 다음 식 (1), (2), (3) 의 연산에 의거하여 R + Ye , G + Ye , B + Ye 를 작성한다. 이 R + Ye , G + Ye , B + Ye 를 출력단자 (28r) , (28g) , (28b) 를 통하여 C R T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이 C R T 표시장치에서 윤곽 강조된 영상이 표시된다.
(R-Y)+(Y+Ye)=R+Ye…………(1)
(G-Y)+(Y+Ye)=G+Ye…………(2)
(B-Y)+(Y+Ye)=B+Ye…………(3)
상기의 식 (2) (G-Y)는 다음의 식 (4) 에 의하여 생성된다.
(G-Y)=-0.51(R-Y)-0.19(B-Y)……(4)
P D P 나 L C D 처럼 디지털의 영상신호(예를 들면 R , G , B 신호)로 구동하는 매트릭스형의 표시장치에서 윤곽 강조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종래는 도 1 의 출력단자 (28 r) , (28 g) , (28 b) 에서 얻어진 R + Ye , G + Ye 및 B + Ye 의 각 신호를 A / D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회로에서 디지털화 하여 표시장치에 출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예는 입력단자 (26) 에 대진폭신호가입력된 경우나 윤곽추출회로(14) 의 윤곽강조량 (또는 윤곽강조율, 이하 동일함으로 기술을 생략한다)이「대」인 경우에 A / D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오버하여 올바른 동작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입력단자 (26) 에 대진폭신호가 입력된 경우, 출력단자(28 r) , (28 g) , (28 b) 에서 도 2 (a) 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 D 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오버하는 신호가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동도 (a) 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이내믹 레인지의 상부변환기준전압치 V R T (예를 들면 5 볼트)를 넘어선 신호가 커트 되어 밝은 색상 압축 (White Compression) 이 발생한다든지, 하부변환기준전압치 V R B(예를들면 3볼트) 미만의 신호가 커트 되어 어두운 색상 압축 (Black Compression) 이 발생한다든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윤곽추출회로 (14) 의 윤곽강조량이「대」인 경우, 도 2 (b) 의 좌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A / D 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오버하는 신호가 출력단자 (28 r) , (28 g) , (28 b) 로부터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동 도면 (b) 의 우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다이내믹 레인지의 상부변환기준전압치 V R T 를 넘어선 신호가 커트 되어 밝은 색상 압축이 발생한다든지, 하부변환기준전압치 V R B 미만의 신호가 커트 되어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한다든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의 윤곽강조회로에서는 밝은 색상 압축이나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하는 대진폭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나 윤곽강조량이「대」인 때에도 디지털영상신호로 구동하는 표시장치에서 밝은 색상 압축이나 어두운 색상 압축이 없는 윤곽강조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윤곽강조회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의 컬러영상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윤곽 강조된 디지털의 컬러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윤곽강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이하 단순히 P D P 로 기술함) 나 액정디스플레이 (이하 단순히 L C D 로 기술함) 등과 같이 디지털구동의 표시장치 (예를 들면 매트릭스형의 표시장치) 에서 윤곽 강조된 컬러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진다.
도 1 은 종래의 예의 윤곽강조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2 는 도 1 의 회로에서 얻어진 신호를 A / D 변환하여 디지털의 영상신호로 구동하는 표시장치에 출력한 경우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로서, (a) 는 대진폭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밝은 색상 압축,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도, (b) 는 윤곽강조량이「대」일 때에 밝은 색상 압축,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윤곽강조회로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4 는 도 3 중 Y 신호생성회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5 는 도 3 중 윤곽추출회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6 은 도 5 중 코어링회로 (coring circuit) 의 특성도임.
도 7 은 수평방향의 윤곽강조에 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도로서, (a) 는 도 5 중 신호 ① 의 파형도, (b) 는 도 5 중 신호 ② 의 파형도, (c)는 도 5 중 신호 ③ 의 파형도, (d) 는 도 5 중 신호 ④ 의 파형도, (e) 는 도 3 중 출력단자 (86r) 에 출력하는 신호의 수평방향성분의 파형도임.
도 8 은 수직방향의 윤곽강조에 관한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도로서, (a) 는 도 5 중 신호 ⑤ 의 파형도, (b) 는 도 5 중 신호 ⑥ 의 파형도, (c)는 도 5 중 신호 ⑦ 의 파형도, (d) 는 도 5 중 신호 ⑧ 의 파형도, (e) 는 도 3 중 출력단자 (86r) 에 출력하는 신호의 수직방향성분의 파형도임.
본 발명에 의한 윤곽강조회로는 아날로그의 컬러영상신호 (예를 들면 R, G, B 신호) 를 디지털의 컬러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 / D 변환회로와, 이 디지털의 컬러영상신호로부터 Y 신호를 생성하는 Y 신호생성회로와, 생성된 Y 신호에서 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윤곽추출회로와, 이 추출된 윤곽성분을 A / D 변환회로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컬러영상신호에 가산하여 윤곽 강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윤곽가산회로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 D 변환회로에서 아날로그의 컬러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에 Y 신호를 생성하고, 이 Y 신호로부터 추출한 윤곽성분을 A / D 변환회로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컬러영상신호에 가산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종래의 예와 같이 윤곽강조성분이 A / D 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오버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에 입력하는 아날로그의 컬러영상신호가 대진폭신호인 경우나 윤곽강조량이「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를 디지털의 영상신호로 구동하는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윤곽강조영상을 표시한 경우에 밝은 색상 압축이나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직윤곽성분과 수평윤곽성분을 가산한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윤곽을 강조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윤곽추출회로를 제 1 , 제 2 라인메모리, 수직윤곽추출회로,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수평윤곽추출회로 및 윤곽합성회로로 구성한다.
또,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의 회로구성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를 직렬 접속된 4 개의 1 도트지연소자로 구성하고 제 2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의 출력 측으로부터 2 도트지연 Y 신호를 출력시켜 제 4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의 출력 측으로부터 4 도트지연 Y 신호를 출력시킨다.
또 노이즈의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윤곽추출회로에 어느 수준 이하의 윤곽성분을 억압하는 코어링회로 (coring circuit) 를 설치한다.
또 윤곽강조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윤곽추출회로에서 추출한 윤곽성분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득제어장치와 그 출력신호에 1 이하의 계수 (K r) , (K g) , (K b) 를 곱하여 윤곽가산회로에 출력하는 계수승산회로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3 에 있어서 (30 r) , (30 g) , (30 b) 는 A / D 변환회로, 32 는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4 r , 34 g , 34b 는 윤곽가산회로, 36 는 Y 신호생성회로, 38 은 윤곽추출회로, 40 는 윤곽성분의 이득제어장치, 42 는 계수승산회로이다.
상기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30 b) 는 각각 입력단자 (44 r) , (44 g) , (44 b) 에 입력한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분해능 8 비트의 디지털 R , G , 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2) 는 상기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로부터 출력한 R , G , B 신호에 화소수변환이나 감마보정등의 신호처리를 함과 동시에 지연차를 조정하기 위한 위상조정을 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수변환은 표시장치의 표시화소수에 맞도록 8 비트의 디지털 R , G , B 신호의 샘풀 수의 레이트 (rate) 변환을 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상기 감마보정처리는 표시장치의 발광특성을 보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상기 위상조정은 D - F F (D 형 flip - flop) 로 이루어지는 1 도트 지연소자등을 이용하여서 상기 화소수변환이나 감마보정등의 신호처리를 요하는 지연시간과 상기 Y 신호생성회로 (36) , 윤곽추출회로 (38) , 이득제어장치 (40) 및 계수승산회로 (42) 에서 신호처리에 필요로하는 지연시간과의 지연차를 조정하는 처리를 표시한다.
상기 Y 신호생성회로 (36) 는 상기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로부터 출력한 디지털 R , G , B 신호로부터 Y (휘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Y 신호생성회로 (36) 는 예를 들면 R O M (Read Only Memory)을 L U T (Look Up Table) 기능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음 식(5) 을 만족시키도록 N T S 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으로 정해진 혼합비로 R, G, B신호를 가산하여 Y신호를 얻는 방법이나 도 4 에 나타내는 것처럼 비트시프트가산에 의한 다음 식 (6) 을 만족하는 Y 신호의 근사치를 얻는 방법으로 실현되어 진다.
Y=(0.3×R)+(0.59×G)+(0.11×B)……(5)
Y≒0.3125×R+0.5625×G+0.1250×B……(6)
상기 윤곽추출회로 (38) 는 상기 Y 신호생성회로 (36) 에서 생성한 Y신호로부터 윤곽성분을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윤곽추출회로 (38) 는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내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46 은 Y 신호의 입력단자, 48 , 50 은 1 라인지연소자로서 제 1, 제 2 라인메모리, 52 는 수직윤곽추출회로, 54 는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56 은 수평윤곽추출회로, 58 은 수직윤곽성분의 이득제어장치, 60 은 수평윤곽성분의 이득제어장치, 62 는 윤곽합성회로, 64 는 코어링회로, 66 은 이득제어장치이다.
상기 제 1, 제 2 라인메모리 (48) , (50) 는 상기 입력단자 (46) 에 입력된 Y 신호를 순차 1 라인분 (1 주사선분) 지연시킨 Y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윤곽추출회로 (52) 는 상기 입력단자 (46) 에 입력된 Y 신호와 상기 제 2 라인메모리 (50) 로부터 출력된 2 라인지연의 Y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68) 와, 이 가산기 (68) 의 출력신호에 계수 (1 / 4) 를 곱하여 출력하는 승산기 (70) 와, 상기 1 라인메모리 (48) 에서 출력된 1 라인지연의 Y 신호에 계수 (1 / 2) 를 곱하여 출력하는 승산기 (72)와, 상기 승산기 (72) 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승산기 (70) 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 (74)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윤곽강조주파설정회로 (54) 는 윤곽강조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샘플링주파수 F s 의 1 / 2 )로 설정하기 위한 회로로써 구체적으로는 도 5 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상기 제 1 라인메모리 (48) 에서 출력된 Y 신호를 순차 1 도트분 (1 화소분) 지연시키는 4 개의 1 도트지연소자 (D 1 ∼ D 4) 로 이루어지는 5 탭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 도트지연소자 (D 1 ∼ D 4) 각각은 예를 들면 D - F F (D형flip-flop) 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54) 는 5 탭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렬 접속된 6 개의 1 도트지연소자 (D 1 ∼ D 6) 로 이루어지는 7 탭형이라도 된다.
상기 수평윤곽추출회로 (56) 는 상기 제 1 라인메모리 (48) 에서 출력된 Y 신호와, 4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 (D 4) 로부터 출력된 4 도트지연의 Y 신호와를 가산하는 가산기 (76) 와, 이 가산기 (76) 의 출력신호에 계수 (1 / 4) 를 곱하여 출력하는 승산기 (78) 와, 2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 (D 2) 로부터 출력된 2 도트지연의 Y 신호에 계수 (1 / 2) 를 곱하여 출력하는 승산기 (80) 와, 상기 계수기 (80) 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계수기 (78) 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 (82) 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이득제어장치 (58) 는 상기 수직윤곽추출회로 (52) 에서 추출된 수직윤곽성분에 조정 가능한 계수 (K v) 를 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득제어장치 (60) 는 상기 수평윤곽추출회로 (56) 에서 추출된 수평윤곽성분에 조정 가능한 계수 (K h) 를 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윤곽합성회로 (62) 는 상기 이득제어장치 (58) , (60) 의 각각에서 추출된 윤곽성분을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링회로 (64) 는 노이즈 및 미소한 윤곽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윤곽합성회로 (62) 로부터 출력된 윤곽성분을 입력하여, 이 입력된 윤곽성분이 어느 수준이하의 윤곽성분을 억압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링회로(64) 는 예를 들면 도 6 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입출력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윤곽합성회로 (62) 로부터 입력된 윤곽성분이 0 보다 큰 정 (正) 일 때에는 처음의 성분에 -δ(δ는 정의 정수) 를 가산하여 출력하고, 0 보다 작은 부 (負) 일 때에는 처음의 성분에 +δ를 가산하여 출력하고, 또 그 연산결과가 -δ이상 +δ이하일 때에는 출력을 0 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득제어장치 (66) 는 상기 코어링회로 (64) 로부터 출력된 윤곽성분에 조정 가능한 계수 (K 1) 를 곱하여 출력단자 (88) 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득제어장치 (40) 는 상기 윤곽추출회로 (38) 로부터 출력된 윤곽성분에 조정 가능한 계수 (K 2) 를 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득제어장치 (66) , (40) 는 필요에 따라서 한쪽 (예를 들면 66)을 생략해도 된다.
상기 계수승산회로 (42) 는 상기 이득제어장치 (40) 로부터 출력한 윤곽성분 (Y e) 에 계수 (K r) , (K g) , (K b) 를 곱하여 R , G , B 용의 윤곽성분 (Y e r) , (Y e g) , (Y e b)을 출력하는 승산기 (84 r), (84 g), (84 b)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수 (K r) , (K g) , (K b) 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Y 신호생성회로 (36) 가 Y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R , G , B 의 계수 (도 4) 와 동일값 인 0.3125, 0.5625, 0.1250으로 설정되어 (K r + K g + K b = 1), 비트시프트가산으로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는 상기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2) 에서 신호처리 및 위상 조정된 R , G , B 신호에 상기 계수승산회로 (42)의 승산기 (84 r) , (84 g) , (84 b) 로부터 출력된 윤곽성분(Y e r) , (Y e g) , (Y e b) 을 가산하여, 출력단자 (86 r), (86 g), (86 b) 를 통하여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서는 작용을 설명한다.
(1) 도 4 에 있어서 입력단자 (44 r) , (44 g) , (44 b) 에 입력된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는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에 의하여 8 비트의 디지털 R , G , B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2) 에서 신호처리 및 위상 조정되어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의 한 쪽의 입력 측에 입력한다.
(2) Y 신호생성회로 (36) 는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R , G , B 신호로부터 Y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이 Y 신호생성회로 (36) 는 도 4 의 회로를 사용한 비트시프트가산에 의해서 디지털 R , G , B 신호로부터 Y 신호를 생성한다.
(3) 윤곽추출회로 (38) 는 Y 신호로부터 수평윤곽성분과 수직윤곽성분으로 되는 윤곽성분을 추출한다. 다음에 이 윤곽추출회로 (38) 에 의한 윤곽성분의 추출작용을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3a) 도 7 을 겸용하여 수평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7 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세로선 (S 1) , (S 2) , (S 3) , (S 4) , (S 5) 는 처리대상화소를 포함하는 주사선에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선 각 화소의 샘플링 점을 표시한다.
윤곽강조주파설정회로 (54) 의 제 2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 (D 2) 로부터 출력하는 Y 신호를 도 7 의 (a)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① 이라고 하면 수평윤곽추출회로 (56) 의 승산기 (80) 로부터 출력하는 신호② 는 동도 (b)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되어 감산기 (82) 의 + 측에 입력한다.
제 1 라인메모리 (48) 로부터 출력된 Y 신호와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54) 의 제 4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 (D 4) 로부터 출력된 Y 신호와는 수평윤곽추출회로 (56) 의 가산기 (76) 에 의하여 가산되어 승산기 (78) 에서 1 / 4 를 곱하여 도 7 의 (c)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신호 ③ 으로써 감산기 (82) 의 - 측에 입력한다. 이 감산기 (82) 에서 연산된 신호 (② - ③) 는 이득제어장치 (60) 에서 계수 K h 배되어 도 7 의 (d) 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신호 ④ 로써 윤곽합성회로 (62) 의 한쪽의 입력 측에 입력한다.
(3 b) 도 8 을 겸용하여 수직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세로선 (S 1) , (S 2) , (S 3) 은 처리대상화소를 포함하는 주사선과 전후의 주사선 3 줄이 주사선상의 화소이고, 처리대상화소를 포함하는 수직방향에 따라서 늘어선 3 개의 화소의 샘플링 점을 표시한다. 제 1 라인메모리 (48) 로부터 출력된 1 라인지연의 Y 신호를 도 8 의 (a)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⑤ 라고 하면, 수직윤곽추출회로 (52) 의 승산기 (72) 로부터 출력한 신호 ⑥ 은 동도 (b)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되어 감산기 (74) 의 + 측에 입력한다.
입력단자 (46) 에 입력된 Y 신호와 제 2 라인메모리 (50) 로부터 출력된 2 라인 지연의 Y 신호와는 수직윤곽추출회로 (52) 의 가산기 (68) 에 의하여 가산되어 승산기 (70) 에서 1 / 4 을 곱하여 도 8 의 (c) 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신호 ⑦ 로써 감산기 (74) 의 - 측에 입력한다. 이 감산기 (74) 에서 연산된 신호 (⑥ - ⑦) 는 이득제어장치 (58) 에서 계수 K v 배되어 도 8 의 (d) 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신호 ⑧ 로써 윤곽합성회로 (62) 의 다른쪽의 입력 측에 입력한다.
(3 c) 이득제어장치 (60) 에서 출력된 수평윤곽성분을 표시하는 신호 ④ 와 이득제어장치 (58) 에서 출력된 수직윤곽성분을 표시하는 신호 ⑧ 와는 윤곽합성회로 (62) 에서 합성되어 코어링회로 (64) 에 의해 어느 수준이하의 윤곽성분을 억압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없애고 이득제어장치 (66) 에서 계수 (K 1) 를 곱하여 수준이 조정되어 출력단자 (88) 에 출력한다.
(4) 출력단자 (88) 에 출력된 윤곽성분은 이득제어장치 (40) 에서 계수 (K 2) 를 곱하여 수준이 조정되어 계수승산회로 (42) 의 승산기 (84 r) , (84 g) , (84 b) 에서 계수 (K r) , (K g) , (K b) 를 곱하여 R , G , B 용의 윤곽성분 (Y e r) , (Y e g) , (Y e b) 가 되어 대응하는 윤곽가산회로(34 r) , (34 g) , (34 b) 의 다른쪽의 입력 측에 입력한다. 이 때문에 윤곽강조량을 크게 할 수가 있다.
(5)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2) 에서 신호처리 및 위상 조정된 R , G , B 신호와 계수승산회로 (42) 의 승산기 (84 r) , (84 g) , (84 b) 로부터 출력된 R , G , B 용의 윤곽성분 (Y e r) , (Y e g) , (Y e b) 과는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에서 가산되어 출력단자 (86 r) , (86 g) , (86 b) 를 통하여 표시장치에 출력하고 이 표시장치에서 윤곽 강조된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 출력단자 (86 r) 에 출력하는 (R + Yer) 신호의 수평방향성분은 도 7의 (e) 에 나타내는 것처럼 되고 수직방향성분은 도 8 의 (e) 에 나타내는 것처럼 된다. 도 7 , 도 8 의 (e) 에 2 점쇄선으로 표시된 R h , R v 는 신호처리·위상조정회로 (32) 로부터 출력하는 R 신호의 수평방향성분, 수직방향성분을 나타낸다.
출력단자 (86 g) , (86 b) 에 출력하는 (G + Y e g) , (B + Y e b) 신호의 수평방향성분, 수직방향성분도 출력단자 (86 r) 에 출력하는 (R + Y e r) 신호의 수평방향성분, 수직방향성분과 동일하게 된다.
(6) 상술한 것처럼 A / D 변환회로 (30 r) , (30 g) , (30 b) 에서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디지털의 R , G , B 신호로 변환한 후에 Y 신호를 생성하고, 이 Y 신호로부터 추출된 윤곽성분을 처음의 디지털 R , G , B 신호에 가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 1 에 나타낸 종래의 예처럼 윤곽강조성분이 A / D변환회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오버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에 입력하는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가 대진폭신호인 경우나 윤곽강조량이 「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윤곽강조회로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를 디지털 R , G , B 신호에서 구동하는 표시장치(예를 들면 도트·매트릭스형의 P D P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했을 때 밝은 색상 압축이나 어두운 색상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 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윤곽추출회로 (38) 에서 추출한 윤곽성분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득제어장치 (40) 와 그 출력신호에 1 이하의 계수 (K r , K g , K b (K r + K g + K b = 1))를 곱하여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에 출력하는 계수승산회로 (42) 를 설치하여 R , G , B 용의 윤곽강조량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득제어장치 (40) 및 계수승산회로 (42) 를 생략하고 윤곽추출회로 (38) 의 출력을 직접 윤곽가산회로 (34 r) , (34 g) , (34 b) 에 출력하도록 한 것에서도 이용 할 수 가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윤곽추출회로 (38) 내에 윤곽합성회로 (62) 로부터 출력된 윤곽성분이 어느 수준이하를 제압하여 출력하는 코어링회로 (64) 를 설치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없애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코어링회로 (64) 를 생략한 것에서도 이용할 수 가있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윤곽강조회로 (38) 를 제 1 , 제 2 라인메모리 (48) , (50) , 수직윤곽추출회로 (52) ,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54) , 수평윤곽추출회로 (56) , 이득제어장치 (58) , (60) 및 윤곽합성회로 (62) 로 구성되고, 수직윤곽성분과 수평윤곽성분을 합성한 윤곽성분을 출력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윤곽추출회로 (38) 는 적어도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 (54) 및 수평윤곽추출회로 (56) 를 구비하여 수평윤곽성분을 출력하는 것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윤곽강조회로는 P D P 나 L C D 등과 같은 디지털 컬러영상신호에서 구동하는 표시장치 (예를 들면 매트릭스형 표시장치) 에 의하여 아날로그 컬러영상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윤곽 강조된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아날로그의 컬러영상신호를 디지털의 컬러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 / D 변환회로와 이 A / D 변환회로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화소수변환이나 감마보정등의 신호처리를 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회로와, 상기 A / D 변환회로의 출력신호로부터 Y 신호를 생성하는 Y 신호생성회로와, 이 Y 신호생성회로로부터 생성한 Y신호로부터 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윤곽추출회로와, 이 윤곽추출회로에서 추출한 윤곽성분을 상기 신호처리회로의 출력신호에 가산하여 윤곽 강조된 디지털의 컬러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윤곽가산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윤곽추출회로는 Y 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된 Y 신호를 순차 1 라인분 지연시키는 제 1 , 제 2 라인메모리와, 상기 Y 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한 Y 신호 및 상기 제 1 , 제 2 라인메모리의 각각에서 지연시킨 Y 신호에 기초하여 수직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수직윤곽추출회로와, 적어도 4 개이상의 1 도트지연소자가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라인메모리에서 지연시킨 Y 신호에 기초하여, n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로부터의 n 도트 지연된 Y 신호와 2 n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로부터의 2 n 도트 지연된 Y 신호로부터 이루어지는 윤곽강조주파수설정용의 2 종류의 지연시킨 Y 신호를 생성하는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와, 상기 제 1 라인메모리에서 생성한 Y 신호와 상기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에서 생성한 2 종류의 Y 신호에 기초하여 수평윤곽성분을 추출하는 수평윤곽추출회로와, 상기 수직윤곽추출회로와 수평윤곽추출회로의 각각에서 추출된 윤곽성분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윤곽합성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강조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윤곽강조주파수설정회로는 4 개의 1 도트지연소자를 직렬로 접속하고 제 2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의 출력 측으로부터 2 도트지연 Y 신호를 출력하고 제 4 번째의 1 도트지연소자의 출력 측으로부터 4 도트지연 Y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강조회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윤곽추출회로는 추출된 윤곽성분의 입력에 기초하여 이 입력한 윤곽성분으로부터 어느 수준이하의 윤곽성분을 억압한 신호를 출력하는 코어링회로를 구비한 윤곽강조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A / D변환회로는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디지털의 R , G , 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Y 신호생성회로는 상기 A / D 변환회로로부터의 디지털의 R , G 및 B 신호에 각각 K r , K g 및 K b 를 승산한 값을 가산하여 Y 신호를 생성하고, 윤곽추출회로와 윤곽가산회로의 사이에 상기 윤곽추출회로에서 추출된 윤곽성분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윤곽성분이득제어장치와 이 윤곽성분이득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로 상기 Y 신호생성회로에서 R , G 및 B 신호에 승산한 1 이하의 계수 K r , K g , K b 를 곱하여 상기 윤곽가산회로에 출력하는 계수승산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강조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A / D변환회로는 아날로그의 R , G , B 신호를 디지털의 R , G , 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Y 신호생성회로는 상기 A / D 변환회로로부터의 디지털의 R , G 및 B 신호에 각각 K r , K g 및 K b 를 승산한 값을 가산하여 Y 신호를 생성하고, 윤곽추출회로와 윤곽가산회로의 사이에 상기 윤곽추출회로에서 추출된 윤곽성분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윤곽성분이득제어장치와 이 윤곽성분이득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신호로 상기 Y 신호생성회로에서 R , G 및 B 신호에 승산한 1 이하의 계수 K r , K g , K b 를 곱하여 상기 윤곽가산회로에 출력하는 계수승산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강조회로.
KR10-1999-7008662A 1997-03-25 1997-03-25 윤곽강조회로 KR100457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7/000994 WO1998043409A1 (fr) 1997-03-25 1997-03-25 Circuit d'accentuation de conto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598A KR20010005598A (ko) 2001-01-15
KR100457041B1 true KR100457041B1 (ko) 2004-11-12

Family

ID=1418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662A KR100457041B1 (ko) 1997-03-25 1997-03-25 윤곽강조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59659B1 (ko)
EP (1) EP0998135B1 (ko)
KR (1) KR100457041B1 (ko)
AU (1) AU738829C (ko)
CA (1) CA2284851C (ko)
DE (1) DE69712924T2 (ko)
ES (1) ES2176699T3 (ko)
WO (1) WO1998043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074B2 (ja) * 1999-08-02 2004-06-14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輪郭強調回路および輪郭強調方法
DE10214411A1 (de) * 2002-03-30 2003-10-09 Bts Media Solutions Gmbh Schaltung zur Verarbeitung von Videosignalen
JP2004112694A (ja) * 2002-09-20 2004-04-08 Fuji Xerox Co Ltd 色調整方法、色調整装置、色変換定義編集装置、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821086B2 (ja) * 2002-11-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ストリ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ストリーミング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データ復号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90506B2 (ja) * 2003-09-02 2009-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平輪郭補正回路
JP5055770B2 (ja) * 2006-01-23 2012-10-24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563A (en) * 1994-03-02 1995-07-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contour enhancing apparatus which limits enhancement where signal components for contour enhancement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generated in overlapping relationship
JPH08186739A (ja) * 1994-12-28 1996-07-16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980A (ja) * 1983-11-30 1985-06-25 Toshiba Corp 映像情報処理方式及び装置
JPS62154892A (ja) 1985-12-26 1987-07-09 Nec Home Electronics Ltd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画質改善装置
JPH01259464A (ja) * 1988-04-11 1989-10-17 Konica Corp 鮮鋭度改善回路
US5119193A (en) * 1990-09-19 1992-06-02 Nec Corporation Video-signal processing device
GB2250886B (en) * 1990-12-13 1995-06-14 Rank Cintel Ltd Noise reduction in video signals
US5512946A (en) * 1994-01-31 1996-04-30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TV camera device arranged to use it
JPH0865548A (ja) 1994-08-19 1996-03-08 Canon Inc 撮像装置
US5467145A (en) * 1994-10-26 1995-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ry for enhancing detail in color video signals
JPH08163412A (ja) 1994-11-30 1996-06-21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563A (en) * 1994-03-02 1995-07-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contour enhancing apparatus which limits enhancement where signal components for contour enhancement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generated in overlapping relationship
JPH08186739A (ja) * 1994-12-28 1996-07-16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4851A1 (en) 1998-10-01
AU738829B2 (en) 2001-09-27
AU738829C (en) 2002-03-28
KR20010005598A (ko) 2001-01-15
US6359659B1 (en) 2002-03-19
DE69712924T2 (de) 2002-09-12
EP0998135A4 (en) 2000-05-03
EP0998135B1 (en) 2002-05-29
ES2176699T3 (es) 2002-12-01
DE69712924D1 (de) 2002-07-04
EP0998135A1 (en) 2000-05-03
AU1945697A (en) 1998-10-20
CA2284851C (en) 2005-11-15
WO1998043409A1 (fr)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157B1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and image conversion method
KR100457043B1 (ko) 윤곽강조회로
KR100457041B1 (ko) 윤곽강조회로
KR100457042B1 (ko) 윤곽강조회로
KR100461532B1 (ko) 윤곽강조회로
JPH11289476A (ja) 輪郭強調回路
KR100480569B1 (ko) 다기능 비디오 디코더
RU2184426C2 (ru) Схема подчеркивания контуров
RU2184428C2 (ru) Схема подчеркивания контуров
RU2184427C2 (ru) Схема подчеркивания контуров
RU2184425C2 (ru) Схема подчеркивания контуров
JP314742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JPH1188725A (ja) 複数画面表示装置の輪郭強調回路
JP2850969B2 (ja) 映像回路
JPH0316077B2 (ko)
JPH0130350B2 (ko)
JPH0316079B2 (ko)
JPH04138776A (ja) 高品位テレビ受像機
JPH07212789A (ja) ガンマ補正処理装置
JPH09214999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H08163512A (ja) 方式変換装置
JPS6188666A (ja) カラ−テレビジヨン画質改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